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770B1 - 압축공기포 소화기 - Google Patents

압축공기포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770B1
KR101520770B1 KR1020120134650A KR20120134650A KR101520770B1 KR 101520770 B1 KR101520770 B1 KR 101520770B1 KR 1020120134650 A KR1020120134650 A KR 1020120134650A KR 20120134650 A KR20120134650 A KR 20120134650A KR 101520770 B1 KR101520770 B1 KR 10152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tank
air
mix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897A (ko
Inventor
박경환
이내현
정다운
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3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7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1Forming mixtures with changing ratios or gra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과 소화수를 일정한 혼합비로 각각 저장시켜, 정확한 혼합비와 사용기간 및 재사용률을 높이고 소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포 소화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저장 및 배출하는 에어탱크와, 에어탱크로부터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포원액을 배출하는 포원액탱크와, 포원액탱크로부터 배출되는 포원액을 내부에 저장된 소화수와 혼합시켜 포수용액을 생성한 후, 포수용액을 배출하는 소화수탱크와, 소화수탱크와 에어탱크로부터 포수용액과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포를 생성하는 압축공기포혼합기와, 압축공기포혼합기와 연결되어 압축공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공기포 소화기{COMPRESSED AIR FOAM EXTINGUISHER}
본 발명은 압축공기포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과 소화수를 일정한 혼합비로 각각 저장시키고, 사용 시 정확한 혼합비를 구현하기 위해 포원액과 소화수를 각각 저장함에 따라 사용기간과 재사용률 및 소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포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를 막거나 억제시키기 위하여 소화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 소화를 한다.
이때, 소화기에는 포 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의 종류로 되어있으며 각 상황에 맞게 사용된다.
여기서 포 소화기는, 물과 포소화약제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포(foam)가 공기에 의하여 발포되어 형성된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가,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질식소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포 소화기는, 주로 포원액과 소화수가 미리 혼합된 포수용액이 저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짧은 수명을 야기하고 포수용액의 변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원액과 소화수의 혼합비율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방출될 가능성이 있어 소화 작용의 효과가 저감되고, 사용량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한편, 포소화약제와 소화수를 혼합하는 방법으로는 펌프 프로포셔너 방식(Pump Proportioner type), 프레져 프로포셔너 방식(Pressure Proportioner type), 라인 프로포셔너 방식(Line Proportioner type), 프레져 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Pressure Side Proportioner type)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대형시스템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나, 소화기나 소형패키지제품에는 적합하지 않고, 설치공간과 정확한 혼합비 구현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639호(공고일자 : 2005.11.21.)가 있다.
본 발명은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과 소화수를 일정한 혼합비로 각각 저장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정확한 혼합비 구현 및 사용기간과 재사용 빈도수를 높이고 소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포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압축공기를 저장 및 배출하는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포원액을 배출하는 포원액탱크; 상기 포원액탱크로부터 배출되는 포원액을 내부에 저장된 소화수와 혼합시켜 포수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포수용액을 배출하는 소화수탱크; 상기 소화수탱크와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포수용액과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포를 생성하는 압축공기포혼합기; 및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포원액탱크와 상기 소화수탱크는, 상기 포원액과 상기 소화수를 기 설정된 혼합비율로 각각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수탱크는, 상기 포원액과 상기 소화수를 1:99, 3:97, 6:94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수탱크는, 상기 포원액탱크와 연결된 경로 상에 유체가 와류형태로 주입될 수 있도록 와류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는, 상기 포수용액의 유량과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비가 1:3 ~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1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압축공기포의 개/폐를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에어탱크의 배출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포원액탱크 또는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어탱크는, 상기 포원액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상기 포원액탱크 또는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로 압축공기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탱크는, 상기 상기 포원액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에 각각 별도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소화수탱크 사이 간 경로와,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 사이 간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소화수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초기 상태는 상기 경로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소화수탱크로부터 배출되는 포수용액의 배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경로를 개방하는 정압개방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공급호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호스는, 신축 재질로 이루어진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과 소화수를 일정한 혼합비로 각각 저장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포수용액의 정확한 정량적 혼합비를 이룰 수 있어 소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포수용액을 정확한 정량적 혼합비로 생성해, 압축공기포의 점도 및 부착성을 높여 소화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과 소화수를 일정한 혼합비로 각각 저장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정확한 포혼합비를 구현할 수 있고, 포수용액의 변질 가능성을 낮춰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사용 후 각각의 저장용기에 포원액과 소화수를 충전만 하게 되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재사용 빈도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의 구성 및 그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의 구성 및 그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100)는 크게, 에어탱크(110), 포원액탱크(120), 소화수탱크(130), 압축공기포혼합기(140) 및 분사노즐(150)을 포함한다.
