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591B1 -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591B1
KR101921591B1 KR1020170161386A KR20170161386A KR101921591B1 KR 101921591 B1 KR101921591 B1 KR 101921591B1 KR 1020170161386 A KR1020170161386 A KR 1020170161386A KR 20170161386 A KR20170161386 A KR 20170161386A KR 101921591 B1 KR101921591 B1 KR 10192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ousing
float
fue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영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1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height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5Check-valves or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는 가스용기에 장착되는 밸브바디에 장착되고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가스통로와 가스연료가 가스용기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밀봉 가능하게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며, 중앙게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플럭스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스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형성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부의 개폐작용을 하는 볼 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하측에 장착되어 볼 부재를 푸시하여 통로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스용기 내부에 연료가스가 채워지면 볼 부재의 푸시하는 힘을 해제하여 볼 부재가 통로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푸시유닛으로 구성되어, 과충전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OVERCHARGING PREVENTION APPARATUS FOR GAS VESSEL}
본 발명은 압축가스 또는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용기에 장착되어 가스 용기에 가스 연료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천연가스(LNG), 압축천연가스(CNG) 등과 같은 가스연료를 사용하는 기기는 가스용기에 저장되어 있던 가스연료가 소진되고 나면 가스연료를 가스용기에 재충전을 해주어야만 한다.
가스용기에 가스연료를 충전하는 경우 과충전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용기에 설치되는 밸브 어셈블리에는 과충전 방지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과충전 방지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17171(2001년 11월 28일)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체가스의 수면이 상승하면 뜨는 플로트와, 플로트에 연결되어 플로트가 상승하면 회전되는 캠과, 캠과 접촉되어 캠에 의해 승강되면서 통로를 개폐하는 레벨 콘트롤 밸브와, 레벨 콘트롤 밸브에 장착되어 통로에 밀착되는 실링용 패킹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과충전 방지장치는 레벨 콘트롤 밸브에 장착된 실링용 패킹이 통로에 밀착되어 통로를 밀폐하는데, 실링용 패킹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통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링용 패킹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부식이 발생되어 과충전 방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17171(2001년 11월 28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통로의 개폐가 볼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스 용기의 과충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 통로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과충전 차단기능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바디에 게이지가 장착되어 가스용기에 충전되는 연료가스의 충전량을 표시하고, 플로트의 승강 작용이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게이지로 전달되어 게이지를 설치하기 편리하여 조립이 쉽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는 가스용기에 장착되는 밸브바디에 장착되고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가스통로와 가스연료가 가스용기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밀봉 가능하게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며, 중앙게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플럭스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스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형성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부의 개폐작용을 하는 볼 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하측에 장착되어 볼 부재를 푸시하여 통로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스용기 내부에 연료가스가 채워지면 볼 부재의 푸시하는 힘을 해제하여 볼 부재가 통로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푸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측 내면에 플럭스 밸브가 밀착되면 가스통로를 막아주는 제1시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럭스 밸브는 상측 외면에 제1시트부에 밀착되는 밀착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 내면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면에는 볼 부재가 밀착되는 제2시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유닛은 시트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연료가스가 통과하도록 지지부재의 내면과 일정 유격을 유지하며,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여 볼 부재를 푸시하는 푸시로드와, 연료가스가 가스용기에 채워지면 부력에 의해 뜨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이동을 푸시로드에 전달하여 푸시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가 하강하면 볼 부재는 시트부재에 형성되는 제2시트부에 밀착되고, 상기 볼 부재는 상기 시트부재로 유입되는 연료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2시트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지지부재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고 푸시로드의 하단과 접촉되며, 플로트와 연결되어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회전되면서 푸시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캠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는 플로트가 하강된 상태이면 푸시로드의 하단에 접촉되는 볼록부와, 플로트가 상승된 상태이면 푸시로드의 하단에 접촉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지지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플로트와 연결되어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푸시로드의 하단에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와 기어 물림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에는 가스용기에 충전되는 연료가스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게이지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게이지 유닛은 푸시유닛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밸브바디에 장착되고 승강로드의 이동에 따라 게이지 바늘이 회전되어 가스용기에 충전되는 가스연료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지지부재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단은 동력 전달부에 되며, 상단에는 게이지를 자력에 의해 작동시키는 영구자석이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는 가스 통로의 개폐가 볼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통로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과충전 차단기능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밸브바디에 게이지가 장착되어 가스용기에 충전되는 연료가스의 충전량을 표시하고, 플로트의 승강 작용이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게이지로 전달되어 게이지를 설치하기 편리하여 조립이 쉽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의 동력 전달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의 동력 전달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에 게이지 유닛이 장착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유닛이 장착된 과충전 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가스용기의 입구에 장착되고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는 밸브바디(10)와, 밸브바디(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스연료를 공급 및 차단하는 핸들(12)과, 밸브바디(7)의 하단에 연결되고 가스용기 내에 배치되어 밸브바디(7)의 유입채널(22)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연료를 용기 내로 주입 또는 배출시키며 가스연료가 설정치 충전되면 가스통로를 차단하여 가스연료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장치(30)를 포함한다.
