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280B1 -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280B1
KR101517280B1 KR1020130070439A KR20130070439A KR101517280B1 KR 101517280 B1 KR101517280 B1 KR 101517280B1 KR 1020130070439 A KR1020130070439 A KR 1020130070439A KR 20130070439 A KR20130070439 A KR 20130070439A KR 101517280 B1 KR101517280 B1 KR 10151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persistent organic
organic pollutants
group
ge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352A (ko
Inventor
남석우
정광화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2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투여를 통해 동정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는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하여 선별된 반응 유전자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시 간 조직으로부터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표지자이므로, 이러한 바이오마커를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Biomarker for risk assessment to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의해 발현양이 변화하는 반응 유전자를 마이크로 어레이를 통하여 선별함으로써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은 산업 생산 과정에서 생성되는 잔류성 물질로 인간과 각종 동물의 지방 조직에 축적되는 고도의 친유성 화학물질이다.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공기, 물, 토양, 퇴적물, 음식 등에 노출되면 전 세계적인 범위로 흩어지고 심각한 건강과 환경상 위험을 야기한다. 탄화수소 고리 또는 사실상의 염소, 브롬, 불소 그룹들 때문에 이들 오염물질은 환경 또는 인체에서 분해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은 지구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 오염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많은 임상학, 유행병학, 세포 배양 연구를 통하여 일정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의 노출이 생리적 일탈, 발암, 신경학적 변화, 생식 장애, 행동 장애, 면역 체계의 장애를 야기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고, 특히 살충제, 제초제, 살진균제와 같은 물질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야기되는 유기염소계농약(organochlorine pesticide) 등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이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유기염소계농약으로는 알드린, 클로르데인, 다이클로로다이페닐트라이클로로에테인, 딜드린, 엔드린, 헵타클로르, 헥사클로로벤젠, 미렉스, 톡사펜 등이 알려져 있고, 이중 톡사펜은 농수산업에서 살충제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 염화 캄펜 및 보르난의 복합 혼합물로 신경독성, 신독성, 간독성, 내분비계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먹이 사슬과 지질이 풍부한 조직에 농축된 헥사클로로벤젠은 간 포르피린증, 생식 장애, 면역제어, 발암 현상 등과 같은 다양한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르데인은 헵타클로르, 시스-클로르데인, 트랜스-클로르데인, 트랜스-노나클로르의 혼합물로 농업계 및 주택가에서 흔히 발생하며, 인체의 지방 조직과 원형질에서 흔히 발견되는 헵타클로르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렉스는 실험용 동물에서 종양성 유괴를 생성하여 잠재적 종양 유발물질로 보고되었고, 흰개미, 메뚜기, 딱정벌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는 딜드린은 파킨슨씨 병의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다양한 부작용 때문에 국제암연구기관(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은 이들 물질은 인간에서 B2 그룹의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이와 같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이들 화학물질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독성 프로파일과 폭넓은 인구를 기초로 조사해 볼 필요가 있고 특이 이들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예측용 마커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최근 게놈 기반의 실험방법 발전과 더불어, 인간에 대한 독성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전 중심의 실험방법 또한 개발되고 있다. DNA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이용한 발현 유전자 기술은 수많은 유전자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 독성물질의 독성 분석 및 위험도 평가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독성 물질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을 예측하기 위하여 많은 과학자들이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한 유전자 발현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톡시코게노믹스(toxicogenomics)"라는 신조어까지 탄생하게 되었다. 톡시코게노믹스를 통해 유전자 발현 양상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독성 물질에 대한 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독성 물질에 대한 노출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자 발현 양상은 임상 화학, 조직병리학, 임상적 관찰에 비하여 더 민감하고 신속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독성물질의 유독한 종점에 대한 예측적 진단의 초기 마커로 유용하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로, 약물대사, 아미노산 대사, 지질 대산와 같은 생체학적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간은 환경 독성물질에 의해 가장 쉽게 공격받는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바, 본 발명의 목적은 6 종류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간 조직의 전체 게놈의 분석을 통하여 초기에 이들 오염물질이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1. Park, J. Y.; Kim, S. Y.; Lee, J. H.; Song, J.; Noh, J. H.; Lee, S. H.; Park, W. S.; Yoo, N. J.; Lee, J. Y.; Nam, S. W. Application of amplified RNA and evaluation of cRNA targets for spotted-oligonucleotide microarray.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4, 325 (4), 1346.52.
이에 본 발명자들은 랫트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톡사펜, 헥사클로로벤젠, 클로르데인, 미렉스, 딜드린, 헵타클로르)을 처리하고 발현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전혈에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변화를 확인하고,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될 경우 위해성을 조기에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신규한 바이오마커들을 동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에 따른 위해성을 진단 또는 예측할 수 있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384개의 유전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을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은 톡사펜(toxaphene),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클로르데임(Chlordane), 미렉스(Mirex), 딜드린(Dieldrin), 헵타클로르(Heptachlo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렉스, 딜드린 또는 헵타클로르의 처리에 의해 창 간암 하위분류 증식 업(Chang Liver Cancer Subclass Proliferation Up)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되거나 기질 특이적 막관통 수송 활성(Substrate Specific Transmembrane Transporter Actvity) 경로가 저활성화(down-regulate)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간 조직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의해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제1항의 표에 기재된 384개의 유전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정상 대조군 시료로부터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a) 단계의 측정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간으로부터 분리된 조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웨스턴 블럿, 노던 블럿,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및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 분리된 간 조직으로부터 각각의 유전자 프로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b) 잔류성 유기 오염을 처리하지 않고 나머지는 단계 (a)와 동일한 조건을 유지한 경우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및 (c) 단계 (a) 및 (b)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상기 두 가지 이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모두에서 동일한 발현 프로파일 상의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선별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유전자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는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하여 선별된 반응 유전자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시 간 조직으로부터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표지자이므로, 이러한 바이오마커를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특히, 톡사펜, 헥사클로로벤젠, 클로르데인, 미렉스, 딜드린, 헵타클로르의 노출에 대한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하게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의해 야기되는 독성 작용 기작을 규명하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투여한 랫트의 간 조직의 자율 계층적 군집 분석(unsupervise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 최소 필터링 기준을 사용하여 선별한 5366개 유전자의 2차원 클러스터그램(clustergram)으로, 각 줄(row)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처리 후에 나타나는 간 조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각 컬럼(column)은 처리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나타낸다. 또한, 붉은 색은 대조군에 비해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내고, 녹색은 대조군에 비해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 색의 채도(saturation)은 샘플 간 조직 RNA와 일반적 표준 RNA 사이의 발현 차이를 반영한다. (B) 6종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처리 간의 5366개 유전자 세트를 사용한 클러스터링으로부터 유도된 계통수(dendrogrma)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투여한 랫트의 고정확도 유전자 분류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총 48개 표본의 발현 데이타를 Welch's t-test(P<0.005)에 적용한 것으로, 2078개 분류자에 대한 계층적 군집(A), 대조군과 POPs 처리군 처리에 따른 2078개 분류자에 대한 발현 프로파일 따른 계통수 군집(B) 및 단일잔류 교차 검증 기법에 의한 예측 신뢰 분석에 따른 정확도(C)를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투여한 랫트의 간 세포에서 예측도가 높은 유전자 기반의 바이오마커를 분류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 최소 식별 가능한 분자 바이오 마커의 동정을 위한 분석 방법 (B) 384개의 예측 가능한 분자 바이오마커의 발현 프로파일 특성 (C) 단일잔류 교차 검증 기법(leave-one-out cross validation method)을 이용한 정확도 테스트. 모든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투여 군은 7개의 다른 분류로 분류됨을 나타낸다.
도 4은 KEGG 경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에 따라 차별 발현되는 384개의 아웃라이어 유전자들의 기능적 분류를 통한 분자적 기능 카테고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잔류성 유기 화학물질 노출에 의해 발현이 변화되는 유전자의 정렬된 리스트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반응 유전자 세트의 GSEA(Gene Set Enrichment Analysis)를 나타낸다. (A-F) 각각 건강한 대조군 대 각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MI, DI, HE) 투여군에서 Chiang 간암 아강 증식 상승 유전자 세트(Chiang liver cancer subclass proliferation up gene set) 및 기질 특이적 막간 수송 활성 유전자 세트의 GSEA enrichment plot과 이에 대응하는 열 지도(heat map)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열(rows)은 열 지도 상의 유전자를, 하나의 컬럼(column)은 각 샘플을, 발현 정도는 고발현(빨간색)으로부터 저발현(파란색)으로의 구배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에 따른 위해성을 조기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노출 평가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독성으로 인해 피부접촉이나 호흡기 흡입을 통해 신체내로 유입되어 생리적 변화, 발암, 신경학적 변화, 생식 장애, 행동 장애, 면역 체계의 장애를 야기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각종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세포 내 전사체적 반응(transcriptomic response)에 대한 정보는 아직까지 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랫트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초기 예측을 위한 특이적 분자 표지를 확인하고자, 간 조직에서 각종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 프로파일에 변화를 나타내는 유전자들을 스크리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될 때 전사체적(transcriptomic) 변화를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검출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랫트의 간 조직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처리에 따른 특이적 분자 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어레이 기술을 적용하였는데, 11주령 SD 수컷 랫트에 LD10을 복용량으로 6종류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TO, HCB, CH, MI, DI, HE)을 경구 투여하고 48시간 경과 후, 발현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랫트의 간 조직에서 글로벌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예측 마커 유전자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간 조직에서의 전사체적 반응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특이적으으로 나타났고, 전사체적 반응 내에서 특이한 분자표지(molecular signature)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구별되는 분자적 변화의 표지들을 계통수(dendrogram)로 나타내었다(도 1 참조).
