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05B1 -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05B1
KR101518005B1 KR1020140080896A KR20140080896A KR101518005B1 KR 101518005 B1 KR101518005 B1 KR 101518005B1 KR 1020140080896 A KR1020140080896 A KR 1020140080896A KR 20140080896 A KR20140080896 A KR 20140080896A KR 101518005 B1 KR101518005 B1 KR 101518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de
discharge
generating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102014008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14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 B23H7/20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for programme-control, e.g. adap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는,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에 대한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와, 상기 전극이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상기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 생성부와, 상기 오차정보와 상기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극의 스캔정보와 설계정보 간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방전 가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APPARATUS FOR PRODUCING DISCHARGER PROGRAM USING ERROR INFORM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전극의 오차 정보를 수정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방전가공기란 방전 현상을 이용해서 공작품을 가공하는 특수공작 기계로서 초경합금, 담금질한 고속도강, 내열강 등과 같이 극히 단단한 재질의 구멍 뚫기, 절삭, 연삭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21325호(1996년 07월 18일 공개)는 '방전가공기의 오프셋 자동변경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전가공기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가공하는 도중 오프셋(off set)이 변경되는 블록에서 오프셋값을 점진적으로 변경하여 안정된 가공속도를 유지함과 더불어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된 방전가공기의 오프셋 자동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고정척에 전극을 고정한 상태에서 가공을 하는데 미세형상을 가공시 고정척에 고정된 전극이 설계시와 동일한 조건의 형상이 아닌 경우 불량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극의 스캔정보와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반영한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는,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에 대한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와, 상기 전극이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상기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 생성부와, 상기 오차정보와 상기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캔설정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면에 대한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형상부에 대한 제2 측정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제2 측정포인트에 대한 좌표정보 및 벡터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차정보 생성부는 상기 척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기준면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척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기준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차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극의 형상부와 상기 형상부의 방전위치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차정보 생성부는 상기 척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형상부 간의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는 상기 전극이 상기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스캔정보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오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이 방전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의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재측정하도록 하고, 재측정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전기에서 방전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의 방전프로그램 생성방법은,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에 대한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극이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상기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차정보와 상기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은,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설계장치와, 척 안착되는 상기 전극에 대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장치와, 상기 전극을 이용하여 코어를 방전가공하는 방전장치와, 상기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에 대한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와, 상기 전극이 상기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상기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 생성부와, 상기 오차정보와 상기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극의 스캔정보와 설계정보 간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방전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방전프로그램 자체에 오차가 보정됨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극의 오차를 보정하지 않음으로써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척의 기준점과 전극의 기준면을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척의 중심점과 전극의 기준면을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전극의 형상부와 방전위치를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척의 중심축과 전극의 형상부를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시스템은 설계장치(10), 스캔장치(20), 방전장치(30) 및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를 포함한다.
설계장치(10)는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설계정보는 캐드(CAD, 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D 또는 3D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설계장치(10)는 전극의 기준면과 형상부를 구분하여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기준면은 형상부를 구분하는 면을 의미하며, 형상부는 후술하는 방전장치(30)에 의해 코아에 형성되는 형상의 틀을 의미한다. 설계장치(10)는 생성된 전극의 설계정보를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로 출력한다.
스캔장치(20)는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와 연결되며, 척(chuck)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극에 대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한다. 스캔장치(20)는 프로브 또는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전극 및 척에 대해 3D 스캔정보를 생성한다. 스캔장치(20)는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로부터 전극에 대한 스캔위치, 스캔방향 및 스캔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캔설정정보를 입력받는다. 스캔장치(20)는 생성된 스캔정보를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로 출력한다.
방전장치(30)는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와 연결되며, 척(chuck)에 안착된 전극을 이용하여 코아에 방전가공을 한다. 방전장치(30)는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로부터 방전프로그램을 입력받는다. 이 경우, 방전프로그램은 전극의 방전위치 뿐만 아니라 전극에 대한 오차정보를 수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차정보는 척과 전극과의 기준정보와의 차이를 나타낸다. 방전장치(30)는 기 설정된 방전위치에 대하여 오차정보를 반영하고, 수정된 방전위치로 방전가공을 한다.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는 설계장치(10), 스캔장치(20) 및 방전장치(30)와 연결된다.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는 설계장치(10)로부터 입력된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스캔설정정보란 전극에 대한 스캔위치, 스캔방향 및 스캔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종의 측정포인트 정보이다.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는 스캔설정정보를 스캔장치(20)로 출력하고, 스캔장치(20)로부터 스캔설정정보에 따른 스캔정보를 입력받는다.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는 스캔정보와 기 설정된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한다.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는 오차정보와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방전장치(30)로 출력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200)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 오차정보 생성부(220) 및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는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여 전극에 대한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한다(S301).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전극의 설계정보로부터 복수의 측정포인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는 사용자가 전극의 설계정보 상에 측정포인트를 설정하는 경우 측정포인트의 위치좌표 및 방향벡터를 설정받아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설정정보는 (x, y, z, i, j, k)와 같은 좌표로 생성될 수 있는데, i는 x축에 대한 방향벡터, j는 y축에 대한 방향벡터, k는 z축에 대한 방향벡터를 나타낸다.
