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912B1 - 이미지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5912B1 KR101515912B1 KR1020130093324A KR20130093324A KR101515912B1 KR 101515912 B1 KR101515912 B1 KR 101515912B1 KR 1020130093324 A KR1020130093324 A KR 1020130093324A KR 20130093324 A KR20130093324 A KR 20130093324A KR 101515912 B1 KR101515912 B1 KR 101515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touch
- user terminal
- uni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미지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용자 단말기는, 터치 수단이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위치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이미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화된다.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다른 종류의 단말기가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으며, 터치 인터페이스의 터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다른 종류의 단말기가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으며, 터치 인터페이스의 터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제 스마트폰은 누구나 소지하는 필수적인 개인용 장치가 되어가고 있다. 스마트폰은 통화 용도뿐만 아니라 게임, 정보 검색, 개인 정보 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면서 스마트폰의 활용 용도는 점차 확장되고 있다.
CPU 및 저장 장치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은 소형 컴퓨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나 그 디스플레이 사이즈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에는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어, 특정 게임은 큰 화면에서 플레이될 필요가 있으나, 스마트폰으로는 디스플레이 사이즈의 한계로 인해 해당 게임을 플레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은 대부분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싱이 이루어지나 디스플레이 사이즈 한계로 인해 인터페이스 실행 객체들이 촘촘히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이 촘촘히 배치된 인터페이스 실행 객체들로 인해 잦은 터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다른 종류의 단말기가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인터페이스의 터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수단이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위치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이미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화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위치 이미지는 상기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레벨 범주에 있을 경우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위치 이미지의 형태가 변화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감지부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동작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위치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 실행개체 상에 표시될 경우 상기 위치 이미지의 형태는 변화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위치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될 경우 상기 위치 이미지의 형태는 변화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수단이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a); 및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에 근접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b)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이미지는 상기 단계(a)에서 감지하는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화되는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수단이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거나 터치 수단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의 근접을 감지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b)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 실행개체 상에 표시될 경우 상기 위치 이미지의 형태는 변화되는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수단이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거나 터치 수단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의 근접을 감지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b)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될 경우 상기 위치 이미지의 형태는 변화되는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다른 종류의 단말기가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인터페이스의 터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간 이미지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의 위치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화된 위치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레벨에 따라 위치 이미지가 변화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의 위치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화된 위치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레벨에 따라 위치 이미지가 변화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간 이미지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간 이미지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수신 단말기(102)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말기이며, 일례로 스마트폰, 노트북, 넷북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이 가능하고 다른 단말기들과 통신 가능하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단말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는 않으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공유하는 단말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비해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부를 가진 단말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과 같은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이미지 공유를 위해 서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며,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ation)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무선 HDMI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수신 단말기(102)와 연동 가능한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서버와 같이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차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의 디스플레이부에 공유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에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102)의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단말기(100)와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일차적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가 아닌 다른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 해당 동영상에 대한 정보가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수신 단말기(102)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해당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비해 큰 화면에서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TV와 같은 장치를 수신 단말기(102)로 활용하여 TV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차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서 공유된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수단을 근접시키거나 터치 동작을 수행할 때 터치 수단이 어떠한 영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서 공유되는 것이다. 수신 단말기(102)는 공유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이미지(이하에서는, "위치 이미지"라 함)를 표시한다. 여기서, 터치 수단은 터치 펜, 손가락과 같이 터치 동작을 통해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수단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 이미지는 화살표의 마우스 포인터 형태, 원형의 음영 이미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위치 이미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의 위치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근접 또는 터치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원형의 음영 형태의 위치 이미지(400)가 표시되어 있다.