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397B1 - 자동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397B1
KR101516397B1 KR1020130123526A KR20130123526A KR101516397B1 KR 101516397 B1 KR101516397 B1 KR 101516397B1 KR 1020130123526 A KR1020130123526 A KR 1020130123526A KR 20130123526 A KR20130123526 A KR 20130123526A KR 101516397 B1 KR101516397 B1 KR 10151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luid
pressing member
elastic press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299A (ko
Inventor
윤효한
김종일
최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3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cutting-off parts of tanks, e.g. tank-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밸브장치로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밸브장치는 일 측에 주입관이 결합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주입관과 배출구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부재, 유체탱크에 저장된 유체와 접하도록 몸체에 결합되어, 유체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동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되, 개폐부재는 일 측이 탄성가압부재에 밀착되어 탄성가압부재가 팽창되면 주입관은 개방되고, 탄성가압부재가 수축하면 주입관을 폐쇄시킨다.

Description

자동밸브장치{Automatic valve devic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는 적정 저장 용량을 갖고 있으며, 적정 저장용량을 초과하여 유체가 주입될 경우, 파손의 우려 등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유체탱크에는 통상 저장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탱크 내부로 주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밸브는 수동으로 조절되거나 각종 계측장비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각종 계측 장비의 발달로 인하여 액체 화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체 저장 탱크에 주입되는 유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주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계측 장비들이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 유체 저장 탱크에 과도하게 화물이 유입되어 탱크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계측 장비들은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장비들이 대부분이어서, 전자 계측 장비들은 인화성이 높은 화물 탱크에는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각종 액체 화물 탱크에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계측 장비들이 오작동을 일으키더라도 화물 탱크를 보호할 수 있는 기계적으로 신뢰성이 높은 밸브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97997호 2010.09.26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밸브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밸브장치는 일 측에 주입관이 결합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주입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부재, 유체탱크에 저장된 유체와 접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유체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동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일 측이 상기 탄성가압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팽창되면 상기 주입관을 개방시키고,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주입관을 폐쇄시킨다.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폐부재에 밀착되는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성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중공형 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보다 탄성계수가 크며 상기 개폐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며, 상기 압축성 유체는 상기 용기부와 상기 멤브레인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몸체 내측의 상기 주입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몸체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의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부재 반대편의 상기 몸체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입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중첩되거나, 중첩상태가 해제되는 개폐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유체가 유체탱크에 과도하게 저장되지 않도록 하여, 과도한 유체에 의한 유체탱크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밸브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밸브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2의 탄성가압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탄성가압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유체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변동을 도시한 자동밸브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자동밸브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장치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밸브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자동밸브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장치(1)는 유체탱크(50)의 내측에 수용되어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관(51)을 개폐하여 유체의 유입을 제한한다.
자동밸브장치(1)는 주입관(51) 및 배출관(52)과 연결되는 몸체(10), 몸체(10)에 결합된 탄성가압부재(20),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개폐부재(30)를 포함하여, 탄성가압부재(20)가 팽창되면 주입관(51)을 개방시키고, 탄성가압부재(20)가 수축하면 주입관(51)을 폐쇄시킨다.
이를 통해 자동밸브장치(1)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유체탱크에 유체가 과도하게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탱크(5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자동밸브장치(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유체탱크(50)라 함은 LNG(Liquefied Natural Gas)나 원유(Crude Oil) 또는 그 밖의 액체 또는 유체상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탱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액체 또는 기체가 저장되는 탱크일 수 있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유체탱크(50)는 오일이나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나, 탄성가압부재(20)가 높은 기압에도 동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액체를 저장하는 유체탱크(50)에 한정될 것은 아닐 것이다.
몸체(10)는 자동밸브장치(1)를 이루는 지지체로서, 일측에 주입관(51)이 결합되고 타측에 배출구(12)가 형성된다.
몸체(10)는 내측에 탄성가압부재(20)와 개폐부재(30)를 포함하여, 주입관(5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제어한다. 다만, 몸체(10)는 탄성가압부재(20)와 개폐부재(30)을 수용하는 구조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탄성가압부재(20)가 몸체(10)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구조일 경우, 탄성가압부재(20)와 개폐부재(30)를 주입관(51)에 고정하는 지지체가 될 수 있다. 몸체(10)에는 주입관(51)과 배출관(52)이 각각 결합 되며, 주입관(51)과 몸체(10)가 연결되는 부분은 주입구(11)가 되며, 배출관(52)과 몸체(10)가 연결되는 부분은 배출구(12)가 된다.