또한,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는 전극 중 기준면과 형상부를 분리하여 측정포인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는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기준면에 대한 제1 측정포인트 및 형상부에 대한 제2 측정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설정정보에는 제1 측정포인트 및 제2 측정포인트에 대한 좌표정보 및 벡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면에 대한 제1 측정포인트는 전극의 기준좌표를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형상부에 대한 제2 측정포인트는 형상의 뒤틀림 등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전극이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한다(S302).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210)로부터 입력된 스캔설정정보를 외부의 스캔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스캔장치로부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스캔된 스캔정보를 입력받는다.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전극에 대해 기 설정된 설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설계정보는 전극의 기준면에 대한 크기, 위치정보, 전극의 형상부에 대한 크기, 위치, 기울기정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척의 기준점으로부터 전극의 기준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척의 바닥면이 기준점인 경우 전극이 척에 안착된 상태에서 척의 바닥면으로부터 전극의 기준면까지의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척 및 전극의 설계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실제 측정된 스캔정보와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오차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척의 중심점으로부터 전극의 기준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방전장치에 삽입되는 척의 중심축에 대한 중심점과 기준면의 각 꼭지점까지의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척의 중심점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실제 측정된 기준면의 각 꼭지점의 스캔정보 및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오차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전극의 형상부와 형상부의 방전위치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전극의 형상부의 크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에 실제 방전되어야 할 방전크기는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실제 측정된 전극의 형상부의 크기 및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오차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즉, 형상부의 크기와 코어의 방전크기 간의 간격이 기 설정된 간격과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오차정보 생성부(220)는 척의 중심축으로부터 전극의 형상부 간의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측정된 전극의 형상부가 기 설정된 설계정보와 x축, y축, z축으로 얼마만큼 이동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척의 중심축과 형상부 간의 각도를 이용하여 x축, y축, z축으로 얼마만큼 오차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오차정보와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한다(S303).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오차정보 생성부(220)로부터 스캔된 전극과 설계된 전극 사이의 오차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기 저장된 설계정보를 통해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오차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방전위치정보를 수정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 경우,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기 설정된 방전장치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형식으로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방전프로그램은 복수의 전극의 사용순서, 방전위치, 방전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오차정보를 이용하여 전극이 방전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극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전기에 사용되는 전극이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택된 전극에 대해서만 위치정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방전기에 형성된 프로브를 이용하여 실제 전극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며, 방전기는 오차정보를 통해 획득한 전극의 위치를 기초로 실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기에서 실제 전극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을 줄이고, 전극에 대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측정된 전극의 위치정보와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기에서 방전 가공을 실행하도록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즉, 오차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오차정보를 실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재보정한다. 이에 따라, 스캔장치 자체에 대한 오차 및 전극이 척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오차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오차정보를 재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방전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전극을 통해 방전가공되는 코어의 면조도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방전프로그램 생성부(230)는 설정된 면조도정보에 따라 전극의 재질을 고려하여 전류의 양,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캔설정정보는 전극(400)에 대한 설계정보에서 기준면(410)과 형상부(420)에 대해 각각의 측정포인트(415, 425)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포인트(415)는 기준면(410)의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측정포인트(425)는 형상부(420)의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1 측정포인트(415)는 설계정보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정포인트(425)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형상부(420)에서 중요한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측정포인트(425)는 x축, y축, z축에 대한 3차원 좌표 및 x축, y축, z축에 대한 각각 방향벡터정보가 스캔설정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할 포인트에 대한 정확한 좌표 및 측정방향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척의 기준점과 전극의 기준면을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극(500)의 오차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척(550)의 기준점(p1)은 척(550)의 바닥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준면(510)과 형상부(520)와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경계점(p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점(p1)과 경계점(p2) 사이의 거리를 기준거리(p)로 설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척(550)의 설계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고, 척(550)에 