밸브바디(10)는 측면에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는 연결부(16)가 형성되고, 연결부(16)에는 체크밸브(14)가 장착되고, 밸브바디(10)의 하단 외측에는 가스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18)가 형성된다.
체크밸브(14)는 가스를 가스용기 내부로 충전하는 경우 가스 압력에 따라 열리며, 가스용기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차단한다. 그러나, 가스용기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접속되는 레귤레이터의 결합시에 개방되어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밸브바디(10)의 측면에는 가스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 가스용기 내의 가스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안전밸브(20)가 장착된다.
과충전 방지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0)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고 가스연료가 통과하는 유입채널(22)과 연통되어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가스통로(32)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 가스연료가 배출되는 배출구(36)가 형성되는 하우징(38)과, 하우징(38)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36)의 개폐 작용을 하는 플럭스 밸브(34)와, 플럭스 밸브(34)와 하우징(38) 사이에 설치되어 플럭스 밸브(3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과, 하우징(38)의 하측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스가 통과하는 통로부(42)가 형성되는 시트부재(44)와, 시트부재(44) 내부에 배치되어 통로부(42)의 개폐작용을 하는 볼 부재(46)와, 시트부재(44)의 하측에 장착되어 볼 부재(46)를 푸시하여 통로부(42)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스용기 내부에 연료가스가 채워지면 볼 부재(46)의 푸시하는 힘이 해제되어 볼 부재(46)가 통로부(42)를 밀폐하는 푸시유닛(50)을 포함한다.
하우징(38)은 상측 외면에 제1나사부(52)가 형성되어 밸브바디(10)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 내면에 제2나사부(54)가 형성되어 시트부재(44)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38)의 상측 내면에는 플럭스 밸브(34)가 밀착되면 가스통로(32)를 막아 배출구(36)로 연료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시트부(56)가 형성된다.
플럭스 밸브(34)는 하우징(38)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는 가스연료가 통과하는 관통부(58)가 형성되며, 상측 외면에는 제1시트부(56)에 밀착되는 밀착링(6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플럭스 밸브(34)는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스통로(32)와 배출부(36)를 연통하여 가스가 통과하도록 하고,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하면 밀착링(60)이 제1시트부(56)에 밀착되어 가스통로(32)를 차단한다.
시트부재(44)는 하우징(38)의 하측에 형성된 제1나사부(54)에 나사 결합되고, 하우징(38)과의 사이에 시일링(64)이 장착되어 하우징(38)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며, 통로부(42)에는 볼 부재가 밀착되면 통로부를 밀폐하는 제2시트부(66)가 형성된다.
