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095B1 -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 Google Patents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095B1
KR101519095B1 KR1020130102815A KR20130102815A KR101519095B1 KR 101519095 B1 KR101519095 B1 KR 101519095B1 KR 1020130102815 A KR1020130102815 A KR 1020130102815A KR 20130102815 A KR20130102815 A KR 20130102815A KR 101519095 B1 KR101519095 B1 KR 10151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oilet bowl
lid
toi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324A (ko
Inventor
원형재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쉴터
Priority to KR102013010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통 세정시 변기통을 외부와 차단한 뒤 고온 고압의 스팀을 변기통속으로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세정함과 동시에 유해 세균을 살균 박멸하여 좌변기를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세정 후 변기통이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다음 이용자가 바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변기통 살균 및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TOILET SEAT HAVING STERILIZING ACTION AND WASHING ACTION BY USING STEAM}
본 발명은 바닥에서 일정높이에 좌대가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변기통을 세정할 수 있는 좌식 변기(이하 '좌변기'라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통 세정시 변기통을 외부와 차단한 뒤 고온 고압의 스팀을 변기통속으로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세정함과 동시에 유해 세균을 살균 박멸하여 좌변기를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세정 후 다음 사용자가 즉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기통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변기통 살균 및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는 대부분 물탱크에 저장된 물(세정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변기통의 오염물질을 변기통밖으로 세정수와 함께 배출하는 것으로, 수압을 이용하는 좌변기는 급수시설(급수관) 또는 하수시설(하수관)이 마련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되는 화장실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산속이나 야외, 해변, 강변, 공원과 같이 급수시설과 하수시설이 없는 장소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오/폐수를 점진적으로 정화시킨 뒤 정화된 물을 좌변기용 세정수로 재활용하는 무급수, 무방류 화장실 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인 분뇨를 분해하여 소멸시키는 화장실이 주로 설치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화장실은 오/폐수의 정화 시간이 길어 화장실 이용자 폭주하면, 오폐수를 신속히 정화하여 각 좌변기로 공급할 수 없고, 오염도 증가로 인해 정화처리 부하가 커지며, 정화된 세정수의 탁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정화된 물에서 악취가 심하게 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어 보다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중 화장실은 불특정 다수인이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타인이 사용한 좌변기와 피부 접촉에 의해 전염성 병원균이나 각종 유해세균이 감염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0995247호가 제안된바 있으나, 변기통 자체의 위생상태가 비위생적이고 청결하지 못한 경우 좌대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만으로는 화장실 전반적인 환경을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어렵다.
결국, 좌변기는 변기통이 항시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유지되어야만 다음 사용자가 불쾌감이나 거부감 없이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시설이나 하수시설이 없는 지역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는 채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급수가 부족한 상태에서 변기를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사용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고, 화장실에 급수시설이 갖추고 있더라도 변기통 세정수는 수압 확보를 위해 일정 수위 이상의 수량이 사용되므로 물 절약효과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변기통 세정시 변기통의 상부를 외부와 차단한 뒤 고압의 스팀을 변기통속으로 분사하여 변기내의 유해 세균을 살균 박멸하고 세정함으로써 변기통을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변기통 세정 후 다음 사용자가 즉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닫힌 변기통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살균 세척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스팀과 세정수를 혼용하여 변기통을 세척할 수 있는 살균 세척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의 해결과제는;
(a)좌대 프레임에 내벽에 마련되는 가이드홈과, 외부와 통해진 스팀흐름통로를 구비하는 좌변기와;
(b)제조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배출관과 상기 스팀흐름통로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팀발생장치와;
(c)스팀이 변기통속으로 분사될 때 스팀 또는 물방울이 좌변기 밖으로 튀지 않도록 변기통을 외부와 차단하고, 세정후 다음 사용자가 바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기통을 개방시키기 위한 변기통개폐수단 및;
