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203B1 -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 Google Patents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203B1
KR101517203B1 KR1020140051048A KR20140051048A KR101517203B1 KR 101517203 B1 KR101517203 B1 KR 101517203B1 KR 1020140051048 A KR1020140051048 A KR 1020140051048A KR 20140051048 A KR20140051048 A KR 20140051048A KR 101517203 B1 KR101517203 B1 KR 10151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liquid
layer
capsule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테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테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테이프
Priority to KR102014005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는,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며 탄성을 갖는 섬유층과, 섬유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재질의 해면층과, 해면층에 위치하며 내부에 기능성 액체를 수용하고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이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캡슐, 및 해면층과 기능성 캡슐 상부에 도포되어 인체의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Functional tape for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육의 손상 방지 및 통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런스 테이프(balance tape)라 불리는 기능성 테이프는 탄성섬유와 비탄성섬유가 서로 교차하여 직조된 직물 형태의 테이프로, 탄성섬유가 배치된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기능성 테이프는 근육의 주행 방향과 나란하게 부착되어 피부에 흐르는 전자기적인 흐름을 조절하거나 피부를 들어 올려 근육 위의 피하조직 공간을 증가시킨다. 다시 말해, 기능성 테이프는 피부와 근육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근육의 손상을 방지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육통, 염좌 또는 좌상과 같은 인대 손상, 근육약화 등의 치료 시 기능성 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4614호 2007. 01. 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육의 손상 방지 및 통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는,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며 탄성을 갖는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재질의 해면층과, 상기 해면층에 위치하며 내부에 기능성 액체를 수용하고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이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캡슐, 및 상기 해면층과 상기 기능성 캡슐 상부에 도포되어 인체의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절개선은 미세한 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캡슐에 외력이 가해지면 벌어져 내부의 상기 기능성 액체가 토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어 상기 기능성 액체가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개선은 복수 개가 서로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액체는, 의료용 약액, 휘발성 냉각액, 방향액, 해충 퇴치액, 약초액, 청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면층 상에 상기 기능성 캡슐과 함께 분포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는 상기 기능성 캡슐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는 표면에 미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면층 상에 분포되며, 의료용 약제, 휘발성 냉각제, 방향제, 해충 퇴치제, 약초제, 청량제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형성되어 체온에 의해 융해되는 고형체의 융해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캡슐은 상기 절개선의 외측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미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캡슐은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미세홀을을 덮는 미세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기능성 캡슐과 알갱이 형태의 지지구를 테이프의 내측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근육의 통증 완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및 근육이 지압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캡슐에 수용된 기능성 액체에 따라 냉각, 방향, 해충퇴치, 청량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를 A-A'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를 B-B'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기능성 캡슐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가 피부에 접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캡슐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가 피부에 접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가 피부에 접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근육의 주행 방향과 나란하게 부착되어 피부(도 5의 100 참조)와 근육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키는 치료 목적의 테이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되어 개별 보관될 수도 있다.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며, 일부 층에 기능성 액체(도 2의 31 참조)를 수용하고 있는 기능성 캡슐(도 2의 30 참조)과 알갱이 형태의 지지구(도 2의 60 참조)가 분산 배치된다. 따라서, 기능성 액체(31)가 피부(S)에 침투 또는 흡수되어 근육의 통증 완화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지지구(60)에 의해 피부 및 근육이 지압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캡슐(30)에 수용된 기능성 액체(31)의 종류에 따라 냉각, 방향, 해충퇴치, 청량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를 A-A'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를 B-B'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기능성 캡슐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직물 형태의 섬유층(10)과, 다공성 재질의 해면층(20)과, 해면층(20)에 배치되는 기능성 캡슐(30), 및 피부(S)에 접착되는 접착층(40)을 포함한다.
섬유층(10)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될 때 피부(S)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층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의 최하층에 위치한다. 즉, 섬유층(10)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의 최하층에 위치하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되면 반전되어 최외곽에 배치된다. 섬유층(10)은 직물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며,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연장되는 방향, 즉, 도 1의 x 방향을 의미한다. 섬유층(10)은 제1 섬유(11)와 제2 섬유(12)를 포함한다.
