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221B1 -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221B1
KR101518221B1 KR1020107017636A KR20107017636A KR101518221B1 KR 101518221 B1 KR101518221 B1 KR 101518221B1 KR 1020107017636 A KR1020107017636 A KR 1020107017636A KR 20107017636 A KR20107017636 A KR 20107017636A KR 101518221 B1 KR101518221 B1 KR 10151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access device
control unit
battery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600A (ko
Inventor
리차드 매튜 밀러-스미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11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드캐스팅된 신호가 데이터를 현재 수집하는 마스터 디바이스(30)에 의해 송신되고 현재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대안적인 액세스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수집 제어의 핸드오버가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개시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복수의 센서들(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들 및 액세스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핸드오버 요청 신호는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수신되고, 핸드오버 응답은 핸드오버 요청 신호의 소스 디바이스로 시그널링되고, 핸드오버 응답은 데이터 수집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되는 시간을 표시한다. 이로써, 마스터 디바이스가 현재의 환경적인 조건들에 기초하여 유연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HANDOVER MECHANISM FOR SENSOR NETWORKS}
본 발명은 신체 센서 네트워크(body sensor network)들과 같은 센서 네트워크들에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액세스 디바이스들 및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들에 관한 것이지만, 상기 네트워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장시간에 걸쳐, 및 일상 생활 동안 사람으로부터 의료 정보를 수집하는 장점들이 오래 예측되었다. 최근에, 많은 리서치 그룹들이 신체 센서 네트워크(BSN)들을 조사하고 있다. 이 네트워크들은 신체 주위 또는 심지어 신체 내에 배치되고, 디지털 무선 링크(digital radio link)를 통하여 자신들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수의 센서들 또는 감지 디바이스들 또는 감지 노드(sensing node)들의 네트워크들이다. 따라서, 각각의 센서는 가능한 한 개별적이고 소형이어야 한다.
'저-전력' 네트워크들을 위한 프로토콜들이도록 의도되므로, BSN들에 적합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토콜들이 현재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들의 예들은 "Part 15.4: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for Low-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LR-WPANs)", IEEE Std 802.15.4-2006, 및 Wei Ye 등의 "S-MAC: An Energy-Efficient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에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네트워크들의 디자인(design)은 특히, 네트워크 상의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이 단지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이들 판독물(reading)들을 단일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있는 경우에, 매우 저 전력 디바이스들에서 최적이 아닐 수 있다.
BSN는 본성상,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이고, 예를 들면, 신체 상에 착용(wearing)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센서 노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또한 신체 상에 착용될 수 있는 액세스 디바이스 또는 '대조(collating)'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 휴대용 디바이스가 특정 영역들에서, 예를 들면, BSN을 착용한 사람이 집에 있는 동안, 벗겨질 수 있는 경우가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배터리 이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정된, 예를 들면, 주전원 구동의(mains-powered)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인수할 수 있는 경우가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센서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더 유연한 데이터 수집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들 제 1 항 및 제 7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액세스 디바이스, 및 청구항들 제 12 항 및 제 13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집 제어가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또 다른 디바이스로 핸드-오버(hand-over)될 수 있는 '핸드오버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데이터 수집 제어가 특정 영역들에서 영구적 전원(permanent power supply)에 접속되는 고정되고 주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더구나, 데이터 수집 제어가 고정된 디바이스로 핸드오버되었을 때, 휴대용 디바이스의 배터리 이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제안된 해결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핸드오버 제어 유닛 또는 기능성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 신호, 예를 들면, 비콘 전송들(beacon transmissions)의 다수의 연속적인 손실 인스턴스(missing instance)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자신의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여 디바이스 자신에 의해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브로드캐스팅된 신호가 일시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들에서 순시적 이머전시 인수 메커니즘(instantaneous emergency takeover mechanism)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핸드오버 제어 유닛 또는 기능성은 검출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의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높은 경우에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마스터 디바이스(master device)에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비-순시적 인수 옵션은 요청하는 디바이스로 할당된 우선순위(priority)가 마스터 디바이스로 할당된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경우들에 적합하다. 옵션(option)으로서, 액세스 디바이스 및 마스터 디바이스 둘 모두의 핸드오버 제어 유닛 또는 기능성은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낮아지는 경우에 핸드오버 중단 신호를 다른 단(end)에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중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 수집 제어가 열등한 수신 품질을 갖는 디바이스로 핸드오버되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특정 예에서, 핸드오버 제어 유닛 또는 기능성은 검출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에 기초하여 마스터 디바이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 및 결정된 우선순위가 액세스 디바이스에 할당된 우선순위보다 더 낮은 경우에,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마스터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품질들이 감소되는 경우에 업-우선순위 인수(up-priority takeover)가 개시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결정된 품질은 핸드오버 요청 신호에서 시그널링(signaling)될 수 있다.