본 발명은 생화학 및 병리학적인 검사에서 전통적인 독성 분석이 유의미한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간단한 논-파라메트릭(non-parametric) 분석을 통해 각각의 독성물질에 상관없이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식별할 수 있는 384개의 아웃라이어(outlier) 유전자를 선별하였다(도 2 참조).
따라서, 상기 384개의 아웃라이어 유전자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특이적인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일반적인 후생 유전자 반응을 대표할 수 있으며, 수많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이러한 유전자들은 다른 호나경 화학적 스트레스로부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구별할 수 있는 잠재적인 분자 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중 분류(multi-classification)의 2개의 연속되는 분석(Volcano plot method 및 Kruscal-Wallis H-test)을 디자인하고, 각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예측 가능성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들을 결합하였다. Volcano Plot 분석 결과 360개의 유전자를, Kruscal-Wallis H-test 결과 340개의 유전자를 선별하였고, 이들을 조합한 결과 384개의 유전자가 선별되었고, 이들은 100%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참조).
이러한 결과는 간 조직에서 전사체적 반응이 각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매우 특이적이며, 각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특이적인 분자 표지는 간 조직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노출에 따른 위해성을 조기에 검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384개의 예측 마커에서 몇 가지 분자 경로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자경로는 초점접착역(focal adhesion), 퍼옥시좀 증식자-활성 수용체 신호 전달경로(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signaling pathway), 사이토카인-사이토카인 수용체 결합(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p450에 의한 제노바이오틱스 대사경로(metabolism of xenobiotics by cytochrome P450), 지방산 대사경로(fatty acid metabolism),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대사경로(adgrogen and estrogen metabolism), 아라키돈산 대사경로(arachidonic acid metabolism),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포르피린 및 클로로필 ㄷ대댓대사경로(rin and chlorophyll metabolism), 보체 및 응고 캐스캐이드(complement and coagulation cascades),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리보좀 경로(ribosome pathway)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과는 간 조직 내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특이적 분자 표지의 다중 분류를 이용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초기 단계에서 각각의 독성물질을 감별할 수 있음을 설명하며, 이러한 간 조직 특이적 발현 특성은 환경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노출시 발생하는 생물학적 반응을 검출하기 위한 예측 및 인식 마커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발현 프로파일에 변호를 보인 특이적 분자 표지를 갖는 상기 유전자들을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에 따른 위해성을 조기에 진단 또는 예측할 수 있는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이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확인된 384개의 유전자 목록을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번호 Probe ID 유전자명 Gene Bank 번호 서열번호
1 R000038_01 Pttg1 NM_022391  
2 R000055_01 Pdpn NM_019358  
3 R000068_01 Fmo1 NM_012792  
4 R000114_01 Oprs1 NM_030996  
5 R000123_01 Sult1b1 NM_022513  
6 R000175_01 Sult1a1 NM_031834  
7 R000203_01 Lamp2 NM_017068  
8 R000224_01 Apcs NM_017170  
9 R000391_01 Galt NM_001013089  
10 R000468_01 Adk NM_012895  
11 R000658_01 Fga NM_001008724  
12 R000664_01 Cyp4a1 NM_175837  
13 R000690_01 Ahcy NM_017201  
14 R000695_01 Sh3gl3 NM_031238  
15 R000718_01 Akr7a3 NM_013215  
16 R000727_01 Slc16a1 NM_012716  
17 R000733_01 Aldh1a1 NM_022407  
18 R000858_01 Ccbl1 NM_001013164  
19 R001022_01 Hnf1a NM_012669  
20 R001079_01 Neu2 NM_017130  
21 R001154_01 Rab38 NM_145774  
22 R001270_01 Ugt2b1 NM_173295  
23 R001525_01 Unknown   1
24 R001539_01 Apoa2 NM_013112  
25 R001584_01 Mmp14 NM_031056  
26 R001874_01 Cd4 NM_012705  
27 R002034_01 Pnrc1 NM_173322  
28 R002052_01 Egln3 NM_019371  
29 R002085_01 Gfer NM_013222  
30 R002090_01 Psen2 NM_031087  
31 R002149_01 Cd1d1 NM_017079  
32 R002190_01 Adora2a NM_053294  
33 R002272_01 Cyp3a23 NM_013105  
34 R002437_01 Tm4sf4 NM_053785  
35 R002545_01 Crp NM_017096  
36 R002560_01 Pgcp NM_031640  
37 R002656_01 Miox NM_145771  
38 R002661_01 Ftcd NM_053567  
39 R002715_01 Tmem33 NM_001034198  
40 R002873_01 Suox NM_031127  
41 R002952_01 Il11ra1 NM_139116  
42 R003002_01 Aqp9 NM_022960  
43 R003004_01 Inhbe NM_031815  
44 R003042_01 Pdk4 NM_053551  
45 R003126_01 Apoe NM_138828  
46 R003190_01 Gsr NM_053906  
47 R003195_01 Ppap2b NM_138905  
48 R003217_01 Unknown   2
49 R003384_01 Cyp2d2 NM_012730  
50 R003573_01 Hspa2 NM_021863  
51 R003853_01 Bbox1 NM_022629  
52 R003908_01 Calca NM_001033955  
53 R003973_01 Masp1 NM_022257  
54 R003992_01 Nfil3 NM_053727  
55 R004318_01 Sdha NM_130428  
56 R004322_01 Itfg1 NM_133557  
57 R004406_01 Dhrs4 NM_153315  
58 R004431_01 Selenbp1 NM_080892  
59 R004504_01 Fkbp4 XM_001066628  
60 R004535_01 Tank NM_145788  
61 R004644_01 Optn NM_145081  
62 R004818_01 Slc16a2 NM_147216  
63 R004825_01 Homez NM_152849  
64 R004970_01 Creg1 XM_001075616  
65 R005129_01 Ebpl XM_001063508  
66 R005164_01 Eml4 XM_001061307  
67 R005215_01 Gmppb XM_001074797  
68 Rn30000063 Pdzk1 NM_031712  
69 Rn30000114 Cdo1 NM_052809  
70 Rn30000151 RGD1564906 XM_576039  
71 Rn30000445 Nt5dc1 XM_001060836  
72 Rn30000531 Nrbf2 XM_001059137  
73 Rn30000537 Jmjd1c XM_001080424  
74 Rn30000551 Tpst2 NM_001008508  
75 Rn30000557 Unknown   3
76 Rn30000646 Unknown   4
77 Rn30000665 Rpp21 NM_001002831  
78 Rn30000675 Man1a NM_001033656  
79 Rn30000774 Hmgb1 XM_001072913  
80 Rn30000813 Rpl21 XM_001070972  
81 Rn30000829 Cyp3a23 NM_013105  
82 Rn30000832 Scarb1 NM_031541  
83 Rn30000835 Scarb1 NM_031541  
84 Rn30001135 Ppp1cc NM_022498  
85 Rn30001141 Vps29 XM_001079533  
86 Rn30001360 Unknown   5
87 Rn30001366 Unknown   6
88 Rn30001487 Erg NM_133397  
89 Rn30001489 St3gal6 NM_207602  
90 Rn30001583 Ncbp2 Not Annotated 7 
91 Rn30001649 Kng1 NM_012696  
92 Rn30001765 Cldn1 NM_031699  
93 Rn30001808 Ugt2a3 XM_001074267  
94 Rn30001813 Ugt2b36 NM_001004271  
95 Rn30001817 Ugt2b34 XM_001074665  
96 Rn30001934 Unknown   8
97 Rn30001974 Pvrl3 XM_001059227  
98 Rn30001990 Coq2 XM_001061021  
99 Rn30002007 Hsd17b13 XM_001065370  
100 Rn30002012 Stbd1 NM_001013988  
101 Rn30002077 Hnrpd NM_001082539  
102 Rn30002157 Prg4 XM_001070215  
103 Rn30002245 Mgat1 NM_030861  
104 Rn30002519 Slc19a2 NM_001030024  
105 Rn30002580 Trim11 XM_001076858  
106 Rn30002606 Golt1a XM_001060774  
107 Rn30002617 Abcc3 NM_080581  
108 Rn30002877 Serpinf2 NM_001011892  
109 Rn30002957 Klhl21 XM_001076289  
110 Rn30002983 RGD1309576 XM_001078792  
111 Rn30003195 Unknown   9
112 Rn30003277 Prox1 XM_001067440  
113 Rn30003371 Fam133b NM_001024799  
114 Rn30003444 Rnf167 NM_001008361  
115 Rn30003465 Krt14 NM_001008751  
116 Rn30003840 Unknown   10
117 Rn30003894 Lpin1 NM_001012111  
118 Rn30004038 Igf1 NM_001082477  
119 Rn30004142 Rnd3 NM_001007641  
120 Rn30004151 Fbxo7 NM_001012222  
121 Rn30004210 Unknown   11
122 Rn30004524 Crip2 NM_022501  
123 Rn30004615 Hus1 XM_001054510  
124 Rn30004956 Pkp4 XM_001058290  
125 Rn30005061 LOC360689 NM_001014123  
126 Rn30005158 Alg13 NM_001013951  
127 Rn30005257 Hsd11b1 NM_017080  
