KR101522834B1 -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834B1
KR101522834B1 KR1020150035306A KR20150035306A KR101522834B1 KR 101522834 B1 KR101522834 B1 KR 101522834B1 KR 1020150035306 A KR1020150035306 A KR 1020150035306A KR 20150035306 A KR20150035306 A KR 20150035306A KR 101522834 B1 KR101522834 B1 KR 10152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floor mat
printed
ma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정
Original Assignee
한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정 filed Critical 한현정
Priority to KR102015003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834B1/ko
Priority to PCT/KR2016/002510 priority patent/WO201614846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y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은 3D 콘텐츠의 증강현실 구동을 위한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매트 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인쇄되는 증강현실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와 이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매트에 인쇄된 증강현실 마커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3D 콘텐츠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증강현실 마커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3D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바닥 매트에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바닥 매트를 통해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3D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 바닥 매트를 통해 교육용 3D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영유아의 호기심 및 탐구심 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 및 바닥 매트를 통하여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Floor mats with augmented reality marker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that include it}
본 발명은 3D 콘텐츠의 증강현실 구동을 위한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와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말하며, 이와 같은 증강현실(AR)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의 콘텐츠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이처럼,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시관의 전시물 설명 제공, 교육용 콘텐츠 제공, 각종 정보 제공, 사물에 관한 정보 제공 등 현실세계의 대상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있다.
관련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12-0147219호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인쇄서적에 표시된 기하마커(Geometric Marker)를 인식하여 3D 콘텐츠를 재생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서적의 기하마커 정보 및 방향제어 큐브의 기하마커 정보를 선택적 또는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프로파일 DB를 통해 인쇄서적의 기하마커 정보와 대응되는 3D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3D 콘텐츠 검색부, 상기 검색된 3D 콘텐츠를 렌더링(Rendering)하여 연속적으로 재생하고, 상기 렌더링되는 3D 콘텐츠의 재생시간에 대응하여 자막, 음원 및 영상을 재생하는 3D 콘텐츠 재생부, 및 인쇄서적의 기하마커 정보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3D 콘텐츠의 방향, 각도, 이동, 및 움직임을 큐브의 기하마커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콘텐츠 각도 결정부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증강현실 상에서 방향제어 큐브를 회전시켜 3D 콘텐츠의 방향, 각도, 이동,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보조화면을 통해 상기 3D 콘텐츠의 재생시간에 대응하여 각 페이지 별로 해당 내용, 음원, 및 영상을 감상할 수 있으므로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대상인 바닥 매트는 일명 '놀이방 매트' 또는 '쿠션 매트'라 일컫는 것으로 영유아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상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의 경우 거의 모든 집에서 거실이나 방에 바닥 매트를 깔고 생활하고 있다. 이처럼 영유아는 항상 바닥 매트 위에서 생활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는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지거나 조립을 통해 확장을 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영유아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인쇄하거나, 영유아들에게 장시간 노출됨으로 인해 교육용으로 숫자, 한글, 알파벳 등이 인쇄된다.
