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303B1 -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303B1
KR101522303B1 KR1020140006684A KR20140006684A KR101522303B1 KR 101522303 B1 KR101522303 B1 KR 101522303B1 KR 1020140006684 A KR1020140006684 A KR 1020140006684A KR 20140006684 A KR20140006684 A KR 20140006684A KR 101522303 B1 KR101522303 B1 KR 10152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neutral
state
moved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4000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사이의 작동시 이상현상에 의해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치를 정상화시키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에 적용된 모티스의 구동부가 강제 회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모티스의 이상발생시 이상 신호를 접수하는 이상 신호 접수단계; 상기 모티스의 데드볼트의 위치와 상기 중립구간을 확인하는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 및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변위에 따른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상기 중립구간을 이동시키는 중립구간 재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METHOD FOR OPERATION OF MIDDLE SECTION IN MORTISE FOR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작동시 이상현상에 의해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치를 정상화시키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다양한 행태로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모티스에는 데드볼트를 수동 조작할 때 구동모터가 강제로 구동(즉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모터의 강제회전)됨으로써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립구간을 갖는 모티스 장치(일 예로서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0029697호; 고안의 명칭: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의 모티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개발은 현재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즉,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모터 손상을 방지를 위해서는 열림 상태나 닫힘 상태로 모티스가 설정되는 경우 적절한 위치에 중립구간(무부하 구간)이 위치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데드볼트의 열림 상태로의 이동이나 닫힘 상태로의 이동의 경우, 이상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여기서 이상현상은 예를 들어 저전압 구동시 밧데리 리셋 현상이나, 강제적인 외력에 의한 모터작동 중단, 데드볼트 걸림에 있어서 모터 타임아웃에 의한 현상이나 또는 전원 단락에 의한 리셋 현상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현상에 의해 구동모터 동작 중 데드볼트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면, 구동모터의 구동이 멈춰 리셋이 발생하여 외부의 인증 없이는 내부에서 도어락을 해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중립구간을 갖는 모티스는 이상현상에 의해 중립구간이나 열림/닫힘 상태로 이동중 작동레버의 동작이 멈춘 경우에는 작동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티스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작동 기구의 이동시 이상현상으로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상태로 되돌려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푸쉬-풀 도어락에 적용된 모티스의 구동부가 강제 회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모티스의 이상발생시 이상 신호를 접수하는 이상 신호 접수단계; 상기 모티스의 데드볼트의 위치와 상기 중립구간을 확인하는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 및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변위에 따른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상기 중립구간을 이동시키는 중립구간 재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해정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 또는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변위에 따른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를 재설정하여 수동으로 상기 데드볼트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해정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데드볼트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가 정상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도어락의 외부로 에러신호를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데드볼트의 상태와, 상기 중립구간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락에 최종입력된 작동명령 데이터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이 재설정된 이후, 상기 중립구간을 재차로 확인하여 정상위치가 아닌 경우에 다시 에러신호를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상신호는 전원 리셋에 대한 이상신호이며,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재설정시,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상신호는 상기 데드볼트 걸림에 의한 타임아웃에 대한 이상신호이며,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재설정 없이, 모터에 연결된 기어만 중립구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티스의 구동시 문틀이나 다른 작용에 의해 작동 도중에 데드볼트가 걸린상태(jamming)를 이룬 경우, 중립구간을 자동으로 재설정하여 작은 힘으로도 푸쉬풀 핸들을 용이하게 밀어서 걸림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시키거나, 모터의 구동력으로 데드볼트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 재차 중립구간을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하에서 모티스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립구간 설정기능이 있는 모티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중립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중립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의 단계별 순서를 나타내는 작동 순서도, 및
도 4는 중립구간 설정기능이 있는 모티스를 나타내는 다른 형태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중립구간을 갖는 모티스(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38623호; 출원인: 주식회사 아이레보)를 대상으로,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도어를 실내에서 수동조작하여 개방하고자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데드볼트(3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데드볼트 수동조작수단, 예를 들면, 패닉(Panic) 기능이 있는 내측 핸들(150)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되는 데드볼트(30)와 래치볼트(34)의 각각은, 잠김 위치(A1)에서 해정위치(A2)로, 걸림 위치(B1)에서 해방위치(B2)로 각각 운동하면서 도어 프레임(D1)으로부터 해정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사용자는 도어(D)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데드볼트(30)가 잠김위치(A1)에서 해정위치(A2)로 운동하면, 이와 연동되는 작동레버(36)도 제1 회전위치(C1)와 제2 회전위치(C2) 사이에서 회전 운동하는데, 이때, 작동레버(36)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베벨기어(37)는 항상 중립위치(E0)에서 대기하고, 작동레버(36)가 제1 회전위치(C1)에서 제2 회전위치(C2)로 회전하여도 제1 가압부(37a)와 제2 가압부(37b) 사이의 공간에 의해 베벨기어(37)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이 상태를 본 발명에서는 '중립구간'이라고 통칭한다).
