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819B1 -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 Google Patents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819B1
KR101521819B1 KR1020130153362A KR20130153362A KR101521819B1 KR 101521819 B1 KR101521819 B1 KR 101521819B1 KR 1020130153362 A KR1020130153362 A KR 1020130153362A KR 20130153362 A KR20130153362 A KR 20130153362A KR 101521819 B1 KR101521819 B1 KR 10152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length
cable
roll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김동호
김정민
박희환
서재원
정동현
박주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설되는 케이블(1)을 안내하는 로프형 롤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을 지지하도록 로프(10)상에 복수의 롤러(22)를 지니는 롤링부(20); 상기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양단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30); 및 상기 길이조절부(30)를 압착하여 로프(10)의 길이 변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조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양공사 현장, 해양관련 구조물등 곡부가 많거나 인력에 의해서만 작업이 가능할 경우 설치와 분리가 신속하고,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무게가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하기 용이하고, 제작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Rope length adjustable roller}
본 발명은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형 선박 및 해양 공사현장에서 전선의 포설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선박 및 해양공사 현장, 해양관련 구조물 등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케이블 포설 작업이다. 이러한 케이블 포설작업은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환경이 열악하여 인력으로 하기 힘든 작업중 하나이다. 그리하여 적어도 일정구간에 있어서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공간에 곡부가 많거나 순차적인 케이블 포설 작업이 필요한 경우 통상적 장치로는 한계가 있고, 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효율이 적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케이블과 전선 및 호스등 선의 포설이 필요한 작업 시 협소한 작업공간과 곡부가 많은 작업장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1-003449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668호 등이 알려져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축 결합되며 와이어 로프와 면접하는 부시를 내장 설치한 수개의 마찰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롤러는 단면으로 볼 때 양측이 축 중심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마찰롤러의 경사면과 아치형으로 접지되게 하고, 부시의 양단부에 깔때기 형상의 경사안내부를 형성하여 모서리와 와이어로프가 면접되지 않게 한 것이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중성선, 가공지선, 고압선, 저압선, 통신케이블 등이 가선되는 곡선구간에 설치되어 전선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며, 가선방향으로 통과된 전선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역회전 방지용 일방향 회전롤러 사이에서 잡아주어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된 곡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에 관한 것이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1-0034493 "호스 이동 장치"(공개 일자 : 2011. 4. 5.)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668호 "곡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공개 일자 : 2012. 3. 29.)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설치는 수월하나 길이의 조절이 불가능 하여 용도에 따라 전선 포설에 이격거리가 필요할 시 재설치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아니라 복수의 마찰롤러 사이에 마찰을 줄여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마모가 심해질 경우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곡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는 전선 포설 작업 특성상 높은 하중을 견뎌야 하며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요구됨에 따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다량 구비된 장치는 내구성이 약하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가 가볍고 설치나 분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하고, 전선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길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재설치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경비를 절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설되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로프형 롤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로프상에 복수의 롤러를 지니는 롤링부; 상기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양단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를 압착하여 로프의 길이 변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링부재는 복수의 롤러의 사이에 이웃하여 마찰을 줄이고 동시 회동 되도록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로프를 'U'자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 되도록 몸체의 양 측면에 압착편과 조임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편은 로프의 긴밀한 지지를 위해 내부면에 패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의 양 끝단에 구비되어 임의적 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공사 현장이나 해양관련 구조물 의 케이블 트레이에서 곡부가 많은 부분에 설치할 경우 무게가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하기 용이하고, 제작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와 분리가 신속하고,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의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포설되는 케이블(1)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로프형 롤러에 관하여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용 롤러는 케이블 트레이에 수평, 수직, 곡선의 경로 상으로 배치되어 포설되는 전선을 지지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1)을 지지하도록 로프(10) 상에 복수의 롤러(22)를 지니는 롤링부(20)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롤러(22)는 다심 구조의 피복된 선박용 전선을 지지하도록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우레탄 수지 또는 동등 이상의 물성을 지닌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복수의 롤러(22)를 지니는 로프(10)는 끊어짐이나 롤러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강도 와이어 로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롤러(22)의 단면 형태는 균일한 원통형 보다는 양단에 일정각도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로프(10)와 롤링부(20)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롤링부(20)의 롤러(22)는 마모나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시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롤링부(20)는 복수의 롤러(22) 사이에 이웃하여 마찰을 줄이고 동시 회동 되도록 베어링(24)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24)은 통상적인 스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하며, 케이블(1) 포설작업 시에 롤러(22)와 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긴밀하게 접촉시킨다.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1)이 롤러(22)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베어링(24)의 폭은 최소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양단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30)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케이블(1)의 종류, 작업장의 환경, 작업 진행상태 등에 따라 지지하는 위치가 달라질 경우, 길이조절부(30)에 의해 로프(10)의 길이를 작업자의 원하는 길이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주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서 부연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길이조절부(30)는 로프(10)를 'U'자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몸체(31)의 양 측면에 압착편(33)과 조임편(3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기 길이조절부(30)는 케이블(1)을 지지하고 회동하는 롤링부(20)의 하중을 견딜수 있는 금속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길이조절부(30)의 몸체(31), 압착편(33), 조임편(35)은 일체의 구조로 형성한다. 압착편(33)은 로프(10)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31)의 양 측면에 원호 형태로 구비된다. 조임편(35)은 압착편(33)을 지나는 로프(10)를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조임수단(40)을 구비하여 가압력을 작용한다.
이와 같은 길이조절부(30)를 사용하면 상기 로프(10)가 'U'자 형상을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일정 위치에 결합되고 위치의 변동도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부(30)를 압착하여 로프(10)의 길이 변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조임수단(40)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기 조임수단(40)은 통상적인 스크류 또는 나사 등 조임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조임수단(40)을 결합하기 위한 홈을 조임편(35)에 형성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조임수단(4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압착편(33)은 로프(10)의 긴밀한 지지를 위해 내부면에 패킹(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패킹(50)은 로프(10)와 접하는 부분에 내마모성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끄럼이나 헐거움으로 인한 로프(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로프(10)의 양 끝단에 구비되어 임의적 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6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60)은 작업자의 부주의나 조임편(35)의 헐거움으로 인해 일측의 로프(10)가 길이조절부(30)를 이탈시 롤링부(20)에 의한 케이블의 지지력이 상실되므로 로프(10)의 양 끝단에 고리 형태로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의 곡부에서 외측의 사이드 레일에 로프형 롤러를 고정하고, 최초의 케이블이 로프형 롤러를 통과하여 포설된 직후에 길이조절부(30)의 조임수단(40)을 풀고, 로프(10)의 길이를 적절하게 축소한 상태에서 두번째 케이블을 포설하며, 같은 방식으로 길이조절부(30)의 조임수단(40)을 풀고 조이면서 로프(10)의 길이를 축소한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조임수단(40)을 풀고 로프형 롤러를 전체적으로 분리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번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케이블 10: 로프
20: 롤링부 22: 롤러
24: 베어링 30: 길이조절부
31: 몸체 33: 압착편
35: 조임편 40: 조임수단
50: 패킹 60: 고정수단