그러나, 종래 바닥 매트는 단순 매트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영유아들의 생활 공간을 제공하는 점에서 상당한 시간 영유아들에게 노출되지만 영유아들의 관심을 끄는데 한계가 있고 영유아들의 호기심 유발과 교육 차원에 따른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11-0088359호 '하우스로 변형 가능한 매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바닥에 전개하여 유아 및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닥용 안전매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회동시켜 하우스의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놀이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하우스로 변형 가능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바닥 매트에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바닥 매트를 통해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3D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바닥 매트와 이를 포함하여 영유아에게 다양한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닥 매트를 통해 교육용 3D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영유아의 호기심 및 탐구심 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놀이가 가능한 바닥 매트와 이를 통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매트 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인쇄되는 증강현실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강현실 마커는 소정의 이미지로 하고, 상기 인쇄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미지는 캐릭터 이미지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는 바닥 매트의 사용자 특정을 위한 사용자 식별용 사용자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은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상기 바닥 매트에 인쇄된 증강현실 마커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3D 콘텐츠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증강현실 마커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3D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 매트의 증강현실 마커는 소정의 이미지로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3D 콘텐츠 서버는 상기 특징점에 따른 3D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강현실 마커의 이미지는 캐릭터 이미지인 것;으로 하고, 상기 3D 콘텐츠 서버는 상기 캐릭터의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 매트는 사용자 식별용 사용자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3D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코드에 따라 특정된 사용자 전용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바닥 매트에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바닥 매트를 통해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3D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 매트를 통해 교육용 3D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영유아의 호기심 및 탐구심 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 매트를 통하여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에 따른 매트 본체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에 따른 증강현실 마커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의 구동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는 도 1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1)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매트 본체(10)와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인쇄되는 증강현실 마커(2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 본체(10)는 통상의 바닥 매트를 제조하는 재료와 공법으로 생산된 것으로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금형 내에서 발포시켜 생산된다.
이와 같은 매트 본체(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가로는 200cm ~ 300cm, 세로는 150cm ~ 240cm까지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된다.
또는 매트 본체(10)는 도 2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에 따른 매트 본체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 본체(10)는 분할이 되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상호 체결되어 조립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매트 본체(10)의 경우 조립을 통해 그 넓이가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각 매트 본체(10) 마다 증강현실 마커(20)가 인쇄된다.
상기 증강현실 마커(20)는 통상의 증강현실 시스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2차원 마커로 구역 내의 막대형태, 구역 내의 도트 형태, 구역 내의 도형 형태 등 정보화가 가능한 형태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마커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강현실 마커(20)는 도 3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에 따른 증강현실 마커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 본체(10)에 인쇄되는 증강현실 마커(20)를 숫자, 알파벳, 사물 이미지, 동물 이미지, 캐릭터 이미지와 같은 소정의 이미지로 하고, 상기 인쇄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된 특징점을 정보화하여 증강현실 마커(20)로 이용하는 것으로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정보화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점과 비교 데이터의 특징점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보를 찾고, 이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고, 필요한 경우 추출된 특징점을 통해 방향과 기울기를 판단하여 3D 콘텐츠의 방향과 기울기를 결정하여 구동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미지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1)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매트(1)의 사용자 특정을 위한 사용자 식별용 사용자 코드(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식별용 사용자 코드(30)는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3D 콘텐츠 제공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 코드(30)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3D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 마커(20)가 동일한 바닥 매트(1)라도 사용자 코드(30)에 따라 서로 다른 3D 콘텐츠를 구동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1)는 바닥 매트의 매트 본체(10)에 증강현실 마커(20)가 인쇄되어 있어 바닥 매트(1) 위에서 생활을 하는 영유아들에게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3D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D 콘텐츠는 동요 내지 동화와 같은 영유야의 정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또는 교육용 콘텐츠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바닥 매트(1)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2)은 도 4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매트(1), 스마트 단말기(40), 3D 콘텐츠 서버(50) 및 무선 통신망(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 매트(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마커(20)가 인쇄된 바닥 매트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40)는 스마트 단말기용 OS가 설치된 장치로 상기 바닥 매트(1)에 인쇄된 증강현실 마커(20)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3D 콘텐츠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상기 3D 콘텐츠 서버(5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40)와 무선 통신망(60)을 통해 통신하고,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해 제공된 증강현실 마커(20)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40)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2)은 바닥 매트(1) 위에서 생활하는 영유아는 상기 바닥 매트(1)에 인쇄된 증강현실 마커(20)를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40)로 촬영함으로써 상기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3D 콘텐츠 서버(50)로부터 3D 콘텐츠를 제공받아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 매트(1)의 증강현실 마커(20)는 소정의 이미지로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3D 콘텐츠 서버(50)는 상기 특징점에 따른 3D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4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증강현실 마커(20)를 한글, 숫자, 알파벳과 같은 문자나 기호로 하거나, 주변의 다양한 사물의 이미지, 동물의 이미지, 캐릭터 이미지와 같은 소정의 이미지를 바닥 매트(1)에 인쇄하고, 인쇄된 이미지의 특징점을 정보화하여 증강현실 마커(20)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도 5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의 구동 예를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매트(1)에 증강현실 마커인 코끼리 이미지(20-1)를 인쇄하고, 스마트 단말기(40)로 상기 코끼리 이미지(20-1)를 촬영하면, 코끼리 이미지에서 출추한 특징점값에 해당하는 3D 콘텐츠를 3D 콘텐츠 서버(50)에서 검색하여 특징점값에 따라 매칭된 3D 콘텐츠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40)로 제공하고, 상기 3D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은 스마트 단말기(4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3D 콘텐츠를 출력한다.