128 Rn30005543 Mrfap1 NM_001009264  
129 Rn30005546 Calu NM_001033898  
130 Rn30005627 Slc38a2 NM_181090  
131 Rn30005659 Ei24 NM_001025660  
132 Rn30005924 Cd302 NM_001013916  
133 Rn30006094 RGD1308874 NM_001034003  
134 Rn30006166 Pea15a NM_001013231  
135 Rn30006341 Galm NM_001007704  
136 Rn30006354 Hipk2 XM_001066598  
137 Rn30006391 Adfp NM_001007144  
138 Rn30006406 Met NM_031517  
139 Rn30006408 Xdh NM_017154  
140 Rn30006692 Nfkbia XM_001075778  
141 Rn30007255 Anxa13 XM_001068572  
142 Rn30007519 Fer1l6 XM_001068781  
143 Rn30007520 Fer1l6 XM_001068781  
144 Rn30007634 Unknown   12
145 Rn30007675 Rrm2 XM_222462  
146 Rn30007783 Ndufa6 XM_001077432  
147 Rn30007827 Zfyve1 XM_001056518  
148 Rn30007929 Slc37a3 XM_001067156  
149 Rn30007963 Acox1 NM_017340  
150 Rn30008004 RGD1311324 NM_001014195  
151 Rn30008116 RGD1308734 NM_001013927  
152 Rn30008183 Cryl1 NM_175757  
153 Rn30008202 LOC259244 NM_147212  
154 Rn30008284 Rpusd3 XM_001078722  
155 Rn30008289 Nudt4 NM_053598  
156 Rn30008331 Mup4 NM_198784  
157 Rn30008429 Abhd4 XM_001053662  
158 Rn30008480 LOC494499 NM_001010921  
159 Rn30008526 Sez6 XM_001080832  
160 Rn30008602 Serpina10 NM_133617  
161 Rn30008748 Hgfac NM_053320  
162 Rn30008876 LOC287569 XR_005445  
163 Rn30009055 Rora XM_001056334  
164 Rn30009326 Cgrrf1 NM_053899  
165 Rn30009335 Unknown   13
166 Rn30009559 Unknown   14
167 Rn30009660 Fbxo8 NM_001012050  
168 Rn30009787 Acsl1 NM_012820  
169 Rn30009865 Atoh8 XM_001063489  
170 Rn30010024 Bmp1 XM_001070483  
171 Rn30010088 Cmtm6 NM_001007802  
172 Rn30010095 Ank XM_001064426  
173 Rn30010276 Arsb NM_033443  
174 Rn30010330 Rnf128 XM_001054034  
175 Rn30010363 Entpd5 NM_199394  
176 Rn30010444 Ces6 NM_144743  
177 Rn30010643 Mtmr9 NM_001005761  
178 Rn30010685 Gldc XM_001080401  
179 Rn30010708 Hnrnpc NM_001025633  
180 Rn30010821 Tmem205 XM_001077527  
181 Rn30010956 Atp6v1e1 NM_198745  
182 Rn30010969 Cp NM_012532  
183 Rn30011015 Ndufb5 XM_001066565  
184 Rn30011076 Unknown   15
185 Rn30011193 Unknown   16
186 Rn30011228 Lect2 XM_001068117  
187 Rn30011252 Unknown   17
188 Rn30011717 RGD1310660 NM_001009316  
189 Rn30011780 Pgrmc1 NM_021766  
190 Rn30011801 C1qa NM_001008515  
191 Rn30011978 Akr1d1 NM_138884  
192 Rn30012172 Pdcd5 XM_001079809  
193 Rn30012239 Rnf217 XM_001057827  
194 Rn30012341 RGD1308677 XM_001072720  
195 Rn30012440 Cdc42 NM_171994  
196 Rn30012450 Slc6a12 NM_017335  
197 Rn30012527 Slc31a2 NM_001033693  
198 Rn30012578 Unknown   18
199 Rn30012603 Unknown   19
200 Rn30012613 RGD1307509 NM_001014036  
201 Rn30012834 Ghitm NM_001005908  
202 Rn30012882 Mfsd2 XM_001054640  
203 Rn30012919 Pgrmc2 NM_001008374  
204 Rn30013021 Acad9 XM_001059349  
205 Rn30013132 Fn1 NM_019143  
206 Rn30013241 Hsbp1 NM_173119  
207 Rn30013251 Hmgn2 NM_001025624  
208 Rn30013259 Unknown   20
209 Rn30013460 Sema4g XM_001063153  
210 Rn30013684 Crem NM_001110860  
211 Rn30013930 Unknown   21
212 Rn30013949 LOC310721 NM_001014041  
213 Rn30014197 Rcl1 NM_001013152  
214 Rn30014199 Slc25a37 NM_001013996  
215 Rn30014234 Unknown   22
216 Rn30014262 Etv3 XM_001067337  
217 Rn30014271 RGD1559815 Not Annotated 23
218 Rn30014303 Ptprk NM_001029902  
219 Rn30014340 Ghr NM_017094  
220 Rn30014341 Ghr NM_017094  
221 Rn30014342 Ghr NM_017094  
222 Rn30014422 Lipc NM_012597  
223 Rn30014434 Abtb1 NM_001005902  
224 Rn30014515 Slc22a17 NM_177421  
225 Rn30014552 Lrp5 XM_001067386  
226 Rn30014553 Ptdss2 XM_001062116  
227 Rn30014634 Rb1 XM_001071121  
228 Rn30014672 Tkt NM_022592  
229 Rn30014694 Mtmr10 XM_001058490  
230 Rn30014699 Unknown   24
231 Rn30014702 Id4 NM_175582  
232 Rn30014761 Unknown   25
233 Rn30014921 Entpd4 XM_001069087  
234 Rn30014936 Slc22a1 NM_012697  
235 Rn30014964 Peci NM_001006966  
236 Rn30015011 Fxyd6 NM_022005  
237 Rn30015122 Cdk105 NM_134415  
238 Rn30015145 Hmgcs1 NM_017268  
239 Rn30015183 Gnai2 NM_031035  
240 Rn30015398 Ss18 XM_001073112  
241 Rn30015425 Isoc2b NM_001008367  
242 Rn30015494 Rpl3 NM_198753  
243 Rn30015691 RGD1311307 NM_001025719  
244 Rn30015777 Dmtf1 NM_053693  
245 Rn30015781 Slc17a3 NM_153622  
246 Rn30015790 Cyp27a1 NM_178847  
247 Rn30015821 Plg XM_001068594  
248 Rn30015835 Unknown   26
249 Rn30015911 RGD1359529 NM_001014193  
250 Rn30015927 Ctbp2 NM_053335  
251 Rn30016076 Snx24 NM_001008364  
252 Rn30016143 Obp3 NM_001033958  
253 Rn30016166 Snrpc XM_001078182  
254 Rn30016199 Aldh1a1 NM_022407  
255 Rn30016255 Itih3 NM_017351  
256 Rn30016269 Gpld1 XM_001070303  
257 Rn30016293 Cept1 NM_001007699  
258 Rn30016309 Dgkz NM_031143  
259 Rn30016316 Tmem77 NM_001025018  
260 Rn30016346 Unknown   27
261 Rn30016426 Itih1 XM_001060219  
262 Rn30016458 Ust5r NM_134380  
263 Rn30016508 Optn NM_145081  
264 Rn30016589 Unknown   28
265 Rn30016631 Spcs1 Not Annotated 29 
266 Rn30016642 Sra1 NM_183329  
267 Rn30016676 Slc16a4 NM_001013913  
268 Rn30016785 Mrc1 XM_001072782  
269 Rn30016809 Unknown   30
270 Rn30016849 RGD735175 NM_199112  
271 Rn30016930 Unknown   31
272 Rn30017132 Gapdh NM_017008  
273 Rn30017178 Rpl17 NM_201415  
274 Rn30017242 Unknown   32
275 Rn30017257 Unknown   33
276 Rn30017262 Slc16a11 XM_001079593  
277 Rn30017291 Rps14 NM_022672  
278 Rn30017309 Rpl18a NM_212510  
279 Rn30017331 Nisch XM_001057307  
280 Rn30017392 C5 XM_001079130  
281 Rn30017396 Unknown   34
282 Rn30017403 Unknown   35
283 Rn30017412 Slc25a17 XM_001076461  
284 Rn30017433 Rexo2 NM_001008326  
285 Rn30017575 Cln3 NM_001006971  
286 Rn30017584 Slc13a3 NM_022866  
287 Rn30017687 MGC108896 NM_001024304  
288 Rn30017726 Ltbr NM_001008315  
289 Rn30017752 LOC502374 XR_007265  
290 Rn30017908 Oaz1 NM_139081  
291 Rn30017915 Agpat2 XM_001074707  
292 Rn30017930 Cyp8b1 NM_031241  
293 Rn30018038 Unknown   36
294 Rn30018040 Vegfa NM_001110333  
295 Rn30018090 Unknown   37
296 Rn30018094 Btd NM_001012047  
297 Rn30018139 Unknown   38
298 Rn30018247 Gadd45b NM_001008321  
299 Rn30018470 Atf5 NM_172336  
300 Rn30018676 Fam35a NM_001025028  
301 Rn30018677 Fam35a NM_001025028  
302 Rn30018695 Unknown   39
303 Rn30018822 Ubl5 XM_001077057  
304 Rn30018829 Cd81 NM_013087  
305 Rn30018998 Aldh16a1 NM_001033706  
306 Rn30019157 Cyp2b15 XM_001070774  
307 Rn30019210 Rorc XM_001058675  
308 Rn30019303 Cyp2a1 NM_012692  
309 Rn30019562 Hist2h3c2 XM_001062251  
310 Rn30019565 Hfe2 NM_001012080  
311 Rn30019607 Adam33 XM_001079402  
312 Rn30019714 RGD1562581 Not Annotated 40 
313 Rn30019740 Fads6 XM_001081675  
314 Rn30019859 RGD1562581 Not Annotated 41 
315 Rn30020032 Ndufa13 XM_001080448  
316 Rn30020071 Unknown 42
317 Rn30020086 Hist2h3c2 XM_001062251  
318 Rn30020232 Unknown   43
319 Rn30020238 Unknown   44
320 Rn30020260 RGD1560740 Not Annotated 45 
321 Rn30020375 Unknown   46
322 Rn30020391 Als2cr13 XM_001069873  
323 Rn30020415 Unknown   47
324 Rn30020522 Unknown   48
325 Rn30020529 Rpl23a XM_001059934  
326 Rn30020545 Hist2h3c2 XM_001062251  
327 Rn30020602 Col2a1 NM_012929  
328 Rn30020762 Gltpd1 NM_001007703  
