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874B1 -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874B1
KR101518874B1 KR1020130169015A KR20130169015A KR101518874B1 KR 101518874 B1 KR101518874 B1 KR 101518874B1 KR 1020130169015 A KR1020130169015 A KR 1020130169015A KR 20130169015 A KR20130169015 A KR 20130169015A KR 101518874 B1 KR101518874 B1 KR 10151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ating layer
sol
acrylate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3016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여 방현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Coating layers for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anti-glare characteristics and preparing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여 방현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FPD)는 성능의 개선을 위해서 기술 개발이 치열하며, 이동-디스플레이(Mobile-Display), 노트북, 모니터, TV, PC, 디지털 카메라, PDA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는 광 시야각, 고 해상도, 고속 응답성, 우수한 색재현성 등이 요구되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눈으로 보게 되는 화면의 이미지는 외부광(입사광)이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반사 또는 상비침 현상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 시인성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철을 형성하고 형성된 표면요철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시킴으로서 정반사율을 저감시켜서 반사광의 눈부심을 완화하여 시인성을 개선하는 방현(Anti-glare; AG)필름이 디스플레이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저굴절 물질과 고굴절 물질을 교대로 코팅 및 적층하여 계면 반사과정에서 상쇄간섭을 통해 입사광의 반사율을 낮추는, 반사방지(Anti-reflection; AR)필름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반사방지 필름은 표면경도나 내찰성의 문제로 방현 필름이나 클리어 하드 코팅(Clear Hard Coating; CHC) 필름 위에 추가로 형성해야하기 때문에 제조원가 및 생산성측면에서 불리하며, 일부 고사양의 디스플레이에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은 한 가지 일례로 투명기재 표면에 수 ㎛ 크기의 실리카(이산화규소) 입자 등의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방현 필름은 샌드블라스트, 앰보싱 롤, 화학 식각 등을 이용한 응집성 실리카 등의 입자의 응집에 의해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타입, 코팅 후 방현층을 형성하는 하드코팅제에 막 두께 이상의 입자지름을 갖는 필러를 수지 중에 혼입하여 필러에 의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타입, 또는 층 표면에 요철을 가진 필러를 라미네이트하여 요철형상을 전사하는 타입이 있다. 이들 기술 중 현재 주가 되는 것은, 하드코팅제에 무기 또는 유기 입자가 분산된 수지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타입이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및 무기 입자가 분산된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에 도포하고 건조, 경화시켜 제조하는데, 표면요철은 사용한 입자의 크기나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유기 및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방현 필름은 평균 입경이 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내부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표시 화소가 큰 표면요철의 렌즈역할에 의해 일그러지는 현상인 번쩍거림의 문제점이 생긴다. 반면 평균 입경이 작은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면 번쩍거림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필름 표면에 백화 현상이 생겨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투명성 등의 광학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정적인 입자들의 분산을 위해서는 별도의 밀링 장비를 이용한 밀링 과정을 거치게 되나 수 내지 수십㎛의 크기의 입자들의 코팅 조성물 내 응집 및 침강 문제가 조성물 내 균일한 입자의 분산을 어렵게 하며 실제 코팅 공정 시 각종 결함들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팅층에 포함되는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균일한 분산이 가능한 코팅 공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입자의 표면을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로 처리 하는 것으로 뭉침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은 투명기재 및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로 표면이 처리된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는 전체 입도 분포가 0.5 내지 15㎛이고 평균입도가 3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DBA value가 50±3meq/Kg으로 분산성이 3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팅층 전체 중량 대비 상기 졸-겔 타입의 입자는 3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의 제조방법은 (a)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에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하여 표면처리를 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와 자외선 경화 수지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의 일면에 코팅하는 단계 및 (d) 코팅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은 코팅시 균일한 표면의 요철을 얻을 수 있어 방현 특성이 우수하며, 공정 단축 및 불량 감소에 따른 수율 증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간략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은 투명기재 및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기재는 편광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투명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투명수지 필름, 투명수지시트, 투명수지판, 투명유리 등이 이용된다. 투명기재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 폴리(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메틸펜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3원 공중합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게 수지, 나일론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범용성 및 용도 실적 등의 관점에서 볼 때, 폴리(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고, 액정 용도로서는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통상 1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0㎛이다. 두께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작업성이 양호하고,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기재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기재의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5000㎛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의 또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로서 상기 코팅층을 포함하는데, 상기 투명기재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은,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와 같은 유기 입자 또는 무기 입자와 수지 및 용매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유기 입자로는 통상의 유기계 필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계 필러의 일례로서 스틸렌 비드, 아크릴 비드, 아크릴-스틸렌 비드, 멜라민 비드, 폴리카보네이트 비드, 폴리에틸렌 비드, 염비 비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틸렌 비드, 아크릴 비드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무기 입자로는 통상의 무기계 필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무기계 필러의 일례로서 SiO2, Al-SiO, TiO2, ZrO2, Al2O3, In2O3, SnO2, ITO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인 SiO2를 사용한다.