그리고, 시트부재(44)와 플럭스 밸브(34) 사이에는 플럭스 밸브(34)와 시트부재(44) 사이를 구획하고, 플럭스 밸브(34)와 같이 승강되는 판 부재(68)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시트부재(44)에는 볼 부재(46)가 배치되어 볼 부재(46)에 의해 통로부(42)의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기간에 따른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푸시유닛(50)은 시트부재(44)에 연결되고 중앙이 관통되는 지지부재(70)와, 지지부재(7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볼 부재(46)를 푸시하는 푸시로드(72)와, 연료가스가 가스용기에 채워지면 부력에 의해 뜨는 플로트(84)와, 플로트(84)의 이동을 푸시로드(72)에 전달하여 푸시로드(72)를 직선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지지부재(70)와 푸시로드(72) 사이는 연료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유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푸시로드(72)가 통로부(42)를 통과하여 볼 부재(46)를 푸시하면 푸시로드(72)와 통로부(42) 사이로 연료가스가 통과한다. 지지부재(70)는 둘레방향으로 연료가스가 통과하도록 개구부(74)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70)의 길이는 가스용기의 수위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는 제1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7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고 푸시로드(72)의 하단과 접촉되고 플로트와 연결되어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회전되면서 푸시로드(72)를 직선 이동시키는 캠 부재(76)가 사용된다
캠 부재(76)는 힌지축(78)에 의해 지지부재(7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푸시로드(72)를 상승시키는 볼록부(80)와 푸시로드(72)를 하강시키는 오목부(82)가 복수로 형성된다. 플로트(84)는 캠 부재(76)에 연결되어 플로트(84)가 하강된 상태이면 볼록부(80)가 푸시로드(72)와 접촉되어 푸시로드(72)가 상승된 상태로 되고 푸시로드(72)가 볼 부재(46)를 밀어주어 통로부(42)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가스용기에 연료가스가 설정치로 충전되면 플로트(84)가 뜨면서 캠 부재(76)를 회전시키고, 캠 부재(76)의 오목부(82)가 푸시로드(72)의 하단에 접촉되어 푸시로드(72)가 하강되고, 푸시로드(72)가 볼 부재(46)를 미는 힘이 해제되어 볼 부재(46)가 하강하면서 통로부(42)를 밀폐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7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플로트(84)와 연결되어 플로트(84)의 승강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04)와, 푸시로드(72)의 하단에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104)와 기어 물림되는 랙 기어(102)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104)는 제1연결부(108)에 의해 플로트(84)와 연결되어 플로트(84)가 승강하면 회전 운동되고, 랙 기어(102)는 제2연결부(106)에 의해 푸시로드(72)의 하단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104)가 회전되면 직선 이동되고, 푸시로드(72)를 직선 이동 시킨다.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70)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124)과, 슬롯에 삽입되어 슬롯을 따라 직선 이동되고 플로트에 고정되는 로드부(128)와, 플로트(84)와 푸시로드(120) 사이에 연결되어 플로트(84)의 이동을 푸시로드(72)에 전달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는 플로트(84)가 직접 지지부재(7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푸시로드(120)와 연결되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밸브바디(10)의 유입채널(22)을 통해 가스연료가 유입되면 가스 연료는 하우징(38)의 가스통로(32)로 유입되고 배출구(36)를 통해 가스용기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플럭스 밸브(34)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된다. 가스통로(32)로 유입된 연료가스는 플럭스 밸브(34)의 관통부(58)를 통과하여 시트부재(44)의 통로부(4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볼 부재(46)는 푸시로드(72)에 의해 밀어준 상태로 되어 통로부(42)가 개방된 상태로 되고, 통로부(42)를 통해 연료가스가 통과한다.
이러한 상태로 연료가스가 가스용기에 충전이 이루어지고, 연료가스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84)가 부력에 의해 뜨면서 캠 부재(76)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캠 부재(76)의 오목부(82)에 푸시로드(72)의 하단이 접촉되어 푸시로드(72)가 하강하고, 볼 부재(46)가 제2시트부(66)에 밀착되어 통로부(42)를 막아준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44) 내부의 연료가스의 압력이 커지면서 플럭스 밸브(34)의 하면에 연료가스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플럭스 밸브(3434)가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되면서 제1시트부(56)에 밀착되어 가스통로(32)를 차단한다.