따라서, 코끼리 이미지와 코끼리 3D 영상이 매칭되어 있다면,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해 코끼리 3D 콘텐츠(40-1)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이미지 형태의 증강현실 마커(20)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으나, 영유아들에게 친숙한 캐릭터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2)은 바닥 매트(1)를 특정하여 바닥 매트(1) 별로 서로 다른 3D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 매트는 사용자 식별용 사용자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3D 콘텐츠 서버(50)는 상기 사용자 코드에 따라 특정된 사용자 전용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끼리 3D 콘텐츠가 코끼리에 대한 음성 설명이 포함되는 경우, 바닥 매트(1)의 코끼리 이미지(20-1)가 동일하더라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어떤 바닥 매트(1)에서는 한국어로 음성이 출력되고, 다른 바닥 매트(1)에서는 영어로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코드로 바닥 매트(1)를 구분함으로써 바닥 매트(1)에 포함된 증강현실 마커(20)에 따른 3D 콘텐츠를 특정된 바닥 매트(1) 별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코드는 바닥 매트(1)에 인쇄된 문자 및 숫자를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해 입력하여 3D 콘텐츠 서버(50)에 등록을 하거나, 바코드 내지 QR코드와 같은 이미지로 형성된 사용자 코드를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3D 콘텐츠 서버(50)에 등록하여 바닥 매트(1)를 특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1)는 도 6 본 발명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단으로 이루어져 접힐 수 있는 형태로 하고 일면에 증강현실 마커(20)를 이미지로 인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1)의 예는 매트 본체를 4단으로 하여 접저나 도 6(b)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증강현실 마커(20)를 동물 이미지로 한 것으로, 바닥 매트(1)를 이용하는 유아는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해 증강현실 마커(20)를 촬영함으로써 촬영된 증강현실 마커(20)의 데이터 값에 따른 3D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1)를 이용하는 유아는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해 동물 이미지에 따른 각종 언어로 된 단어, 동물을 소개하는 콘텐츠 또는 동물 이미지와 관련된 노래 내지 동화 등 유아의 흥미 유발 내지 교육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바닥 매트
2 : 증강현실 시스템
10 : 매트 본체
20 : 증강현실 마커
30 : 사용자 코드
40 : 스마트 단말기
50 : 3D 콘텐츠 서버
60 : 무선 통신망

Claims (8)

  1.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매트 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인쇄되는 증강현실 마커;
    를 포함하되,
    바닥 매트의 사용자 특정을 위한 사용자 식별용 사용자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상기 바닥 매트에 인쇄된 증강현실 마커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3D 콘텐츠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증강현실 마커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3D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 매트는 사용자 식별용 사용자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3D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코드에 따라 특정된 사용자 전용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35306A 2015-03-13 2015-03-13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KR10152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306A KR101522834B1 (ko) 2015-03-13 2015-03-13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PCT/KR2016/002510 WO2016148461A2 (ko) 2015-03-13 2016-03-14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306A KR101522834B1 (ko) 2015-03-13 2015-03-13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834B1 true KR101522834B1 (ko) 2015-05-27

Family

ID=5339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306A KR101522834B1 (ko) 2015-03-13 2015-03-13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2834B1 (ko)
WO (1) WO2016148461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94B1 (ko) * 2015-11-02 2016-06-13 함덕표 매트용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07038910A (zh) * 2016-02-04 2017-08-11 咸大根 垫子用语言学习系统及方法
KR101952783B1 (ko) * 2017-10-19 2019-05-23 (주)에드토이 Qr코드가 인쇄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놀이 시스템