더욱이, 마스터 기능을 갖는 액세스 디바이스의 핸드오버 제어 유닛은 자신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계속 제어할 다수의 프레임들을 시그널링함으로써 타이밍(timing)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시그널링된 수에 기초하여, 시그널링 부하가 낮게 유지되면서, 인수 프로세스가 동기화될 수 있다.
게다가, 마스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 제어 유닛은 핸드오버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브로드캐스팅된 신호에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제어 정보는 핸드오버가 임박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매저(measure)는 다른 액세스 디바이스들이 임의의 진행중인 핸드오버 프로세스에 관해 통지받는 것을 보증한다.
더구나, 마스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 제어 유닛은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가장 높은 결정된 우선순위를 갖는 소스 디바이스로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우선순위-기반 선택은 데이터 수집 제어가 가장 높은 할당된 우선순위에 따라 액세스 또는 대조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되는 것을 보증한다.
부가적인 유용한 실시예들이 이하에 규정된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센서 네트워크 및 대조 디바이스들을 갖는 개략적인 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예시적인 수퍼프레임 구조(super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데이터의 일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우선순위 핸드오버 절차의 개략적인 시그널링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우선순위 핸드오버 절차(down-priority handover precedure)의 개략적인 시그널링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일례로서 BSN 시스템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감지 노드(10)가 부착될 수 있는 신체 상의 적은 수의 위치들을 갖는 BSN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노드(10)는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센서 요소들(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 주위에 위치된 노드들(10) 이외에, BSN 시스템은 노드들(10)로부터 신호들 또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중앙 서버(도시되지 않음)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또는 대조 디바이스들(20, 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 배열에서, 모바일 액세스 또는 대조 디바이스(20)는 신체 상의 어딘가에(예를 들면, 허리띠 상에) 착용되도록 구성되고/구성되거나, 대안적으로, 어쨌든 휴대되는 모바일 전화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된 액세스 또는 대조 디바이스(30)는 주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이용자가 그 부근에 위치되는 동안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특정 영역들(가령 집, 예를 들면, 라운지 및 침실)에 위치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들의 센서들 예를 들면, 자신이 부착되는 신체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노드들(10)에 제공될 수 있다. 사람은 몸통 및 팔다리들 둘 모두 상에서 신체 상/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착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혈액의 '적색도(redness)'를 검출함으로써 피부를 통해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혈액의 산소 포화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센서가 착용자의 액티비티 레벨 및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하여 착용될 수 있다. 이것이 또한 현재 액티비티(앉기, 걷기, 뛰기, 등)이 추론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리서치를 통해 제시되었다. 또 다른 센서가 심장에 걸친 피부에서 차동 전압을 판독함으로써 심장 박동들로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센서는 종래의 '커프' 메커니즘('cuff' mechanism)을 이용하거나, 심장박동과 팔다리에서의 펄스의 도착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호흡 및 기침들의 레이트(rate), 취해진 다수의 걸음들(보수계(pedometer)), 혈압을 검출할 수 있다.
BSN 노드들(10)은 매우 작아야 하고, 가능한 경우에, 유연하고 착용하기 편안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 전자장치들 및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류 센서들의 거대한 치수들에 대한 이유는 전원이다. 전원은 통상적으로 어떤 유형의 시계 배터리(watch battery), 은-아연 버튼 셀(silver-zinc button cell) 또는 평활한 동전-형상의 리튬 셀(flat coin-shaped lithium cell)이다. 이와 같은 배터리들은 낮은 용량 및 도출될 수 있는 피크 전류(peak current)에 대한 제한 둘 모두를 갖는다. 무선 회로의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RC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BSN 시스템은 BSN 노드들(10)로부터의 송신들을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필요로 한다. 시스템을 제어하고, 디바이스들에서의 설정(setting)들을 변화시키거나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필요가 또한 있을 수 있다.
이들 태스크(task)들은 (모바일 전화와 같은 디바이스에 임베딩(embedding)될 수 있는)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대조 디바이스(20)는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배터리들은 적당한 용량을 가져야 하고, 교체 또는 재충전하기 용이해야 한다.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거실, 침실 또는 직장과 같은) 이용자가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영역들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아마도 주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것이거나, 장기간 동안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 배터리를 가질 것이다.