그러면 가스용기 내부로의 가스연료의 공급이 차단되어 가스용기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과충전 방지장치와 동일하고, 가스연료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 유닛(200)이 추가로 설치된다.
게이지 유닛(200)은 지지부재(7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단이 푸시유닛(50)에 연결되어 플로트(84)의 승강에 따라 같이 승강되는 승강로드(220)와, 밸브바디(10)에 장착되고 승강로드(210)의 이동에 따라 게이지 바늘이 회전되어 육안으로 가스용기에 충전되는 가스연료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게이지(210)를 포함한다.
승강로드(220)는 하단은 플로트의 승강을 푸시로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와 연결된다. 일예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랙 기어(102)에 연결된다. 또한 승강로드(220)의 하단은 랙 기어(102) 이외에 푸시로드(72)에 연결되어 푸시로드(72)의 직선 이동시 같이 이동될 수 있고,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캠 부재(76)에 연결될 수 있고,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연결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게이지(210)에는 게이지 바늘(2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게이지 바늘(230)에는 영구자석의 자력이 작용하는 금속부재(250)가 장착되고, 승강로드(220)의 상단에는 영구자석(240)이 장착되어 승강로드(220)가 승강되면 영구자석(240)이 금속부재(250)에 자력이 작용하여 게이지 바늘(230)이 움직이면서 충전량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승강로드(220)와 게이지(210) 사이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영구자석(240)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게이지(210)를 장착할 때 게이지(210)와 승강로드(220) 사이를 연결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게이지(210)를 착탈하기 쉽고 편리하고,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으며, 게이지의 누설에 따른 가공이 불필요하여 가공작업이 줄어든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게이지 유닛(2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용기에 가스연료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플로트(84)가 하강된 상태이고, 이때 승강로드(220)는 상승된 상태로 되어 승강로드(220)의 상단에 장착된 영구자석(240)의 자력에 의해 게이지 바늘(230)이 LOW로 표시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용기에 가스연료가 충전되면 플로트(84)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승강로드(220)가 하강하면서 승강로드(220)의 끝부분에 장착된 영구자석(240)의 자력에 의해 게이지 바늘(230)은 FULL로 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유닛이 장착된 과충전 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유닛은 제4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유닛과 동일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제5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는 플로트(84)와 연결되고 지지부재(7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재(300)와, 힌지부재(300)에 호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고 승강로드(2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슬롯부(3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5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유닛은 플로트(8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 힌지부재(300)가 플로트(84)와 같이 회전되고 플로트(84)에 형성되는 슬롯부에 삽입된 승강로드가 슬롯부(31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밸브바디 30: 과충전 방지장치
32: 가스통로 34: 플럭스 밸브
36: 배출구 38: 하우징
40: 스프링 42; 통로부
44; 시트부재 46: 볼 부재
70: 지지부재 72: 푸시로드
76: 캠 부재 : 84: 플로트

Claims (12)

  1. 가스용기에 장착되는 밸브바디에 장착되고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가스통로와 가스연료가 가스용기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밀봉 가능하게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며, 중앙게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플럭스 밸브;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스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형성되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부의 개폐작용을 하는 볼 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하측에 장착되어 볼 부재를 푸시하여 통로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스용기 내부에 연료가스가 채워지면 볼 부재의 푸시하는 힘을 해제하여 볼 부재가 통로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푸시유닛;
    상기 밸브바디에 장착되고 가스용기에 충전되는 연료가스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게이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유닛은 시트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연료가스가 통과하도록 지지부재의 내면과 일정 유격을 유지하며,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여 볼 부재를 푸시하는 푸시로드;
