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922B1 -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922B1
KR101518922B1 KR1020130140947A KR20130140947A KR101518922B1 KR 101518922 B1 KR101518922 B1 KR 101518922B1 KR 1020130140947 A KR1020130140947 A KR 1020130140947A KR 20130140947 A KR20130140947 A KR 20130140947A KR 101518922 B1 KR101518922 B1 KR 10151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coil
brake ped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922B1/ko
Priority to US14/497,076 priority patent/US20150136541A1/en
Priority to CN201410539867.4A priority patent/CN10464834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8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using fluid or powdered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7/00Liquid-resistance brakes; Brakes using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r fluid-like media, e.g. powders
    • F16D57/002Liquid-resistance brakes; Brakes using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r fluid-like media, e.g. powders comprising a medium with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controlled internal friction, e.g. electrorheological fluid, magnet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륜; 휠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륜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외륜과 함께 브레이킹 챔버를 형성하는 휠 허브;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휠 허브에 결합하는 자석;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외륜에 결합하여, 상기 휠 허브가 회전할 때, 상기 자석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각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 충진되며, 선택적인 전기 공급에 따라 상기 휠 허브의 회전을 방해하는 전기유변유체(ER fluid; Electrorheological fluid);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VARIABLE BRAKING SYSTEM}
본 발명은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부스터 등의 용량을 증대하지 않고도 제동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적용되는 브레이킹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증가시키는 브레이크 부스터, 휠과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배가된 압력으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브레이크 패드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차량의 제동 거리는 차량의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데, 적절한 제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타이어 등의 용량을 증대해야 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타이어 등의 부품의 용량 증대 없이도 브레이킹 성능을 증대할 수 있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외륜; 휠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륜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외륜과 함께 브레이킹 챔버를 형성하는 휠 허브;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휠 허브에 결합하는 자석;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외륜에 결합하여, 상기 휠 허브가 회전할 때, 상기 자석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각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 충진되며, 선택적인 전기 공급에 따라 상기 휠 허브의 회전을 방해하는 전기유변유체(ER fluid; Electrorheological fluid);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전기유변유체에 대한 절연을 위해 상기 코일을 감싸는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류 공급 여부와 공급 전류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입력되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할 수 있다.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차속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코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외륜; 휠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륜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외륜과 함께 브레이킹 챔버를 형성하는 휠 허브;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휠 허브에 결합하는 자석;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외륜에 결합하여, 상기 휠 허브가 회전할 때, 상기 자석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각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차속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상기 보조 브레이킹 챔버 내에 충진되며, 선택적인 전기 공급에 따라 상기 휠 허브의 회전을 방해하는 전기유변유체(ER fluid; Electrorheological fluid);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와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브레이크 신호와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에 입력 받아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류 공급 여부와 공급 전류량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입력되는 상기 브레이크 신호와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코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전기유변유체에 대한 절연을 위해 상기 코일을 감싸는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제동력을 가변할 수 있어 차량의 안전 운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부스터 등의 용량을 증대하지 않고도 제동 능력을 확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의 절개도이다.
