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491U -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 Google Patents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491U
KR20130004491U KR2020120000291U KR20120000291U KR20130004491U KR 20130004491 U KR20130004491 U KR 20130004491U KR 2020120000291 U KR2020120000291 U KR 2020120000291U KR 20120000291 U KR20120000291 U KR 20120000291U KR 20130004491 U KR20130004491 U KR 201300044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ze
band
capsule
adhesive band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환
Original Assignee
양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환 filed Critical 양정환
Priority to KR2020120000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491U/ko
Publication of KR20130004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4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92Transdermal patches having multiple drug layers or reservoirs, e.g. for obtaining a specific release pattern, or for combining different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46Medication patches, e.g. transcutane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일회용 밴드의 거즈에 캡슐형태의 액상 약액을 내포하고 접착밴드에 절취선을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접착밴드의 기장 및 거즈의 방향을 변형 할 수 있는 구조의 일회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일회용 밴드와 약액을 상비해야하는 번거러움과 장기간 보관 시 기능의 변질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보관, 관리와 함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주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응급처치 시 변질된 약액 또는 환부에 적절하지 못한 약액의 사용으로 전문의의 치료를 받기 전 상처를 악화 시키는 경우가 있기에 상처에 따른 약액을 누구나 쉽게 구분 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이 용이한 응급용품의 필요성과 함께 고안되었다.

Description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Medicinal fluid in Capsule and Varible band}
본 발명(고안)은 기존 일회용 밴드의 거즈에 캡슐형태의 약액을 내포하고 접착밴드에 절취선을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접착밴드의 기장 및 거즈의 방향을 변형 할 수 있는 구조의 일회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일회용 밴드와 약액을 상비해야하는 번거러움을 개선하여 효율적인 보관, 관리와 함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주어 발전하는 응급의료기술에 많은 도움을 주고자 발명(고안)하였다.
종래에도 일회용 밴드나 약액침습거즈, 젤리 형 침투 약제는 있었으나 상기의 것들에는 다양한 약액과 밴드를 상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또 장기간 보관 시 형태의 변형은 물론, 오히려 잘못된 약액의 사용으로 전문의의 치료를 받기 전 상처를 악화 시키는 경우가 있기에 상처에 따른 약액을 누구나 쉽게 구분 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이 용이한 응급용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 일회용 밴드의 경우 사용 시 일회용 밴드와 소독약을 같이 보관 또는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러한 불편을 없애고자 약액을 분말 또는 젤리형태로 포함한 제품도 있긴 하지만 일회용 밴드의 사용 형태를 감안 하였을 때 상처에 약액의 침투 효율과 보관기간에 대해선 무리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상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일회용밴드 및 약액을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사용 시 필요에 따른 약액의 구분 및 흡수(도포)효율이 보장되어야하며 땀으로 인해 밴드의 접착력이 약해지는 단점을 보안하고 보관성이 보장되어야한다.
먼저 액상의 약액을 진공 상태의 캡슐에 담아 거즈 내에 포함하여 약액의 장기 보관성을 높이고 약액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 하였으며 거즈가 중앙에 부착된 기존의 일회용 밴드와는 다르게 거즈를 한쪽으로 치우치게 부착하고 접착밴드에는 여러 개의 절취선을 만들어 용도에 맞게 거즈의 방향 및 접착밴드의 기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캡슐형태의 약액을 거즈속에 포함함으로써 일회용밴드는 구비 시 약액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러움을 최소화 했으며 액상의 약액 또한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하여도 약요를 보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절취선을 포함한 일회용밴드는 상처의 부위 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접착밴드를 절취함으로써 환부의 통풍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고안)의 전채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고안)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고안)의 거즈의 방향을 바꿔사용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고안)의 절취에 따른 접착밴드의 응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고안)의 두개이상의 거즈를 동시 사용하는 응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고안)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고안)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1-2의 거즈가 접착밴드의 가운데가 아닌 한쪽방향으로 치우쳐 있어 절취선을 이용해 접착밴드의 잔여분의 기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도 1-3의 절취선을 절단할 경우에는 환부와 접착밴드를 고정해야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거즈의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의 방향으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거즈(2)의 절개사시도로 거즈(7)와 방수포(9)사이에 약액을 포함한 캡슐(8)을 삽입하여 접착밴드(10)에 고정한 구조로 거즈(2)를 꺾어 캡슐을 터트리게 되면 캡슐 속에 보관되어있던 액상의 약액이 흘러나와 거즈를 통해 환부에 쉽게 흡수된다.
이때 약액의 역류를 막기 위해 접착밴드와 거즈 사이에 방수포(9)를 추가했으며 방수포와 거즈는 캡슐의 파편을 걸러내는 기능 또한 갖추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절취선(3)을 이용하여 거즈의 방향전환과 지환 모양으로 접착밴드를 가변한 예이며 도 4는 도 1의 (3)과 (5)의 절취선을 이용해 거즈의 방향전환과 평면적인 환부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1의 (3)절취선을 이용하여 접착밴드의 노출 없이 두개의 일회용밴드를 쉽게 결합하여 환부의 길이에 따른 거즈의 연장을 가능케 하고 있다.
1: 접착밴드 2: 거즈
3~6: 절취선
7: 거즈 8: 약액 캡슐
9: 방수포 10: 접착밴드

