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533B1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533B1
KR101521533B1 KR1020120077925A KR20120077925A KR101521533B1 KR 101521533 B1 KR101521533 B1 KR 101521533B1 KR 1020120077925 A KR1020120077925 A KR 1020120077925A KR 20120077925 A KR20120077925 A KR 20120077925A KR 101521533 B1 KR101521533 B1 KR 10152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nection
unit
terminal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139A (ko
Inventor
문준영
하재근
이영기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5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5Ultra-wideband [UWB] systems, e.g. multiple resonance systems; Puls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안테나바디부와, 상기 안테나바디부의 제 1면에 형성되는 급전부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단자부와, 상기 급전부의 일단과 상기 단자부 일단의 직선거리보다 길이가 크도록 상기 급전부와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초광대역 파장을 송수신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WB(Ultra wideband) 안테나 어셈블리 초광대역 파장을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로써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WB 안테나 어셈블리는 개인통신용 안테나나 무선 영상 송수신 단말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UWB 안테나 어셈블리는 비대역폭 25%이상 혹은 1.5GHz 이상의 대여폭을 갖는 시스템에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UWB 안테나 어셈블리는 상기의 기기 이외에도 공간 상의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UWB 안테나 어셈블리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등과 같은 감시장비에 사용됨으로써 감시장비의 모션을 제어하는 보조 장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UWB 안테나 어셈블리는 감시장비가 촬영하지 못하는 지역을 센싱함으로써 감시장비의 보조 장비로 활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UWB 안테나 어셈블리는 안테나를 어떻게 형성하느냐에 따라 신호의 센싱에 관한 감도가 상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UWB 안테나 어셈블리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26646호(발명의 명칭 : UWB 통신모듈, 출원인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26646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대역 파장의 신호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테나바디부와, 상기 안테나바디부의 제 1면에 형성되는 급전부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단자부와, 상기 급전부의 일단과 상기 단자부 일단의 직선거리보다 길이가 크도록 상기 급전부와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부와 상기 급전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와 상기 급전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면과 다른 상기 안테나바디부의 제 2 면에 형성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부는, 다각형 형태의 슬롯부와, 상기 슬롯부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접지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부는 각 변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슬롯부의 한변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접지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터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UWB(Ultra wideband) 대역폭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터브를 구비하는 경우 WLAN 대역의 신호를 감쇄시킴으로써 WLAN 대역 저지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WLAN 서비스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바디부의 제 1 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바디부의 제 2 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테바디부에 전류가 인가된 경우를 표면 전류 분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바디부(110)의 제 1 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바디부(110)의 제 2 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안테나(100)는 안테나바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바디부(110)는 FR-4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FR-4는 에폭시 레진이 함침된 유리 섬유가 여러겹으로 쌓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FR-4는 치수변화나 흡수성이 적으며 주파수 특성 및 열과 강도 등이 기타 다른 재질과 비교할 때 가장 평균치에 가까운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안테나(100)는 안테나바디부(110)의 제 1 면에 형성되는 급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부(120)는 후술할 연결부(13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급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급전부(120)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전부(120)는 반원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전부(120)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급전부(120)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안테나(100)와 연결되는 외부장치(미도시)의 스펙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전부(120)는 금,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00)는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단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자부(150)는 상기 외부장치와 케이블(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안테나(100)로 안내하거나 안테나(100)에서 수신되는 외부의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100)는 급전부(120)의 일단과 단자부 일단의 직선거리보다 길이가 크도록 급전부(120)와 단자부(150)에 연결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연결부(130)는 단자부(150)와 급전부(12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연결부(130)는 제 1 연결부(131)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단자부(150)와 급전부(12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연결부(131)와 제 2 연결부(132)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부(131)와 제 2 연결부(132)는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연결부(131)와 제 2 연결부(132)는 적어도 일부분인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100)는 상기 제 1 면과 다른 안테나바디부(110)의 제 2 면에 형성되는 접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지부(140)는 다각형 형태의 슬롯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지부(140)는 슬롯부(141)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접지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부(14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롯부(141)는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롯부(141)가 팔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슬롯부(141)는 후술할 접지면부(142)에 감싸도록 형성되어 안테나바디부(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롯부(141)는 각 변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부(141)는 한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부(141)의 적어도 한변은 전술한 연결부(130)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부(141)의 적어도 한변은 안테나바디부(110)의 제 2 면에 형성되어 제 1 면에 형성되는 연결부(130)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지면부(14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롯부(141)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지면부(142)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지면부(142)는 구리, 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접지부(140)는 슬롯부(141)의 한변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접지면부(14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터브(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터브(143)는 슬롯부(141)의 한변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터브(143)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스터브(143)는 슬롯부(141)의 두개의 변에 각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터브(143)는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부(130)의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는 슬롯부(141)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안테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안테나(100)가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안테나(100)가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는 신호를 안테나(100)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장치는 안테나(10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류는 단자부(150)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연결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는 제 1 연결부(131) 및 제 2 연결부(132)를 통하여 급전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류가 상기와 같이 제 1 연결부(131) 및 제 2 연결부(132)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전류의 경로는 직선인 경우보다 늘어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131) 및 제 2 연결부(132)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전류의 경로는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류는 제 1 연결부(131) 및 제 2 연결부(132)를 통과하는 동안 광대역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류는 UWB 통신에 적합한 광대역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는 제 1 연결부(131) 및 제 2 연결부(132)를 통과하는 것 이외에도 접지면부(142)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는 접지면부(142)를 통하여 스터브(143)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류가 스터브(143)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전류는 스터브(143)에 집중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상기 전류가 스터브(143)에 집중되는 경우 스터브(143)에 의하여 대역 저지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터브(143)에는 5.2GHz에서 5.8GHz 사이의 전류가 집중될 수 잇다. 이때, 스터브(143)는 5GHz WLAN 대역에서의 신호를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의 5GHz 대역의 신호는 IEEE 802.11a 규약에 따른 WLAN 대역에 해당하고, 상기 5GHz 대역의 파장을 감쇄시킴으로써 WLAN 서비스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100)는 UWB(Ultra wideband) 대역폭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00)는 스터브(143)를 구비하는 경우 WLAN 대역의 신호를 감쇄시킴으로써 WLAN 대역 저지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WLAN 서비스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안테나
110 : 안테나바디부
120 : 급전부
130 : 연결부
131 : 제 1 연결부
132 : 제 2 연결부
140 : 접지부
141 : 슬롯부
142 : 접지면부
143 : 스터브
150 : 단자부

