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198B1 - 키 보관용 박스 - Google Patents

키 보관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198B1
KR101517198B1 KR1020130057246A KR20130057246A KR101517198B1 KR 101517198 B1 KR101517198 B1 KR 101517198B1 KR 1020130057246 A KR1020130057246 A KR 1020130057246A KR 20130057246 A KR20130057246 A KR 20130057246A KR 101517198 B1 KR101517198 B1 KR 101517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ck
latch
lock gea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760A (ko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102013005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1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0Key holders; Key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00Loc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보관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이 키 보관용 박스는 장치의 외형을 이루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1열 또는 2열을 이루면서 배치됨과 아울러 키가 꽂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다수의 래치 록 및, 상기 래치 록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키의 회전에 의해 회전작동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일측면에는 록킹 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록킹 돌기가 형성된 록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매인 관리자의 권한으로 키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좋고, 기구적으로 키의 연동이 가능하며, 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장치의 내구성이 좋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키에 의해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이다.

Description

키 보관용 박스{KEY KEEPING BOXES}
본 발명은 키 보관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 보관함은 다수의 키를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전기 집진 장치, 고압 수배 전 설비, 공작기계, 기타 각종 플랜트 설비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장치나 설비의 경우 많은 수의 키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키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키 보관함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키 보관함은 함체의 내부에 키를 걸 수 있도록 한 걸이부로 이루어진 키비치부를 구비하여 키를 걸어 보관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단순히 키를 보관하는 보관함은 키걸이부와 같은 키비치부에 키가 걸려있는 지를 확인할 수 없어 보안과 효율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 키 보관함에 있는 다수의 키를 식별하기 위하여 키의 식별 기능을 갖는 보관함이 개발되었으나, 상기의 키 보관함은 전기를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키 보관함의 제작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키 보관함은 복수의 키 관리자와 사용자가 있는 환경에서의 키 관리에 있어서 효율적인 키 반입/반출/보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키 보관함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매인 관리자의 권한으로 다수의 키를 보관할 수 있어 보안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기구식으로 각각의 키를 보관 및 인출함으로써 키 보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키 보관용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보관용 박스에 고정되어 있는 각각의 키들을 전기 및 공작기계 등의 도어 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인터록의 키와 호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의 보관이 간편하면서 키의 도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매인 관리자의 권한 없이는 인터록을 해제할 수 없도록 한 키 보관용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치의 외형을 이루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외 측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1열 또는 2열을 이루면서 배치됨과 아울러 키가 꽂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다수의 래치 록 및, 상기 래치 록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키의 회전에 의해 회전작동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일측면에는 록킹 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록킹 돌기가 형성된 록 기어를 포함하여 키 보관용 박스를 구성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래치 록 중 첫 번째 래치 록에 매인 키가 삽입회전됨으로써 그 다음 키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록 기어는 일측에 위치한 록 기어의 록킹 돌기와 타측에 위치한 록 기어의 록킹 홈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록 기어는 일측에 위치한 록 기어가 회전되어 타측 록 기어의 록킹 홈으로부터 일측 록 기어의 록킹 돌기가 이탈됨으로써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록 기어는 잠금이 해제된 록 기어의 회전을 통해 그 일측의 록 기어 또한 잠금이 해제되어 회전됨으로써 순차적으로 상기 래치 록에 꽂혀진 키를 뽑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래치 록 중 첫 번째 래치 록은 그 내부에 인터록이 구비되어 상기 매인 키의 회전에 따라 인터록이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상기 본체에 1열 또는 2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다수의 래치 록의 전체적인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래치 록 중 1열 첫 번째 래치 록을 기준으로 1열 마지막 래치 록과 2열 첫 번째 래치 록은 동일키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에 의하면, 매인 관리자의 권한으로 키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좋고, 기구적으로 키의 연동이 가능하며, 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장치의 내구성이 좋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키에 의해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이다.