따라서, 베벨기어(37)와 연결되는 구동모터(38a)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강제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38a)의 강제적인 구동에 따른 구동모터(38a)의 손상과 수명 단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중립위치검출수단(41)은 베벨기어(37)가 제1 회전위치 또는 제2 회전위치에서 중립위치(E0)로 회전할 때 중립위치(E0)에서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중립위치검출수단(41)은, 베벨기어(37)에 인접하여 축(42)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체(43)를 구비한다. 이 회전체(43)에는 일측에 걸림돌기(43a)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43a)의 반대쪽에 센싱편(43d)이 형성되어 있다. 베벨기어(37)에는 회전체(43)의 걸림돌기(43a)가 삽입가능한 걸림홈(3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립위치검출수단(41)은, 회전체(43)와 인접하여 위치검출센서(4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위치검출센서(44)는 걸림돌기(43a)가 걸림홈(37c)에 삽입될 때 센싱편(43d)이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베벨기어(37)의 걸림홈(37c)은 베벨기어(37)가 중립위치(E0)에 있을 때, 회전체(43)의 걸림돌기(43a)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중립위치검출수단(41)은, 베벨기어(37)가 제1 회전위치 또는 제2 회전위치에서 중립위치(E0)로 회전하게 되면, 베벨기어(37)의 걸림홈(37c)에 회전체(43)의 걸림돌기(43a)가 삽입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43)의 센싱편(43d)이 위치검출센서(44)에 위치하게 되므로, 위치검출센서(44)는 컨트롤러에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38a)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베벨기어(37)가 중립위치(E0)에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중립구간(클러치 타입)을 갖는 모티스 이외에, 도 4와 같은 형태의 중립구간(클러치 구조)을 갖는 모티스(100)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b의 구성을 갖는 모티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티스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의 데드볼트(30)가 문틀에 걸려 정상적인 위치(닫힘/열림 위치)를 설정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특히 사용자가 푸쉬풀 핸들을 밀어서 도어락의 개방이 가능한 푸쉬 풀 도어락에서 큰 문제가 발생된다. 즉 개방방향과 사용자가 힘을 전달하는 방향이 동일하므로 데드볼트(30)의 걸림 현상이 증가 된다.
우선, 도어락 작동 중, 본 발명은 모티스의 작동 이상발생시 별도의 강제 작동 버튼(또는 종래의 메뉴버튼에 중복으로 다기능 버튼을 설정할 수 있음)을 입력하는 것으로 모티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에 따라 작동레버(36)의 구동과 제1 가압부(37a)와 제2 가압부(37b)의 위치를 베벨기어(37)를 이동시켜 중립구간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도어락 작동 중에 데드볼트(30)가 문틀이나 이동중에 작동이 멈춘 경우와 같이, 모티스의 이상이 발생되면, 도어락 내부의 제어부에 이상 신호가 접수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락의 내/외측 본체에 이상발생 버튼(미도시)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를 누르는 것으로 이상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다(S 10).
이때 이상신호로는 전원부의 교체에 따른 전원 리셋에 대한 이상신호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데드볼트(30)의 위치에 관계없이 데드볼트(30)를 잠금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안성능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이상신호로는 데드볼트(30) 걸림에 의한 타임아웃에 대한 이상신호일 수 있으며, 이때는 데드볼트(30)의 재설정 없이 중립상태 재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 1과 같이 제1 감지센서(122a)와 제2 감지센서(122b)를 통해 데드볼트(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중립위치 검출수단(41)을 통해 베벨기어(37)의 중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 20).
이러한 모티스 상태 확인 단계에서, 데드볼트(30)의 잠금/해정시 걸림 상태에 따라 데드볼트(30)를 구동시키는 작동레버(36)를 일정방향으로 강제 선회시키는 데드볼트 위치 재설정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S 30).
구체적으로, 상기한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S 20)에서 데드볼트(30)의 위치가 해정 상태(도 1에서 'A2'의 위치)로 이동되는 도중에 걸린 경우에는 데드볼트(30)를 잠금 방향(즉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 상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대로 데드볼트(30)의 걸림 위치가 잠금 상태(도 1에서 'A1'의 위치)로 이동되는 도중일 경우에는, 데드볼트(30)를 열림 방향(즉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데드볼트(30)의 걸림 상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예로서 데드볼트(3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지 않고,(즉 데드볼트가 멈춤 상태로 그대로 유지되고) 단지 모터에 연결된 베벨 기어(37)만 중립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중립구간 재설정에 따른 수동 해제 모드).
이에 따라, 베벨 기어(37)가 중립구간으로 자동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가 푸쉬풀 핸들을 비교적 적은 힘으로 눌러서 데드볼트(30)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데드볼트(30)를 자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걸림 위치를 해제하는 것 이외에 중립구간을 적정위치로 자동으로 재설정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푸쉬 풀 핸들을 작동할 수 있다(즉 수동으로 걸림의 상태 해제가 가능).
한편,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S 20)에서, 데드볼트(30)의 상태와, 중립구간(중립위치; EO)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락의 제어부에 최종입력된 작동명령 데이터에 따라 데드볼트(3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S 30).