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보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서핑을 할 경우, 수신 단말기(102)만을 보면서 터치 수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위치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웹문서로부터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웹문서로부터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뿐만 아니라 위치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위치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조작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4에는 잘 알려진 앵그리 버드 게임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위치 이미지를 이용하여 게임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캐릭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및 터치 수단의 위치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본 발명의 기능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가 아닌 다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00)를 이용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보다 큰 화면에서 게임을 플레이하고자 할 때 TV 또는 모니터와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부를 갖춘 장치를 수신 단말기로 설정하여 TV 또는 모니터의 화면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것이다. 게임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근접 또는 터치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태는 위치 이미지는 수신 단말기(102)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100)에도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이미지는 터치 오동작을 최소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수단의 위치 이미지의 형태는 그 위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이벤트 실행 개체상에 위치할 경우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화된 위치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위치 이미지가 이벤트 실행 개체 위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원형의 이미지(500a)로 표시되나, 도 5의 (B)를 참조하면, 위치 이미지가 게임 실행을 위한 이벤트 실행 개체인 "PLAY" 버튼 위에 위치할 때 기존의 원형 형태에서 손가락 형태 이미지(500b)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현재 터치하려는 지점 또는 터치된 지점이 터치를 통해 소정의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지점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벤트 실행개체상에 위치 이미지가 존재할 때 그 형태가 변화되는 경우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에 의해 위치 이미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며, 변화된 위치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는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위치 이미지의 위치 뿐만 아니라 터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 이미지의 형태가 변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터치 수단의 위치가 위치 이미지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수신 단말기(102)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후 사용자가 근접 또는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변경시킬 때 위치 이미지는 음영 이미지에서 손가락 이미지로 변화되는 것과 같이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이미지의 형태 변화를 위한 이미지 처리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수신 단말기(102)에서 위치 이미지 형태 변화를 위한 이미지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위치 이미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별도의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이미지를 표시할지 여부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위치 이미지 표시에 대한 온/오프 설정이 가능한 것이다.
위에서는 예시를 위해 본 발명의 위치 이미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위치 이미지의 표시 방식, 위치 이미지의 변화 형태 등을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하며, 앞서 설명한 예시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는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공유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개략적인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 단말기(102)에 이미지 공유를 요청한다(단계 200).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이미지 공유를 요청받은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모드를 변경하고(단계 202), 이미지 공유를 위한 모드 변경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송신한다(단계 204).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하며(단계 206), 수신 단말기(102)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자신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08).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이 근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단계 210). 터치 수단이 근접할 경우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212). 여기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위치 이미지가 표시될 경우, 위치 이미지가 반영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 표시 이미지 자체가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위치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이미지 자체를 전송함으로써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위치 이미지는 손가락과 같이 정교하지 못한 터치 수단이 이용될 때 터치 오류를 미리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는 위치 이미지의 좌표 정보 및 형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 이미지의 좌표 정보와 형태 정보를 출력하여 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이미지의 좌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이미지에서 위치 이미지가 표시되어야 할 지점의 픽셀 좌표일 수 있다. 물론, 픽셀 좌표 이외에도 위치 이미지 좌표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별도로 위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부 표시 이미지에 위치 이미지를 합성하여 위치 이미지가 반영된 이미지를 별도로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되는 합성 이미지가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 단말기는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표시한다(단계 214). 위치 이미지가 반영된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이미지 자체 또는 위치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수신 단말기(102)는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위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 이미지의 좌표 및 형태 정보를 별도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수신 단말기(102)는 해당 좌표 위치에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는 달리 터치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직접 터치할 경우 위치 이미지를 표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에서,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동작 이외에는 도 2와 동일하므로 감지 동작에 관련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단계 310). 터치 수단의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 수단의 터치 레벨을 감지한다(단계 312). 