제1 섬유(11)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의 길이 방향, 즉, 도 1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섬유로, 코어섬유(11a)와 서브섬유(11b)로 형성된다. 코어섬유(11a)는 제1 섬유(11)의 중앙에 위치하며,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섬유(11a)가 탄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제1 섬유(11)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탄성을 갖게 된다. 코어섬유(11a)는 외주면에 서브섬유(11b)가 감겨진다. 서브섬유(11b)는 통상적으로 직물의 원료가 되는 천연섬유 또는 인공섬유로, 코어섬유(11)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거나 도포 또는 코팅되어 제1 섬유(11)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섬유(11)는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섬유(12)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의 폭 방향, 즉, 도 1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섬유로, 제1 섬유(11)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2 섬유(12)는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되, 복수 개의 제1 섬유(11)와 반복적으로 교차되어 직조된다. 제1 섬유(11)와 제2 섬유(12)가 반복적으로 교차되어 직조됨으로써, 섬유층(10)은 직물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제1 섬유(11)는 섬유층(10)의 길이에 대응되고, 제2 섬유(12)는 섬유층(10)의 폭에 대응된다. 통상, 제2 섬유(12)는 제1 섬유(11)보다 총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므로, 섬유층(10)은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전술한 대로, 제1 섬유(11)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며 탄성을 갖고, 제2 섬유(12)는 신축불가하며 탄성을 갖지도 않는다. 따라서, 섬유층(10)은 제1 섬유(11)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으로만 신축하며 탄성을 갖고, 제2 섬유(12)가 연장되는 폭 방향으로는 신축불가하며 탄성을 갖지 않는다.
섬유층(10)의 상면에는 해면층(20)이 형성된다. 이하, 상면이라 함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윗면, 즉, 도 1의 + z 방향에 위치한 면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해면층(20)은 섬유층(10)의 상면에 위치하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되면 반전되어 섬유층(1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해면층(20)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무수히 많은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빈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기능성 액체(31)는 형성된 통로를 통해 효과적으로 유동 및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면층(20)은 실리콘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해면층(20)은 섬유층(10)의 상면에 결합되는데, 이 때, 별도의 접착물질(13)에 의해 접착되거나 열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그러나, 해면층(20)이 접착물질(13)에 의해 접착되거나 열에 의해 압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해면층(20)은 액체 상태로 섬유층(10)의 상면에 도포된 후 굳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해면층(20)이 별도의 접착물질(13)에 의해 섬유층(10)에 결합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섬유층(10)과 해면층(20) 사이에는 접착물질(13)이 개재되며, 접착물질(13)은 섬유층(10)의 상면과 해면층(20)의 하면 사이에 도포된다. 접착물질(13)은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섬유층(10)과 해면층(20)을 서로 고정 결합시킨다.
한편, 해면층(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캡슐(30)이 위치한다. 기능성 캡슐(30)은 탄성체로 형성되어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기능성 캡슐(30)은 가압되어 눌린 상태로 배치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기능성 캡슐(30)은 복원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유지된다. 도면 상에는 기능성 캡슐(30)이 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기능성 캡슐(3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능성 캡슐(30)은 해면층(20) 상에 위치하되, 일 측이 접착물질(13)에 접착되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기능성 캡슐(30)의 일 측이 접착물질(13)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기능성 캡슐(30)은 해면층(2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기능성 캡슐(30)은 내부에 기능성 액체(31)를 수용하는데, 이 때, 기능성 액체(31)는 의료용 약액, 휘발성 냉각액, 방향액, 해충 퇴치액, 약초액, 청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약액과 약초액은 예를 들어, 파스와 같이 소염 진통 성분을 포함한 액체일 수 있으며, 휘발성 냉각액과 청량액은 예를 들어, 소독용 알코올일 수 있다. 또한, 방향액은 예를 들어, 특정 향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으며, 해충 퇴치액은 예를 들어, 항염 및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그러나, 기능성 액체(31)가 의료용 약액, 휘발성 냉각액, 방향액, 해충 퇴치액, 약초액, 청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기능성 액체(31)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캡슐(30) 내부에 한 종류의 기능성 액체(31)가 수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나의 기능성 캡슐(30) 내부에 여러 종류의 기능성 액체(31)가 혼합되어 수용되거나, 복수 개의 기능성 캡슐(30)이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액체(31)를 수용할 수도 있다.