탄성가압부재(20)는 유체탱크(50)에 저장된 유체와 접하도록 몸체(10)에 결합 되며, 유체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동하며, 탄성가압부재(20)의 부피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개폐부재(30)의 이동으로 주입구(11)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재(20)는 유체(A)와 직접 접하도록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가압부재(20)는 몸체(10)의 밖으로 직접 노출될 수도 있으나, 몸체(10)에 외부와 연통된 유입홀(13)을 형성하여, 몸체(10) 외부의 유체가 작용하는 압력이 탄성가압부재(20)에 그대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유입홀(13)은 탄성가압부재(20)에 충분히 압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가압부재(20)는 외부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압축성 유체(A)를 수용하는 멤브레인(23)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23)은 탄성가압부재(20)의 외막을 형성하며 압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멤브레인(23)은 유체탱크(50) 내부의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으며, 내부의 압축성 유체(A)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밀폐된다.
탄성가압부재(20)는 중공형 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형 구체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팽창하거나 압축하기에 용이하며, 유체탱크(50)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이 멤브레인(23) 전체 면에 골고루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가압부재(20)는 탄성이 우수한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탄성가압부재(20)는 중공형 구체 형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체탱크(50) 내부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수축하거나 팽창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탄성가압부재(20)는 주름 주머니에 압축성 유체(A)가 채워진 형상이나, 내부에 압축성 유체가 채워진 피스톤 형태의 실린더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변형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탄성가압부재(20)는 부피가 변화함에 따라 개폐부재(3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입구(11)를 개폐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개폐부재(30)는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주입구(1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방식을 예로써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볼 밸브와 같이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볼 밸브를 여닫는 회전 손잡이에 탄성가압부재(20)를 연결하여 팽창하면 볼 밸브가 열리고 수축하면 닫히는 구조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개폐부재(30)는 주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 개재되어, 주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단속한다. 개폐부재(30)는 일측이 탄성가압부재(20)와 밀착되고 타측은 탄성부재(40)와 밀착된다. 탄성가압부재(20)는 외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개폐부재(30)에 가하는 압력이 변하나, 탄성부재(40)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탄성가압부재(20)와 탄성부재(40)의 힘의 평형이 이루는 지점이 개폐부재(30)의 위치가 된다. 즉, 탄성가압부재(20)와 탄성부재(40) 사이의 힘의 평형이 이루는 지점에 따라 개폐부재(30)는 개방 위치가 되기도 하고 폐쇄 위치가 되기도 한다.
개폐부재(30)의 일측에는 주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를 연통시키는 개폐홀(31)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홀(31)은 개폐부재(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구(11) 및 배출구(12)와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될 수 있다. 개폐홀(31)은 탄성가압부재(20)가 팽창될 때에는 주입구(11) 및 배출구(12)에 완전히 중첩되어 개방되고, 탄성가압부재(20)가 수축될 대에는 주입구(11) 및 배출구(12)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주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의 유체 이동을 막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30)는 반드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개폐홀(31) 역시 슬라이딩 이동하여 주입구(11)를 개폐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볼 밸브의 경우 볼을 관통하는 홀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3은 탄성가압부재(2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이 없거나 작은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가압부재(20)에 유체의 압력이 작게 작용하면 탄성가압부재(20)의 내부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폐부재(30)는 밀려나게 되어 주입구(11)를 개방시킨다. 또한, 도 3은 탄성가압부재(2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이 큰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가압부재(20)에 유체의 압력이 크게 작용하면 탄성가압부재(20)는 수축하게 되고, 탄성부재(40)의 힘에 의해 개폐부재(30)는 이동하여 주입구(11)를 폐쇄시킨다. 한편, 탄성부재(40)는 외부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력이 변하지 않는 탄성체라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과 같이 유체 속에서도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탄성가압부재(20)의 변형된 예들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탄성가압부재의 변형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가압부재(20-1)는 복수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는 멤브레인(23)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가압부재(20-1)는 특정 방향의 변형률을 높이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3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변형률이 높으면 개폐부재(30)의 동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폐부재(30)의 작동 민감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유체탱크(50)의 크기 또는 저장용량 등에 따라 개폐부재(30)의 작동 범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탄성가압부재(20-1)가 특정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탄성가압부재(20-1)는 탄성계수가 상이한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으로 구분된 멤브레인(23)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압축성 유체(A)를 포함한다.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은 개폐부재(3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보다 상대적으로 탄성계수가 작고, 두께가 얇아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2 영역(22)보다 상대적으로 변형량이 클 수 있다.