Claims (2)

  1. 접착밴드에 절취선을 포함하여 사용시 접착밴드의 길이와 거즈의 방향을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
  2. 캡슐에 보관된 약액을 거즈내에 포함하여 보과성과 사용시 편리성을 확보한 점
KR2020120000291U 2012-01-11 2012-01-11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KR201300044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91U KR20130004491U (ko) 2012-01-11 2012-01-11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91U KR20130004491U (ko) 2012-01-11 2012-01-11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91U true KR20130004491U (ko) 2013-07-19

Family

ID=5135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91U KR20130004491U (ko) 2012-01-11 2012-01-11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49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06U (ko) 2014-12-31 2016-07-08 박순학 오일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KR101647339B1 (ko) * 2015-03-05 2016-08-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알긴산의 2가 금속염 캡슐을 포함하는 접착식 안대
KR20200002446U (ko) * 2019-04-29 2020-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드레싱 밴드
KR20220148577A (ko) * 2021-04-29 2022-11-07 이화진 연고캡슐이 내재된 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06U (ko) 2014-12-31 2016-07-08 박순학 오일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밴드
KR101647339B1 (ko) * 2015-03-05 2016-08-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알긴산의 2가 금속염 캡슐을 포함하는 접착식 안대
KR20200002446U (ko) * 2019-04-29 2020-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드레싱 밴드
KR20220148577A (ko) * 2021-04-29 2022-11-07 이화진 연고캡슐이 내재된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8102B (zh) 支撑设备以及制作和使用支撑设备的方法
ES2673223T3 (es) Aparatos para terapia de heridas por presión negativa
ES2921676T3 (es) Sistema para el manejo de apósitos para heridas mediante presión negativa
ES2625709T3 (es) Apósito de herida
ES2518890T3 (es) Conjunto de tratamiento de herida con presión negativa
JP6513032B2 (ja) 注入療法装置の雄型ルアーの端部を消毒するための消毒キャップ
ES2266803T3 (es) Dispositivo para la administracion intradermica de medicamentos.
JP2017508501A (ja) 潰すことが可能な陰圧創傷治療用被覆材
US4605399A (en) Transdermal infusion device
ES2672051T3 (es) Equipo de perfusión subcutánea con conector de fluido con puerto lateral
CN113164172A (zh) 用于头部、肢体、残肢、手指或其它身体部位的医用绷带
KR20130004491U (ko)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US9867965B1 (en) Medical bandage for the head, a limb or a stump
AU2014226388A1 (en) All in one antimicrobial dressing for catheter coverage
ES2759576T3 (es) Dispositivo para la preparación y aplicación de una sustancia médica
JP2016532505A5 (ko)
DK1773277T3 (da) Medicinsk beholder med forbedret aftagelig forsegling
KR101517203B1 (ko) 인체용 기능성 테이프
CN112188876A (zh) 发热用具
WO2015190416A1 (ja) 輸液バック・ボトル収納袋、その使用方法および製造方法
CN204909556U (zh) 一种儿童止血带
WO2022263550A2 (de) Verweilkanüle
JP6409376B2 (ja) 医療用針および医療用針の支持部材
KR200495654Y1 (ko) 캐릭터 파스
CN213465617U (zh) 一种创伤急救集约式防感染止血绑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