(d)기능선택버튼의 선택에 따라 변기통개폐수단의 구동여부와 상기 스팀배출관의 관로 개폐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변기통개폐수단은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변기통을 외부와 차단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변기통개폐수단은 좌대 프레임 상면이나 배면을 통해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전기히터가 내장되어 물을 가열하는 방법으로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스팀발생장치를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를 좌변기에 결합함에 있어 좌변기의 좌대 프레임의 증기분배통로와 스팀발생장치의 스팀배출관이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기능선택버튼의 선택에 따라 변기통개폐수단의 작동여부를 제어하고 그와 연동하여 변기통속으로 스팀이 유입 및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염된 변기통을 세정함에서 있어 변기통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변기통의 상부를 닫은 뒤, 변기통속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오염물을 세척하고 변기통 세정후 변기통이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다음 사용자가 즉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팀을 이용하여 변기통을 세척하므로 물 이용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변기통 세척시 수증기나 오염물질이 변기통 밖으로 튀지 않으므로 변기 주위를 항시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유지되며, 또한 고온의 스팀에 의한 유해 병원균이나 세균을 살균 및 멸균시키므로 변기통내부가 항시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동절기 야외 화장실의 급수관이 동파되거나 변기통의 오물이 얼어 붙는 문제가 없어 보다 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급수시설이 마련된 아파트나 빌딩 화장실은 물론 급수시설이나 하수시설이 없는 야외 화장실용 좌변기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량의 물만으로 변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물 절약 효과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의 요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일측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좌변기 본체를 평면에서 바라 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통개폐수단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이송수단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채용한 좌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좌변기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좌변기의 요부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을 예시한 블럭다이야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통 살균 및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의 요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일측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좌변기(100)는 크게 좌변기 본체(110)와 스팀발생장치(120)와 변기통개폐수단(130) 및 스팀발생장치(120)에서 제조된 스팀이 변기통의 스팀 흐름통로(113a)속으로 유입 또는 차단을 제어하면서 변기통개폐수단(130)의 개폐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160a, 도 9 참조)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변기 몸체(110)는 도기로 제조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 프레임(112), 변기통(115) 및 덮개 출입구(111b)를 포함하고 있다.
좌대 프레임(1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에 소정깊이로 절결된 덮개 결합용 가이드 홈(112a)과, 상기 가이드 홈(112a)과 구분되는 증기분배통로(113a) 또는/및 세정수 분배통로(114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제조하여 좌변기(100)의 변기통(115)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발생장치(120)는 전기히터가 내장되어 물을 가열하는 방법으로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다양한 스팀발생장치,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0-2006-0120826호에 개시된 스팀발생장치를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120)에서 제조된 스팀이 증기분배통로(113a)로 유입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120)의 스팀배출관(121)과 증기분배통로(113a)를 연결하되 스팀배출관(121)에 관로 개폐용 솔레노이드밸브(도면부호 없음)를 부착하면, 좌변기 몸체(110)와 멀리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 스팀발생장치(120)를 설치하고 스팀배출관(121)을 증기분배통로(113a)와 연결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단일의 스팀발생장치(12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좌변기에 연결하면 스팀을 복수의 변기통속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8은 변기통 뚜껑이고, 도 3에서 도면부호 113은 스팀배출관(121)이 연결되는 스팀유입구이며, 도면부호 114는 급수펌프를 구비한 급수시설(상수도용 급수관, 도면에는 미도시)의 배관이 연결되는 세정수유입구이며, 도 3에서 도면부호 111a는 좌변기 몸체(110)에 물탱크(도면부호 미표기 도 2 참조) 또는 덮개이송장치(150a)를 결합할 수 있는 체결구멍이다.
상기 증기분배통로(113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12a)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증기분사구(113b)는 변기통(115) 표면 곡률과 유사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분배통로(113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유입구(113)와 변기통(115)의 내측에 배치된 증기분사구(113b)와 통해져 있다.
상기 변기통개폐수단(130)은 좌변기(100)의 상측 즉, 변기통(115)의 개방부(115a)가 열려 있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변기통개폐수단(13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 프레임(112) 내면에 좌변기(100)의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박판형 덮개(125)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12a)을 마련하고 상기 덮개(125)를 가이드 홈(112a)속으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125)를 이송시키기 위한 덮개이송수단(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2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5)가 빠지지 않도록 가이드 홈의 내부에 걸림홈(112b)이 더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 홈(112a)속에 삽입되는 덮개(125)는 양측 테두리에 걸림홈(112b)에 결합되는 걸림턱(125a)이 마련될 수 있다.