    연료가스가 가스용기에 채워지면 부력에 의해 뜨는 플로트; 및
    상기 플로트의 이동을 푸시로드에 전달하여 푸시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지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슬롯에 삽입되어 슬롯을 따라 이동되고 플로트에 고정되는 로드부와, 상기 플로트와 푸시로드 사이에 연결되어 플로트의 이동을 푸시로드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지 유닛은 푸시유닛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밸브바디에 장착되고 승강로드의 이동에 따라 게이지 바늘이 회전되어 가스용기에 충전되는 가스연료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게이지와,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에 장착되어 자력에 의해 게이지 바늘을 회전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측 내면에 플럭스 밸브가 밀착되면 가스통로를 막아주는 제1시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럭스 밸브는 상측 외면에 제1시트부에 밀착되는 밀착링이 장착되는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 내면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면에는 볼 부재가 밀착되는 제2시트부가 형성되는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가 하강하면 볼 부재는 시트부재에 형성되는 제2시트부에 밀착되고, 상기 볼 부재는 상기 시트부재로 유입되는 연료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2시트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스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61386A 2017-11-29 2017-11-29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KR10192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86A KR101921591B1 (ko) 2017-11-29 2017-11-29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86A KR101921591B1 (ko) 2017-11-29 2017-11-29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591B1 true KR101921591B1 (ko) 2018-11-26

Family

ID=6460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386A KR101921591B1 (ko) 2017-11-29 2017-11-29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9180A (zh) * 2022-03-25 2022-07-08 北京博联众睿机器人科技有限公司 自动充气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298A (ja) * 2000-01-28 2001-08-03 Neriki:Kk ガスボンベの残量表示装置
JP2009299602A (ja) * 2008-06-13 2009-12-24 Tlv Co Ltd 液体圧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298A (ja) * 2000-01-28 2001-08-03 Neriki:Kk ガスボンベの残量表示装置
JP2009299602A (ja) * 2008-06-13 2009-12-24 Tlv Co Ltd 液体圧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9180A (zh) * 2022-03-25 2022-07-08 北京博联众睿机器人科技有限公司 自动充气装置
CN114719180B (zh) * 2022-03-25 2023-10-13 北京博联众睿机器人科技有限公司 自动充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9155A (en) Float shut off valve for liquefied petroleum gas tank fillers
WO2004081422A3 (en) Protected integral cylinder valve, gas pressure regulator and flow meter, and method for refilling a gas cylinder so equipped
KR20180066305A (ko) 수소연료 저장용기용 밸브
KR101921591B1 (ko) 가스 용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US6408869B1 (en) Safety valve
KR102167508B1 (ko) 감압 기능을 구비한 고압용기용 밸브
CA1143281A (en) Accumulator with float orienting means
KR101297934B1 (ko)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997393B1 (ko) 가스 연료 차량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연료 주입용 멀티밸브
KR100621868B1 (ko) 과류차단 및 복귀장치가 구비된 가스 저장용기용 밸브
KR20240050730A (ko) 가스충전용 조절밸브
KR100311358B1 (ko) 액화석유가스 과류사고방지장치
JP3562920B2 (ja) 過充填防止機能付lpガス容器バルブ
KR100263171B1 (ko) 가스 저장용기용 밸브의 과류 차단장치
JP2008127080A (ja) タンク設備
KR100317171B1 (ko) 과충전 차단기능을 갖는 압축/액화 가스용 탭
US10851910B2 (en) Fully-integrated, top-fill, pressureless flow-control module couplable to a pulsating pressurized fuel source
KR880001861Y1 (ko) 가스압력 조정기의 가스누출 점검장치
CN212536669U (zh) 一种检测开合状态的智能油气耦合阀
KR100586005B1 (ko) 가스용기용 밸브
KR20120008820A (ko) 고압가스용기의 과충전 방지밸브
KR910006996Y1 (ko) Lpg용 과충전방지 밸브
KR20240019967A (ko) 과충전압 방지용 가스충전구
KR100257140B1 (ko) 가스 저장용기용 밸브의 잔류가스 회수장치
US20110284789A1 (en) Valve unit for pressure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