329 Rn30020821 Tor2a NM_001007744  
330 Rn30020837 Slc22a23 XM_001065778  
331 Rn30021029 Unknown   49
332 Rn30021065 Unknown   50
333 Rn30021248 Unknown   51
334 Rn30021277 Slc35d1 XM_001063403  
335 Rn30021399 RGD1563294 Not Annotated 52
336 Rn30021490 Slc39a8 NM_001011952  
337 Rn30021626 Cyp2c13 NM_138514  
338 Rn30021811 RGD1560513 XM_001077597  
339 Rn30022040 Lmf1 XM_001060521  
340 Rn30022166 RGD1563145 XM_001068099  
341 Rn30022269 LOC499531 NM_001047109  
342 Rn30022342 LOC360689 NM_001014123  
343 Rn30022347 Unknown   53
344 Rn30022716 Blvrb XM_001072142  
345 Rn30022796 Unknown   54
346 Rn30022965 RGD1565192 XM_577347  
347 Rn30023080 LOC499355 Not Annotated 55 
348 Rn30023102 Unknown   56
349 Rn30023382 Lrp1 XM_001056970  
350 Rn30023387 Tex2 XM_001069235  
351 Rn30023443 Cebpb NM_024125  
352 Rn30023522 RGD1306783 NM_001025668  
353 Rn30023533 Unknown   57
354 Rn30023943 Rnase4 NM_020082  
355 Rn30024126 LOC498826 XR_005450  
356 Rn30024607 Unknown   58
357 Rn30024849 Dpy19l1 XM_001053132  
358 Rn30024857 Unknown   59
359 Rn30024887 RGD1306994 Not Annotated 60 
360 Rn30025023 Unknown   61
361 Rn30025071 Nnt NM_001013157  
362 Rn30025157 LOC311984 XM_001062783  
363 Rn30025249 Unknown   62
364 Rn30025299 RGD1562581 Not Annotated 63 
365 Rn30025332 LOC360689 NM_001014123  
366 Rn30025579 RGD1565956 XM_001074915  
367 Rn30025636 Unknown   64
368 Rn30025989 Unknown   65
369 Rn30025997 Unknown   66
370 Rn30025999 Nit2 NM_001034126  
371 Rn30026000 Nit2 NM_001034126  
372 Rn30026016 RGD1562581 Not Annotated 67 
373 Rn30026160 Hist2h2bb XM_001059297  
374 Rn30026269 Arpc5 NM_001025717  
375 Rn30026270 Tmem38b NM_001014191  
376 Rn30026388 RGD1562581 Not Annotated 68 
377 Rn30026395 RGD1560124 XM_213187  
378 Rn30026402 Unknown   69
379 Rn30026615 RGD1559724 XM_001078945  
380 Rn30026621 Gphn NM_022865  
381 Rn30026636 RGD1565415 XM_001057231  
382 Rn30026806 Unknown   70
383 Rn30026925 Ndufb7 XM_001072918  
384 Rn30026942 Cyp2c7 XM_001056628  
또한 상기 표의 유전자들 중에서 유전자 명이 확정되지 않은 70개의 신규한 유전자들에 대해서는 상기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을 본 명세서와 함께 첨부된 서열목록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에 기재된 384개의 유전자들은 간 조직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의해 바현, 즉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이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증가 또는 감소한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들 중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사용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위해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표에 기재된 384개의 유전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을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평가”는 병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평가는 상기 바이오마커의 발현 유무 및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 여부 및 위해성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학적 시료 중의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량의 증대 또는 감소는 mRNA 양을 확인함으로써 알 수 있으며, 바이오마커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 발현량의 증대 또는 감소는 단백질 양을 확인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생물학적 시료에서 mRNA 또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과정은 공지의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양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노출에 따른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단백질의 수준이 정상 대조군과는 다른 생체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조직, 혈액, 혈장, 혈청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마커(biomarker)”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시 간 조직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핵산(예컨대, mRNA 등),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당(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등)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이오마커는 정상 간 조직에 비해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된 간 조직에서 발현양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상기 384개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들이 발현된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마커로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로는 톡사펜, 헥사클로로벤젠, 클로르데인, 미렉스, 딜드린, 헵타클로르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 간 조직을 채취하여 각각의 유전자 프로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b)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처리하지 않고 나머지는 단계 (a)와 동일한 조건을 유지한 경우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및 (c) 단계 (a) 및 (b)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상기 두 가지 이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모두에서 동일한 발현 프로파일 상의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선별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유전자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바람직하게 상기 유전자가 발현된 mRNA 수준, 즉, mRNA의 양을 의미하며, 상기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물질로는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상기 384개의 각각의 유전자 전체 또는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일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통해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적합한 온도 및 적합한 완충액 내에서 적합한 조건(즉, 4종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중합반응 효소)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의미한다. 프라이머의 적합한 길이는 다양한 요소, 예컨대, 온도와 프라이머의 용도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의 서열은 주형의 일부 서열과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주형과 혼성화되어 프라이머 고유의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충분한 상보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프라이머는 주형인 유전자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이 유전자 서열에 혼성화되어 프라이머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상보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는 유전자 증폭 반응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폭 반응은 핵산 분자를 증폭하는 반응을 말하며, 이러한 유전자의 증폭 반응들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예컨대,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리가아제 연쇄반응(LCR), 전자 중재 증폭(TMA), 핵산 염기서열 기판 증폭(NASB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브”는 자연의 또는 변형된 모노머 또는 연쇄(linkages)의 선형 올리고머를 의미하며,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및 리보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고 타켓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특이적으로 혼성화할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합성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는 단일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올리고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자연 dNMP(즉, dAMP, dGMP, dCMP 및 dTMP),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브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의 수준 측정”이란 생물학적 시료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의 노출에 의해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한 바이오마커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오마커 단백질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확인한다.