이 중 무기계 필러인 실리카졸은 그 자체만으로는 졸(Sol) 상태로 안정적으로 분산매인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나, 수지 조성물에 혼합시 분산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졸 입자들 간에 겔화가 일어나게 되고, 상기 겔화에 의해 뭉쳐진 졸 입자들이 기존에 사용되던 필러입자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어 투명기재에 코팅되었을 때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방현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실리카졸의 고형분 농도는 분산매 안에서 15 내지 40wt%가 바람직하다. 실리카졸이 상기 범위 내의 고형분 농도를 갖게 되면, 입자의 침전 및 분산의 불균일로 인한 코팅 후 불량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실리카졸은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코팅층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50중량%, 바림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실리카졸이 코팅층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면 코팅층 표면의 굴곡(요철)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향상된 방현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우수한 표면경도, 표면조도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해 사용되는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는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로 표면이 처리되어 있고 0.5 내지 15㎛의 전체 입도 분포와 3 내지 5㎛의 평균 입도를 가지고 있어 표면의 소수성이 증가하여 균일한 분산성을 가진 코팅층의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디비에이 밸류(디-n-부틸아민의 흡착량)는 50meq/Kg 수준으로 표면의 소수성이 높아 균일한 분산성이 3시간 이상 지속되어 침강 현상을 지연시키며 실리카와 수지에 친화력이 있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입자의 재응집 현상을 억제함으로 안정된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산매인 용매로는 알코올계 용매가 바람직한데, 상기 알코올계 용매로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용매의 일례로서 이소프로필알콜, 이소부틸알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초산에틸, 초산엔부틸, 시클로헥사논, n-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알콜을 사용하며, 코팅층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코팅층에 포함되는 수지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투광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반투명 또는 불투명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의 일례로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산의 자외선(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1종 이상의 반응성(중합성, 비중합성) 올리고머 또는 1종 이상의 반응성 모노머(단관능, 다관능)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반응성 올리고머와 반응성 모노머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전체 올리고머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 대비 0.1 내지 99.9중량부, 전체 모노머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 대비 0.1 내지 99.9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대하여 코팅층 전체 중량 대비 15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는 반응성 관능기로서 아크릴기, 메타아크릴기, 아릴기, 비닐기 등의 불포화기 및 에폭시기와 같은 치환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화학구조에 따른 상용화된 유형으로 분리하자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각각의 구조의 아크릴레이트기를 앞서 언급한 반응성기로 대체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1종씩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모노머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실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실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텐옥시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박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시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변성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변성디펜타에리스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또한 각각 1종씩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수지, 요소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부티랄계, 셀룰로오스계 및 비닐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0.01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층에는 추가의 성분으로서, 광분해형 또는 열분해형 중합개시제,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침강방지제, 광증감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물성 조절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필름 제조시 휘발되지 않은 잔여 용매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경우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코팅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방지 필름은 필요에 따라 투명기재의 이면, 투명기재와 코팅층의 사이, 또는 코팅층의 이면에 원하는 기능층, 예를 들면, 점착제층, 자외선 흡수층, 적외선 흡수층, 반사 방지층, 연질(내충격)층, 하드코팅층, 도전층, 대전방지층, 단열층, 반사층, 프라이머층, 저굴절율층, 고굴절율층 등의 각 층을 추가적으로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 하나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은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에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하여 표면을 처리한 후 자외선 경화형 수지 화합물과 용매를 첨가하여 코팅 조성물을 만들고, 상기 코팅 조성물을 미리 준비된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하여 경화시켜 코팅층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a)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에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하여 표면처리를 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와 자외선 경화 수지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의 일면에 코팅하는 단계 및
(d) 코팅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될 것이다.