Claims (5)

  1. 포설되는 케이블(1)을 안내하는 로프형 롤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을 지지하도록 로프(10)상에 복수의 롤러(22)를 지니는 롤링부(20);
    상기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양단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30); 및
    상기 길이조절부(30)를 압착하여 로프(10)의 길이 변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조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부(30)는 로프(10)를 'U'자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몸체(31)의 양 측면에 압착편(33)과 조임편(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재(20)는 복수의 롤러(22)의 사이에 이웃하여 마찰을 줄이고 동시 회동 되도록 베어링(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편(33)은 로프(10)의 긴밀한 지지를 위해 내부면에 패킹(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0)의 양 끝단에 구비되어 임의적 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KR1020130153362A 2013-12-10 2013-12-10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KR10152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62A KR101521819B1 (ko) 2013-12-10 2013-12-10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62A KR101521819B1 (ko) 2013-12-10 2013-12-10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819B1 true KR101521819B1 (ko) 2015-05-20

Family

ID=5339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362A KR101521819B1 (ko) 2013-12-10 2013-12-10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06B1 (ko) 2019-03-05 2019-09-27 주식회사 강건 와이어 이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914U (ja) * 1991-09-11 1993-04-02 西日本システム建設株式会社 ケーブル架設用移動金車
JP2001295115A (ja) * 2000-04-06 2001-10-26 Morito Co Ltd 絞り紐用止め具の脱落防止構造
KR20110034493A (ko) * 2009-09-28 2011-04-05 문성봉 호스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914U (ja) * 1991-09-11 1993-04-02 西日本システム建設株式会社 ケーブル架設用移動金車
JP2001295115A (ja) * 2000-04-06 2001-10-26 Morito Co Ltd 絞り紐用止め具の脱落防止構造
KR20110034493A (ko) * 2009-09-28 2011-04-05 문성봉 호스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06B1 (ko) 2019-03-05 2019-09-27 주식회사 강건 와이어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7457B2 (ja) 供給ライン用の案内システムおよび案内システムを有するロボット
EP1770051A3 (de) Seilführung einer Seilwinde, insbesondere einer Seilhubwinde
KR101521819B1 (ko) 길이조절 로프형 롤러
CN102336375A (zh) 一种导绳器及使用这种导绳器的电动葫芦
KR1015239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롤러장치
KR20130003976U (ko) 유틸리티 라인 설치용 지그
KR101664802B1 (ko) 세선 그리퍼를 이용한 전선포설장치
KR20100070518A (ko) 케이블 트레이
KR101009032B1 (ko)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KR20140001501U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20170067913A (ko) 슬라이딩 도교
CN203373051U (zh) 防止卷扬机钢丝绳脱槽的装置
US9453589B2 (en) Tensioner for the controlled clamping and moving of an elongated body, in particular for an installation for laying pipelines, umbilicals or cables
KR101538931B1 (ko)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
KR102026106B1 (ko) 와이어 이송장치
KR20110034493A (ko) 호스 이동장치
CN203477183U (zh) 用于保护悬挂工作绳的装置
CN205802716U (zh) 可移动式轿顶轮
CN205820210U (zh) 一种传输带驱动式旋转轮装置
KR20130059688A (ko) 케이블용 트레이
KR200478594Y1 (ko) 전선 포설용 그리퍼
CN103387182A (zh) 悬挂工作绳保护装置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CN208485370U (zh) 一种可调张力衬布拉紧装置
JP6295188B2 (ja) 電線被覆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