상기 “항체”는 항원성 부위에 대하여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항체는 본 발명의 384개의 마커 유전자들로부터 발현된 단백질들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의미하며, 다클론 항체, 단일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 등의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또는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키트는 상기 마커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정의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키트가 만일 PCR 증폭 과정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키트는 선택적으로, PCR 증폭에 필요한 시약, 예컨대, 완충액, DNA 중합효소(예컨대, Thermus aquaticus (Taq), Thermus thermophilus (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또는 Pyrococcus furiosus(Pfu)로부터 수득한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 DNA 중합 효소 조인자 및 dNTP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키트는 선택적으로, 이차항체 및 표지의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상기한 시약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위해성 평가용 마커를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마커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는 혼성화 어레이 요소(hybridizable array element)로서 이용되며, 기질(substrate) 상에 고정화된다. 바람직한 기질은 적합한 견고성 또는 반-견고성 지지체로서, 예컨대, 막, 필터, 칩, 슬라이드, 웨이퍼, 파이버, 자기성 비드 또는 비자기성 비드, 겔, 튜빙, 플레이트, 고분자, 미소입자 및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성화 어레이 요소는 상기 기질 상에 배열되고 고정화되며, 이와 같은 고정화는 화학적 결합 방법 또는 UV와 같은 공유 결합적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성화 어레이 요소는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알데히드기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글래스 표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한 폴리라이신 코팅 표면에서 UV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성화 어레이 요소는 링커(예: 에틸렌 글리콜 올리고머 및 디아민)를 통해 기질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에 적용되는 시료가 핵산일 경우에는 표지(labeling)될 수 있고, 마이크로어레이상의 어레이 요소와 혼성화 될 수 있다. 혼성화 조건은 다양할 수 있으며, 혼성화 정도의 검출 및 분석은 표지 물질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커 유전자의 발현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을 예측 및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a)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상기 표에 기재된 384개의 유전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정상 대조군 시료로부터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a) 단계의 측정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mRNA 또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공지의 공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의 측정은 바람직하게는 mRNA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며, mRNA의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노던 블럿, RNase 보호 분석법, DNA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단백질 수준의 측정은 항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생물학적 시료 내의 상기 마커 단백질과 이에 특이적인 항체는 결합물, 즉,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하며,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량은 검출 라벨(detection label)의 시그널의 크기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라벨은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선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웨스턴 블럿,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adioimmunoassay: RIA), 방사선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분석법, FACS, 단백질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검출 방법들을 통하여, 대조군의 mRNA 발현 양 또는 단백질의 양과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노출된 경우의 mRNA 발현 양 또는 단백질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발현 양의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노출에 따른 위해성을 예측 및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동물모델 및 POP 처리
실험동물로는 오리엔트사(한국, 서울)에서 구입한 11주령 Sprague-Dawley 수컷 랫트를 사용하였고, 모든 실험동물은 23±2℃, 습도 60± 10%인 조건의 사육실에서 낮 12시간/밤 12시간을 주기로 사육하였으며, 물과 사료에는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모든 동물은 하루 두번 질병률 및 사망률을 측정하였다. 동물실험은 IACIC(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실시하였다. 동물은 무작위적으로 처리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로(POPs)는 톡사펜(이하 'TO'라 약칭한다.), 헥사클로로벤젠(이하 'HCB'라 약칭한다.), 클로르데인(이하 'CH'라 약칭한다.), 미렉스(이하 'MI'라 약칭한다.), 딜드린(이하 'DI'로 약칭한다.), 헵타클로르(이하 'HE'로 약칭한다.)의 총 6종을 사용하였으며, TO (CAS Number: 8001.35.2), HCB (CAS Number: 118.74.1), CH (CAS Number: 12789.03.6), MI (CAS Number: 2385.85.5), DI (CAS Number: 60.57.1), HE (CAS Number:76.44.8)는 Supelco 사(미국, 펜실베이나주, 벨레폰테)에서 구입하여 제조자 방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6종의 오염물질의 투여량은 각 오염물질의 공개된 LD50의 20%(LD10)로 결정하였고, HCB, TO, CH의 경우 7마리의 동물에, MI, DI, HE의 경우 6마리의 동물에 투여하였으나, DI의 경우 정제된 RNA의 질이 양호하지 않아 오직 5마리의 동물에 대해서만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할 수 있었다. 대조군으로는 10마리의 동물을 일반적 독성 분석 및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에 활용하였다.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을 동물에 투여하기 위하여 옥수수 오일을 운반체로 사용하였으며, TO (10 mg/kg), HCB (700 mg/kg), CH (50 mg/kg), MI (47 mg/kg), DI(7.8 mg/kg), HE (8 mg/kg)를 각각 경구투여한 후 48시간이 경과하여 랫트를 희생하고 간의 총 RNA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2>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의한 동물 모델의 일반 독성 평가
<2-1> 체중 및 기관 무게 변화 관찰
본 발명자들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에 노출된 상기 실시예 1의 동물 모델에서 일반적인 독성 판단의 지표인 체중 및 기관(간, 신장, 폐)의 무게 변화가 관찰되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48시간 노출된 동물 모델에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 및 기관(간, 신장, 폐)의 무게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1
<2-2>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에 노출된 동물 모델 혈액의 임상 생화학적 분석을 위하여 랫트의 전혈을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 투여 후 2일이 경과하여 채취하였다. 간 효소 마커로써 POPs에 의해 유발된 GOT(glutamic oxaloacetictransaminase),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및 TBIL(total bilirubin)의 혈청 내 수준을 표준 혈액 생화학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48시간 동안 랫트에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투여하여도 간 기능 손상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2
상기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자들은 일반 독성 평가 방법으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노출에 대한 초기 예측이나 진단이 용이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세포 내 수준에서 신속하고 활발하게 일어나는 분자 수준에서의 평가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한 분자 표지 확인
본 발명자들은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에 의해 특이적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분자 표지를 확인하고자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6종의 POPs를 투여한 랫트로부터 추출한 mRNA를 이용하였는데, 고밀도의 랫트 전-게놈(whole-genome)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는 한국의 가톨릭대학교에 있는 MGRC(Microdissection Genomics Research Center)에서 제조하였다. AROS(Array-Ready Oligo Set) 올리고세트는 Operon(Huntsville, AL, USA)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세트는 랫트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26,963개의 프로브를 포함한다(선행문헌 1 참조).
<3-1> 전체 RNA 추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투여한지 48시간 경과 후, 랫트 간 조직 샘플로부터 Trizol 시약(Invitrogen, Grand Island, NY, USA)을 사용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였고, 품질 검사는 Experion bioanalyzer(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에서 RNA StdSens Chips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RNA 품질이 열악한 샘플은 실험에서 배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at Reference RNA (RRR; Stratagene, La Jolla, CA)를 마이크로어레이를 위한 표준 RNA로 사용하였다.
<3-2> 표지된 전체 cDNA 제조
총 RNA의 20㎍이 cDNA 제조를 위해 사용하였다. 우선 표준 RNA는 시아닌 3-dUTP (NEN Life Science, Boston, MA, USA)로 표지하였으며, 테스트 샘플들은 시아닌 5-dUTP (NEN Life Science, Boston, MA, USA)로 표지하였다. 즉, 추출된 총 RNA는 Cy-3 또는 Cy-5 데옥시우리딘(deoxyuridine) 5´-트리포스페이트(triphosphate)를 첨가하여 SuperscriptII(Invitrogen, Carlsbad, CA, USA) 효소를 이용하여 cDNA 타겟으로 역전사하였으며, 잔존하는염색물질은 Microcon YM-30 컬럼(Millipore, Billerica, MA, USA)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3-3> 혼성화 반응
다음으로, 각각의 Cy5가 표지된 cDNA는 32㎕ 혼성화용액(50% DIG Easy-Hyb [Roche, Basel, Switzerland] 및 herring sperm DNA 30㎍)에서 42℃, 18시간 동안 Cy3이 표지된 표준과 혼성화시켰으며, 혼성화는 혼성화 챔버에서 수행되었다. 혼성화가 완료된 후에는 다음과 같은 세척과정을 수행하였다.