즉, 유체의 압력에 의해 멤브레인(23)의 일부분의 변형량이 커지게 되어 특정방향으로 변형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재(30)는 압력에 더욱 민감하게 개폐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2 영역(22)이 개폐부재(30)에 접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변형량이 더 큰 제1 영역(21)이 개폐부재(30)에 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2의 탄성가압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가압부재(20-2)는 일방향으로만 팽창이 가능하도록 압력에 따른 변형이 매우 작은 용기부(24) 및 용기부(24)에 비해 변형이 매우 큰 멤브레인(23)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탄성가압부재(20-2)는 유체탱크 내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멤브레인(23)이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개폐부재(30)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용기부(24)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개구부(25)에는 멤브레인(23)이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한다. 멤브레인(23)으로 밀폐된 수용공간에는 압축성 유체(A)가 채워진다.
용기부(24)는 몸체(10)의 일측에 지지되고 멤브레인(23)은 개폐부재(30)에 결합될 수 있다. 멤브레인(23)은 신축성을 갖고 있어, 외부의 압력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게 된다. 즉, 유체탱크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외측으로 팽창하게 되어 주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유체탱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수축하여 주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용기부(24)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팽창 및 수축이 되지 않도록 알루미늄, 주철, 황동 등의 탄성계수가 멤브레인(23) 보다 상대적으로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유체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변동을 도시한 자동밸브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유체탱크(50)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가 낮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자동밸브장치(1)는 유체탱크(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체는 자동제어밸브장치(1)보다 낮은 위치까지 채워진 상태이다. 이때, 유체는 탄성가압부재(20)에 전혀 압력을 전달하지 않게 되어, 탄성가압부재(20)는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다.
탄성가압부재(20)가 완전히 팽창한 상태에서 탄성부재(40)와 힘이 평형을 이루게 되면, 개폐부재(30)는 개폐홀(31)이 주입구(11)와 완전히 중첩된다. 따라서, 주입관(5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그대로 유체탱크(50)내부로 흘러들어 간다.
도 7은 유체탱크(50)에 저장된 유체가 자동밸브장치(1)보다 높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유체가 유체탱크(50)내부를 점차 채우면서 자동밸브장치(1)보다 점차 수위가 높아지고 자동밸브장치(1)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이때, 탄성가압부재(20)는 유체탱크(50)내부의 압력에 의해 점차 수축하게 되며, 탄성부재(40)는 그대로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탄성부재(40)와 탄성가압부재(20)는 힘의 평형을 이루게 된다. 개폐부재(30)는 탄성가압부재(20)가 수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주입구(11)중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밸브장치(1)는 배출관(52)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은 줄어들게 된다.
도 8은 유체탱크(50)에 유체가 완전히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유체탱크(50)에 유체가 완전히 채워지면, 자동밸브장치(1)는 더 이상 유체를 유체탱크(50)안으로 유입시키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재(20)는 수압에 의해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개폐부재(30)에 가하는 압력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탄성가압부재(20)와 탄성부재(40)가 힘의 평형을 이루는 지점이 탄성가압부재(2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결국 개폐부재(30)는 주입구(11)를 폐쇄하게 된다.
개폐부재(30)가 주입구(11)를 폐쇄하게 되면, 더 이상 유체는 유체탱크(50)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유체가 유체탱크(50)를 넘쳐 흐르거나 유체탱크(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자동밸브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동밸브장치(1)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따라 유체탱크(50)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자동밸브장치(1)는 탄성가압부재(20)가 위치하는 부분부터 만수위까지의 높이(h)만큼 동작할 수 있다. 자동밸브장치(1)가 동작 가능한 수위의 높이(h)는 유체의 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유체의 밀도 및 유체탱크(50)의 수용 능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자동밸브장치(1)를 유체탱크(50)의 바닥면으로부터 L1만큼 이격된 높이에 설치한 것으로서, 이때 유체는 자동밸브장치(1)의 높이(L1)에 동작 가능한 수위의 높이(h)를 더한 높이(L1')까지 채워질 수 있다.
도 9의 (b)는 자동밸브장치(1)를 유체탱크(50)의 바닥면으로부터 L2만큼 이격된 높이에 설치한 것으로서, 이때 유체는 자동밸브장치(1)의 높이(L2)에 동작 가능한 수위의 높이(h)를 더한 높이(L2')까지 채워질 수 있다.