대조 디바이스들(20, 30)은 BSN 노드들(10)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BSN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대조 디바이스들(20, 30)은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거나, (나중의 업로딩을 위해) 이를 저장하거나, 이를 (예를 들면, 광대역 또는 GSM 링크를 통하여) 중앙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BSN 시스템 내에서의 신호 송신을 위한 일 예시적인 수퍼프레임 구조 예를 도시한다. 시간은 데이터 수집 제어 및 다른 네트워크 제어 기능들이 할당되었던 대조 디바이스인, 현재의 마스터 대조 디바이스(master collating device; MCD)에 의해 비콘 슬롯 동안 송신되는 비콘에서 각각 시작하는 '수퍼프레임들'로 분할된다. 단일 채널 상에서 다수의 네트워크들 사이의 충돌들을 피하기 위하여, 수퍼프레임들은 가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퍼프레임은 다수의 영역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영역은 무선 채널이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10) 중 하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슬롯' 및 브로드캐스트가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노드(10)에 의해 행해지지 않을 데드 타임(dead time)의 기간으로 이루어진다. 영역들/슬롯들의 수 및 슬롯 대 데드 타임의 비는 이용 중인 네트워크 구성에 따른다.
제 1 슬롯은 수퍼프레임의 시작부를 표시하는 비콘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하여 항상 현재의 MCD에 의해 이용된다. 비콘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한 타이밍 마스터의 역할을 한다. 이하에 탐구되는 바와 같이, 비콘은 실제로 디바이스들이 장기간들 동안 슬립(sleep)하도록 하는 다수의 부분들로 이루어지지만, 웨이킹(waking) 이후에 네트워크와의 재동기화 시에 여전히 신뢰적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구성 및 상태 정보가 비콘 슬롯 내에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제 1 슬롯은 가변 길이를 가질 수 있고(따라서, 각각의 수퍼프레임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이는 동일한 채널 상의 다수의 네트워크들이 자신들 사이에서 항상 변경되는 위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슬롯의 길이는 비콘으로부터 추출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및 BSN 아이덴티티(ID)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으로부터 도출된다.
다른 슬롯들은 MCD 예를 들면, 도 1의 가변 또는 고정 대조 디바이스들(20, 30) 및 노드들(10)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교환에 이용된다.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슬롯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만이 송신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송신들의 근원이 되는 송신 프로토콜은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레벨에서 이용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고, 근원적인 물리적 무선 데이터 링크에 대해 불가지론적일 수 있다.
도 3은 각각의 수퍼프레임의 시작부에서 송신되는 비콘 데이터를 갖는 비콘 프레임의 일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각각의 비콘 프레임 내에서, 수퍼프레임 시퀀스 번호(superframe sequence number; SFSN)가 제공되는데, 이는 특정 수의 비트들(예를 들면, 7 비트)로 제한될 것이다. 수퍼프레임 시퀀스 번호의 값은 시퀀스 번호가 제로(zero)로 랩 어라운드(wrap around)될 때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연속적인 수퍼프레임에서 1씩 증가할 것이다. 각각의 수퍼프레임 내에서, 이 시퀀스 번호는 어느 디바이스가 각각의 슬롯에 할당되는지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비콘은 비콘 슬롯에서 송신된다. 비콘은 현재 수퍼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 이것은 비콘 데이터 내에 모두 포함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콘은 이 데이터를 다수 회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유형 정보는 프레임이 비콘 프레임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값은 모든 비콘 프레임들에 대해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BSN ID는 동일한 채널 상에서 상이한 네트워크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BSN ID는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구별하는데 적합한 길이, 아마도 16 비트 정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수퍼프레임 시퀀스 번호는 또한 디바이스가 정확한 네트워크에 부착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슬롯 수신확인(ACK)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이전 수퍼프레임의 대응하는 슬롯 내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정확하게 수신되었던 경우에 비트들이 1로 설정되는 비트필드(bitfield) 또는 플래그(flag)(예를 들면, 슬롯 당 1 비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MCD가 대응하는 슬롯 내에서 프레임을 송신하려고 하고 있는 경우에 비트들이 1로 설정되는 슬롯 프레임 펜딩 비트필드(slot frame pending bitfield)(예를 들면, 슬롯 당 1 비트)가 제공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어떤 수퍼프레임 제어 및 상태 필드들이 본원에서 논의되지 않는 선택적인 필드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슬롯 ACK 및 슬롯 프레임 펜딩 필드들이 또한 선택적일 수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가 수퍼프레임이 송신에만 이용되는지 또는 수신에만 이용되는지의 여부를 시퀀스 번호 및 네트워크의 이의 정보로부터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만 그러하다.