덮개이송수단(150)은 덮개(125)가 가이드 홈(112a)속으로 출입하도록 덮개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덮개이송수단의 실시예로,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이송장치(150a)의 케이싱(150b)속에 덮개(125)는 양측 테두리 양면에 긴밀히 접촉되도록 결합된 구동롤러(126)와 아이들링 롤러(127) 및 구동롤러(12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M)는 이하에서 제어되는 제어수단(160a)에 의해 회전방향과 구동유무가 제어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덮개(125)를 가이드 홈(112a)을 따라 이송(전후진)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롤러(126)와 아이들링 롤러(127)는 각 샤프트(126a)(127a)로 연결되어 동시에 구동되고, 구동롤러(126)는 구동모터(M)와 변속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모터(M)와 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회전시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26c는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도면에는 미도시)와 맞물리는 기어이고, 126b는 샤프트(126a)를 축받이하기 위한 브라켓이며, 127b는 아이들링 롤러(127)의 샤프트(127a)를 축받이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상기 브라켓(126b)(127b)은 덮개이송장치(150a)의 케이싱(150b)에 볼트(도면에는 미도시)로 고정된다.
상기 구동롤러(126)와 아이들링 롤러(127)는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 또는 톱니 기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덮개이송장치(150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몸체(110)의 상면에 마련된 덮개 출입구(111b)와 연결되거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0a, 도 7, 도 8 참조)를 갖춘 좌변기(100) 즉, 물탱크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좌변기의 경우, 좌변기 몸체(110) 후면에 덮개 출입구(111b)를 마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덮개(125)는 휠 수 있고, 내식성을 갖춘 박판 스테인레스 재질을 변기통 형상에 상응하도록 제조되거나 그와 상응하는 다른 소재로 제조하여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덮개(125)는 좌대 프레임(112)의 내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 3과 도 5에는 좌대 프레임(112)과 덮개(125)의 앞부분이 둥글게 라운드형상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태는 좌변기의 형상에 따라 제조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한정하는 의미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한 덮개이송장치(150a)는 덮개(125)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덮개 가이드 수단(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 가이드수단(151)의 채용예로서는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5)의 가장자리면을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덮개 가이드(152)와, 덮개 가이드(152)을 케이싱(150b)의 내벽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판(15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덮개 가이드(152)는 나선형 코일 형상(도면에는 미도시)으로 구성하여 덮개(125)를 롤형상으로 가이드하는 경우 부피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덮개(125)는 좌대 프레임(112)에 조립될 때, 좌변기 몸체(110)가 건물 벽체(도면에는 미도시)와 충분히 이격된 경우 즉, 덮개(125)의 길이에 상응하는 공간이 있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몸체(110)의 배면에 마련된 덮개출입구(111b)에 결합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몸체(110)의 상면에 덮개 출입구(111b)를 마련한 뒤 덮개(125)를 대략 직각방향으로 만곡지게 절곡하여 덮개(125)를 가이드홈(112a)에 연결할 수 있다.
제어수단(160a)은 덮개(125)가 변기통(115)의 개방부(115a)에 의해 닫혀 있는지 또는 개방되어 있는지를 센싱한 뒤 센싱된 전기회로에 의해 스팀발생장치(120)의 스팀배출관(121)의 관로를 개방 및 차단하고, 덮개이송장치(150a)의 구동모터(M)를 작동시켜 변기통(115)의 개폐 여부를 회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어수단(160a)의 실시예로서는 마이컴(161), 센싱부(162), 구동부(163), 조작부(164, 기능선택버튼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컴(161)은 스팀분사 시간과 센싱부(162)의 센싱회로에 따른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한 제어로직을 구운 반도체이고, 센싱부(162)는 덮개(125)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덮개 가이드(152)에 설치된 복수개의 리미트 스위치(S1 내지 S3, 도 6참조)들이며, 구동부(163)는 리미트 스위치(S1 내지 S3)의 센싱신호에 따라 마이컴(161)에 의해 구동모터(M)와 스팀배출관(121)에 부착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선택버튼(도면에는 미도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변기 세척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60, 도 1 및 도 2 및 도 5 참조)의 스팀세척버튼(도면에는 미도시)을 작동(on)시키면, 마이콤이 실행되어 구동모터(M)가 회전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와 연동되는 구동롤러(126)에 의해 덮개(125)는 가이드 홈(112a)을 따라 변기통(115)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변기통(115)의 개방부(115a) 전체를 덮개(125)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 가이드 고정판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S1)의 접점이 스위칭되면서 전기회로가 마이콤(161)과 연결되어 마이콤(161)에 의해 구동모터(M)의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킨 뒤 스팀배출관(121)에 부착된 솔레노이드 밸브(도면에는 미도시)를 개방시켜 마이콤(161)에 지정된 시간 동안 스팀이 증기분배통로(113a)를 따라 변기통(115) 속으로 유입된다.