도 9의 (a)와 도 9의 (b)를 비교하면, 자동밸브장치(1)의 설치위치에 따라 유체탱크(50)에 채워질 수 있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의 종류가 달라질 경우, 자동밸브장치(1)를 유체탱크(50)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필요한 수위만큼 유체를 채울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자동밸브장치 10: 몸체
11: 주입구 12: 배출구
13: 유입홀 20: 탄성가압부재
20-1: 제1 탄성가압부재 20-2: 제2 탄성가압부재
21: 제1 영역 22: 제2 영역
23: 멤브레인 24: 용기부
25: 개구부 30: 개폐부재
31: 개폐홀 40: 탄성부재
50: 유체탱크 51: 주입관
52: 배출관

Claims (8)

  1. 일측에 주입관과 연결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관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주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부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고 유체탱크에 저장된 유체와 접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동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일 측이 상기 탄성가압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팽창되면 상기 주입관을 개방시키고,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주입관을 폐쇄시키는 자동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폐부재에 밀착되는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성 유체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중공형 구체로 형성되는 자동밸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보다 탄성계수가 크며 상기 개폐부재에 밀착되는 자동밸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탄성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폐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으로 밀폐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성유체를 포함하는 자동밸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몸체 내측의 상기 주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몸체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의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개재되는 자동밸브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가압부재 반대편의 상기 몸체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밸브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중첩되거나, 중첩상태가 해제되는 개폐홀을 더 포함하는 자동밸브장치.
KR1020130123526A 2013-10-16 2013-10-16 자동밸브장치 KR10151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526A KR101516397B1 (ko) 2013-10-16 2013-10-16 자동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526A KR101516397B1 (ko) 2013-10-16 2013-10-16 자동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99A KR20150044299A (ko) 2015-04-24
KR101516397B1 true KR101516397B1 (ko) 2015-04-30

Family

ID=5303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526A KR101516397B1 (ko) 2013-10-16 2013-10-16 자동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3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562U (ja) * 1992-04-13 1993-11-1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ブリードライン開閉装置
JPH11336922A (ja) * 1998-05-22 1999-12-07 Kidoh Constr Co Ltd 定流量弁
JP2007518035A (ja) * 2004-01-14 2007-07-05 シンテック コープ. ガス調節/遮断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温水自動循環装置
KR101224918B1 (ko) * 2010-07-2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선적 배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562U (ja) * 1992-04-13 1993-11-1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ブリードライン開閉装置
JPH11336922A (ja) * 1998-05-22 1999-12-07 Kidoh Constr Co Ltd 定流量弁
JP2007518035A (ja) * 2004-01-14 2007-07-05 シンテック コープ. ガス調節/遮断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温水自動循環装置
KR101224918B1 (ko) * 2010-07-2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선적 배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99A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653B2 (en) Expansion tank
BRPI0908939B1 (pt) válvula de fole
KR101175235B1 (ko) 압력 평형 장치를 가지는 부력 조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중 글라이더 및 압력 평형을 이용한 부력 제어 방법
JP2014111476A (ja) 圧力差による調量装置
CA2800583C (en) Pilot valve controlled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relief valves
US10435999B2 (en) Fluid release valve
US9708099B2 (en) Check valve and flu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1516397B1 (ko) 자동밸브장치
NO141956B (no) Byggeelement.
KR100944167B1 (ko) 자동 감압수단을 갖는 초저온 밸브
BR102016011576A2 (pt) Flow detection device for a fuel tank
BR102012027291B1 (pt) tanque de combustível
KR101402003B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RU2015150031A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на герметичность емкостей большого объ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659705C2 (ru) Клапан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1991319B1 (ko) 연료 압력 스위치
US3517692A (en) Pressure relief valve assembly
JP5311568B2 (ja) ベローズ型差圧式圧力スイッチ及び圧力検出システム
US10329756B2 (en) Leak-proof toilet tank
US10065425B2 (en) Printing fluid container
RU2756565C2 (ru) Узел демпфирующего клапана
KR101921591B1 (ko)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RU26760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давления мягкого резервуара для воды,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впуском мягкого резервуара для воды и очиститель воды с мягким резервуаром для воды
JP5014049B2 (ja) ダンパー装置
KR101505656B1 (ko) 기계식 자동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