도2는 도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의 절개도이고, 도2는 도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100)은 외륜(40), 휠 플랜지(30)가 형성되고, 상기 외륜(4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외륜(40)과 함께 브레이킹 챔버를 형성하는 휠 허브(10),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휠 허브(10)에 결합하는 자석(110),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외륜(40)에 결합하여, 상기 휠 허브(10)가 회전할 때, 상기 자석(110)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120),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각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 충진되며, 선택적인 전기 공급에 따라 상기 휠 허브(10)의 회전을 방해하는 전기유변유체(ER fluid; Electrorheological fluid; 140),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100)은 종동륜(driven wheel)에 적용될 수도 있고, 드라이브 샤프트(20)가 구비된 구동륜(driving wheel)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전기유변유체(ER fluid; Electrorheological fluid)는 수 미크론(micron)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불순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재료로서, 2~25V 정도의 전원에서 작동한다. 전원 공급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따라 이 입자들이 수 천분의 일초 사이에 반응하면서 액체의 밀도가 거의 고체상태로 바뀌는 물질로, 이 성질을 이용하여 운동을 가변 제어한다.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대한 절연을 위해 상기 코일을 감싸는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는 상기 코일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의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로 전류 공급 여부와 공급 전류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제어기(210)를 포함한다.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210)는 입력되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200)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차속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차속 센서(230)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200)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차속 센서(230)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200)로 저장하거나, 상기 코일(12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와 상기 배터리(200)에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 공급선(130), 상기 코일(120) 또는 상기 배터리(2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212)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의 구동을 하게 되면, 상기 외륜(40)과 상기 휠 허브(10)간에 상대적인 속도차가 발생하고, 상기 자석(110)의 자기장에 의해 상기 코일(120)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류 발생의 원리는 일반적인 발전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브레이크 센서(2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전기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브레이크 센서(220)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기(210)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이 없는 상황에서는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로 전기를 공급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코일(120)에서 발생한 전기는 상기 배터리(2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10)가 상기 브레이크 센서(220)의 신호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코일(120)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공급한다.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전기유변유체(140)는 고체화되어 상기 휠 허브(10)와 상기 외륜(40) 사이의 상대적인 속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일반적인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보조하여 차량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허브(10)와 상기 외륜(40) 사이의 상대적인 속도차가 클수록 큰 전류가 발생하며, 따라서, 고속일수록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한 제동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10)를 직접 제동하므로 제동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브레이크 센서(2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와 상기 차속 센서(230)의 신호를 바탕으로 현재 차량에 요구되는 제동력을 계산할 수 있고, 그 계산된 값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전달되는 전기 공급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의 고체화 정도가 결정되며, 따라서 필요 제동력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차속 센서(230)의 신호와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전달되어야 하는 전류가 상기 코일(120)에서 생성된 전류보다 크다면 상기 배터리(200)에 저장된 전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코일(120)에서 생성된 전류가 상기 차속 센서(230)의 신호와 브레이크 페달 센서(2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140)에 전달되어야 하는 전류보다 크다면, 즉 상기 코일(120)에서 생성된 전류의 여유분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200)에 여유 전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적인 브레이킹 시스템을 보조하여 제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제동력 확보가 가능하고, 차속에 따라 증가하는 코일의 전류를 이용하여 차속에 따른 가변 제동력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브레이크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거나 이를 사용할 수 있어 연비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요구되는 제동력이 큰 경우에는 저장된 전기를 추가로 이용하여 제동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부스터 등의 용량을 증대하지 않고도 제동 능력을 확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휠 허브 20: 드라이브 샤프트
30: 휠 플랜지 40: 외륜
100: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110: 자석
120: 코일 130: 전류 공급선
140: 전기유변유체 200: 배터리
210: 제어기 212: 스위치
220: 브레이크 페달 센서 230: 차속 센서

Claims (11)

  1. 외륜;
    휠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륜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외륜과 함께 브레이킹 챔버를 형성하는 휠 허브;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휠 허브에 결합하는 자석;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외륜에 결합하여, 상기 휠 허브가 회전할 때, 상기 자석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각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 충진되며, 선택적인 전기 공급에 따라 상기 휠 허브의 회전을 방해하는 전기유변유체(ER fluid; Electrorheological fluid);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류 공급 여부와 공급 전류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입력되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전기유변유체에 대한 절연을 위해 상기 코일을 감싸는 절연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차속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코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7. 외륜;