기능성 캡슐(30)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32)이 형성된다. 절개선(32)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틈 형태로 형성되며, 기능성 캡슐(3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성 캡슐(30)의 외측면에 절개선(32)이 형성됨으로써, 기능성 캡슐(30)의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액체(31)는 해면층(20)으로 유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능성 캡슐(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절개선(32)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져 내부의 기능성 액체(31)가 해면층(20)으로 토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절개선(32)은 다시 복원되어 기능성 액체(31)가 해면층(20)으로 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절개선(32)은 복수 개가 서로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개선(32)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개선(32)이 병렬로 배치됨으로써, 기능성 캡슐(30)에 외력이 작용할 때 더 넓은 영역에 걸쳐 기능성 액체(31)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캡슐(30)에 외력이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게 작용하더라도 기능성 액체(31)의 토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해면층(20)의 상면에는 접착층(4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접착층(40)은 해면층(20)의 상면에 위치하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되면 반전되어 해면층(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접착층(40)은 해면층(20)과 기능성 캡슐(30)의 상부에 도포되어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인체의 피부(S)에 접착된다. 즉, 접착층(40)은 상면이 피부(S)에 직접 접착되어 고정된다. 접착층(40)은 두께가 얇게 형성되되, 해면층(20)과 같이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해면층(20)으로 토출된 기능성 액체(31)는 해면층(20) 및 접착층(40)을 차례로 통과하여 피부(S)에 침투 또는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층(40)이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기능성 액체(31)가 통과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변형될 수 있다. 접착층(40)은 상면에 이형제층(50)이 형성된다.
이형제층(50)은 접착층(4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4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이형제층(50)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의 최상층에 위치하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될 때 접착층(40)으로부터 분리되어 접착층(40)을 노출시킨다. 이형제층(50)이 형성됨으로써, 접착층(40)의 상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로부터 접착층(40)을 보호하여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해면층(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60)가 위치한다. 지지구(60)는 고형체로 이루어져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형상이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해면층(20) 상에 기능성 캡슐(30)과 함께 분포될 수 있다. 지지구(60)는 기능성 캡슐(30)과 같이, 해면층(20) 상에 위치하되 일 측이 접착물질(13)에 접착되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구(60)의 일 측이 접착물질(13)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지구(60)는 해면층(2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지지구(60)는 기능성 캡슐(30)의 주변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기능성 캡슐(3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구(60)의 크기가 기능성 캡슐(30)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기능성 캡슐(30)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기능성 캡슐(30)이 과도하게 가압되어 다량의 기능성 액체(31)가 한번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구(60)는 기능성 캡슐(30)이 완전히 눌리지 않도록 외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눌려 피부(S) 및 근육을 지압 또는 자극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에 외력이 가해지면, 기능성 캡슐(30)로부터 기능성 액체(31)가 토출되는 동시에 지지구(60)가 피부(S) 및 근육을 지압 또는 자극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능성 액체(31)가 피부(S)에 침투하는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가 피부에 접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섬유층(10)과 접착층(40) 사이에 위치한 해면층(20) 상에 기능성 캡슐(30)과 지지구(60)가 분산 배치된다. 따라서,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에 외력이 작용할 때, 기능성 액체(31)가 피부(S)에 침투 또는 흡수됨과 동시에 지지구(60)가 피부(S) 및 근육을 지압 또는 자극하여 통증 완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캡슐(30)에 수용된 기능성 액체(31)의 종류에 따라 냉각, 방향, 해충퇴치, 청량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를 피부(S)에 부착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섬유층(10)은 제1 섬유(11)와 제2 섬유(12)가 직조되어 형성되며, 제1 섬유(11)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코어섬유(11a)의 외주면에 서브섬유(11b)가 감기거나 도포 또는 코팅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되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섬유층(10)의 상면에는 접착물질(13)과 해면층(20)이 차례로 적층되며, 해면층(20)에는 기능성 캡슐(30)과 지지구(60)가 불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이 때, 기능성 캡슐(30)과 지지구(60)는 접착물질(13)과 해면층(2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기능성 캡슐(30)의 내부에는 기능성 액체(31)가 수용되는데, 절개선(32)이 오므려져 있어 외부로, 즉, 해면층(20)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해면층(20)의 상면에는 피부(S)에 접착되는 접착층(40)이 적층되고, 접착층(40)의 상면에는 접착층(40)을 보호하는 이형제층(50)이 배치된다.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반전된 상태에서 피부(S)에 부착되므로, 섬유층(10)이 상부에 위치하고 이형제층(50)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를 반전시킨 상태에서, 이형제층(50)을 분리하여 접착층(40)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 때, 이형제층(50)을 먼저 분리한 후,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를 반전시킬 수도 있다. 접착층(40)을 노출시킨 후,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를 붙이는 부위의 근육을 최대한 늘린 상태에서 피부(S)에 부착한다.