증기분배통로(113a)로 유입되는 스팀은 증기분사구(113b)을 통해 변기통(115)속으로 분사되면서 변기통(115)내의 오염물질을 세정하고 오염물질과 함께 응축수는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된다.
변기통(115)속으로 스팀분사가 완료되면, 마이콤(161)은 구동모터(M)를 역회전시켜 변기통(115)의 개방부(115a)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덮개(125)가 변기통에서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리미트 스위치(S3)의 접점이 변경되므로 마이콤(161)은 구동모터(M)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킨다.
다른 응용예로서, 세정수 유입구(114)에 연결된 급수펌프(도면에는 미도시)의 급수관의 관로를 마이콤(115)에 의해 스팀배출관(121)의 관로가 개방될 때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하면, 급수펌프에 의해 유입되는 세정수가 세정수 분배통로(114a)속으로 유입되어 세정수 배출구(114b)로 배출되므로 세정수와 증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변기통(115)을 세척할 수도 있다.
물론 세정수 유입은 마이콤(161)에 지정한 시간동안만 이루어지고, 덮개가 변기통에서 완전히 개방되였을 때 급수펌프가 정지되고 관로는 폐쇄된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S1~S3)의 스위칭(센싱) 상태에 따라 덮개가 변기통(115)을 개폐시키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기능선택버튼을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변기통 세척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리미트 스위치(S1~S3)는 변기통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S1) 만이 온(On)상태이고, 나머지는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가 가이드 홈을 따라 변기통상부로 이동되는 동안에는 차례로 리미트 스위치(S3,S2)는 오프(OFF)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스위칭되고, 덮개가 변기통에 완전히 닫히면 리미트 스위치(S1)은 오프(OFF)상태로 스위칭된다. 물론 덮개가 변기통에서 개방될 때는 리미트 스위치(S1~S3)들은 반대로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S1~S3)의 스위칭 회로에 의해 마이콤은 덮개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선택버튼의 명령을 실행하거나 무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기통 세정시 변기통을 외부와 차단한 뒤 고온 고압의 스팀을 변기통속으로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세정함과 동시에 유해 세균을 살균 박멸하므로 좌변기를 항시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변기통 세정 후에는 닫힌 변기통이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다음 사용자가 즉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좌변기는 동절기 야외 화장실의 급수관이 동파되거나 변기통의 오물이 얼어 붙는 문제가 없어 보다 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급수시설이 마련된 아파트나 빌딩 화장실은 물론 급수시설이나 하수시설이 없는 야외 화장실용 좌변기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100: 좌변기 110: 좌변기 몸체
111a: 결합구멍 111b: 덮개 출입구
112: 좌대 프레임 112a: 가이드 홈
112b: 걸림홈 113: 스팀유입구
113a: 증기분배통로 113b: 증기분사구
114: 세정수유입구 114a: 세정수 분배통로
114b: 세정수 배출구 115: 변기통
115a: 개방부 116: 배출구
120: 스팀발생장치
121: 스팀배출관 125: 박판형 덮개
125a: 걸림턱 126: 구동롤러
126a: 샤프트 126c: 기어
126b: 브라켓 127: 아이들링 롤러
127a: 샤프트 127b: 브라켓
127: 구동장치 130: 변기통개폐수단
150a: 덮개이송장치 151: 덮개가이드수단
152: 덮개 가이드 153: 가이드 고정판
160: 제어수단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 160a: 제어수단
161: 마이컴 162: 센싱부
163: 구동부 164: 조작부
M:구동모터 S1~S3: 리미트 스위치

Claims (11)

  1. 좌대 프레임(112)에 내벽에 마련되는 가이드홈(112a)과, 외부와 통해진 스팀흐름통로(113a) 및 세정수분배통로(114a)와 연결된 세정수 유입구(114)를 구비하는 좌변기(100)와;
    상기 스팀흐름통로(113a)속으로 스팀이 유입 및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흐름통로(113a)에 관로 개폐용 솔레노이드밸브를 갖춘 스팀 배출관을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120)와;
    상기 세정수 유입구(114)에 연결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급수펌프와;
    스팀이 변기통(115)속으로 분사될 때 스팀 또는 물방울이 좌변기 밖으로 튀지 않도록 변기통(115)을 외부와 차단하고, 세정후 다음 사용자가 바로 좌변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기통(115)을 개방시키기 위한 변기통개폐수단(130)과;