전극(50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설계정보도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전극(500)이 척(5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준거리(p)를 설계정보 상의 기준거리(p')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오차정보(pp')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정보(pp')는 전극(500) 자체가 척(550)을 기준으로 설계정보에 비해 얼마만큼 변동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오차정보(pp')는 방전프로그램 생성시 전극(500)의 오차를 보정하도록 설계된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척의 중심점과 전극의 기준면을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극(600)의 오차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척(650)의 중심점(q0)과 기준면(610) 중 꼭지점(q1, q2, q3, q4)과의 거리를 기준거리(q)로 설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심점(q0)은 척(650)의 중심축에 있는 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면(610) 중 꼭지점(q1, q2, q3, q4)은 기준면(610)과 형상부(620)와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 위치 및 개수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중심점(q0)과 꼭지점(q1, q2, q3, q4) 간의 각각의 기준거리(q)를 기 설정된 설계정보 상의 기준거리(q')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오차정보(qq')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정보(qq')는 전극(600) 자체가 척(650)을 기준으로 설계정보에 비해 얼마만큼 변동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오차정보(qq')는 방전프로그램 생성시 전극(600)의 오차를 보정하도록 설계된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전극의 형상부와 방전위치를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극(700)의 오차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전극(700)이 척(750)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극(700)의 형상부(720)의 크기(A0)를 측정할 수 있다. 기준면(710) 위에 형성된 형상부(720)의 크기(A0)는 형상부(720)의 꼭지점(s1, s2, s3, s4)을 측정하여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형상부(720)의 크기(A0) 기 설계된 코어의 방전크기(B0)와 비교하여, 갭정보(r1, r2, r3, r4)를 생성할 수 있다.
갭정보(r1, r2, r3, r4)는 형상부(720)의 크기(A0) 설계상 코어의 방전크기(B0) 간의 간격을 나타내며, 그 개수 및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측정된 갭정보(r1, r2, r3, r4)와 설계상 갭정보(r'1, r'2, r'3, r'4)를 비교하여 오차정보(rr')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오차정보(rr')는 전극(700)을 이용하여 코어를 방전가공시 어느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상하좌우 폭으로 이동시킬지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오차정보(rr')는 방전프로그램 생성시 전극(700)의 오차를 보정하도록 설계된다.
도 8은 도 2에 따른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에서 척의 중심축과 전극의 형상부를 이용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극(800)의 오차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전극(800)이 척(850)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극(800)의 형상부(820)의 기울기(y)를 측정할 수 있다. 형상부(820)의 기울기(y)는 기준면(810)으로부터 형상부(820)의 에지면이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형상부(820)의 에지면은 형상부(820)의 꼭지점을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척(850)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형상부(820)의 기울기(y)를 이용하여 회전각도(θ)를 측정한다. 측정된 형상부(820)의 회전각도(θ)는 기 설계된 회전각도(θ')와 비교하여 오차정보(θθ')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정보(θθ')는 기 설계된 형상부(820)가 척(85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형상부(820)가 얼마나 기울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오차정보(θθ')는 방전프로그램 생성시 전극(800)의 오차를 보정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설계장치 20 : 스캔장치
30 : 방전장치 100 :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200 :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210 : 스캔설정정보 생성부
220 : 오차정보 생성부 230 : 방전프로그램 생성부
400 : 전극 410 : 기준면
415 : 제1 측정포인트 420 : 형상부
425 : 제2 측정포인트
500, 600, 700, 800 : 전극 510, 610, 710, 810 : 기준면
520, 620, 720, 820 : 형상부 550, 650, 750, 850 : 척

Claims (8)

  1.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되, 상기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의 기준면에 대한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전극의 형상부에 대한 제2 측정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제2 측정포인트에 대한 좌표정보 및 벡터정보를 포함하는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
    상기 전극이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상기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오차정보와 상기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정보 생성부는
    상기 척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기준면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척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기준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극의 형상부와 상기 형상부의 방전위치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정보 생성부는
    상기 척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형상부 간의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는
    상기 전극이 상기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스캔정보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오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이 방전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의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재측정하도록 하고, 재측정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전기에서 방전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7.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의 방전프로그램 생성방법에 있어서,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되, 상기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의 기준면에 대한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전극의 형상부에 대한 제2 측정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제2 측정포인트에 대한 좌표정보 및 벡터정보를 포함하는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이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상기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정보와 상기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방법.