도 6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근육이 최대한 늘려진 상태에서 피부(S)에 부착되므로, 붙이고 나서 근육을 원래의 상태로 배치했을 때 굴곡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섬유층(10)이 길이 방향으로 일부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착물질(13), 해면층(20) 및 접착층(40)도 일부 수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면층(20) 상에 분포된 기능성 캡슐(30)과 지지구(60) 사이의 간격이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기능성 캡슐(30)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 기능성 캡슐(30)의 형상이 변형된다. 기능성 캡슐(30)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절개선(32)이 일부 벌어지게 되어 기능성 액체(31)가 해면층(20)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된 기능성 액체(31)는 해면층(20)과 접착층(40)을 차례로 통과하여 피부(S)에 침투 또는 흡수된다. 이 때, 기능성 액체(31)가 의료용 약액 또는 약초액일 경우, 근육의 통증이 빠르게 완화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액체(31)가 휘발성 냉각액이거나 청량액일 경우, 휘발성 성분이 증발되며 피부(S)에 청량감을 주거나 환부가 소독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액체(31)가 방향액이거나 해충 퇴치액일 경우, 특정 향을 발산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거나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기능성 캡슐(30)의 주변에 배치된 지지구(60)는 기능성 캡슐(30)이 완전히 눌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피부(S) 및 근육을 지압 또는 자극하여 근육의 통증 완화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피부(S)에 부착된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를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를 가압하면, 근육의 통증 완화 및 지압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되는 섬유층(10)의 면을 가압하면, 가압된 섬유층(10)의 하부에 위치한 접착물질(13), 해면층(20) 및 접착층(40)도 가압되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일부 압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면층(20) 상에 분포된 기능성 캡슐(30)과 지지구(60)에도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기능성 캡슐(30)에 추가 외력이 작용함으로써 절개선(32)이 더욱 벌어지게 되며, 벌어진 절개선(32) 사이로 더 많은 양의 기능성 액체(31)가 토출될 수 있다. 토출된 기능성 액체(31)는 해면층(20)과 접착층(40)을 차례로 유동 및 통과하여 피부(S)에 침투 또는 흡수된다. 이 때, 기능성 캡슐(30)과 함께 가압되는 지지구(60)는 피부(S) 또는 근육을 더욱 강하게 지압 또는 자극함과 동시에 기능성 캡슐(30)이 완전히 눌리지 않도록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층(10)의 상면을 가압하더라도 기능성 캡슐(30)에 수용된 기능성 액체(31)는 일부만 토출된다.