CN112955930A (zh) * 2018-10-30 2021-06-11 Alt有限责任公司 用于对移动对象进行反向光学跟踪的系统和方法
CN113163959A (zh) * 2018-12-03 2021-07-23 株式会社普利司通 填充体制造方法、乘员座缓冲构件制造方法以及填充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8367A (zh) * 2018-03-26 2018-06-15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多功能防滑防盗感应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041A (ja) * 2006-05-29 2007-12-06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対応オフィスデスク及びシステム
KR20110013831A (ko) * 2009-08-03 2011-02-10 김상국 컨텐츠 제공 매체 및 그 제공방법
KR101246919B1 (ko) * 2010-08-17 2013-03-28 주식회사 매직에듀 오아이디 코드가 인쇄된 매트를 매개로 한 음성출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6581A (ko) * 2013-05-20 2014-12-01 권민서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101B1 (ko) * 2012-10-22 2014-07-01 이형곤 사방치기 놀이용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041A (ja) * 2006-05-29 2007-12-06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対応オフィスデスク及びシステム
KR20110013831A (ko) * 2009-08-03 2011-02-10 김상국 컨텐츠 제공 매체 및 그 제공방법
KR101246919B1 (ko) * 2010-08-17 2013-03-28 주식회사 매직에듀 오아이디 코드가 인쇄된 매트를 매개로 한 음성출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6581A (ko) * 2013-05-20 2014-12-01 권민서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94B1 (ko) * 2015-11-02 2016-06-13 함덕표 매트용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07038910A (zh) * 2016-02-04 2017-08-11 咸大根 垫子用语言学习系统及方法
KR101952783B1 (ko) * 2017-10-19 2019-05-23 (주)에드토이 Qr코드가 인쇄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놀이 시스템
CN112955930A (zh) * 2018-10-30 2021-06-11 Alt有限责任公司 用于对移动对象进行反向光学跟踪的系统和方法
CN113163959A (zh) * 2018-12-03 2021-07-23 株式会社普利司通 填充体制造方法、乘员座缓冲构件制造方法以及填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8461A2 (ko) 2016-09-22
WO2016148461A3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834B1 (ko)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US20220105440A1 (en) Toy construction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Craig Understanding augmented reality: Concepts and applications
CN103702726B (zh) 玩具搭建系统、产生构建指令的方法和数据处理系统
ES2364956T3 (es) Dispositivos interactivos manipulables.
KR101692335B1 (ko)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KR101998852B1 (ko)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US20170213475A1 (en) Interactive Phonics Game System and Method
US20170136380A1 (en) Smart Toys
CN104461318A (zh) 基于增强现实技术的点读方法及系统
US20150118670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US10628982B2 (en)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US20180290068A1 (en) Manipulable blocks that transmit commands to objects or animations based on the positioning of the manipulable blocks
CN106776449A (zh) 一种植物科普电子书阅读展示方法及装置
US20130300061A1 (en) Three dimensional puzzle with interactive features
US20220045597A1 (en) Interactive illustration system, interactive anim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JP5848486B1 (ja) お絵かき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940499B1 (ko)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KR101502270B1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253911A1 (en) Playground system
Al-Ali et al. MyVision AIR: An augmented interactive reality book mobile application
CN113282179A (zh) 一种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84178B1 (ko) 클라우드 기반 영유아 스팀 교육을 위한 토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Zhao et al. Exploring location-based AR narrative design for historic site
Stefanut et al.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 using Sphero SPRK+ in an Augmented Reality scenar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