  8.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설계장치;
    척 위에 안착되는 상기 전극에 대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장치;
    상기 전극을 이용하여 코어를 방전가공하는 방전장치; 및
    상기 전극의 기준면정보와 형상부정보를 이용하되, 상기 전극에 대한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의 기준면에 대한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전극의 형상부에 대한 제2 측정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측정포인트 및 상기 제2 측정포인트에 대한 좌표정보 및 벡터정보를 포함하는 스캔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설정정보 생성부와, 상기 전극이 상기 척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캔설정정보에 따라 측정된 스캔정보와 상기 전극의 설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오차정보 생성부와, 상기 오차정보와 상기 전극의 방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전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전프로그램 생성부를 포함하는 오차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KR1020140080896A 2014-06-30 2014-06-30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KR10151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96A KR101518005B1 (ko) 2014-06-30 2014-06-30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96A KR101518005B1 (ko) 2014-06-30 2014-06-30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005B1 true KR101518005B1 (ko) 2015-05-06

Family

ID=5339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896A KR101518005B1 (ko) 2014-06-30 2014-06-30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0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45A (ko) * 2020-04-14 2021-10-22 박태동 전극데이터베이스와 방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방전가공 자동화시스템
KR20210127351A (ko) * 2020-04-14 2021-10-22 박태동 자동화프로그램을 이용한 cam자동화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22A (ja) * 1991-07-18 1993-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Cad/cam装置
JPH08281517A (ja) * 1995-04-11 1996-10-29 Canon Inc 工具経路作成装置及び工具経路作成方法
JP3820988B2 (ja) * 2000-04-20 2006-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22A (ja) * 1991-07-18 1993-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Cad/cam装置
JPH08281517A (ja) * 1995-04-11 1996-10-29 Canon Inc 工具経路作成装置及び工具経路作成方法
JP3820988B2 (ja) * 2000-04-20 2006-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C-DIMS EMS Application:Case Study. HEXAGON Metrology社. 2009.12.10. (www.hexagonmetrology.kr에서 다운로드) *
PC-DIMS EMS Application:Case Study. HEXAGON Metrology社. 2009.12.10. (www.hexagonmetrology.kr에서 다운로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45A (ko) * 2020-04-14 2021-10-22 박태동 전극데이터베이스와 방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방전가공 자동화시스템
KR20210127351A (ko) * 2020-04-14 2021-10-22 박태동 자동화프로그램을 이용한 cam자동화시스템
KR102428312B1 (ko) * 2020-04-14 2022-08-01 박태동 자동화프로그램을 이용한 cam자동화시스템
KR102492054B1 (ko) * 2020-04-14 2023-01-25 박태동 전극데이터베이스와 방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방전가공 자동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572B1 (ko) 재료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공구를 가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6168475B (zh) 形状测量设备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7824843B (zh) 机床以及工件平面加工方法
JP6370821B2 (ja) ロボットプログラムの教示を行うロボットプログラミング装置
EP2584419B1 (en) CNC machine for cutting with plasma, oxygen and water jet used as a cutting tool with automatic setting up a precise position of a cutting tool in a cutting head by autocalibration and method thereof
EP2843357B1 (en) Determining the centre of a V-Groove
KR101399669B1 (ko) 거리 측정 기능을 갖는 연마기
CN111496579B (zh) 一种机械臂、墙面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507950B (zh) 基于探针实现平面定位加工控制的装置、方法及其系统
KR101518005B1 (ko) 오차 정보를 이용한 방전프로그램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전시스템
KR101563722B1 (ko) 공작기계 형상정보 입출력장치
JP2011183528A (ja) 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およ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US20230347463A1 (en) Control device, industrial machine, and control method
JP2011123777A (ja) 数値制御データの作成方法
CN107914182B (zh) Cnc高光对刀方法
JP6300120B2 (ja) 制御用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制御用データ生成装置
JP2001022422A (ja) 仕上げ加工方法および仕上げ加工装置
US10300556B2 (en) Controller with drop prevention function for gap control axis
JP7365318B2 (ja) 被加工物の加工方法
TW201621493A (zh) 高精度平面加工系統及方法
CN112083686A (zh) 机床和机床的控制方法
JP6894591B2 (ja) 測定データ生成装置、加工プログラム生成システム、測定データ生成方法
JP4403662B2 (ja) 曲面修正研磨システム、nc研磨装置、光学部品研磨用のncプログラム作成方法、研磨用ncプログラム作成方法、ncプログラム用2次元座標点群ファイルの作成方法、ncプログラム作成方法
EP318993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determination of a position of an object
JP5908327B2 (ja) ワークの溝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