섬유층(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섬유층(10)이 복원됨과 동시에 접착물질(13), 해면층(20) 및 접착층(40)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기능성 캡슐(30) 및 지지구(60)에 가해지는 외력도 제거되어 토출되는 기능성 액체(31)의 양이 감소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캡슐(30a)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캡슐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캡슐(30a)은 절개선(32)의 외측에 복수 개의 미세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캡슐(30a)은 절개선(32)의 외측에 복수 개의 미세홀(33)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기능성 캡슐(30a)은 절개선(32)의 외측에 복수 개의 미세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세홀(33)은 기능성 캡슐(30a)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32)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미세홀(33)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미세홀(33)은 절개선(32)의 외측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미세홀(33)의 단면 형상은 한정될 것은 아니나, 통상,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이 절개선(32)의 틈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미세홀(33)의 직경이 절개선(32)의 틈 간격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절개선(32)이 좁아져 기능성 액체(31)가 토출되지 않더라도 미세홀(33)을 통해 기능성 액체(31)가 일부 토출될 수 있다. 그러나, 미세홀(33)의 직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다량의 기능성 액체(31)가 한번에 토출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세홀(33)의 직경의 크기를 적당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세홀(33)은 별도의 미세막(34)에 의해 덮어진 상태일 수 있다. 미세막(34)은 기능성 캡슐(30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 압력이 작용하면 쉽게 파열될 수 있다. 미세홀(33)이 미세막(34)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사용되기 전, 다시 말해, 기능성 캡슐(30a)에 최초 외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미세홀(33)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사용되기 전에 미세홀(33)을 통해 기능성 액체(31)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캡슐(30a)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절개선(32)이 벌어짐과 동시에 미세막(34)이 파열되어 미세홀(33)이 개방된다. 기능성 액체(31)는 절개선(32)과 미세홀(33)을 통해 해면층(20)으로 토출되며, 기능성 캡슐(30a)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양의 기능성 액체(31)가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확장된 미세홀(33)의 직경 크기보다 벌어진 절개선(32)의 틈 간격이 더 크므로, 절개선(32)을 통해 토출되는 기능성 액체(31)의 양이 미세홀(33)을 통해 토출되는 기능성 액체(31)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가 피부에 접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지지구(60a)의 표면에 미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지지구(60a)의 표면에 미세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지지구(60a)는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돌기는 지지구(60a)의 표면을 따라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 및 형상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미세돌기가 지지구(60a)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거나, 크기 및 형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돌기는 지지구(60a)의 표면을 따라 일부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크기 및 형상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구(60a)의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됨으로써, 피부(S) 및 근육에 가해지는 지압 또는 자극의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가 피부(S)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각의 미세돌기가 피부(S) 및 근육을 지압 또는 자극하여 통증 완화 및 근육의 이완으로 인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가 피부에 접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해면층(20) 상에 융해구(70)가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해면층(20) 상에 융해구(70)가 분포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융해구(70)는 지지구(60)와 같이 고형체로 이루어지며, 해면층(20) 상에 기능성 캡슐(30)과 함께 분포될 수 있다. 융해구(70)는 의료용 약제, 휘발성 냉각제, 방향제, 해충 퇴치제, 약초제, 청량제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형성되어 체온에 의해 융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융해구(7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면층(20) 상에 고체 상태로 배치되다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0)가 피부(S)에 부착되면, 체온에 의해 서서히 융해되어 액체 상태로 변질된다. 액체 상태로 변질된 융해구(7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면층(20) 및 접착층(40)을 차례로 통과하여 피부(S)에 침투 또는 흡수될 수 있다.
해면층(20) 상에 융해구(70)가 분포됨으로써, 기능성 캡슐(30)에 수용된 기능성 액체(31)와 액체 상태로 변질된 융해구(70)가 동시에 피부(S)에 침투 또는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기능성 액체(31)와 융해구(70)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효과가 배가될 수 있으며, 기능성 액체(31)와 융해구(70)가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질 경우, 두 가지 효과를 한번에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 액체(31)가 의료용 약액으로 형성되고, 융해구(70)가 의료용 약제 성분으로 형성되는 경우, 근육의 통증 완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액체(31)가 의료용 약액으로 형성되고, 융해구(70)가 휘발성 냉각제 성분으로 형성되는 경우, 근육의 통증 완화 효과와 동시에 피부(S)에 청량감이 전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능성 캡슐(30)에 수용되는 기능성 액체(31)와 융해구(30)의 성분을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면, 하나의 효과를 배가시키거나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도 11은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환부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피부(S)의 표면에 부착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중첩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는 피부(S)와 근육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키며, 근육의 통증 완화 효과와 피부(S) 및 근육이 지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1)를 가압할 경우, 그 효과가 더욱 배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10: 섬유층
