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963B1 -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963B1
KR101515963B1 KR1020080076202A KR20080076202A KR101515963B1 KR 101515963 B1 KR101515963 B1 KR 101515963B1 KR 1020080076202 A KR1020080076202 A KR 1020080076202A KR 20080076202 A KR20080076202 A KR 20080076202A KR 101515963 B1 KR101515963 B1 KR 10151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nit
unit content
user
pre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247A (ko
Inventor
김여진
정윤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963B1/ko
Priority to US12/431,901 priority patent/US8386933B2/en
Publication of KR2010001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G06F16/4393Multimedia presentations, e.g. slide shows, multimedia alb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 또는 사후 조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의 단위 콘텐츠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연속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와, 구성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함으로써, 제공되는 콘텐츠 간에 연속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생성하며, 방대한 콘텐츠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 공간(content space)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기반으로 독립된 콘텐츠 영역(content area) 간에 요청된 단위 콘텐츠들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인터렉티브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토리(story)는 일련의 사건(event)이다. 내러티브(narrative)는 스토리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나, 좀 더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관점에 의해서 표현된 스토리를 의미한다. 내러티브에서 플롯(plot)은 예술적 혹은 감정적 효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고안된 사건의 순서이며, 동일한 스토리라도 플롯의 구성에 따라서 스토리의 전개와 극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스토리에 대해서 다양한 내러티브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근거하여, 화자(narrator)는 청자의 반응을 보면서, 사건의 순서를 재구성하거나 특정한 사건을 보다 중요하게 다루면서 스토리를 흥미롭게 이 끌어 가는 경향이 있다. 인간 화자(human narrator)의 경우, 본래 스토리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이라 하더라도, 사건의 시대적 배경이나 인물의 성격, 과거 등에 대해서 자신의 배경 지식 또는 창의성을 기반으로 청자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 우리는 스토리 공간(story space)이 열려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디지털 인터렉티브 스토리는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인터랙션에 의해 스토리가 적응하여 변화하는 콘텐츠로, 스토리를 서술하는 역할을 인간 화자로부터 컴퓨터 화자(computer narrator)에게로 위임하면서 관련 기술이 발전해 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컴퓨터 화자는 본래 주어진 스토리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주어진 콘텐츠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응답할 수 없으므로, 스토리 공간이 닫혀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디지털 인터렉티브 스토리에서 자동으로 플롯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플래닝(planning)이 있다. 플래닝은 현재 상태로부터 목표 상태(a desired state)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을 계획(plan)하는 기술을 말한다. 플래닝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노드(node), 사전조건(pre-condition), 사후 조건(post-condition), 플래닝 알고리즘(planning algorithm) 등 이다.
노드는 스토리의 상황 또는 상태를 의미하며,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사전 조건은 해당 노드를 실행하기 위해 미리 갖추어야 할 조건을 의미한다. 사후 조건은 해당 노드가 실행된 후에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현재 상태를 갱신하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effect)라고도 부른다. 플래닝 알고리즘은 현재 상태에서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크게 포워드 플래닝 알고리즘(forward planning algorithm)과 백워드 플래닝 알고리즘(backward planning algorithm)으로 나뉠 수 있다.
포워드 플래닝 알고리즘은 목표 노드에 도달하기 위해, 현재 노드에서부터 현재 노드의 사후 조건을 사전 조건으로 가지는 노드를 검색하여, 목표 노드에 도달하는 경로를 탐색한다. 반대로, 백워드 플래닝 알고리즘은 목표 노드에 도달하기 위해, 목표 노드로부터 목표 노드의 사전 조건을 사후 조건으로 가지는 노드를 검색하여 현재 노드에 도달하는 경로를 탐색한다.