노드들(10)은 장기간들 동안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므로, 모든 수퍼프레임의 비콘에 대해 리스닝(listening)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그 대신에, 다수의 수퍼프레임 기간들 동안 저-전력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저-전력 상태에서 동안, 노드(10)는 정확한 타이밍 소스(timing source)가 이 상태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수퍼프레임의 비콘 송신의 정확한 타이밍과의 동기화를 루즈(loose)하게 할 수 있다. 노드가 어웨이킹(awaking)되어 비콘에 대해 리스닝할 때, 노드는 너무 늦게 웨이킹되어, 비콘 데이터의 부분 또는 모두를 손실할 수 있거나, 너무 빨리 웨이킹되어, 필요한 것보다 더 길게 리스닝할 수 있다(그러므로, 더 많은 전력을 이용한다). 이들 문제점들은 비콘 데이터 패킷들에 임베딩된 비콘 데이터의 다수의 반복들로 이루어지는 비콘에 의해 해결된다. 노드들(10)은 비콘 데이터의 단일 카피(copy) - 통상적으로 중앙 패킷에서의 카피를 수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예를 들면, 데이터가 5회 반복되는 경우에, 노드는 3번째 카피를 히어링(hearing)하는 것을 목포로 할 것이다). 그 후, 노드가 빨리 또는 늦게 웨이킹되는 경우에, 비콘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는 확률이 훨씬 더 높다. 더구나, 비콘 데이터 패킷의 각각의 카피의 시작부가 식별되고, 이 시작부의 수신이 적절하게 타이밍되는 경우에, 비콘 송신의 원래 타이밍이 용이하게 재구성될 수 있고, 현재 및 미래 수퍼프레임들에서 동기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비콘 데이터의 다수의 송신들은 또한 많은 량의 에러 복원을 제공한다. 노드(10)는 (예를 들면, 주기적 리던던시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또는 또 다른 에러 검사에 의하여) 수신된 비콘 데이터가 손상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지만, 충분히 정확한 비콘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때까지 송신된 비콘 데이터 패킷들을 지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MCD가 자신에게 어드레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현재 네트워크 상의 노드가 아닌 디바이스에 의해 어소시에이션 명령(association command)이 이용될 수 있다. 어소시에이션 요청은 디바이스가 조인(join)하기를 희망하는 네트워크의 BSN ID, (예를 들면, 64-비트 IEEE 어드레스일 수 있는) 노드(10)의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디바이스가 대조 디바이스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단일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10)의 필요한 대역폭 및 레이턴시 요건들(latency requirements)표시하는 다수의 필드들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명령이 MCD에 의해 수신될 때, MCD는 디바이스에 어드레스를 할당하도록 시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구성 설정들과 함께, 이 정보를 이용해야 한다. 네트워크가 필요한 레이턴시 및 대역폭을 지원할 수 없는 경우에, 어소시에이션 응답은 에러 코드(error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필요한 대기시간 및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지만, 모든 어드레스들이 이용중인 경우에, 또 다른 유형의 에러 코드가 이용될 수 있다. 자신이 더 적은 요건들을 갖는 네트워크에 상에 어소시에이션을 요청하기를 희망하는지의 여부는 조이닝 디바이스(joining device)에 달려있다. 어소시에이션 응답이 어소시에이션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며, 여기서, 에러 코드는 성공적인 요청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어소시에이션 응답은 또한 어소시에이션 명령에 포함되었던 BSN ID 및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수 또는 핸드오버 메커니즘이 제공되어, MCD가 변화될 수 있다. 이 변화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로부터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로 행해질 수 있다.
이제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가 현재 MCD라고 가정된다. 제안된 핸드오버 메커니즘은 대조 디바이스들이 변화되어야 하는 경우에, 현재 이용에 더 적합한 대조 디바이스들(20, 30)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구나, 제안된 핸드오버 메커니즘은 현재 MCD로/로부터의 신호 품질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대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인수할 수 있는 것을 보증한다. 이것은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를 착용한 사람이 고정된 MCD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다음에서, 대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인수하는 2개의 메커니즘들이 각각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제 1 실시예는 현재의 MCD 및 새로운 MCD 사이에 서로 동의되는 '핸드오버'이다 - 이것은 착용자가 상대적으로 정적인 것(예를 들면, 빈번하게 룸(room)으로 걸어들어오거나 걸어나가지 않는 것)을 보증해야 하는 시간 기간에 걸쳐 행해진다. 제 2 메커니즘, 즉, MCD 개시 또는 네트워크 인수는 잠재적인 CD가 비콘을 검출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데이터의 대조를 지속하도록 빨리 진입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된다.