에어탱크(110)는 압축공기를 저장 및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에어탱크(110)는 배출 라인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102)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102)는 전기식이나 공압식 등 자동개폐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원액탱크(120)는 내부에 포원액을 저장한다. 그리고 포원액탱크(120)는 에어탱크의(110)의 후단과 연결되어, 에어탱크(110)로부터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후단으로 포원액을 배출한다.
소화수탱크(130)는 내부에 소화수를 저장한다. 그리고 소화수탱크(130)는 상기 포원액탱크(120)로부터 배출되는 포원액을 내부에 저장하여 상기 소화수와 혼합시킨다. 즉, 소화수탱크(130)의 내부에서 상기 포원액탱크(120)로부터 배출되는 포원액을 소화수와 혼합시킨다.
여기서 포원액을 상기 소화수탱크(130) 내부로 주입할 때는, 상기 소화수탱크(130)의 상부나 밑단에서 주입하는 것이 혼합효과를 높이는데 적합하며, 탱크의 크기에 따라 주입위치가 바뀔 수 있다.
이때, 소화수탱크(130)는 상기 포원액탱크(120)에 저장된 포원액과 에어탱크(110)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소화수탱크(130)는 상기 수용공간을 고려하여 포원액과 에어탱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소화수탱크(130)의 용량은, 저장된 소화수와 포원액을 합한 양의 두 배 크기로 정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필요에 따라 용량은 변할 수 있다.
그리고 소화수탱크(130)는 일정량의 혼합비로 각각 저장된 소화수와 포원액을 혼합시켜 정확한 혼합비의 포수용액을 생성 및 배출한다.
여기서 소화수탱크(130)는 상기 포원액탱크(120)와 연결된 경로 상에 유체가 와류형태로 주입될 수 있도록 와류주입구(132)를 구비할 수 있다.
압축공기포혼합기(140)는 소화수탱크(130)의 후단 및 에어탱크(110)의 후단과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공기포혼합기(140)는, 상기 소화수탱크(130)와 상기 에어탱크(110)로부터 포수용액과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포를 생성한다.
분사노즐(150)은 압축공기포혼합기(140)와 연결되어 압축공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100)는 레귤레이터(160), 체크밸브(171, 172, 173), 정압개방밸브(180) 및 공급호스(190)를 더 포함한다.
레귤레이터(160)는, 에어탱크(110)의 배출구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레귤레이터(160)는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포원액탱크(120) 또는 압축공기포혼합기(140)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160)는,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포원액탱크(120) 또는 압축공기포혼합기(140)에 압축공기가 필요량만큼 공급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171, 172, 173)는, 에어탱크(110)와 소화수탱크(130) 사이 간 경로 상에 설치되고, 에어탱크(110)와 압축공기포혼합기(140) 사이 간 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체크밸브(171, 172, 173)는,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압개방밸브(180)는, 소화수탱크(130)와 압축공기포혼합기(140)의 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정압개방밸브(180)의 초기 상태는 상기 경로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소화수탱크(130)로부터 배출되는 포수용액의 배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경로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치는 기포혼합기(140)까지 포수용액을 배출할 수 있는 압력의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준치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공급호스(190)는, 압축공기포혼합기(140)와 분사노즐(15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급호스(190)는 분사노즐(150)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공급호스(190)는 신축 재질로 이루어진 주름 형상이나 고무류 또는 소방호스로 이루어져, 분사노즐(150)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형패키지제품인 경우에는, 상기 공급호스(190) 대신 고정식 배관(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식 배관의 재질로는 탄소강이나 스텐리스 스틸, 동관,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의 구성 및 그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100)는 크게, 에어탱크(110), 포원액탱크(120), 소화수탱크(130), 압축공기포혼합기(140), 분사노즐(150), 레귤레이터(160), 체크밸브(171, 172, 173), 정압개방밸브(180) 및 공급호스(19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도 1에서 전술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전술된 내용이라도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각 구성 간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밸브(102)가 에어탱크(110)를 개방하면 에어탱크(110) 내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탱크(110)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포원액(10)을 저장한 포원액탱크(120)에 공급된다. 이때, 에어탱크(110)의 배출구 상에 설치된 레귤레이터(160)는 압축공기가 포원액탱크(120)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160)는,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포원액탱크(120) 또는 압축공기포혼합기(140)에 압축공기가 필요량만큼 공급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어탱크(110)와 포원액탱크(120)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171)는,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가 포원액탱크(120)로 공급되도록 개방한다.