실시예 1: 방현 필름용 코팅층의 제조
0.5 내지 15㎛의 전체 입도 분포와 3 내지 5㎛의 평균 입도를 갖는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에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하여 표면 처리를 한 후 상기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및 이소프로필알콜을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 후 폴리(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일면에 도포하고 300 내지 700 mJ/㎤의 광량을 가지는 자외선을 약 30초 내지 10분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고 50 내지 100℃에서 5초 내지 10분간 건조시켜 방현 필름용 코팅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전체 입도 분포와 평균 입도의 차이에 따른 방현 필름용 코팅층의 제조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전체 입도 분포와 평균 입도의 차이에 따른 방현 필름용 코팅층의 성질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팅층 중 전체 입도 분포와 평균 입도를 변화시켜 각 성분이 하기 표 1의 특성을 가지도록 방현 필름용 코팅층을 제조하였다.
전체 입도 분포(㎛) 평균 입도(㎛)
실시예 2 0.5~15 3
실시예 3 0.5~15 4
실시예 4 0.5~15 5
비교예 1 0.3~20 2
비교예 2 0.3~20 4
비교예 3 0.3~20 7
비교예 4 0.3~20 2
비교예 5 0.3~20 4
비교예 6 0.3~20 7
비교예 1-6 :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전체 입도 분포와 평균 입도의 차이에 따른 비교
상기 실시예 2 내지 4의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전체 입도 분포와 평균 입도의 차이에 따른 방현 필름용 코팅층을 비교하기 위하여 코팅층 중 실리카 입자와 전체 입도 분포의 범위가 벗어난 코팅층을 상기의 표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2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물성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헤이즈(Haze) 및 투과율 : 무라카미사의 HM-150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2) 키라츠키(화면 번쩍거림) : 모니터에 방현 필름을 붙이고, 육안으로 화면 셀의 뭉개짐을 확인하였다.(양호: 0 내지 5개, 약: 5 내지 20개, 중: 20 내지 50개, 강: 50개 이상)
(3) 디비에이 밸류는 수산기에 흡착되는 디-부틸아민의 흡착량이다.
코팅층 두께(㎛) 헤이즈(%) 카라츠키 투과율(%) 디비에이 밸류(meq/Kg)
실시예 2 80.5 10 양호 92.2 48
실시예 3 89.2 13 양호 91.7 49
실시예 4 91.1 15 양호 90.4 51
비교예 1 72.0 8 양호 85.2 45
비교예 2 85.3 11 양호 84.7 46
비교예 3 87.4 12 양호 82.1 46
비교예 4 86.7 5 91.8 59
비교예 5 89.3 8 92.4 57
비교예 6 95.8 10 94.0 55
실시예 2 내지 4는 적정한 코팅층 두께와 헤이즈, 투과율, 디비에이 밸류 및 키라츠키를 나타내었지만, 비교예 1 내지 3은 입자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 카라츠키는 양호하였지만 투과율과 디비에이값이 너무 낮았고, 비교예 4 내지 6은 입자간의 간격이 너무 넓게 형성되어 투과율은 적정한 값을 보였지만, 나머지 키라츠키나 디비에이 밸류가 실시예 2 내지 4 보다 높았다.