실시예들에서, 우선순위 레벨이 각각의 대조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 MCD이어야 하는지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CD에 제공된 우선순위 값은 디바이스의 전원의 케이퍼빌리티(capability)들, 최대 무선 송신 전력 및 대조 디바이스의 무선 수신기의 감도(sensitivity)에 기초할 수 있다. 물론, 다른 파라미터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이진 수(예를 들면, 6비트, 그러나, 길이가 또한 변경될 수 있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일부 예시적 우선순위들을 나타낸다:
CD 디스크립션(discription) 우선순위
작고, 경량의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 작은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표준 무선, 단일 에어리얼(aerial) 10
모바일 전화 크기의 디바이스. 더 큰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표준 무선, 안테나 다이버시티(antenna diversity) 20
주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 높은 감도 무선, 단일 에어리얼 40
주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 높은 감도 무선, 안테나 다이버시티 50
핸드오버 가능한 네트워크에서, MCD는 도 2의 상기 비콘 슬롯 구조의 상태 기간 및 네트워크 구성에서의 MCD 상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 MCD 상태는 (아마도 MCD 배터리 레벨과 같은 다른 정보와 함께) 현재의 MCD의 우선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로부터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로의 핸드오버 절차의 시그널링도를 도시한다.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지속적으로 네트워크(특정 BSN ID)를 리스닝하고, 네트워크와 동기화하도록 노력할 수 있다. 일단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동기화되었다면,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는 현재의 비콘 및 MCD 기능성을 갖는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에 의해 송신된 MCD 상태 패킷 둘 모두에 대해 리스닝할 것이다.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의 우선순위가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현재의 MCD)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고, 비콘 수퍼프레임 상태 및 제어 필드들에서의 MCD 비트가 (지금, 다른 핸드오버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로인 경우에,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업-우선순위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비-순시적이도록 디자인되는데, 즉, 핸드오버 프로세스는 동작되는데 어떤 시간을 필요로 하며, 양 방향들에서의 무선 신호 품질이 프로세스 전체에 걸쳐 모니터링(monitoring)된다. 이것은 특히 사람이 이동적이고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를 지나서 걷고 있을 때, 핸드오버들의 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가 네트워크와 어소시에이팅(associating)되지 않은 경우에,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최소 레벨 및 하나의 비율로 네트워크와 어소시에이팅되어야 한다.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비콘의 신호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신호 품질이 특정 임계값 위인 경우에, 단계 1에서 MCD(즉,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로 핸드오버 명령 또는 요청을 전송한다.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는 자신이 계류중인 다른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요청을 프로세싱하고, 단계 2에서, 자신이 MCD로 유지되는 한 자신이 송신하는 비콘의 수퍼프레임 상태 및 제어 필드에서의 MCD 비트를 설정한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는 단계 3에서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로 핸드오버 카운트다운 응답(handover countdown reply)을 리턴시킨다.
핸드오버 카운트다운 응답은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가 MCD로 유지될 수퍼프레임들의 수(즉, 핸드오버의 포인트 또는 타이밍까지의 카운트다운)을 나타내는 넘버(number)(NST)를 포함한다. 이 응답의 수신에 응답하여,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단계 4에서 수신확인(ACK)을 전송한다.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는 핸드오버 이전에 각각의 할당된 슬롯에서 이와 같은 핸드오버 카운트다운 응답 또는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고,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그 후에, 각각의 카운트다운 응답 프레임을 수신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핸드오버 이전의 임의의 시간에, 현재의 MCD(즉,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가 신호 품질이 임계값 아래로 진행하였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현재의 MCD는 핸드오버 중단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퍼프레임 상태 및 제어 필드에서의 MCD 비트를 클리어링(clearing)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중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이전의 임의의 시간에,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가 신호 품질이 임계값보다 더 낮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는 핸드오버 중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는 자신이 수신확인을 수신하거나, 비콘 프레임에서의 MCD 비트가 제로로 가거나, 신호가 완전히 손실될 때까지 이 프레임을 계속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에서,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비콘 프레임들을 카운팅(counting)하고, 핸드오버의 포인트에서, 단계 6에서 MCD로서의 역할을 인수하고, 단계 7에서 이제 비콘들을 송신하기 시작할 것이다.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는 (원래 자신으로 할당된 어드레스를 갖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가 된다. 데이터가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와 새로운 MCD(즉,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 사이에서 전송되지 않고,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가 네트워크가 자신으로 반환되도록 하는 것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는 (비콘들에 대해 여전히 리스닝하면서)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착용가능한 휴대용 대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이 유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MCD의 역할을 다시 인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로부터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로의 핸드오버 절차의 시그널링도를 도시한다.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로의 이와 같은 핸드오버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를 착용하면서,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발생한다. 이것은 핸드오버 프로세스가 신호 품질의 감소에 의해 개시되어야 하고, 프로세스가 가능한 한 적은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빨리 발생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CD가 아니라,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가 네트워크 상에 어소시에이팅된다는 것이 가정된다. 도 5의 단계 1에서,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 및 네트워크 상에 현재 어소시에이팅된 다른 모든 대조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가능한 다른 대조 디바이스들)이 (이제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인) MCD에 의해 송신된 비콘들의 신호 품질을 모니터링한다. 신호 품질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는 단계 2에서 핸드오버 요청(예를 들면, 핸드오버 임박 명령)을 MCD로 송신한다. 이 핸드오버 요청은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에서의 신호 품질(SQ)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CD(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노드들(10)로의, 및 노드들(10)로부터의 신호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임의의 핸드오버 요청을 포함하는,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프레임들의 신호 품질을 또한 모니터링할 수 있다.