이때, 에어탱크(110)와 압축공기포혼합기(140)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172)는,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포혼합기(140)로 공급되도록 개방하며, 소화수탱크(120)나 다른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를 폐쇄한다.
도시된 포원액탱크(120)와 소화수탱크(130)는 포원액(10)과 소화수(20)를 기 설정된 혼합비율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 설정된 혼합비율이란,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10)과 소화수(20)를 백분율로 나눠, 상호간에 나눠지는 비율을 의미한다.
도시된 포원액탱크(120)와 소화수탱크(130)를 살펴보면, 포원액(10)과 소화수(20)가 각각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포원액(10)과 소화수(20)를 백분율로 나눠, 상호간에 나눠지는 비율로 저장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수탱크(130)는 포원액(10)과 소화수(20)를 1:9, 3:97, 6:94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하여 포수용액(30)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포원액(10)과 소화수(20)의 혼합비는 제품의 종류 및 소화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비 1%는 포원액(10) 대 소화수(20)가 1:99의 체적기준으로 혼합되는 것을 말한다.
포수용액(30)의 소화성능 상, 포원액(10)과 소화수(20)의 정확한 혼합비가 매우 중요하다. 상기 포원액(10)의 혼합비가 3%인 경우에 상기 포원액(10)의 비율이 3% 미만이 되거나 3.9% 이상이 되면, 소화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포원액(10)의 혼합비가 1%인 경우에 상기 포원액(10)의 비율이 1% 미만이 되거나 1.9% 이상일 때와, 상기 포원액(10)의 혼합비가 6%인 경우에 상기 포원액(10)의 비율이 6% 미만이 되거나 6.9% 이상일 경우, 마찬가지로 소화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포수용액(30)의 혼합비는 그 혼합 중량에 따라 소화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포소화약제혼합장치의 인정기준에 따르면, 혼합비기준으로 하여 정격 혼합비보다는 포원액의 농도가 높아야 하며, 정격농도의 130% 또는 정격농도에 1을 더한 수치 중 작은 농도 수치의 이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소화수탱크(130)는 포원액과 소화수가 혼합되어 생성된 포수용액(30)을 압축공기포혼합기(140) 측으로 배출한다.
이때, 정압개방밸브(180)의 초기 상태는 상기 경로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소화수탱크(130)로부터 배출되는 포수용액(30)의 배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경로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치는 압축공기포혼합기(140)까지 포수용액(30)을 가압할 수 있는 기본압력과 압축공기포를 생성할 때 필요로 하는 압력의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준치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한편, 압축공기포혼합기(140)는 소화수탱크(130)로부터 포수용액(30)이 공급되면, 에어탱크(11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에어탱크(110)는 레귤레이터(160)를 통해 압축공기를 일정하게 공급한다.
그리고 에어탱크(110)와 압축공기포혼합기(140)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172)는,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포혼합기(140) 쪽으로 공급되도록 개방한다.
또한, 에어탱크(110)와 포원액탱크(120)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171)는,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가 포원액탱크(120)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를 폐쇄한다.
이렇게 포수용액(30)과 압축공기를 공급받은 압축공기포혼합기(140)는 압축공기포를 생성한다.
이때, 압축공기포혼합기(140)는, 포수용액(30)의 유량과 압축공기의 공급비가 1:3 ~ 1:10인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용도에 따라 포수용액(30)의 유량과 압축공기의 공급비가 변경될 수 있다.