11: 제1 섬유 11a: 코어섬유
11b: 서브 섬유 12: 제2 섬유
13: 접착물질 20: 해면층
30, 30a: 기능성 캡슐 31: 기능성 액체
32: 절개선 33: 미세홀
34: 미세막 40: 접착층
50: 이형제층 60, 60a: 지지구
70: 융해구 S: 피부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며 탄성을 갖는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재질의 해면층;
    상기 해면층에 위치하며, 내부에 기능성 액체를 수용하고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이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캡슐; 및
    상기 해면층과 상기 기능성 캡슐 상부에 도포되어 인체의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미세한 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캡슐에 외력이 가해지면 벌어져 내부의 상기 기능성 액체가 토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어 상기 기능성 액체가 토출되지 않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복수 개가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액체는,
    의료용 약액, 휘발성 냉각액, 방향액, 해충 퇴치액, 약초액, 청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5. 제1 항에 있어서,
    고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면층 상에 상기 기능성 캡슐과 함께 분포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기능성 캡슐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표면에 미세 돌기가 형성된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면층 상에 분포되며, 의료용 약제, 휘발성 냉각제, 방향제, 해충 퇴치제, 약초제, 청량제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형성되어 체온에 의해 융해되는 고형체의 융해구를 더 포함하는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캡슐은 상기 절개선의 외측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캡슐은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미세홀을을 덮는 미세막이 형성된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KR1020140051048A 2014-04-28 2014-04-28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KR10151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48A KR101517203B1 (ko) 2014-04-28 2014-04-28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48A KR101517203B1 (ko) 2014-04-28 2014-04-28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203B1 true KR101517203B1 (ko) 2015-05-04

Family

ID=5339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48A KR101517203B1 (ko) 2014-04-28 2014-04-28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2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92Y1 (ko) * 2016-07-15 2016-12-05 박종석 아로마테라피기능을 가지는 스포츠 테이프
KR101916287B1 (ko) * 2016-09-22 2018-11-09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반복적인 약물 투입과 방출이 가능한 탄성 점착 키네시오 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의복
KR20190056675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대한에프앤씨 모피의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35A (ja) * 2001-05-17 2003-01-14 Johnson & Johnson Ind & Comercio Ltd 粘着性包帯
KR200328949Y1 (ko) * 2003-06-12 2003-10-04 황옥순 찜질용 무릎밴드
KR20100031016A (ko) * 2008-09-11 2010-03-19 김민건 일회용 밴드
KR101224158B1 (ko) * 2010-05-26 2013-01-25 김영한 주름살 제거용 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35A (ja) * 2001-05-17 2003-01-14 Johnson & Johnson Ind & Comercio Ltd 粘着性包帯
KR200328949Y1 (ko) * 2003-06-12 2003-10-04 황옥순 찜질용 무릎밴드
KR20100031016A (ko) * 2008-09-11 2010-03-19 김민건 일회용 밴드
KR101224158B1 (ko) * 2010-05-26 2013-01-25 김영한 주름살 제거용 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92Y1 (ko) * 2016-07-15 2016-12-05 박종석 아로마테라피기능을 가지는 스포츠 테이프
KR101916287B1 (ko) * 2016-09-22 2018-11-09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반복적인 약물 투입과 방출이 가능한 탄성 점착 키네시오 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의복
KR20190056675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대한에프앤씨 모피의류
KR101982335B1 (ko) * 2017-11-17 2019-05-28 주식회사 대한에프앤씨 모피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002B1 (ko) 팽창 및 사용자 전달을 포함하는 코 장치 및 이를사용하는 방법
JP7044705B2 (ja) 負圧創傷治療装置
US7740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oft tissue injuries
US5627611A (en) Artificial tears
US9867965B1 (en) Medical bandage for the head, a limb or a stump
KR101517203B1 (ko)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JP2004130079A5 (ko)
KR20100052493A (ko) 비강 삽입 장치
JP2001502956A (ja) 密な穿刺シール
EP1802236B1 (de) Aufklebbarer gefässverschluss
CN108778203A (zh) 具有稳定元件的外科绷带
KR102638674B1 (ko) 메디컬 가압돌기 밴드
WO1999022678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dhesive devices such as strips, tapes, patches and the like, for application to the human body
KR200481436Y1 (ko) 오일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KR20130004491U (ko)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KR101224158B1 (ko) 주름살 제거용 밴드
KR102087273B1 (ko) 근육 및 관절보호와 약물치료 효과가 복합된 피부 부착용 테이프
EP2347788A1 (en) Simple device for treating trichophytosis unguium
KR200226579Y1 (ko) 파스
KR20070024177A (ko) 치료용 근육 고정 테이프 조성물
KR20010007812A (ko) 건강 수면 안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225248A1 (en) Method of forming absorbent pad using precut overlay
JP2021518233A (ja) 疼痛管理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EP1386594B1 (en) Dressing mechanism
KR102184519B1 (ko) 아토피 피부염용 습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