본 발명은 키 보관용 박스에 고정되어 있는 각각의 키들을 전기 및 공작기계 등의 도어 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인터록의 키와 호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의 보관이 간편한 효과와, 매인 관리자가 키를 보관함으로 키의 도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특히 매인 관리자의 권한 없이는 인터록을 해제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열형 키 보관용 박스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의 1번 키에 의해 2번 키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의 1번 키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의 2번 키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의 키를 인터록 키와 호환할 수 있도록 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열형 키 보관용 박스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가 있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키 보관용 박스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키 보관용 박스(1)는 크게 본체(10)와 래치 록(20) 및 록 기어(30)로 이루어져 매인 관리자의 매인 키(K1)를 이용하여 다수의 키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키 보관용 박스(1)의 본체(10)는 장치의 외형을 이루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다수의 체결홀(11)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록(20)은 상기 본체(10)에 1열 또는 2열을 이루면서 배치됨과 아울러 키가 꽂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록 기어(30)는 상기 래치 록(20)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키의 회전에 의해 회전작동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일측면에는 록킹 홈(31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록킹 돌기(31b)가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 키 보관용 박스(1)는 다수의 키를 꽂아 보관하는 것으로, 전기 집진 장치, 고압 수배 전 설비, 공작기계, 기타 각종 플랜트 설비 등과 같이 많은 수의 키가 필요한 장치에 상기 키 보관용 박스(1)를 설치하여 다수의 키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 보관용 박스(1)에는 1열 또는 2열을 이루면서 다수 설치된 상기 래치 록(20)에 키를 꽂아 보관하게 되며, 상기 키의 인출시에는 매인 관리자의 매인 키(K1)를 동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래치 록(20)에 보관된 키를 빼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래치 록(20) 중 첫 번째 래치 록(21)에 매인 키(K1)가 삽입회전됨으로써 그 다음 키(K2)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매인 관리자가 상기 매인 키(K1)를 첫 번째 래치 록(21)에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첫 번째 래치 록(21)에 인접된 두 번째 래치 록(22)의 잠금이 해제되어 이 두 번째 래치 록(22)에 꽂혀있는 키(K2)를 뽑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두 번째 래치 록(22)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두 번째 래치 록(22)에 인접된 세 번째 래치 록(23)의 잠금이 해제되어 이 세 번째 래치 록(23)에 꽂혀있는 키(K3)를 뽑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필요한 키를 순차적으로 뽑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키 보관용 박스(1)에 보관된 다수의 키를 순차적으로 뽑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매인 키(K1)가 꽂히게 되는 첫 번째 래치 록(21)의 록 기어(31)는 그 록킹 돌기(31b)와 두 번째 위치한 록 기어(32)의 록킹 홈(32a)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첫 번째 래치 록(21)의 록 기어(31)는 상기 매인 키(K1)의 회전에 의해 록 기어(31)가 회전되어 두 번째 록 기어(32)의 록킹 홈(32a)으로부터 첫 번째 록 기어(31)의 록킹 돌기(31b)가 이탈됨으로써 두 번째 록 기어(32)의 잠금이 해제되며, 잠금이 해제된 상기 두 번째 록 기어(32)의 회전을 통해 세 번째 록 기어(33) 또한, 잠금이 해제되어 회전됨으로써 순차적으로 상기 래치 록(20)에 꽂혀진 키를 뽑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키 보관용 박스(1)에 설치된 상기 첫 번째 래치 록(21)에 매인 키(K1)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첫 번째 래치 록(21)의 록 기어(31)가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된 두 번째 록 기어(32)의 잠금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상기 두 번째 래치 록(22)의 키(K2)를 회전시켜 인출할 수 있으며, 상기 두 번째 록 기어(32)가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된 세 번째 록 기어(33)의 잠금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세 번째 래치 록(23)의 키(K3)를 회전시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작동구조에 따라 매인 관리자가 매인 키(K1)를 이용하여 첫 번째 래치 록(21)을 회전시킴으로써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등 다수의 래치 록(20)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면서 키를 뽑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인 키(K1)를 삽입하여 두 번째 래치 록(22)의 키(K2)를 분리시켜 도 7의 도어 패널에 설치된 인터록(40)의 키와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인터록(40)은 키(K2)의 회전에 따라 인터록(40)의 내부에 설치된 래치(41)가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전체적인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매인 관리자가 다수의 키를 보관하기 위하여 매인 키(K1)를 첫 번째 래치 록(21)에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두 번째 래치 록(21)의 회전이 가능하면서 두 번째 래치 록(21)의 키(K2)를 작업장에 설치된 인터록(40)에 삽입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작업장에 설치되는 인터록(40)은 키 보관용 박스(1)에 설치된 키의 숫자와 비례하게 설치되어 각각의 키를 인터록(40)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키 보관용 박스(1)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래치 록(20)이 2열로 배치된 키 보관용 박스(1)의 특징은 1열 첫 번째 래치 록(21)을 기준으로 1열 마지막 래치 록(20-13)과 2열 첫 번째 래치 록(20-14)은 동일키로 이루어진 것으로, 매인 관리자가 매인 키(K1)를 이용하여 1열 첫 번째 래치 록(21)을 회전시켜 두 번째 래치 록(22)의 잠금을 해제하여 키를 뽑을 수 있는 상태를 만들고, 순차적으로 상기 래치 록(20)을 회전시켜 나가서 1열 마지막 래치 록(20-13)을 회전시켜 그 키를 뽑은 후, 2열 첫 번째 래치 록(20-14)에 상기 1열 마지막 래치 록(20-13)에서 뽑은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그 잠금을 해제하게 되며, 이에 따라 2열도 순차적으로 래치 록(20)을 회전시켜 나가면서 키를 뽑을 수 있는 것이다.
즉, 1열 첫 번째 래치 록(21)을 회전시키는 매인 키(K1)의 역할을 1열 마지막 래치 록(20-13)에서 뽑은 키가 수행하게 되는바, 상기 1열 마지막 래치 록(20-13)에서 뽑은 키를 상기 2열 첫 번째 래치 록(20-14)에 삽입시켜 회전시킴으로써 2열 또한 순차적으로 키를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키 보관용 박스(1)를 이용하여 복잡한 장치에 사용되는 다수의 키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키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키 보관용 박스 10 : 본체
11 : 체결홀
20,21,22,23,20-13,20-14 : 래치 록
30,31,32,33 : 록 기어
31a,32a,33a : 록킹 홈
31b,32b,33b : 록킹 돌기 40 : 인터록
41: 래치
K1 : 매인 키 K2,K3 : 키