1) 2X SSC, 0.1% SDS로 상온에서 2분, 2) 1X SSC로 상온에서 2분, 3) 0.2X SSC로 상온에서 2분, 4) 0.05X SSC로 상온에서 2분 및 5) 증류수로 상온에서 2분.
<3-4> 스캐닝 및 데이터 분석
세척된 슬라이드 상의 혼성화 이미지는 GenePix 4000B 스캐너(Axon Instruments, Union City, CA, USA)로 스캔하였으며, Cy-3/Cy-5 신호는 GenePix Pro 5.0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용 소프트웨어(Axon Instrum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각적인 검사에 의해 결정되는 낮은 해상도의 반점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각 어레이에서 수집된 데이타는 GenPlex 소프트웨어(Istech, Seoul, Korea)에 전달하였고, 신호 대 잡음 비율(SNR)<1.5인 반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분석에서 배제하였다. 각 배열 내의 신호 강도는 48핀 그룹에 따라 LOWESS 알고리즘(0.2 of data fraction and iteration No.3)을 사용하여 표준화하고, 배열 사이의 차이 또한 표준화하였다. 이후, 유의 유전자 선별을 위하여 대조군보다 각 오염물질 처리군에서 로그 변환된 비율값이 75% 이상의 변화를 보인 유전자들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계층적 군집(Hierarchical clustering)의 로그 비율(log ratio)은 클러스터(Cluster)와 TreeView 2.3(Stanford Univ,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클러스터링을 적용하는 동안 Pearson′s correlation, Manhattan distance, mean centering, 및 complete linkage가 적용되었다.
< 실시예 4>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해 특이적 발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분자 표지
일반적으로 전세체 조절은 생리적 스트레스 또는 병리학적 트레스와 같은 생화학적 영향에 대한 동적인 세포내 반응에 의해 발생하며, 특이적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이러한 자극을 반영한다. 간 조직에서 대규모-스케일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이러한 자극을 반영하는지 확인해보기 위하여, 자율 계층적 군집 분석(unsupervise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로 랫트의 간 조직에서 대규모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변화에서 26,963 프로브 중 5366개의 프로브가 최소 필터링 기준(% of data present ≥ 100)을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유전자 세트의 계층적 군집 분석은 계통수 상에서 2개의 주요 클러스터로 분류되었고, 각 클러스터는 계통수 상에서 유전자 발현 양상에 의해 다시 세부 클러스터로 분류되었다. 도 1에서 왼쪽 클러스터는 MI, HE, DI를 처리한 랫트 실험군을 나타내고, 오른쪽 클러스터는 TO, CH, HCB를 처리한 랫트 실험군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로부터 랫트 간 전사체에서 각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처리에 따른 특징적인 분자 수준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각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처리에 따른 유전자 발현 양상을 통해 각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분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들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운반체만을 처리한 대조군과 차별화된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아웃라이어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하여, Welch's T-test(P<0.05)의 통제된 분석을 통해 분류된 알고리즘으로 2708개의 아웃라이어 유전자를 선별하였으며, 이러한 유전자들은 발현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두 개의 그룹(POPs 및 대조군)으로 정확하게 분리되었다. 이들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아웃라이어 유전자는 단일잔류 교차 검증 기법(leave-one-out cross validation method)에 의한 예측 신뢰 분석에 의해 검증되었고, 고 정확도 분류자(high-accuracy classifier, 2708 유전자)를 이용한 분류 배정 빈도는 두 그룹(대조군 및 POPs)에서 100%로 예측되었다(도 2 참조)
< 실시예 5>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예측 분자 마커의 확인
본 발명자들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로부터 각각의 오염물질을 결정하고 예측할 수 있는 분자 마커를 동정하였다. 각 오염물질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유전자의 최대 숫자를 검색하기 위하여, 2개의 다른 다분류 알고리즘(Volcano plot mehtod and Kruscal-Wallis H-test)를 사용하였고, 100% 정확도로 각 독성물질을 분류하기 위한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하여 전체 계산[유전자 선택 알고리즘, BSS/WSS(the ratio of between group to within-group sums of squares)]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두 가지 방법으로부터 아웃라이어 유전자를 결합하였다(도 3A 참조).
즉, 각 오염물질 노출에 의한 대규모-스케일 유전자 발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각 오염물질에 고도로 엄격한 컷 오프 밸류(P<0.001, 2배 변화, 360 유전자,; GenePlex, package tool, Istech)를 이용한 Volcano plot method를 적용하였고, 이들을 Kruskal-Wallis H-test(P=0.0001, 340 유전자)를 이용하여 7 개의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LOOCV를 사용하여 100% 예측 정확도를 만족시키는 최대 유전자 수를 도출하였고, 이들 아웃라이어를 조합하여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각각의 독성물질을 결정할 수 있는 최대 유전자 수로 384개의 유전자가 도출되었다(도 3A 참조). 384개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계층적 클러스터링은 그 고유한 발현 프로파일에 의해 6종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분별해 낼 수 있는데, 이들 384개의 아웃라이어 유전자는 LOOCV에 의한 100개의 임의 분할에 의한 분류된 예측 신뢰 분석에 의해 추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예측 마커의 예측 정확도에 대한 LOOCV 검증 실험 결과는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6>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의해 특이적 발현 양상을 보이는 유전자 분석 및 자기전 연구
POP에 노출되어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변화하는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pathway database (http://www.ncbi.nih.gov/geo/)를 사용하였다.
KEGG pathway mapping은 분자적 데이타 세트를 지도화하기 위한 과정으로 특히 게노믹스의 대규모 데이타 세트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러한 데이타베이스 분석을 통하여, 예측 마커인 384개의 유전자에서 적어도 4o의 유전 요소를 포함하는 13개의 경로가 확인되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된 랫트의 간 조직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신호 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초점접착역(focal adhesion), 퍼옥시좀 증식자-활성 수용체 신호 전달경로(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signaling pathway), 사이토카인-사이토카인 수용체 결합(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p450에 의한 제노바이오틱스 대사경로(metabolism of xenobiotics by cytochrome P450), 지방산 대사경로(fatty acid metabolism),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대사경로(adgrogen and estrogen metabolism), 아라키돈산 대사경로(arachidonic acid metabolism),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포르피린 및 클로로필 ㄷ대댓대사경로(rin and chlorophyll metabolism), 보체 및 응고 캐스캐이드(complement and coagulation cascades),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리보좀 경로(ribosome pathway).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POPs 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하위 분자기전을 관찰하기 위하여 gene set enrichment analysis (GSEA)를 실시하였고, 유전자 세트의 데이터베이스로는 Gene Ontology Biological Process (http://www.broadinstitute.org/gse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MI, DI, HE 처리에 의해 Chang Liver Cancer Subclass Proliferation Up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 되고, Substrae Specific Transmembrane Transporter Actvity 경로가 저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참조).