MCD(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에 의해 모니터링된 신호 품질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 MCD는 단계 3에서 비콘의 수퍼프레임 제어 및 상태 필드에서의 MCD 비트를 설정하고, 단계 4에서 요청하는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또는 네트워크 상에 어소시에이팅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임의의 다른 대조 디바이스)로 카운트다운 명령을 전송한다. 카운트다운 명령은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가 MCD로 유지될 수퍼프레임들의 수를 표시하는 값(NSF)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된 값은 고정일 수 있거나, 현재의 신호 품질 또는 신호 품질의 변화에 따를 수 있다.
단계 5에서,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는 다음 할당된 시간 슬롯에서 카운트다운 명령을 수신확인한다. 부가적인 핸드오버 카운트다운 명령들이 핸드오버의 포인트까지 다음 할당된 시간 슬롯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들 명령들은 각각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에 의해 수신확인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핸드오버 이전의 임의의 시간에, 현재의 MCD가 신호 품질이 임계값 위로 되돌아갔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현재의 MCD는 핸드오버 중단 프레임을 전송하고 비콘의 수퍼프레임 상태 및 제어 필드에서의 MCD 비트를 클리어링 또는 리셋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중단할 것이다.
추가적인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이전의 임의의 시간에,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가 신호 품질이 임계값보다 더 낮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는 핸드오버 중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는 자신이 수신확인을 수신하거나, MCD 비트가 제로로 가거나, 신호가 완전히 손실될 때까지 이 프레임을 계속 전송해야 한다.
모바일 대조 디바이스(20)는 단계 6에서 비콘 프레임들을 카운팅하고, 핸드오버의 포인트에서, 단계 7에서 MCD로서의 역할을 인수하고, 단계 8에서 비콘들을 송신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가 이제 (원래 자신으로 할당된 어드레스를 갖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가 된다. 데이터가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와 새로운 MCD 사이에서 전송되지 않고,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가 네트워크가 자신으로 반환되도록 하는 것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그러나, 비콘들에 대해 여전히 리스닝할 수 있다).
그러나, 대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상에 노드로서 어소시에이팅되지 않는 경우에, 현재의 MCD는 빨리 어소시에이팅하도록 임의의 가능한 디바이스를 끌어당길 필요가 있다. 이것은 비콘의 수퍼프레임 상태 및 제어 필드의 선택적인 'CD Attract' 비트를 설정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 비트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신호 품질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 설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대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로 할당될 때, 도 5의 상기 프로세스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서, MCD 이머전시 인수 경우가 설명된다. 여기서, MCD가 아닌 대조 디바이스는 현재의 MCD로부터 송신된 비콘들에 대해 리스닝한다. 갑자기, MCD는 (예를 들면, 정전으로 인하여) 다수의 수퍼프레임들 동안 비콘 송신을 중단한다. 이 문제는 이용가능한 대조 디바이스들이 MCD로부터 비콘들을 리스닝하도록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고, 임계값보다 더 많은 M개의 연속적인 비콘들이 히어링되지 않을 때, 각각의 대조 디바이스가 MCD 이머전시 인수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손실 비콘들을 검출하였던 관련된 대조 디바이스는 특정 수, N개의 수퍼프레임들을 대기한다. N의 값은 관련된 대조 디바이스의 우선순위에 따르는데, 예를 들면,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N의 값이 더 낮아진다. 이것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대조 디바이스가 먼저 비콘을 송신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것을 보증한다. 이 대기 기간 이후에, 관련된 대조 디바이스는 비콘들을 송신하기 시작하고, 원래 비콘 송신과 (가능한 한) 동기화된다.
도 6은 도 1의 모바일 또는 고정된 대조 디바이스들(20, 30)과 같은 대조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송수신기 유닛(TRX)(38)이 네트워크로/로부터 무선 주파수(RF)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비콘이 비콘 검출기(35)에서 검출되거나 모니터링될 때, 품질 및 우선순위 정보가 얻어지고 핸드오버 제어 기능성 또는 유닛(34)에 전달된다. 추가적으로, 우선순위 설정 기능성 또는 유닛(32)이 이용자 또는 네트워크가 대조 디바이스에 할당되었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수신된 신호 품질 및 수신된 비콘에서 시그널링된 우선순위 사이의 비교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도 4 및 도 5의 시그널링도들 및 상이한 시나리오들에 대한 가능한 핸드오버 메커니즘들의 상기의 설명에 따라 핸드오버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비콘 생성 기능 및 생성기 유닛(36)이 도 6의 대조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생성기 유닛(36)은 예를 들면, 도 3에 따라 비콘들을 생성하고, 이들 비콘들을 네트워크 내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하여 TRX(38)에 전달한다.