일반적으로 플래닝을 이용하여, 디지털 인터렉티브 스토리를 구성할 때, 각 노드의 사전 조건 및 사후 조건은 저자(author)가 표현하고자 하는 하나의 콘텐츠 영역(content area)에 안에서만 유효하다. 만약 사용자가 하나의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그 콘텐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다른 내용을 요청할 경우에, 원하는 단위 콘텐츠가 다른 콘텐츠 영역 내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연결이 불가능하여 필요한 단위 콘텐츠만 재구성하여 제공 받을 수 없다. 즉, 기존의 플래닝 기술은 하나의 콘텐츠 영역 내에서만 스토리의 플롯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현재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웹 검색을 통해 시청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를 시청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스토리 공간이 닫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나의 콘텐츠의 시청이 끝나면 다시 웹 검색을 통해 시청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를 시청하는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와 콘텐츠 간의 인터랙션을 통하여 제공되는 콘텐츠 간에 연속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생성하며, 방대한 콘텐츠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독립된 다른 컨텐츠 영역 간의 단위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실시간으로 재구성하여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 또는 사후 조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의 단위 콘텐츠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연속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와, 구성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는 단위 콘텐츠 후보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현재 상태에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콘텐츠 자동 생 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자동 생성부는,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만족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을 유도하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재생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재생하여 얻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에 따라 연속적으로 목표 단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현재 상태에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post-condition)으로 가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하는 플래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래닝부는,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으로 가지는 단위 콘텐츠를 동일한 콘텐츠 영역에서 추적할 수 없는 경우, 다른 콘텐츠 영역으로 확장하여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재생부는, 목표 단위 콘텐츠의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을 만족시킨 후 연속적으로 단위 콘텐츠 체인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 또는 사후 조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의 단위 콘텐츠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연속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단계와, 구성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post-condition)으로 가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목적을 기반으로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콘텐츠 사이에 자동으로 인터랙션(interaction)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제공되는 콘텐츠 간에 연속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와 콘텐츠 간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생성하며, 방대한 콘텐츠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다음 용어들을 정리한다.
인터랙티브 콘텐츠(Interactive contents)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콘텐츠의 시나리오가 변경되거나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콘텐츠를 말한다.
단위 콘텐츠(unit content)는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단위를 말한다.
플래닝(Planning) 알고리즘은 목표 상태가 결정되면 현재 상태에서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을 계획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전 조건(Pre-condition)은 하나의 단위 콘텐츠(unit content)를 실행하기 위해 사전에 충족되어야 할 조건을 말하며,
사후 조건(Post-condition)은 하나의 단위 콘텐츠(unit content)를 실행한 결과 만족하게 되는 조건을 말하며, 사후 조건을 만드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Effect)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저작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공유하는 공간을 말하며,
콘텐츠 영역은 하나의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을 가리킨다.
이상에서 정의된 용어들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과 콘텐츠 제공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는 입력부(10),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 및 재생부(3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받는다. 인터랙티브 콘텐츠 플레이어와 같은 별도의 재생장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와 콘텐츠 간의 인터랙션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0)를 통해 시청을 원하는 콘텐츠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질문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역사에 관한 콘텐츠를 시청중이던 사용자가 "우리나라 고려시대인 14세기에 유럽에서는 무슨일이 있었는가"를 궁금해 할 수 있으며 이를 입력부(1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미분방정식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미분방정식"에 대한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입력된 사용자의 요청을 해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추출된 사전 조건을 사전 조건으로서 포함하는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이전 단위 콘텐츠에 연결하여 하나의 연속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한다.
즉, 하나의 목적을 기초로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콘텐츠 사이에 자동으로 인 터랙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에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와 콘텐츠 간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근접한 결과를 생성하며, 방대한 콘텐츠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재생부(30)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를 통해 구성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끊김없이(seamlessly) 연속적으로 재생한다.
한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질 단위 콘텐츠를 목표 단위 콘텐츠라고 할 때, 현재 상태에서 목표 단위 콘텐츠의 사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출되는 사전 조건을 가지는 즉, 사용자의 요청에 근접하는 단위 콘텐츠 후보들의 집합인 단위 콘텐츠 후보군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단위 콘텐츠를 목표 단위 콘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어떤 단위 콘텐츠가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 함수 또는 평가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목표 단위 콘텐츠의 사전 조건을 만족시킨 다음,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만족되지 못한 조건을 해석하여 이를 확보하기 위한 단위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는 방식(이하 "단위 콘텐츠 자동 생성 방식"이라 약칭한다)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인터랙티브 구성부(20)는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22)와, 현재 상태에서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콘텐츠 자동 생성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자동 생성부(20)는,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만족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을 유도하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재생부(30)는 콘텐츠 자동 생성부(24)를 통해 자동 생성된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재생하여 얻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에 따라 연속적으로 목표 단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플래닝부(26)를 통해 포워드 및 백워드 플래닝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요청으로부터 판단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방식(이하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이라 약칭한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단위 콘텐츠 후보를 검색하는 검색부(22)와,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post-condition)으로 가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하는 플래닝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래닝부(26)는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으로 가지는 단위 콘텐츠를 동일한 콘텐츠 영역에서 추적할 수 없는 경우 다른 콘텐츠 영역으로 확장하여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재생부(30)는 플래닝부(26)를 통해 목표 단위 콘텐츠의 만족되지 못했던 사전 조건을 만족시킨 후 연속적으로 단위 콘텐츠 체인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전술한 콘텐츠 자동 생성부(24)와 플래닝부(26)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조건 만족을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콘텐츠 자동 생성부(24)와 조건 만족을 위해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post-condition)으로 가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하는 플래닝부(26)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그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시청을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14세기 세계사" )를 입력하면 사용자 요청을 담은 정보가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에 포함되는 검색부(22)로 전달된다. 검색부(22)는 사용자 요청을 해석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서 검색 조건에 맞는 단위 콘텐츠를 검 색한다. 재생부(30)는 검색된 단위 콘텐츠를 재생한다. 하나의 단위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재생부(30)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로 이를 알리고,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0)는 다음 단위 콘텐츠로의 이동을 위한 사전조건이 모두 충족되는지 확인한다. 사전조건이 모두 충족하는 경우 검색된 다음 단위 콘텐츠로 이동하여 이를 재생하면 된다.