에어탱크(110)에 저장되는 압축가스로는 공기나 질소를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이산화탄소나 기타 소화효과가 있다는 다른 가스류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압축공기가 포수용액(30)보다 3배 미만으로 공급되면, 포수용액(30)에 요구되는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압축공기포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종래의 자연흡기방식으로 형성된 포와 비슷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압축력이 낮기 때문에 분사노즐(150)로 압축공기포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압축공기가 포수용액(30)보다 10배 이상으로 공급되면, 전기화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건조포(Dry Foam)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포는 습기가 거의 없는 상태로 포수용액(40)에 요구되는 적절한 비율의 압축공기포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압축력이 높기 때문에 분사노즐(150)로 압축공기포가 공급되는 압력이 높아져, 공급호스(190) 및 분사노즐(15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압축공기포혼합기(140)는, 포수용액(30)의 유량과 압축공기의 공급비가 1:3 ~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호스(190)는, 압축공기포혼합기(140)와 분사노즐(15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급호스(190)는 분사노즐(150)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공급호스(190)는 신축 재질로 이루어진 주름 형상이나 고무류 또는 소방호스로 이루어져, 분사노즐(150)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형패키지제품인 경우에는, 상기 공급호스(190) 대신 고정식 배관(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식 배관의 재질로는 탄소강이나 스텐리스 스틸, 동관,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사노즐(150)은 상기 공급호스(190)로부터 압축공기포(40)를 전달받아 외부로 압축공기포(40)를 배출시킨다.
이때, 분사노즐(150)은 압축공기포(40)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밸브(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밸브는 선택적인 조작으로 개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150)은, 압축공기포(40)의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오리피스(미도시)나, 다른 유량 조절을 위한 장치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압축공기포혼합기(140)에서 방출되는 압축공기포(40)는, 소화에 필요한 최적의 상태이므로, 별도의 유량 조절은 의미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50)은 압축공기포(40)의 방사를 쉽게 하기 위하여, 총(gun)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위치 기능을 하는 트리거(미도시)를 사용하여 개폐를 편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의 구성 및 그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소화기(100)는 크게, 에어탱크(110), 포원액탱크(120), 소화수탱크(130), 압축공기포혼합기(140) 및 분사노즐(150)을 포함한다.
도 5에서는 포원액탱크(120)와 압축공기포혼합기(140)에 각각 별도로 연결된 에어탱크(11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에어탱크(110)는, 포원액탱크(120)와 압축공기포혼합기(140)에 각각 별도록 연결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탱크(110)는, 레귤레이터(160)를 통해 상기 포원액탱크(120) 또는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140)로 압축공기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 및 그 구성들 간의 작동관계는 전술되었으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과 소화수를 일정한 혼합비로 각각 저장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포수용액의 정확한 정량적 혼합비를 이룰 수 있어 소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포수용액을 정확한 정량적 혼합비로 생성해, 압축공기포의 점도 및 부착성을 높여 소화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포수용액을 이루는 포원액과 소화수를 일정한 혼합비로 각각 저장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정확한 포혼합비를 구현할 수 있고, 포수용액의 변질 가능성을 낮춰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압축공기포 소화기는 사용 후 각각의 저장용기에 포원액과 소화수를 충전만 하게 되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재사용 빈도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포원액 20 : 소화수
30 : 포수용액 40 : 압축공기포
100 : 압축공기포 소화기 102 : 개폐밸브
110 : 에어탱크 120 : 포원액탱크
130 : 소화수탱크 132 : 와류주입구
140 : 압축공기포혼합기 150 : 분사노즐
160 : 레귤레이터 170 : 체크밸브
180 : 정압개방밸브 190 : 공급호스

Claims (13)

  1. 압축공기를 저장 및 배출하는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내부에 기 설정된 비율로 저장된 포원액을 배출하는 포원액탱크;
    상기 포원액과 대비하여 백분율로 나눠져 저장된 소화수를 상기 포원액탱크로부터 배출된 포원액과 혼합시켜 포수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포수용액을 배출하는 소화수탱크;
    상기 소화수탱크와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포수용액과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포를 생성하는 압축공기포혼합기;
    상기 소화수탱크에서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로 배출되는 경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수탱크로부터 배출되는 포수용액의 배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경로를 개방하는 정압개방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포원액탱크는 상기 소화수탱크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소화수탱크는 상기 포원액탱크와 연결된 경로 상에 와류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포원액탱크와 상기 소화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포원액과 상기 소화수의 비율은 1:99, 3:97 및 6:94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포원액이 상기 소화수탱크로 모두 주입되어 상기 포원액과 상기 소화수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원액과 상기 소화수가 정확한 혼합비로 포수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는,
    상기 포수용액의 유량과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비가 1:3 ~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압축공기포의 개/폐를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의 배출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포원액탱크 또는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는,
    상기 포원액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상기 포원액탱크 또는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로 압축공기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는,
    상기 상기 포원액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에 각각 별도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소화수탱크 사이 간 경로와,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 사이 간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포혼합기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공급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는,
    신축 재질로 이루어진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소화기.