여기서 터치 레벨은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터치 수단의 터치 레벨이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 레벨에 상응하여 표시될 위치 이미지를 결정한다(단계 3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된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제1 레벨 등급에 속할 경우 터치가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위치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으며, 감지된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제2 레벨 등급에 속할 경우 터치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터치가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위치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터치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물론, 위치 이미지 변화를 위한 터치 레벨 등급은 더 세분화될 수도 있을 것이며, 각 터치 레벨 등급에 따라 위치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터치 레벨의 감도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여 위치 이미지의 사이즈가 조절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레벨에 따라 위치 이미지가 변화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터치 레벨(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이 제1 레벨 등급일 경우 수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b)는 터치 레벨이 제1 레벨 등급보다 높은 제2 레벨 등급일 경우 수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사용자가 비교적 약한 터치 압력(제1 레벨 등급에 해당)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할 때 (a)와 같이 위치 이미지(600)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터치 압력을 증가시켜 제2 레벨 등급에 해당되는 압력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할 때 (b)와 같이 위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터치 레벨에 따른 위치 이미지의 변화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예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터치 수단의 근접 또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 용량을 이용하여 터치 수단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사용되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 펜과 같은 터치 수단을 터치 패널로 근접시킬 경우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펜의 터치부로부터 발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하나의 적외선 센서와 2개의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는 리시버가 수신하여 터치 펜의 움직임 및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시버가 터치 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3개의 센서들은 각기 적외선의 전송 시간 및 초음파의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전송 시간들을 거리로 환산하고, 환산된 거리들을 삼각 측량 등의 방법을 통해 터치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터치 펜의 근접 또는 터치 펜의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금속 코일을 구비한 터치 펜이 터치 패널로 근접하게 되면, 터치 팬과 터치 패널 사이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한 전자기장의 변형을 통해 터치 펜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도 저항막 방식, 광을 이용항 방식등 다양한 감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700).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나(단계 702).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방식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HDMI 이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수단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여 위치 이미지를 표시한다(단계 704).
위치 이미지는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형태의 위치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 이미지가 표시된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706).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이미지는 오버레이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미지 합성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된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인코딩하여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이미지가 반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708).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이미지 정보가 송수신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항상 동일한 이미지를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800).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나(단계 802).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수단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의 터치 또는 근접을 감지한다(단계 804).
터치 수단의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단계 806).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례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전체 좌표로 설정할 때 터치 수단의 상대적 위치를 터치 수단의 좌표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수단의 좌표를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된 이미지의 픽셀 좌표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터치 수단의 위치가 현재 표시된 이미지의 특정 픽셀과 대응될 때, 해당 픽셀의 좌표를 터치 수단의 좌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터치 수단의 좌표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가 산출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808).
일례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전송할 때 해당 이미지 정보의 헤더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채널을 통해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경우, 연결 설정 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이미지 채널(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과 제어 채널(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의 두 개의 채널을 설정(establish)을 설정하여야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02)는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단계 810).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신 단말기(102)는 위치 이미지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 이미지의 형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이미지는 그 위치에 따라서 사이즈 또는 형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이미지의 형태 정보 역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예와 같이, 위치 이미지가 특정 이벤트 실행 개체 위에 위치하게 될 경우 일반적인 위치 이미지와 다른 형태의 위치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이러한 변화된 형태 정보 역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 사이에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900).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902).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수단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의 근접 또는 터치를 감지한다(단계 904).
터치 수단의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되면, 터치 수단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수단에 위치 이미지가 반영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906). 생성된 이미지 정보는 수신 단말기와 미리 약속된 방식으로 인코딩된 이미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이미지가 반영되도록 생성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에는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 이미지가 반영되도록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908).
수신 단말기(102)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이미지가 반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910).
이상에서는 위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고 예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한 모듈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펌웨어가 단말기 제조 시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000), 이미지 정보 생성부(1002), 이미지 정보 송신부(1004), 감지부(1006), 위치 이미지 생성부(1008), 설정부(1010) 및 제어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000)는 LCD 또는 LED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 단말기 동작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미지 정보 생성부(1002)는 디스플레이부(10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이미지 정보 생성부(1002)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인코딩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며, 공지된 다양한 인코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송신부(1004)는 이미지 정보 생성부(1002)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Wi-Fi, 무선 HDMI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이미지 정보의 송신이 가능하다. 이미지 정보 송신부(1004)는 위치 이미지에 대한 정보의 송신 기능 역시 수행한다.