그러나, 사전 조건 중 일부가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즉, 현재 상태에서 사전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단위 콘텐츠를 찾지 못한 경우),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22)는 사용자의 기본 목적 범위 내에서 현재 상태에서 가장 근접한 사전 조건을 가지는 단위 콘텐츠 후보들을 검색한다.
검색된 단위 콘텐츠 후보의 사전조건 중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콘텐츠 자동 생성부(24)를 통해 전술한 단위 콘텐츠 자동 생성 방식을 수행하거나, 플래닝부(26)를 통해 전술한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예를 통해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동작을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먼저, 도 3은 콘텐츠 자동 생성부(24)를 통해 전술한 단위 콘텐츠 자동 생성 방식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입력을 제공하는 방법을 알지 못해 콘텐츠의 사전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 사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의 응답 또는 선택을 유도하는 방식이 사용된 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콘텐츠 영역 내에 이미 존재하는 조건 충족 방법을 가이드 해주는 경우는 물론, 현재 콘텐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조건 충족 방법을 새롭게 생성하거나 다른 콘텐츠 영역에서 찾아서 제공해 주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조건 만족을 유도하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충분 조건의 키워드를 이용한 질문으로 사용자의 응답을 유도하는 단위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또는 불충분 조건의 키워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화면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단위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때 질문은 현재 스크린에 등장한 캐릭터의 대사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해질 수 있으며, 선택화면에 필요한 각종 캐릭터 또는 소품(prop) 등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또는 인터넷 상에서 가져오거나 링크만하여 보여줄 수도 있다. 자동 생성된 단위 콘텐츠는 재생되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필요한 조건을 획득한 후, 검색된 목표 단위 콘텐츠로 이동하여 이를 연속하여 재생한다.
도 3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검색된 단위 콘텐츠 A를 재생한 후, 사용자 요청과 가장 근접하는 단위 콘텐츠로서 c 및 e를 사전 조건으로 가지는 목표 단위 콘텐츠 B를 검색한 경우, 현재 상태(c 및 d)가 검색된 목표 단위 콘텐츠 B의 사전 조건(c 및 e) 중 일부(e)를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유도하는 단위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고 이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사전 조건을 모두 충족하도록 하여 검색된 단위 콘텐츠 후보 B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국", "14세기", "백년전쟁"을 사전 조건으로 가지는 단위 콘텐츠 B를 검색한 경우, 앞의 두 가지 조건은 만족하나 뒤에 한가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을 때, 불충분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백년전쟁에 대하여 알고 싶나요?"를 묻는 단위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예"라고 응답하면 사전 조건을 모두 충족하므로 검색된 단위 콘텐츠 B를 재생한다. 만약 사용자가 "아니오"라고 응답하면 사전 조건을 무시할지 여부를 묻거나 현재 목표 단위 콘텐츠를 다른 단위 컨텐츠 후보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불충분 조건의 충족을 유도하는 단위 콘텐츠의 생성이 어려운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플래닝부(26)를 통해 전술한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동일한 콘텐츠 영역에서의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도 5는 다른 콘텐츠 영역에서의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플래닝(planning) 방식은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가 주어지면, 그 과정을 계획하여 일련의 콘텐츠로 자동 구성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단위 콘텐츠를 나타내는 노드에 사전 조건(pre-condition)과 사후 조건(post-condition)을 설정하여 조건이 만족되는 노드로 스토리를 진행해 가는 방식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상태인 단위 콘텐츠 A 노드에서 목표 단위 콘텐츠 B 노드로 가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 도시된다. 단위 콘텐츠 A 노드가 재생되기 위해서는 사전 조건 a 및 b를 만족해야 되며, 단위콘텐츠 A 노드의 재생이 완료되면 사후 조건 c 및 e가 만족 된다. 이에 따라, 사전 조건으로 c 및 e를 만족하는 목표 단위콘텐츠 B 노드로 스토리 진행이 연결된다. 단위콘텐츠 B 노드의 스토리 진행이 완료되면 사후 조건으로 f 및 g가 만족된다.