예를 들어, 도어락에 최종입력된 작동명령 데이터가 열림 작동인 경우에는 데드볼트(30)가 열림 작동 도중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데드볼트(30)를 닫힘 상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최종입력된 작동명령 데이터가 닫힘 작동인 경우에는 데드불트(30)가 닫힘 작동 도중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데드볼트(30)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위치가 파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데드볼트(30)의 걸림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드볼트(30)를 자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걸림 위치 해제하는 것 이외에, 베벨기어(37)를 작동하여 중립구간을 재설정하는 것으로 적은 힘으로도 푸쉬풀 핸들을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에 중립구간의 미설정으로 인한 모터 및 구동 요소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데드볼트 위치 재설정단계(S 30)가 완료되면, 베벨기어(37)를 통해 데드볼트(3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중립상태를 재설정(베벨기어; 37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벨기어(37)의 중립구간으로 이동 후에, 중립위치검출수단(41; 예를 들어 포토센서나 자기센서 등으로 중립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음)을 통해 중립상태(도 2b의 'EO'로 표시)를 재확인할 수 있다(S 40).
이때, 중립확인 결과로서, 중립구간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락의 외부로 에러신호를 송출함으로써 기기적인 결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심각한 기기적 결함을 확인함으로써, 수리공에게 고장수리를 의뢰할 수 있다. 반대로, 중립확인 결과 양호한 중립위치에 베벨기어(37)가 위치된 경우에는 도어락의 초기 구동시스템으로 전환되어 정상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티스의 구동시 문틀이나 다른 작용에 의해 작동 도중에 데드볼트(30)가 걸린상태(jamming)를 이룬 경우, 중립구간을 자동으로 재설정하여 작은 힘으로도 푸쉬풀 핸들을 용이하게 밀어서 걸림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시키거나, 모터의 구동력으로 데드볼트(30)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 재차 중립구간을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하에서 모티스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30: 데드볼트 36: 작동레버
37: 베벨기어 41: 중립위치검출수단
42: 축 43: 회전체
43d: 센싱편 44: 위치검출수단
43a: 걸림돌기 37c: 걸림홈
100: 모티스

Claims (7)

  1. 푸쉬-풀 도어락에 적용된 모티스의 구동부가 강제 회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립구간이 구비된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모티스의 이상발생시 이상 신호를 접수하는 이상 신호 접수단계;
    상기 모티스의 데드볼트의 위치와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를 확인하는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 및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변위에 따른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상기 중립구간을 이동시키는 중립구간 재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신호가 전원 리셋에 대한 이상신호이면,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재설정시,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상신호가 상기 데드볼트 걸림에 의한 타임아웃에 대한 이상신호이면,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재설정 없이, 모터에 연결된 기어만 중립구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해정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 또는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를 재설정하여 수동으로 상기 데드볼트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해정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가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도중에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데드볼트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데드볼트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중립구간의 위치가 정상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도어락의 외부로 에러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 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데드볼트의 상태와, 상기 중립구간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락에 최종입력된 작동명령 데이터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40006684A 2014-01-20 2014-01-20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KR10152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84A KR101522303B1 (ko) 2014-01-20 2014-01-20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84A KR101522303B1 (ko) 2014-01-20 2014-01-20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303B1 true KR101522303B1 (ko) 2015-05-21

Family

ID=5339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84A KR101522303B1 (ko) 2014-01-20 2014-01-20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053B1 (ko) * 2017-12-20 2018-04-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48B1 (ko) * 2005-06-03 2006-11-23 주식회사 아이레보 자가 진단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도어록 연동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8623Y1 (ko) * 2006-11-15 2008-02-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KR100855240B1 (ko) * 2008-04-25 2008-08-29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디지털 모티스 록
KR100919289B1 (ko) *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48B1 (ko) * 2005-06-03 2006-11-23 주식회사 아이레보 자가 진단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도어록 연동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8623Y1 (ko) * 2006-11-15 2008-02-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KR100919289B1 (ko) *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KR100855240B1 (ko) * 2008-04-25 2008-08-29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디지털 모티스 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053B1 (ko) * 2017-12-20 2018-04-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273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JP5524781B2 (ja) ドアクローザ装置
US10487543B2 (en) Locking device with anti-jam mechanism
KR101522303B1 (ko) 푸쉬-풀 도어락용 모티스의 중립구간 작동방법
WO2019210356A1 (en) Lock system for sensing or detecting a door state and associated method
KR200438623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CN110644858B (zh) 锁具及其控制方法
JP4891495B2 (ja) 開閉器用操作器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4673661B2 (ja) 安全スイッチ
CN112888830B (zh) 具有第一锁定机构和第二锁定机构的摆动手柄布置
JP2008255650A (ja) クレセントセンサーユニット
KR200442949Y1 (ko)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101308494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2318848B1 (ko) 도어락의 클러치 모듈조립체
KR102339901B1 (ko) 데드볼트식 도어락
JP5511413B2 (ja) キャビネットハンドル用ロック機構
KR20190041244A (ko)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JP4716685B2 (ja) 機器の操作器
KR200392919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 잠금장치
KR100788320B1 (ko) 원터치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200444841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2547431B1 (ko)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KR101308493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