감지부(1006)는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감지부(1006)는 터치 수단이 디스플레이부(1000)에 근접하는지 여부 및 디스플레이부(1000)에 터치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1006)는 터치 수단의 터치 상태를 감지하며, 구체적으로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에 대한 레벨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감지부(1006)는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어떠한 레벨에 해당되는지를 감지한다. 일례로, 낮은 압력에 해당되는 제1 레벨 등급 및 높은 압력에 해당되는 제2 레벨 등급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감지부는 터치 압력이 제1 레벨 등급 및 제2 레벨 등급 중 어떠한 레벨 등급에 해당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006)에서 감지하는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에 상응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동작에 따른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낮은 레벨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에 따른 실행을 수행하지 않고 높은 레벨일 경우 터치에 따른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벤트 실행 객체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더라도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일 때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위치 이미지 생성부(1008)는 감지부(1006)에서 터치 수단의 근접 또는 터치가 감지될 경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영 이미지, 커서 포인터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위치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형태의 위치 이미지를 현재 표시된 이미지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현재 표시된 이미지와의 합성을 통해 위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감지부(1006)에서 감지되는 감지 레벨에 따라 위치 이미지 생성부(1008)에서 생성하는 위치 이미지가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이 낮은 레벨일 경우, 위치 이미지 생성부(1008)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나,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이 높은 레벨일 경우에는 위치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이 낮은 레벨일 경우 위치 이미지 생성부(1008)는 작은 사이즈의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나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이 높은 레벨일 경우 위치 이미지 생성부(1008)는 큰 사이즈의 위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수단을 움직이면서 터치 상태를 지속할 경우 위치 이미지는 터치 궤적을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이 클 경우 굵은 궤적이 표시되고 터치 압력 또는 터치 면적이 작을 경우 얇은 궤적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이 낮은 레벨일 경우의 위치 이미지와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이 높은 레벨일 경우의 위치 이미지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이미지 생성부(1008)에서 생성하는 위치 이미지는 감지부의 감지 레벨뿐만 아니라 위치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이미지가 이벤트 실행 개체 위에 표시되는 경우 위치 이미지의 형태는 통상적인 위치 이미지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위치 이미지가 이벤트 실행 객체 위에 존재하는 경우 이외에도 위치 이미지의 특정 위치가 특정 이벤트와 연관되는 경우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 이미지는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현재 표시된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위치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위치 이미지 자체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경우, 이미지 정보 생성부(1002)에서 현재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위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설정부(101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 및 위치 이미지의 공유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의 감지 레벨 등급 및 감지 레벨에 따른 위치 이미지 변화에 대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부(1010)는 감지부에서(1006)에서 터치 여부만을 감지하고 터치 압력 및 면적에 대한 레벨을 감지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제어부(1012)는 앞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100), 이미지 정보 생성부(1102), 이미지 정보 송신부(1104), 감지부(1106), 위치 이미지 정보 생성부(1108), 설정부(1110), 제어부(1112) 및 위치 이미지 정보 송신부(1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도 10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10과는 달리 위치 이미지가 반영된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표시 이미지를 전송하지 않고 위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모듈 구성이다.