Claims (7)

  1. 안테나바디부;
    상기 안테나바디부의 제 1 면에 형성되는 급전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급전부의 일단과 상기 단자부 일단의 직선거리보다 길이가 크도록 상기 급전부와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면과 다른 상기 안테나바디부의 제 2 면에 형성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다각형 형태의 슬롯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부와 상기 급전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와 상기 급전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안테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슬롯부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접지면부;를 더 구비하는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각 변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슬롯부의 한변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접지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터브;를 더 구비하는 안테나.
  7. 삭제
KR1020120077925A 2012-07-17 2012-07-17 안테나 KR10152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25A KR101521533B1 (ko) 2012-07-17 2012-07-17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25A KR101521533B1 (ko) 2012-07-17 2012-07-17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39A KR20140011139A (ko) 2014-01-28
KR101521533B1 true KR101521533B1 (ko) 2015-05-19

Family

ID=5014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925A KR101521533B1 (ko) 2012-07-17 2012-07-17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4020B2 (en) * 2017-07-19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658554A (zh) * 2017-08-23 2018-02-02 南京华讯方舟通信设备有限公司 斧形超宽带印刷天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3922A (ja) * 2005-05-31 2007-01-18 Fujitsu Component Ltd アンテナ装置
JP2007306232A (ja) * 2006-05-10 2007-11-22 Fujitsu Component Ltd 平面アンテナ装置
KR20090097458A (ko) * 2008-03-11 2009-09-16 (주)에이스안테나 개방형 루프 안테나
KR20110026815A (ko) * 2009-09-08 2011-03-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광대역 평판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3922A (ja) * 2005-05-31 2007-01-18 Fujitsu Component Ltd アンテナ装置
JP2007306232A (ja) * 2006-05-10 2007-11-22 Fujitsu Component Ltd 平面アンテナ装置
KR20090097458A (ko) * 2008-03-11 2009-09-16 (주)에이스안테나 개방형 루프 안테나
KR20110026815A (ko) * 2009-09-08 2011-03-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광대역 평판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39A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6752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511081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9041253B2 (en) Direct feeding apparatus for impedance matching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the same
US8836588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ntenna device
CN1778014B (zh) 可变频率天线及包含该天线的设备
CN108352614B (zh) 具有wifi接收能力的全向电视天线
US10256525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KR10163879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 장치
US20090058732A1 (en) Wideband antenna unit
US20130057443A1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886633B2 (en) Flexible polymer antenna with multiple ground resonators
US9425498B2 (en) Wideband antenna module
KR20160120643A (ko) 안테나 장치
US102246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unit thereof
KR101521533B1 (ko) 안테나
EP2933878B1 (en) Antenna device
CN103219581A (zh) 宽频天线
US9142890B2 (en) Antenna assembly
CN108666755B (zh) 一种新型小型化多频段全向终端天线
US20200176874A1 (en) Antenna,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9065359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US9673529B2 (en) ISM band antenna structure for security system
KR102301428B1 (ko)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US20140022141A1 (e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