한편, 클로르데인, 딜드린, 헵타클로로벤젠, 헵타클로르, 미렉스, 톡사펜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량 변화는 하기 표와 같다.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3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4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5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6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7
Figure 112013054718452-pat00008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POPs: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TO: 톡사펜
HCB: 헥사클로르벤젠
CH: 클로르데인
MI: 미렉스
DI: 딜드린
HE: 헵타클로르
<110> CATHOL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Biomarker for risk assessment to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use thereof <130> PN1304-136 <160> 7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001525_01 gene sequence <400> 1 tcaacatcaa ctatgtgccc ttgcagttcc gggtgctctt tgccaacatg gcagctctgt 60 tctggtatgc 70 <210> 2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003217_01 gene sequence <400> 2 caaactttat gcatcctgag ctgttcttta ccctggccat ggattttccc gcaccttctc 60 caatccctgt 70 <210> 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0557 gene sequence <400> 3 gcaactggtt ctgtacttga aggtggctga gctgctctct tcaggcttac agactgccat 60 tgaccagatt 70 <210> 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0646 gene sequence <400> 4 gtttgtgagc tgggggtgtg atgtgctttt gttactgtag gcagaacaag ctagaagtcc 60 accattcctc 70 <210> 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1360 gene sequence <400> 5 agctgaccag aacacaagca aaaatgtggc agctggacag ccaatgaaaa gaggccagaa 60 gagtaaaatg 70 <210> 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1366 gene sequence <400> 6 cctagggtac ctgctcccca aggccagctc acatgacttg tcctttgtgc ccacaggaaa 60 gcgcatttgt 70 <210> 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1583 gene sequence <400> 7 ccgggatgag tatcgggagg actacgatgc tggaagaggc ggctatggaa aactggcaca 60 aaaacagtga 70 <210> 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1934 gene sequence <400> 8 cacagccacg ctggcagcac tggtaggcat cgctttccag atcctgaaaa atggttgtat 60 tgaagtatac 70 <210> 9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3195 gene sequence <400> 9 gaggtcaaca ggcggaatcc tggatgttta tgtgttccta ggcccagagc ccaagagtgt 60 tgtccaacaa 70 <210> 10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3840 gene sequence <400> 10 cttcctctac ttcttctacg aaatcattga ctgcttctcc atgctacact gtgtcgccaa 60 ccccatcctc 70 <210> 1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4210 gene sequence <400> 11 gcattcagtg ttctgtatag acctgcccac cttcgtgaat tcatctgtta actcctcctc 60 ctctgagagc 70 <210> 12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7634 gene sequence <400> 12 tgcttcttca ctacatcaag tgaggaaaaa actggactcc ctgggcctgt gttctgtatc 60 ctgttcactg 70 <210> 1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9335 gene sequence <400> 13 ttacagctcg ggcaccgtag ccatcatgga atgacacggt aaccatccgg accaggaagt 60 tcatgacaaa 70 <210> 1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09559 gene sequence <400> 14 ggcacgaaca atggacaccc agaaagatgt tcaaccacca aagcagcagc caatgatata 60 tatttgtgga 70 <210> 1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1076 gene sequence <400> 15 ggagaactct tgggcccctg gagccaactt tggaccatta tgttctgaag actagctgtt 60 gataatgaga 70 <210> 1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1193 gene sequence <400> 16 caagtccaag aaccacacca accagtcccg caaatggcac agaaatggca tcaagaaacc 60 ccggtcacaa 70 <210> 1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1252 gene sequence <400> 17 agaacgggga gaagagttgg cagactctgc ccttgaaatc ttcaagaagg cgtcagccta 60 ttccagggta 70 <210> 1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2578 gene sequence <400> 18 ctgtgacatc ctgtacaaag cagagtactt cctggttctg gctgtgctga actcaggtac 60 caaccccatc 70 <210> 19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2603 gene sequence <400> 19 aaagagtcca ggacatatgg tgatactaaa ccaaaccaag ggagatcact gtaggccatc 60 aagaaggggc 70 <210> 20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3259 gene sequence <400> 20 cttccctgaa accaagctgg acgagaagaa gtacccgtac tggtcccacc agcccattga 60 gaacctgtga 70 <210> 2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3930 gene sequence <400> 21 ctcagtgaga gatgctgtac ctaaagaaca tattctaccc tccctatccc atctcctgcc 60 tgcccttgac 70 <210> 22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4234 gene sequence <400> 22 caaggctttc gaaagaagac ttactgaata tattcattgc ttgcaacctg ccactggacg 60 60 <210> 2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4271 gene sequence <400> 23 gtgggattgc agactggtaa aaccattctg gaaatcagtc tggaggttcc tcagaaaatt 60 ggacattgaa 70 <210> 2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4699 gene sequence <400> 24 tagtccatct agggctcggc ctctttaaag aaacagactt ctgcaacctt gggactacgt 60 ttggggtcgc 70 <210> 2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4761 gene sequence <400> 25 atatcttaca aatccagcac tacaaaggat aataaagggt aaagcccaac ataaggaggc 60 aagctatacc 70 <210> 2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5835 gene sequence <400> 26 ccaccgtgaa acaagatgtg tggacaagag ccttcctgtt cttttggctg atccagttct 60 ttgtgccata 70 <210> 2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6346 gene sequence <400> 27 tgtgataaag ccttttcaac acagtagcct ccagaagcat aaaagagttc acactggaga 60 gaagccctac 70 <210> 2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6589 gene sequence <400> 28 ccaaacgccg taaagtctgc taggctggct aggtacggcc atggccaagc ggtttttcga 60 agcctacaat 70 <210> 29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6631 gene sequence <400> 29 ccgccgccat cccctgaagt ggttacctgt tcaagactca ggcacagaag acaagaaatc 60 aggggacaga 70 <210> 30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6809 gene sequence <400> 30 cgtggccccc tccaaggctc gagaatactc cagggagggc tgggagtatg tcaaagaaca 60 caccaagtaa 70 <210> 3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6930 gene sequence <400> 31 agaccacctc ctaaacaaga cccacagcct gtgtcccaga ctgctctgca gggactggac 60 tcagggttaa 70 <210> 32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7242 gene sequence <400> 32 attccgtgtg gggcagtgct ggccaagtac ttgggtatcc ccactgtgtt 50 <210> 3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7257 gene sequence <400> 33 aaatccaacc ctacaaagga taataaatgc ccaacataag gaggcaagct acaccctaga 60 aaaagcaaaa 70 <210> 3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7396 gene sequence <400> 34 ctcttccaga ggttctgagt tcaaatccca gcacccacat ggtggctcac aaccatctgt 60 aatgggatct 70 <210> 3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7403 gene sequence <400> 35 caaatcccag caaccacatg gtggctcaca accatctgta acgagatctg ctgctctttt 60 ctggtgtgtc 70 <210> 3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8038 gene sequence <400> 36 catcgtcacc gtcgacagaa cagtccttaa tccagaaagc ctgacatgaa gggagaggag 60 actcttcgag 70 <210> 3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8090 gene sequence <400> 37 tgaggagtac ggcccagtca tcgaatgtga catcgtgaaa ttatgccttt gtacacatgg 60 agcgggcaga 70 <210> 3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8139 gene sequence <400> 38 gaaaaagaag ttgttcaagc gccgcagggt actaagcagg gatcggcgac ggaagcgcct 60 ggtggtcggg 70 <210> 39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8695 gene sequence <400> 39 gagcagcagg tcccttgaac caggtgtttg ggcagggtga gatgattgac 50 <210> 40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9714 gene sequence <400> 40 tcaagtaaca tataaaggca gacctatgag aatcacacca gacttttcgc cagaaactat 60 gaaggccaga 70 <210> 4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19859 gene sequence <400> 41 aagatcctgg actgatgtta tacagaccct aagagaacac aaatgccagc ccaggttact 60 gtatccagca 70 <210> 42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0071 gene sequence <400> 42 gaaccgcttc ttcggaaaag cgaaacccaa gggcccacct agccagactg aatgcattgg 60 gacggtggat 70 <210> 4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0232 gene sequence <400> 43 gcgcaggaac ccaagcaaca gaaaccaaga ctacatggca tcatcagagc ccaattctcc 60 caccaaaaca 70 <210> 4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0238 gene sequence <400> 44 cacagcccag cggaaggatg ccaaatctgt caagatcaag aagaacacgg ataatgtgaa 60 gttcaaggtc 70 <210> 4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0260 gene sequence <400> 45 agagcttgcc ccatatgatg agaactggct ctacacacga gctgcttcca cagcacggca 60 cctgtacctc 70 <210> 4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0375 gene sequence <400> 46 gcgcaggaac ccaagcaaca gaaaccaaga ctacatggca tcatcggagc ccaattctcc 60 caccaaaaca 70 <210> 4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0415 gene sequence <400> 47 ctacatggca tcatcagagc ccaattctcc caccaaaaca aacatggaat atccaaacac 60 accagaaaag 70 <210> 4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0522 gene sequence <400> 48 caagggaaag gccaggctgg ggcgcctggt acacaggaag acatacaccg ctgttgcctt 60 cacacaggtt 70 <210> 49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1029 gene sequence <400> 49 accaaaggat attgatacaa ctccagtttt ccctggattt gcctctctac caccatttta 60 tgagctgtgc 70 <210> 50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1065 gene sequence <400> 50 gagacaagga gccatagata caagcatcac caacagaata agagagatag aagagagaat 60 ctcaggagca 70 <210> 5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1248 gene sequence <400> 51 aaaccatagt ctctctctgt ggaaggtcgg gtgcactagc tttgtttatc caacttgtga 60 ggtgcagaca 70 <210> 52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1399 gene sequence <400> 52 gtacgggaaa gacgccacca atgtgggtga cgagggtgga ttcgcaccta acaatctgga 60 gaacaaagac 70 <210> 5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2347 gene sequence <400> 53 ggccaagttc atccggaact tcgtggagaa ggcactgtca atggtggccg ctgccgtgac 60 ttactcgaag 70 <210> 5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2796 