KR1020120134650A 2012-11-26 2012-11-26 압축공기포 소화기 KR10152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650A KR101520770B1 (ko) 2012-11-26 2012-11-26 압축공기포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650A KR101520770B1 (ko) 2012-11-26 2012-11-26 압축공기포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897A KR20140124897A (ko) 2014-10-28
KR101520770B1 true KR101520770B1 (ko) 2015-05-15

Family

ID=5199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650A KR101520770B1 (ko) 2012-11-26 2012-11-26 압축공기포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91B1 (ko) * 2017-05-24 2018-10-04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내구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KR102431334B1 (ko) * 2021-12-30 2022-08-09 유수상 물과 포 겸용 분사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03B1 (ko) * 2015-02-23 2015-11-23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KR102636214B1 (ko) * 2023-04-11 2024-02-16 주식회사 에프원텍 다기능 소방차
KR102665096B1 (ko) * 2024-01-25 2024-05-1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적용한 소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783Y1 (ko) 2002-07-15 2002-11-1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지하공동구 내 화재감지기 연동 국소방출식 포소화시스템
KR101130183B1 (ko) * 2010-10-22 2012-04-02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스마트 무동력 자동식 포소화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783Y1 (ko) 2002-07-15 2002-11-1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지하공동구 내 화재감지기 연동 국소방출식 포소화시스템
KR101130183B1 (ko) * 2010-10-22 2012-04-02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스마트 무동력 자동식 포소화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91B1 (ko) * 2017-05-24 2018-10-04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내구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KR102431334B1 (ko) * 2021-12-30 2022-08-09 유수상 물과 포 겸용 분사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897A (ko)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770B1 (ko) 압축공기포 소화기
KR101571003B1 (ko)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JP5775217B2 (ja) 圧縮空気を用いた泡混合システム
RU2091101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202909347U (zh) 固定式压缩空气泡沫灭火装置
US202002304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Extinguishing Foam Containing an Extinguishing Gas
CA2785031C (en) Apparatus for regulating two-phase flow and portable atomizer based on two-phase flow
KR101044053B1 (ko) 에어폼 방수시스템을 사용한 소방자동차
MX2007004106A (es) Dispositivo dispensador,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y metodo para dispensar polvo.
US20130048094A1 (en) Continuous additive proportioning
US6109359A (en) Compressed air foam system
WO2021120532A1 (zh) 泡沫均混管、混合泡沫灭火系统及其控制方法以及消防车
US10058722B2 (en) Fir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CN109125997B (zh) 一种灭火剂喷射装置
EP1075316B1 (en) Method and high-capacity apparatus for producing fire fighting foam and foam expanding spreading device
US20140131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ire prevention and extinguishment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CN207545666U (zh) 一种大型压缩空气泡沫系统
CN207221153U (zh) 一种便携式预混合压缩空气泡沫灭火装置
CN106823204B (zh) 一种采用砂子正压喷射灭火系统及实现方法
CN110496343B (zh) 一种多用途灭火器
CN110368625A (zh) 一种负压式三相泡沫推车灭火器
CN115487456B (zh) 灭火装置
US9974990B1 (en) Fire extinguishing agent deliver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RU2015701C1 (ru) Гидровакуумная смес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жидких компон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623

Effective date: 201504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