    휠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륜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외륜과 함께 브레이킹 챔버를 형성하는 휠 허브;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휠 허브에 결합하는 자석;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서, 상기 외륜에 결합하여, 상기 휠 허브가 회전할 때, 상기 자석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각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차속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상기 브레이킹 챔버 내에 충진되며, 선택적인 전기 공급에 따라 상기 휠 허브의 회전을 방해하는 전기유변유체(ER fluid; Electrorheological fluid);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와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브레이크 신호와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에 입력 받아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류 공급 여부와 공급 전류량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되,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입력되는 상기 브레이크 신호와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의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저장하거나,
    상기 코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전기유변유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11. 제7항에서,
    상기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은
    상기 전기유변유체에 대한 절연을 위해 상기 코일을 감싸는 절연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KR1020130140947A 2013-11-19 2013-11-19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KR10151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47A KR101518922B1 (ko) 2013-11-19 2013-11-19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US14/497,076 US20150136541A1 (en) 2013-11-19 2014-09-25 Variable braking system
CN201410539867.4A CN104648342A (zh) 2013-11-19 2014-10-13 可变制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47A KR101518922B1 (ko) 2013-11-19 2013-11-19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922B1 true KR101518922B1 (ko) 2015-05-15

Family

ID=5317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947A KR101518922B1 (ko) 2013-11-19 2013-11-19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36541A1 (ko)
KR (1) KR101518922B1 (ko)
CN (1) CN1046483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2248A (zh) * 2020-06-22 2020-09-22 浙江火萌互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轮椅传动轴的失速制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6413B1 (en) * 2016-07-13 2019-01-01 Bailout Systems, Llc Controlled descent safety systems and methods
US11940017B2 (en) * 2022-02-28 2024-03-26 Safran Landing Systems Canada Inc. Electrorheological brak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12Y2 (ja) * 1987-12-11 1995-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アクスルハブ構造
KR19980056936A (ko) * 1996-12-30 1998-09-25 오상수 ER(Electro-Rheological)유체를 이용한 제동력 조절장치
KR19990047271A (ko) * 1997-12-03 1999-07-05 윤덕용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부하장치 겸용 제동장치
KR20080038525A (ko) * 2006-10-30 2008-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5571A (en) * 1948-05-21 1950-10-10 Martin P Winther Dynamoelectric machine containing a magnetic fluid mixture
US2663809A (en) * 1949-01-07 1953-12-22 Wefco Inc Electric motor with a field responsive fluid clutch
US4539497A (en) * 1983-04-11 1985-09-03 Boyer Robert E Electrical generator with ring housing mountable on a wheel assembly
CN1093660A (zh) * 1993-04-13 1994-10-19 肖继麟 汽车安全制动装置
CN2404772Y (zh) * 1999-09-25 2000-11-08 胡太信 汽车制动装置
JP2002340057A (ja) * 2001-05-17 2002-11-27 Kawasaki Heavy Ind Ltd 機能性流体を用いた制動装置
US8002060B2 (en) * 2006-02-17 2011-08-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wheel driving apparatus and electric motor
WO2010102575A1 (en) * 2009-03-11 2010-09-16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agnetorheological actuator with multiple functions
WO2012031039A2 (en) * 2010-08-31 2012-03-08 Zivota Nikolic Electric gen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12Y2 (ja) * 1987-12-11 1995-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アクスルハブ構造
KR19980056936A (ko) * 1996-12-30 1998-09-25 오상수 ER(Electro-Rheological)유체를 이용한 제동력 조절장치
KR19990047271A (ko) * 1997-12-03 1999-07-05 윤덕용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부하장치 겸용 제동장치
KR20080038525A (ko) * 2006-10-30 2008-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2248A (zh) * 2020-06-22 2020-09-22 浙江火萌互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轮椅传动轴的失速制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48342A (zh) 2015-05-27
US20150136541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964B2 (en) Bicycle motor control system
JP6162396B2 (ja) 航空機着陸装置の車輪用の電動機
JP4972377B2 (ja) 電動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電動ブレーキ装置
KR101518922B1 (ko) 가변 브레이킹 시스템
US8839918B2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with dual excitation
CN104080645A (zh) 电动汽车
JP2016210267A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6534509B2 (ja) 車輪独立駆動式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2009005430A (ja) 発電機付軸受
KR20090124687A (ko) 자기유변유체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EP2145812A3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Lenkvorrichtung für ein Flurförderzeug
JP2006082809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5024618B2 (ja) 電動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倍力装置
JP2008207679A (ja) 電動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89120A (ja) 車両用発電機構
JP2008057642A (ja) 電動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電動ブレーキ制御方法
KR20190030504A (ko) 자가 전원 발생 장치와 전기선로의 빙설 제거 장치 및 전기선로의 센서 장치
CN109476297A (zh) 电动制动装置和电动制动系统
JP6184373B2 (ja) 車両用制動システム
JPWO2018062097A1 (ja) 電動ブレーキ装置
KR20050076903A (ko) 차량 제동시 배터리 충전 장치
JP2010143580A (ja) 車両挙動制御装置
JP2010158946A (ja) 電動車両
JP2009126388A (ja) 車両用運動制御装置
US20240109582A1 (en) Active/semi-active steer-by-wir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