이때, 포워드 플래닝(Forward Planning)은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 현재 노드로부터 목표 노드에 이르는 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가리키며, 현재 노드의 사후 조건을 사전 조건으로 가지는 노드를 찾아서 목표 노드까지 도달할 수 있다. 백워드 플래닝(Backward Planning)은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 목표 노드로부터 현재 노드에 이르는 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가리키며, 목표 노드의 사전 조건을 사후 조건으로 갖는 노드를 찾아서 현재 노드까지 도달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되던 플래닝 방식의 경우,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저작 과정에서 콘텐츠간의 자동 연결에 한계가 있었다. 즉 기존의 플래닝 방식으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경우, 저작자가 다른 콘텐츠 영역에 대하여 단위 콘텐츠 간의 사전 조건 및 사후 조건이 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콘텐츠 영역 간의 단위 콘텐츠를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은 포워드 플래닝 방식과 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결합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포워드 플래닝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상태에서 가장 근접한 사전 조건을 갖는 단위 콘텐츠 후보들을 검색하고, 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이용하여 단위 콘텐츠 후보가 만족하지 못하는 사전 조건을 사후 조건으로 갖는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포워드-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이용하면, 불충분 조건의 검색어를 보고 이를 확보할 수 있는 단위 콘텐츠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목적 달성을 위해 부족한 사전 조건을 충족시키는 단위 콘텐츠 후보들을 검색한다. 부족한 사전 조건을 동일한 콘텐츠 영역에서 찾을 수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콘텐츠 영역 내에서 선행 단위 콘텐츠(C 및 D)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backward chaining)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콘텐츠 영역은 이에 포함된 단위 콘텐츠의 사전 조건을 만족하는 선행 단위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 영역 내에 포함한다. 그러나, 만약 부족한 사전 조건을 동일한 콘텐츠 영역 내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콘텐츠 영역에서 선행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backward chaining)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추적된 선행 단위 콘텐츠를 연결하여 사전 조건을 충족시키고 목표 단위 콘텐츠로 이동하여 이를 재생한다.
한편, 단위 콘텐츠 체인 형성시에 연속적으로 사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체인의 맨 처음 단위 콘텐츠까지 추적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시스템의 성능이나 효율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라면,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낮 은 사전 조건을 폐기하거나, 문맥 기반으로 판단하여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사전 조건을 폐기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과 관련 없이 해당 콘텐츠 영역에만 종속적인 사전 조건을 폐기하는 다양한 방법을 추가하여 고려해야 할 사전 조건을 필터링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활용 예들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한국 역사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갑자기 특정시기에 유럽에서 발생한 사건을 알고 싶어진 경우의 활용예가 도시된다.
사용자가 "한국사"를 검색어로 콘텐츠를 검색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는 저작자 1에 의해 저작된 콘텐츠 "한국 역사"를 재생한다. 사용자가 고려시대 14세기에 대한 내용의 단위 콘텐츠를 시청하던 중 같은 시기 유럽의 상황이 궁금하여 이를 요청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는 포워드 플래닝 방식으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장소(영국)", "시간(14세기)", "사건(백년전쟁)", "원인(왕위계승)"을 사전 조건으로 갖는 단위 콘텐츠를 "영국역사"내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요청과 비교하여 "장소(영국)"은 유럽에 포함되고 "시간(14세기)"는 일치하나, "사건(백년전쟁)"과 "원인(왕위계승)"은 만족되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콘텐츠 제공장치(1)는 사전 조건 중 "사건(백년전쟁)"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백년전쟁에 대한 것을 아는지 혹은 관련 내용을 보고 싶은지를 묻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예를 들면, "영국의 백년전쟁에 대해서 알고 싶나요?")를 실시간으로 자 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재생한다.