Claims (7)

  1. 장치의 외형을 이루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외측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2열을 이루면서 배치됨과 아울러 키가 꽂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다수의 래치 록 및,
    상기 래치 록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키의 회전에 의해 회전작동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일측면에는 록킹 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록킹 돌기가 형성된 록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래치 록 중 1열 첫 번째 래치 록을 기준으로 1열 마지막 래치 록과 2열 첫 번째 래치 록은 동일키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보관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록 중 첫 번째 래치 록에 매인 키가 삽입회전됨으로써 그 다음 키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보관용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어는 일측에 위치한 록 기어의 록킹 돌기와 타측에 위치한 록 기어의 록킹 홈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보관용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어는 일측에 위치한 록 기어가 회전되어 타측 록 기어의 록킹 홈으로부터 일측 록 기어의 록킹 돌기가 이탈됨으로써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보관용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어는 잠금이 해제된 록 기어의 회전을 통해 그 일측의 록 기어 또한 잠금이 해제되어 회전됨으로써 순차적으로 상기 래치 록에 꽂혀진 키를 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보관용 박스.
  6. 삭제
  7. 삭제
KR1020130057246A 2013-05-21 2013-05-21 키 보관용 박스 KR10151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246A KR101517198B1 (ko) 2013-05-21 2013-05-21 키 보관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246A KR101517198B1 (ko) 2013-05-21 2013-05-21 키 보관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60A KR20140136760A (ko) 2014-12-01
KR101517198B1 true KR101517198B1 (ko) 2015-05-04

Family

ID=5245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246A KR101517198B1 (ko) 2013-05-21 2013-05-21 키 보관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254B1 (ko) * 2019-08-27 2020-07-07 현대핸들공업 주식회사 다중 잠금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0196A (ja) 2008-01-24 2011-03-31 アブロイ オサケ ユキチュア 錠にキーを保管するための方法及び保管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0196A (ja) 2008-01-24 2011-03-31 アブロイ オサケ ユキチュア 錠にキーを保管するための方法及び保管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60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0181B2 (ja) シリンダ錠と鍵との組合体
US20140053621A1 (en) Hybrid lock cylinder
US20140130722A1 (en) Multiple user lockbox
US20130081436A1 (en) Key
KR101517198B1 (ko) 키 보관용 박스
WO2012112633A1 (en) Portable lockable enclosure
JP5177588B2 (ja) プレートタンブラーを備える盗難防止ロック
JP3917641B1 (ja) アクセス権管理システム
CN106030008A (zh) 用于作业车辆的非驾驶部分的公用锁定装置
DE102011083031A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CN202718466U (zh) 三险空转锁
US20150184422A1 (en) Lock core structure
US20140130556A1 (en) Two-keyed anti-destructive clutch lock core
CN214676062U (zh) 带有机械密码锁的强弱电保护盒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CN105587169A (zh) 带有密封在其内的锁定机构的锁芯
JP2007224708A (ja) シリンダー錠
CN205348988U (zh) 钥匙系统以及用于该钥匙系统的所有者钥匙和主钥匙
JP5463443B2 (ja) カードキー装置
US20150059421A1 (en) Lock arrangement
JP6425962B2 (ja) キャビネット用ハンドル錠のキー及びシリンダ錠のキー
SE1050810A1 (sv) Anordning för ett lås
CN108331455A (zh) 双层无簧角度叶片锁
CN204299320U (zh) 一种多抽屉箱柜用抽屉互锁机构
JP2016201256A (ja) レバー動作制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