그러나, 도 6의 구성이 단지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라는 점이 주의된다. 등가의 셋업(setup)이 또한 상이한 구축 블록들로 또는 아날로그-대-디지털(A/D) 변환 이후에, 디지털 도메인에서 성취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 루틴(software routine)들에 기초하여 또한 성취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많은 도메인들에서 신체-결합된 또는 신체-기반 시스템들에서, 또는 센서 데이터가 상이한 고정된 또는 모바일 위치들에서 수집될 수 있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요약하면, 브로드캐스팅된 신호가 데이터를 현재 수집하는 마스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현재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대안적인 액세스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수집 제어의 핸드오버가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개시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복수의 센서들(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들 및 액세스 디바이스들이 설명되었다. 핸드오버 요청 신호는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수신되고, 핸드오버 응답은 핸드오버 요청 신호의 소스 디바이스로 시그널링되며, 핸드오버 응답은 데이터 수집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되는 시간을 표시한다. 이로써, 마스터 디바이스가 현재의 환경적인 조건들에 기초하여 유연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면들 및 상기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 및 기술되었지만, 이와 같은 설명 및 기술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이거나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를 판독하는 것으로부터, 다른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와 같은 수정들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이미 기술된 특징들 대신에, 또는 특징들 이외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화들이 도면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연구로부터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 및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단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소자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부정관사("a" 또는 "an")는 복수의 소자들 및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스 또는 다른 유닛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루틴들에 기초하여, 도 6의 블록들(32, 34, 35 및 36)의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다른 하드웨어와 함께 또는 다른 하드웨어의 부분으로서 공급된 광 저장 매체 또는 고체-상태 매체와 같은, 적합한 매체 상에 저장/분배될 수 있지만, 인터넷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들을 통한 것과 같은, 다른 형태들로 또한 분배될 수 있다. 특정 매저들이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매저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표시하지는 않는다. 청구항들에서의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10: 감지 노드 20, 30: 대조 디바이스
34: 핸드오버 제어 유닛 35: 비콘 검출기
36: 생성기 유닛 38: 송수신기 유닛

Claims (15)

  1.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복수의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주전원 구동의(mains-powered) 액세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배터리 구동의(battery-powered)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의 브로드캐스팅 신호(broadcast signal)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35);
    - 상기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가 상기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의 근처에 있음을 결정하는 상기 검출기(35)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수집 제어의 핸드오버(handover)를 개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을 포함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의 연속적인 손실 인스턴스들(successive missing instances)의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자신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검출된 브로드캐스팅 신호의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높은 경우에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상기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상기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낮아지는 경우에 핸드오버 중단 신호를 상기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상기 검출된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 및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가 상기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에 할당된 우선순위보다 더 낮은 경우에,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상기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상기 핸드오버 요청 신호에서 상기 결정된 품질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38);
    - 핸드오버 응답을 상기 핸드오버 요청 신호의 소스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기 위한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으로서, 상기 핸드오버 응답은 데이터 수집 제어가 상기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되는 타이밍(timing)을 표시하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을 포함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상기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계속 제어할 다수의 수퍼프레임들을 시그널링함으로써 상기 타이밍을 표시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상기 핸드오버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브로드캐스팅 신호에서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핸드오버가 임박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신호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낮다고 결정되는 경우에, 핸드오버 중단 신호를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닛(34)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가장 높은 결정된 우선순위를 갖는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12.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복수의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데이터 수집을 실행하는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가 상기 배터리 구동의 근처에 있음을 결정하는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구동의 마스터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수집 제어의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상기 데이터 수집 제어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주전원 구동의 액세스 디바이스 및 복수의 센서 노드들(10)을 포함하는, 신체 센서 네트워크.
KR1020107017636A 2008-01-11 2009-01-08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 KR101518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00357 2008-01-11
EP08100357.6 2008-01-11
PCT/IB2009/050052 WO2009090575A1 (en) 2008-01-11 2009-01-08 Handover mechanism for sensor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600A KR20100117600A (ko) 2010-11-03
KR101518221B1 true KR101518221B1 (ko) 2015-05-11

Family

ID=4053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636A KR101518221B1 (ko) 2008-01-11 2009-01-08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2219B2 (ko)
EP (1) EP2260673B1 (ko)
JP (1) JP5296097B2 (ko)
KR (1) KR101518221B1 (ko)
ES (1) ES2466692T3 (ko)
WO (1) WO20090905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800A (ko) * 2018-01-11 2019-07-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체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6243A (ko) * 2018-02-08 2019-08-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체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우선순위에 따른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량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3001491A2 (pt) 2010-07-23 2016-05-3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étodo de transferência de um grupo de sensores para monitoramento do paciente entre od modos fixos e móveis de comunicação com uma rede de saúde com fio, meio de leitura por computador e sistema que facilita a transferência de um grupo de sensores de monitoramento de paciente entre modos fixos e móveis de comunicação com uma rede de saúde com fio