사용자가 "예"라고 응답하면 사전 조건 "사건(백년전쟁)"이 충족된다. 만약, 사용자가 "아니오"라고 응답하면 다음 콘텐츠 후보인 프랑스 역사(콘텐츠 영역 3)로 넘어갈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1)는 사전 조건 중 "원인(왕위계승)"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백년전쟁의 원인인 왕위 계승 분쟁에 대한 것을 아는지 혹은 관련 내용을 보고 싶은지를 묻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 (예를 들면, "백년전쟁의 원인은 왕위계승 분쟁입니다. 보고 싶나요?")를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재생한다.
사용자가 "예"라고 응답하면, 사전 조건 "원인(왕위계승)"을 충족시키기 위해 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적용하여 선행 단위 콘텐츠 B를 검색하여 재생한 후에 단위 콘텐츠 A를 연속하여 재생한다. 만약 사용자가 "아니오"라고 응답하면 사전 조건을 무시할 것인지를 묻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국 역사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른 유럽 국가의 14세기 사건들에 대해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유럽 국가의 14세기 사건들을 시청하다가 언제든지 원래의 한국역사 콘텐츠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언제든지 다른 요청을 할 수 있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존재하는 한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탐험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될 수 있는 단위 콘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 에게 알리고 원래 콘텐츠를 계속 시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는 독립된 다른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속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미분방정식을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의 활용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활용예에서 미분방정식 콘텐츠는 사전 조건으로 미분정리1을 알아야 한다. 사용자가 미분 정리1을 아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예를 들어 "미분 정리 1을 알고 있니?" 라는 질의 화면의 단위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조건을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미분 정리1을 안다고 하면 조건 충족되므로 미분방정식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분 정리1을 모른다고 하면 백워드 플래닝 방식을 적용하여 미분 정리1 단위 콘텐츠로 이동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유도한다. 또한, 만약 미분 정리1이 사전 조건으로 미분 기초를 요구하면, 다른 콘텐츠 영역에 있는 미분 기초 단위 콘텐츠로 이동하여 조건 충족을 유도한다. 결국, 백워드 플래닝 방식에 의해 형성된 단위 콘텐츠 체인을 차례로 재생하여 사전 조건을 만족시킨 후(미분기초 단위 콘텐츠 재생 -> 미분 정리1 단위 콘텐츠 재생), 검색된 미분방정식1 콘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콘텐츠 영역에 있는 콘텐츠까지 추적하여 재생할 수 있어 방대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접근이 가 능해진다. 즉,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독립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결합하여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연속된 스토리 공간에서 목적에 맞는 콘텐츠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몰입도를 증가사킬 수 있다. 나아가, 조건 충족을 위해 사용자에게 자동 질의를 하거나 선택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 및 상태를 보다 상세히 파악하고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맞추어 스토리를 전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고(S100), 입력받은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 또는 사후 조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의 단위 콘텐츠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연속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며(S110), 구성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한다(S120).
여기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단계(S110)는, 두 가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고(S112), 현재 상태에서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조건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S114)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사용 자의 요청에 가장 근접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사전 조건을 가지는 단위 콘텐츠 후보를 검색하고(S116), 현재 상태에서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조건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으로 가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S118)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목적을 기반으로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콘텐츠 사이에 자동으로 인터랙션(interaction)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제공되는 콘텐츠 간에 연속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와 콘텐츠 간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생성하며, 방대한 콘텐츠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개별적인 컨텐츠를 검색하여 시청하던 기존 방식에서, 사용자의 목적을 기반으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자동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콘텐츠의 검색 및 사용방식이 전환될 수 있다. 기존의 단발성 컨텐츠 검색 플랫폼에서 탈피하여, 연속된 스토리 공간을 유지하는 새로운 컨텐츠 검색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활용 예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6)

  1.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사전 조건을 가지는 단위 콘텐츠 후보들의 집합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위 콘텐츠와 하나의 이전 단위 콘텐츠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연속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끊김없이(seamlessly)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사전 조건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평가 함수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현재 상태에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콘텐츠 자동 생성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자동 생성부는,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만족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을 유도하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재생하여 얻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사전 조건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평가 함수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현재 상태에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post-condition)으로 가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하는 플래닝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닝부는,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으로 가지는 단위 콘텐츠를 동일한 콘텐츠 영역에서 추적할 수 없는 경우, 다른 콘텐츠 영역으로 확장하여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을 형성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닝부는,