gene sequence <400> 54 cccctatgac agatactgtt gctacatcaa ccagagccaa ggcaggtggg accacgagac 60 aatagtctga 70 <210> 5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3080 gene sequence <400> 55 gcgcaggaac ccaagcaaca gaaaccaaga ctgcatgcca ccatcggagc ccaattctcc 60 caccaaaaca 70 <210> 5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3102 gene sequence <400> 56 gagagagagg cagagaggca gagaggcaga gaggcagaga ggcagaggca gaggcagagg 60 gagagagaga 70 <210> 5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3533 gene sequence <400> 57 ctcccttaga gaaacacagg aaaacattaa taaacaagta gaagcctaca gagaggaatc 60 ccaaaaatgc 70 <210> 5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4607 gene sequence <400> 58 gttaagtaag agcactgact gctcttccaa aggtcctgag ttcaaatccc agcaaccaca 60 cggtggctca 70 <210> 59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4857 gene sequence <400> 59 aattctggtc ctactcttgg cgttttctgt tctgacctgg atccctcctt ccacaatcct 60 gtccctatga 70 <210> 60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4887 gene sequence <400> 60 gtcccagcaa ccacatggtg gctcacaacc atctgtaatg ggatctaatg ccctcttctg 60 gtgtgtctga 70 <210> 6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5023 gene sequence <400> 61 gaggcagaga gaggcagaga gaggcagaga gaggcagaga gaggcagaga gaggcagaga 60 gaggcagaga 70 <210> 62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5249 gene sequence <400> 62 gctccttggc ctctacatct tcctgctcta caagatcgtt cgcggggggg tgccagtggc 60 gacaacgacg 70 <210> 6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5299 gene sequence <400> 63 ccagcccagg ttactgtatc cagcaaaact ctcaataaac attgatggag aaaccaagat 60 attccatgac 70 <210> 6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5636 gene sequence <400> 64 agctgaagaa gctataaagg ttaagattga aagtgatgct caagagcccg ccaaggcgga 60 ggacgacctt 70 <210> 6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5989 gene sequence <400> 65 gctgctgaac ctgaggaaga tcagctctga cttggattgg cttcctgtcc cgaaacaaac 60 cttcaccgaa 70 <210> 6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5997 gene sequence <400> 66 acaagtagaa gcccatagag aggagtcaca aaaatccctg aaagaattcc aggaaaacac 60 aatgaaacag 70 <210> 6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6016 gene sequence <400> 67 cgcagcctta tttataatag ccagaaaatg gaaagaaccc agatgccctt caacagagga 60 atggatacag 70 <210> 6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6388 gene sequence <400> 68 acagacccta agagaacaca aatgccagcc caggttaatg tatcctgcaa aactctcaat 60 taacatagat 70 <210> 69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6402 gene sequence <400> 69 ccagggaaag gattcaatta aggtgccatt ctgcctcctg tgtttttggc ctgctgttgt 60 ggactcttag 70 <210> 70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ID Rn30026806 gene sequence <400> 70 tgcctgctcc aagttcgtct ctaccctgat caggagcgcc tctcagctgc cgagtcgtct 60 gctctccgca 70

Claims (14)

  1. 하기 표에 기재된 384개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을 포함하는 톡사펜(toxaphene),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클로르데임(Chlordane), 미렉스(Mirex), 딜드린(Dieldrin), 헵타클로르(Heptachlo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Figure 112014127975516-pat00009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0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1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2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3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4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5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6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7

    Figure 112014127975516-pat00018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렉스, 딜드린 또는 헵타클로르의 처리에 의해 창 간암 하위분류 증식 업(Chang Liver Cancer Subclass Proliferation Up)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되거나 기질 특이적 막관통 수송 활성(Substrate Specific Transmembrane Transporter Actvity) 경로가 저활성화(down-regulate)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간 조직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의해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톡사펜인 경우,
    COL3A1, ZFYVE26, LIN7C, UBE4B, SLC10A7, AGPAT3, TMEM63A, ZFYVE1, LRIG3, SESN3 및 TBC1D1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증가하고;
    AURKB, NNMT, CDCA8, H2AFX, WSB1, CFD, ARL4A, KBTBD2, KIF22, KCTD9, CAB39L, TRIM29, SEMA3C, GLIS2, PYGB, SLMAP, TUBB6, RAB34, DUSP1 및 ZFP3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헥사클로로벤젠인 경우,
    NQO1, ABCC3, TXNRD1 및 SCNN1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증가하고;
    NR1D1 및 MED1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클로르데인인 경우,
    RABGGTB, MRC1, CITED2, ID2, DUSP6, HIF1A, IL18, TANK, VASP, ITGB2, PAFAH1B3, ACLY, NUP88, ATP1B1, BTG1, CCDC53, FAM107B, PPP2R3A, TMEM19, RORA, FN1, SLC34A2, RGN, OAT 및 RORC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이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미렉스인 경우,
    EREG, SERPINB2, CSF3, MEOX2, ABCG5 및 SLC4A7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증가하고;
    ATP1B1, SLC7A6, ATP2C1, SLC17A3, SLC7A2, SLC17A5, SLC10A1, SLC5A6, AQP9, ABCC6 및 SLC16A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헵타클로르인 경우,
    HIPK2, SLC7A2, SGMS1, ATP6V0E2, ALCAM, AQP11, IL13RA1, FAAH, CFD, IGF1, PTGER3, MAOB, ABCC6, PDK4, WFDC2, IGF1, FN1, PSMB9, TGM2, C1Q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이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이 딜드린인 경우,
    PTTG1, KIF18B, SLC38A1, E2F8, E2F1, TRIP13, CENPE, ECT2, LMNB1, CCNB1, AURKA, CDCA8, CCNB2, PCNA, PBK 및 H2AF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증가하고;
    CGN, INSIG2, TLE1, RBL2, KLF9, PPAP2B, LMBRD1, PDK4, PDK1, SLC16A11, HIBADH, FAM35A, ACSM3, SLC16A1, SALL1, SLC13A3, INSIG2, TTPA, AADAC, NAGS, CYP8B1, CLDN2, AQP11, AQP9, SLC16A4, SLC6A12 및 SLC5A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발현양은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용 조성물.
  11. (a) 톡사펜(toxaphene),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클로르데임(Chlordane), 미렉스(Mirex), 딜드린(Dieldrin), 헵타클로르(Heptachlo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제1항의 표에 기재된 384개의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정상 대조군 시료로부터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a) 단계의 측정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간으로부터 분리된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웨스턴 블럿, 노던 블럿,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및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방법.
  14. 삭제
KR1020130070439A 2013-06-19 2013-06-19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51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39A KR101517280B1 (ko) 2013-06-19 2013-06-19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39A KR101517280B1 (ko) 2013-06-19 2013-06-19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52A KR20140147352A (ko) 2014-12-30
KR101517280B1 true KR101517280B1 (ko) 2015-05-04

Family

ID=5267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439A KR101517280B1 (ko) 2013-06-19 2013-06-19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86B1 (ko) 2019-07-05 2020-05-29 (주)제이씨글로벌 광학적 웨이퍼 엔드포인트 이중검사장치
CN113777291B (zh) * 2021-08-31 2023-09-05 哈尔滨工业大学(深圳) 利用草履虫生物标志物及ibr检测评价左氧氟沙星环境风险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한샘,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52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787B1 (ko) 췌장염 진단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US20110064739A1 (en) Medicament, compositions, and substances for treating and identifying adenocarcinoma of the lung
CN108138236A (zh) 用于癌症中免疫治疗的基因标签
Montel et al. Tumor–stromal interactions reciprocally modulate gene expression patterns during carcinogenesis and metastasis
Lezhnina et al. Novel robust biomarkers for human bladder cancer based on activation of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US2022012767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gnostic and/or diagnostic subtyping of pancreatic cancer
CN105981026A (zh) 生物标志标识方法及用于其的装置和试剂盒
CN105368925B (zh) 用于肺癌预后的生物标志物及其用途
KR101933692B1 (ko) 폴리염화바이페닐77 노출 진단용 바이오 마커를 포함하는 진단 키트
KR20100058420A (ko) 심근염 전사체 바이오마커
Vigneswaran et al. Microarray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cell lines from primary and metastatic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possible insights from emerging technology
KR101517280B1 (ko)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US2011023639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a colorectal adenocarcinoma
CN104204223B (zh) 用于睾丸癌的体外诊断或预后的方法
KR101604178B1 (ko)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의 예측 및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KR101933695B1 (ko) 비스페놀 a 노출 진단용 바이오 마커를 포함하는 진단키트
KR101644682B1 (ko) 전사체학과 단백질체학을 이용한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의 예측 및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Zhang et al. Signature patterns revealed by microarray analyses of mice infected with influenza virus A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Jin et al. Transcriptomes of injured lamprey axon tips: single-cell RNA-Seq suggests differential involvement of mapk signaling pathways in axon retraction and regener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KR20160035230A (ko)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용 마커 조성물
Naito et al. Glob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gastric ischemia-reperfusion: a future therapeutic direction for mucosal protective drugs
Schrattenholz et al. Protein biomarkers for in vitro testing of toxicology
US20150011411A1 (en) Biomarkers of cancer
KR102065594B1 (ko)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KR101186721B1 (ko)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