    사용자의 기능선택버튼의 선택에 따라 변기통개폐수단(130)의 구동여부와 상기 스팀배출관의 관로 및 상기 급수관의 관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통개폐수단(130)은 좌대 프레임(112)의 내면에 가이드 홈(112a)을 마련하고, 상기 가이드 홈(112a)에 덮개(12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 뒤 상기 덮개를 구동모터(M)와 연결된 구동롤러(126)와 아이들링 롤러(127)로 전후진 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112a)과 덮개(125)는 가이드 홈(112a)에서 덮개(125)가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홈(112a)에 걸림홈(112b)을 더 마련하고, 상기 덮개(125)에는 걸림홈(112b)에 결합되는 걸림턱(125a)을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통개폐수단(130)은 덮개(125)를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덮개가이드수단(1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이드수단(151)은 상기 덮개(125)의 테두리를 가이드하는 덮개가이드(152)와, 상기 덮개가이드(152)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고정판(153)을 덮개이송장치(150a)의 케이싱(150b)내벽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기능선택버튼 선택시 덮개(125)의 위치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S1~S3)로 구성된 센싱부(162)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변기통개폐수단(130)의 작동과, 변기통과 연결된 스팀배출관의 관로 개폐를 제어하는 구동부(163)와, 상기 변기통개폐수단(130)의 구동여부와, 스팀발생장치(120)와 연결된 스팀배출관의 관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마이콤(16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25)는 휠 수 있는 박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몸체(110)에는 좌변기 등받이 혹은 물탱크 혹은 덮개이송장치를 결합할 수 있는 체결구멍(111a)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11. 좌대 프레임(112)에 내벽에 마련되는 가이드홈(112a)과, 외부와 통해진 스팀흐름통로(113a)를 구비하는 좌변기(100)와;
    상기 스팀흐름통로(113a)속으로 스팀이 유입 및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흐름통로(113a)에 관로 개폐용 솔레노이드밸브를 갖춘 스팀 배출관을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120)와;
    스팀이 변기통(115)속으로 분사될 때 스팀 또는 물방울이 좌변기 밖으로 튀지 않도록 변기통(115)을 외부와 차단하고, 세정 후 다음 사용자가 바로 좌변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닫힌 변기통(115)을 개방시키기 위한 변기통개폐수단(130)과;
    사용자의 기능선택버튼의 선택에 따라 변기통개폐수단(130)의 구동여부와, 상기 스팀배출관의 관로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KR1020130102815A 2013-08-29 2013-08-29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KR10151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815A KR101519095B1 (ko) 2013-08-29 2013-08-29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815A KR101519095B1 (ko) 2013-08-29 2013-08-29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324A KR20150025324A (ko) 2015-03-10
KR101519095B1 true KR101519095B1 (ko) 2015-05-13

Family

ID=5302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815A KR101519095B1 (ko) 2013-08-29 2013-08-29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240A (zh) * 2016-05-03 2016-08-10 何启烽 具有熏蒸消毒功能的马桶盖结构
CN114870054B (zh) * 2022-05-27 2023-09-19 恒洁卫浴集团有限公司 一种马桶杀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324A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734B2 (ja) 自己水洗トイレ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
US10760255B2 (en) Self 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CN103189581B (zh) 厕所装置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CA3000009C (en)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EP3438358B1 (en) Sanitary washing device
CN102472040A (zh) 卫生洗净装置
EP3438360B1 (en) Sanitary washing apparatus
KR101519095B1 (ko)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0924812B1 (ko) 배설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H1136394A (ja) オゾン水生成装置を備える洗面化粧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074351B1 (ko) 자동 개폐식 몸 소독기
KR20130096570A (ko) 양변기
KR100990584B1 (ko) 직수를 온수 및 냉수의 음용수로 제조하는 음용수 제조장치의 수도꼭지 소독장치
KR20090072370A (ko) 변기 살균 및 세척 장치
KR100740492B1 (ko) 자동세정 세면대
KR200344348Y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20230030311A (ko) 비데의 변좌살균장치
KR101231826B1 (ko) 공기제균장치를 갖는 비데
JP2005083062A (ja) 衛生洗浄装置
KR20180067283A (ko) 분사노즐의 살균기능이 구비된 비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