    상기 단위 콘텐츠 체인 형성시에 연속적으로 사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충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하여 폐기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의 사전 조건을 만족시킨 후 연속적으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 체인을 재생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9.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사전 조건을 가지는 단위 콘텐츠 후보들의 집합에서 선택된 하나의 목표 단위 콘텐츠와 하나의 이전 단위 콘텐츠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연속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끊김없이(seamlessly)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사전 조건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평가 함수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만족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을 유도하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재생하여 얻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응답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사건 조건에 가장 근접하는 사전 조건(precondition)을 가지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평가 함수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평가되는 목표 단위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조건(precondition) 중 일부가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post-condition)으로 가지는 별도의 단위 콘텐츠를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chain)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사후 조건으로 가지는 단위 콘텐츠를 동일한 콘텐츠 영역에서 추적할 수 없는 경우, 다른 콘텐츠 영역으로 확장하여 추적하여 단위 콘텐츠 체인을 형성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콘텐츠 체인 형성시에 연속적으로 사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만족되지 못한 사전 조건 중 일부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하여 폐기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의 사전 조건을 만족시킨 후 연속적으로 상기 목표 단위 콘텐츠 체인을 재생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080076202A 2008-08-04 2008-08-04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02A KR101515963B1 (ko) 2008-08-04 2008-08-04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2/431,901 US8386933B2 (en) 2008-08-04 2009-04-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02A KR101515963B1 (ko) 2008-08-04 2008-08-04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47A KR20100015247A (ko) 2010-02-12
KR101515963B1 true KR101515963B1 (ko) 2015-05-06

Family

ID=4160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202A KR101515963B1 (ko) 2008-08-04 2008-08-04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86933B2 (ko)
KR (1) KR101515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1183B2 (en) * 2012-06-04 2015-02-24 Hallmark Cards, Incorporated Fill-in-the-blank audio-story engine
JP6043893B2 (ja) * 2014-12-24 2016-12-14 ザワン ユニコム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メッセージ送信装置、メッセージ送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7169A1 (en) 2005-12-30 2007-07-05 Microsoft Corporation Specification generation from implementations
US20080052414A1 (en) 2006-08-28 2008-02-28 Ortiva Wireless, Inc. Network adaptation of digital content
US20080133501A1 (en) 2006-11-30 2008-06-05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ve workspace context information filte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3053B1 (en) * 1996-11-27 2003-04-01 University Of Hong Kong Interactive video-on-demand system
US20070099684A1 (en) * 2005-11-03 2007-05-03 Evans Butterworth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teractive storyl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7169A1 (en) 2005-12-30 2007-07-05 Microsoft Corporation Specification generation from implementations
US20080052414A1 (en) 2006-08-28 2008-02-28 Ortiva Wireless, Inc. Network adaptation of digital content
US20080133501A1 (en) 2006-11-30 2008-06-05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ve workspace context information fil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1191A1 (en) 2010-02-04
KR20100015247A (ko) 2010-02-12
US8386933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rteous et al. Controlling narrative generation with planning trajectories: the role of constraints
John et al. Ava: From Data to Insights Through Conversations.
US201401361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alternative audible, visual and/or textual data based upon an original audible, visual and/or textual data
CN107636651A (zh) 使用自然语言处理生成主题索引
Shephard et al. Kingdon's multiple streams approach in new political contexts: Consolidation, configuration, and new findings
Spierling et al. Towards accessible authoring tools for interactive storytelling
CN101840414A (zh) 从网络文本创建动画的设备和方法
JP2019091014A (ja) マルチメディアを再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lafros Greek hip hop: Local and translocal authentication in the restricted field of production
JP2016519779A (ja) 言語学習環境
US107621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mbined media and user-defined audio selection
KR20200131294A (ko) 데이터 플러드 검사 및 향상된 성능의 게이밍 프로세스
CN107810638A (zh) 通过跳过冗余片段优化顺序内容的传递
KR101515963B1 (ko)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Yakura et al. An automated system recommending background music to listen to while working
JP5246680B2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927692B (zh) 一种自动语言交互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6701478B2 (ja) 映像生成装置、映像生成モデル学習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75127B1 (ko) 감성이 유사한 음악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570134B1 (ko) 숏폼 클립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13014994B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harles et al. From computer games to interactive stories: interactive storytelling
Milojevic et al. Media-Tech Companies as Agents of Innovation: From Radical to Incremental Innovation in a Cluster
Wong et al. Playlist environmental analysis for the serendipity-based data mining
Thue Getting Creative with 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