1 : 투명기재
2 : 코팅층
3 : 요철(요홈)
4 :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

Claims (4)

  1.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로 표면이 처리된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는 전체입도 분포가 0.5 내지 15㎛이고 평균입도가 3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졸-겔 타입의 실리카 입자의 디비에이 밸류가 503meq/Kg으로 분산성이 3시간이상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69015A 2013-12-31 2013-12-31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1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15A KR101518874B1 (ko) 2013-12-31 2013-12-31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15A KR101518874B1 (ko) 2013-12-31 2013-12-31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874B1 true KR101518874B1 (ko) 2015-05-11

Family

ID=5339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15A KR101518874B1 (ko) 2013-12-31 2013-12-31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270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리어 필름
WO2019245894A1 (en) * 2018-06-20 2019-12-2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film with anti-reflective coa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518A (ja) * 1995-07-27 1997-04-15 Canon Inc 液晶表示装置及び反射防止膜、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60052205A (ko) * 2004-10-13 2006-05-1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반사 방지막, 반사 방지막 형성용 코팅제 조성물 및 반사방지막을 구비한 물품
KR20100038170A (ko) * 2007-06-26 2010-04-13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상 유기 폴리머-실리콘 화합물 복합 입자, 중공 입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2010097005A (ja) * 2008-10-17 2010-04-30 Konica Minolta Opto Inc 反射防止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518A (ja) * 1995-07-27 1997-04-15 Canon Inc 液晶表示装置及び反射防止膜、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60052205A (ko) * 2004-10-13 2006-05-1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반사 방지막, 반사 방지막 형성용 코팅제 조성물 및 반사방지막을 구비한 물품
KR20100038170A (ko) * 2007-06-26 2010-04-13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상 유기 폴리머-실리콘 화합물 복합 입자, 중공 입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2010097005A (ja) * 2008-10-17 2010-04-30 Konica Minolta Opto Inc 反射防止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270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리어 필름
KR102141632B1 (ko) 2017-11-28 2020-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리어 필름
WO2019245894A1 (en) * 2018-06-20 2019-12-2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film with anti-reflective coating
CN112334549A (zh) * 2018-06-20 2021-02-05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具有抗反射涂层的复合膜
US11584856B2 (en) 2018-06-20 2023-02-2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film with anti-reflective coating
US11840642B2 (en) 2018-06-20 2023-12-1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film with anti-reflective co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5337B1 (ja)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US8795823B2 (en)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520205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US8220940B2 (en) Antiglare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808128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662483B2 (en) Optical laminate
US7585560B2 (en) Optical laminate
KR101192387B1 (ko) 광학적층체
US20090059408A1 (en) Optical layered product
KR101518874B1 (ko) 방현 특성이 개선된 반사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US20060134427A1 (en) Optical laminate
KR20200034616A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084029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タッチパネル基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492778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136713A1 (en) Optical layered product
KR20170097365A (ko) 시인성 및 광특성이 우수한 모니터용 반사방지 필름
KR20170090679A (ko) 투과선명도가 우수한 저헤이즈 반사방지필름
KR20170080092A (ko) 표면 요철 제어가 가능한 반사방지 필름
KR20170080089A (ko) 표면 요철 제어가 가능한 반사방지 필름
KR20170090852A (ko)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Carboxy Methyl Cellulose, CMC)를 적용한 TV용 저 헤이즈 반사방지 필름
KR20240057358A (ko) 시인성이 향상된 방현 필름
KR20170097364A (ko) 시인성 및 광특성이 우수한 모니터용 반사방지 필름
KR20160150334A (ko) 시인성 및 방현성 조절이 용이한 반사방지필름
KR101574850B1 (ko) 방현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