도 11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위치 이미지 정보 생성부(1108)는 감지부(1106)에서 터치 수단의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될 경우 위치 이미지의 위치 정보 및 형태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이미지의 형태 정보가 수신 단말기(102)와 미리 설정되어 있을 경우 위치 이미지의 위치 정보만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이미지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근접 또는 터치된 터치 수단의 좌표 정보일 수 있을 것이며, 해당 좌표 정보는 이미지 정보 송신부(1104)를 통해 수신 단말기(102)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위치 이미지 정보만을 전송하는 별도의 모듈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치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 디스플레이에 현재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같은 채널을 이용할 경우 이미지 정보의 헤더에 위치 이미지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200), 이미지 정보 생성부(1202), 이미지 정보 송신부(1204), 감지부(1206), 위치 이미지 생성부(1208), 설정부(1210), 제어부(1212) 및 정보 제공부(12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는 도 10의 사용자 단말기와 비교할 때 정보 제공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정보 제공부(1214)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터치 수단의 근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1214)는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1214)는 사용자가 강한 터치 압력으로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지 약한 터치 압력으로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넓은 터치 면적으로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지 좁은 터치 면적으로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214)는 사용자의 청각, 촉각 또는 시각을 자극하는 형태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압력 정보 또는 면적 정보가 사용자의 촉각을 자극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기 설정된 압력 또는 면적 이하로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정보 제공부(1214)는 진동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압력 정보 또는 면적 정보가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스피커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압력 정보 또는 면적 정보가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발광 수단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 또는 면적 이하로 터치된 상태에서, 터치 수단이 이동하는 동안, 정보 제공부(1214)는 연속적인 진동,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압력 또는 면적 이하의 상태로 최초 터치 수단의 터치가 인식된 경우에는 짧게 1회 진동(제 1 시간)이 발생되고, 추후 터치 수단이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제 2 시간)으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시간은 제 1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214)는 소정 조건에 의해 위치 이미지가 변화될 때 다양한 형태로 위치 이미지 변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Claims (1)
- 터치 수단이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할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위치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위치 이미지의 표시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092 | 2012-03-08 | ||
KR20120024092 | 2012-03-08 | ||
KR1020120024073 | 2012-03-08 | ||
KR20120024073 | 2012-03-08 | ||
KR20120033047 | 2012-03-30 | ||
KR20120032982 | 2012-03-30 | ||
KR1020120032982 | 2012-03-30 | ||
KR1020120033047 | 2012-03-30 | ||
KR1020120043148 | 2012-04-25 | ||
KR20120043148 | 2012-04-25 | ||
KR20120057996 | 2012-05-31 | ||
KR1020120057996 | 2012-05-31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0747A Division KR101337138B1 (ko) | 2012-03-06 | 2013-02-26 |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463A KR20130103463A (ko) | 2013-09-23 |
KR101515912B1 true KR101515912B1 (ko) | 2015-05-04 |
Family
ID=494527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0747A KR101337138B1 (ko) | 2012-03-06 | 2013-02-26 |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20130093324A KR101515912B1 (ko) | 2012-03-08 | 2013-08-06 | 이미지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0747A KR101337138B1 (ko) | 2012-03-06 | 2013-02-26 |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3371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72635A1 (en) | 2014-11-03 | 2016-05-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7559A (ko) * | 2009-12-14 | 2011-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110100121A (ko) * | 2010-03-03 | 2011-09-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
2013
- 2013-02-26 KR KR1020130020747A patent/KR1013371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8-06 KR KR1020130093324A patent/KR1015159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7138B1 (ko) | 2013-12-05 |
KR20130103463A (ko) | 2013-09-23 |
KR20130103363A (ko) | 2013-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56895B2 (en) |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 |
KR102284108B1 (ko) | 전자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US1010187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to select object within image and image input device | |
KR102097452B1 (ko) |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9880642B2 (en) |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CN107637076B (zh) |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 |
AU201322301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 |
KR20130034765A (ko) | 휴대 단말기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 |
KR101872272B1 (ko) |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20170038912A1 (en) |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 |
US20130244730A1 (en) |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384493B1 (ko) |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 |
KR101515912B1 (ko) | 이미지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2125100B1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151549B1 (ko) |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 |
KR101941644B1 (ko) | 휴대 단말기의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101951484B1 (ko) |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 |
KR20140040346A (ko) |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 |
KR20190135958A (ko) |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 |
KR20130129684A (ko) |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 |
KR20130129693A (ko) |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 |
KR20130101886A (ko) |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