US10321541B2 (en) 2011-03-11 2019-06-11 Ilumi Solutions, Inc. LED lighting device
US10630820B2 (en) 2011-03-11 2020-04-21 Ilumi Solu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20130155947A1 (en) * 2011-12-20 2013-06-20 Microsoft Corporation Data collection piggyback protocol
KR101904745B1 (ko) 2012-01-26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보조 허브를 포함하는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wban)에서 통신하는 주 허브, 보조 허브, 센서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CN104582561B (zh) * 2012-08-16 2017-06-0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医学体域网的协调器切换方法
US9729189B2 (en) 2012-08-30 2017-08-08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Ultra low power sensing platform with multimodal radios
JP6135277B2 (ja) * 2013-04-23 2017-05-3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集約装置、接続切り替え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FR3023442B1 (fr) 2014-07-03 2017-11-24 Predicsis Procede de transfert d'une communication entre deux nœuds d'acces a un reseau de communication
US10965756B2 (en) * 2014-09-16 2021-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nsor system of master and slave sensors, and method therein
US11978336B2 (en) 2015-07-07 2024-05-07 Ilumi Solutions, Inc. Wireless control device and methods thereof
EP3320702B1 (en) * 2015-07-07 2022-10-19 Ilumi Solu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10339796B2 (en) 2015-07-07 2019-07-02 Ilumi Sulutions, Inc. Wireless control device and methods thereof
KR101704638B1 (ko) * 2015-09-03 2017-02-08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병렬 필드 버스 네트워크 기반 모터 제어 시스템
US10782385B2 (en) * 2015-09-23 2020-09-2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accuracy distance and orientation measurement
US20170201558A1 (en) * 2016-01-11 2017-07-13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of managing a network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US10080173B1 (en) * 2016-04-06 2018-09-1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operating temperature as basis to control hando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89B1 (ko) * 2006-08-21 2007-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 서비스품질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서비스 지원 방법
US20070293223A1 (en) * 2006-06-16 2007-12-20 Ichiro Kuwan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0158B2 (en) * 2001-08-21 2010-01-19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6961541B2 (en) * 2002-05-24 2005-11-01 Aeroscou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ecurity in a wireless network using distance measurement techniques
US7555383B2 (en) * 2003-05-28 2009-06-30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Target acquisition and tracking system
US7245947B2 (en) 2003-09-16 2007-07-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based control of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0443045C (zh) 2004-06-15 2008-12-1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采集患者的生理信号的传感器
ATE417546T1 (de) 2004-11-08 2009-01-1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Sichere identifizierung und zuordnung drahtloser sensoren
KR20060079023A (ko) 2004-12-31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668139B2 (en) 2005-03-23 2010-02-23 Intel Corporation Mobile handover utilizing multicast in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based network
US20070133469A1 (en) * 2005-12-08 2007-06-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search Institute Sensor node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mobile node in sensor network
US9648523B2 (en) * 2007-11-21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access point initiated communication hando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3223A1 (en) * 2006-06-16 2007-12-20 Ichiro Kuwan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0786389B1 (ko) * 2006-08-21 2007-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 서비스품질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서비스 지원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03.08)*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800A (ko) * 2018-01-11 2019-07-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체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52999B1 (ko) 2018-01-11 2019-12-0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체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6243A (ko) * 2018-02-08 2019-08-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체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우선순위에 따른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량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4215B1 (ko) 2018-02-08 2019-09-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체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우선순위에 따른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량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96097B2 (ja) 2013-09-25
KR20100117600A (ko) 2010-11-03
EP2260673A1 (en) 2010-12-15
US9872219B2 (en) 2018-01-16
CN101911822A (zh) 2010-12-08
ES2466692T3 (es) 2014-06-11
US20100285807A1 (en) 2010-11-11
EP2260673B1 (en) 2014-04-16
JP2011511514A (ja) 2011-04-07
WO2009090575A1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221B1 (ko)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핸드오버 메커니즘
TWI420950B (zh) 短距離無線網路之改進技術
JP5545302B2 (ja) 近距離無線ネットワークの改善
TWI426810B (zh) 短距離無線網路之改進技術(一)
US9119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nsor network supporting bidirectional event detection
JP2012519521A (ja) ボディ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改善
US20160112955A1 (en)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ccess point and wireless station
US9924868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etermining preferable conditions for MAC communication within a WBAN
Möller et al. Prototype of a secure wir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for the medical community
RU2584452C2 (ru) Способ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го обнаружения сети датчиков на теле
Del Campo et al. BLE analysis and experimental evaluation in a walking monitoring device for elderly
Jin et al. M-mac: Motion sensor assisted mac protocol for body area network with periodical movement
CN101911822B (zh) 用于传感器网络的切换机制
JP2017528053A (ja) ボディ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macパラメータの構成
EP42587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of a vital sign of a patient
Rasool et al. Energy Efficient and Quality of Service Compromise Techniques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s
Pande et al. Network Lifetime Enhancement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s
Nam et al. An energy efficient discovery algorithm for opportunistic WBA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