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346A -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346A
KR20140040346A KR1020120106658A KR20120106658A KR20140040346A KR 20140040346 A KR20140040346 A KR 20140040346A KR 1020120106658 A KR1020120106658 A KR 1020120106658A KR 20120106658 A KR20120106658 A KR 20120106658A KR 20140040346 A KR20140040346 A KR 2014004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rogram
internal
external inpu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0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346A/ko
Publication of KR2014004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지 외부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판단 결과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내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내부 입력 처리단계와, 판단 결과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외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외부 입력 처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 PROCESSING USING INPUT CLASSIF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입력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날이 발전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로 인해 이동 단말에서는 더 많은 컨텐츠를 다룰 수 있게 되었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하는 빈도도 높아지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 단말의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기반이 되면서, 대부분의 많은 키를 배제하고 풀터치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풀터치 기반의 이동 단말에서 다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들어오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있는 프로그램만 입력을 받아 해당 프로그램에서만 입력을 처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내부 입력과 외부 입력을 구별하여 입력 방식에 따라 각각의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지 외부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판단 결과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내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내부 입력 처리단계와, 판단 결과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외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외부 입력 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은, 입력 이벤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내부 입력을 처리하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 및 외부 입력을 처리하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내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고,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외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에서 입력을 내부 입력 및 외부 입력으로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에 입력시 현재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있는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고, 다른 프로그램에 입력을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할 때 투명도를 조절하여 그 처리 결과를 볼 수 있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외부 입력부로 초음파 전자펜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 입력을 처리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내부 입력이 터치 입력이고, 외부 입력이 초음파 전자펜 입력인 경우 입력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입력 또는 외부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처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및 처리 결과 표시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한편, 각 단계들에 있어,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즉,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100)은 입력부(110),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10)는 내부 입력부(111) 및 외부 입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110), 특히, 내부 입력부(111)는 생략 가능하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를 발생한다. 내부 입력부(111)는 내부 입력을 위한 이동 단말(100)에 직접 구비된 입력 매체이고, 외부 입력부(113)는 이동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입력 매체이다.
내부 입력은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내부 입력 매체(내부 입력부)를 통한 직접적인 입력을 나타낸다. 또한, 내부 입력부(111)는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키패드(또는 버튼) 및/또는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로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감압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을 통한 터치 이외에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 역시 내부 입력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150)에 포함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내부 입력부(111)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외부 입력과 내부 입력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입력은 이동 단말(100)과 연결 또는 연동되는 외부 입력 매체(외부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나타낸다. 외부 입력부(113)는 초음파 전자펜,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키보드 또는 마우스는 이동 단말(100)의 단자에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으로 이동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부(113)로 초음파 전자펜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110)은 초음파 전자펜이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펄스파)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초음파 센서를 통해 초음파 전자펜이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를 감지하고, 초음파 전자펜의 위치 및 이동 위치(좌표 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 전자펜을 통한 입력 처리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전자펜을 사용한 다양한 입력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입력 매체로 초음파 전자펜을 사용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초음파 전자펜을 이용한 입력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 2a 내지 도 2c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인지 또는 내부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인 경우, 외부 입력에 따라 외부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실행된 외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인 경우, 내부 입력에 따라 내부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실행된 내부 입력 프로그램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내부 입력 프로그램,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100)에서 소정의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가리킨다.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AOT(Always On Top)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객체도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포함하며, 서비스 객체(service object)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100)에 본래 탑재 또는 설치된 프로그램은 물론,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모든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홈 화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 자체의 고유 특성으로 설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있는지, 백그라운드(background)에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실행 및 표시된 순서로 프로그램 스택(stack)이 구성되는 경우, 프로그램 스택의 가장 위에 위치한 프로그램(가장 위에 표시된 프로그램)을 외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하고, 프로그램 스택 중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바로 아래 위치한 프로그램(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바로 아래 표시된 프로그램)을 내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프로그램 스택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프로그램을 내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하고, 바로 아래 위치한 프로그램을 외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그램에 따라 내부 입력 및 외부 입력 모두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가능하다.
한편,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AOT(Always On Top)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객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100)이 안드로이드 OS가 적용된 단말인 경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서비스 객체인 AOT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 입력 프로그램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고, 내부 입력 프로그램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외부 입력 프로그램과 내부 입력 프로그램이 상기한 바와 반대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투명도를 조정하여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위에 표시되고 있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투명도를 높임으로써, 그 아래 표시되고 있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의 가시성을 높여, 사용자가 외부 입력 프로그램과 내부 입력 프로그램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보며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 실행시에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투명도 또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처리 결과의 투명도 조절을 위한 투명도 조절바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크기를 달리하여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표시하고, 제어부(130)의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은 내부 입력 프로그램 및 외부 입력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가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내부 입력부(111)의 기능도 겸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외부 입력부(113)로 초음파 전자펜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 입력을 처리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제어부(130)가 초음파 전자펜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외부 입력부(113)로 초음파 전자펜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전자펜은 파동을 이용하여 전송(또는 방사)되는 펄스파 형태의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이다. 초음파 전자펜은 일반적인 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잉크를 이용한 기록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초음파 전자펜은 이동 단말의 내부 영역(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또는 이동 단말의 특정 영역) 또는 외부 영역(이동 단말 주변의 영역)을 터치하거나 공간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이동 단말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이동 단말(100)의 특정 영역에 구비되어 초음파 전자펜이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를 감지한다. 초음파 센서는 마이크(초음파 마이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초음파 센서는 이동 단말(10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초음파 전자펜의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초음파 전자펜을 구비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3개의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도 2a와 같이, 3개의 초음파 센서(210a, 210b, 210c)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초음파 전자펜(101)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각 초음파 센서(210a, 210b, 210c)까지 도달한 시간을 구하고, 각 시간을 초음파 신호의 속도에 곱함으로써 하나의 사용자 입력 지점과 각 초음파 센서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초음파 센서(210a, 210b, 210c)의 위치는 이동 단말(100)을 기준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하나의 신호 발생원인 초음파 전자펜(101)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초음파 센서(210a), 제 2 초음파 센서(210b), 제 3 초음파 센서(210c)가 이동 단말(100)의 3개의 영역에 각기 구비되며, 각각의 센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1 초음파 센서(210a), 제 2 초음파 센서(210b), 제 3 초음파 센서(210c)의 좌표가 각각 (0, 0, 0), (Lx, 0, 0) 및 (Lx, Ly, 0)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 정보는 초음파 전자펜(101)의 일측 단부(예를 들어, 펜촉)와 세 개의 초음파 센서들(210a, 210b, 210c)의 위치 관계에 의하여 정의되며, 초음파 전자펜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 좌표는 (x, y, z)로 설정된다.
x는 a축 방향의 제 1 초음파 센서(210a)와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 사이 값이며, y는 b축 방향의 제 2 초음파 센서(210b)와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 사이 값이고, z는 c축 방향의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와 z=0인 평면의 사이 값이다.
이때, 제 1 초음파 센서(210a)와 제 2 초음파 센서(210b) 간의 거리 Lx, 제 2 초음파 센서(210b)와 제 3 초음파 센서(210c) 간의 거리 Ly는 사전에 알려진 값이고,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와 제 1 초음파 센서(210a) 간의 L1,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와 제 2 초음파 센서(210b) 간의 거리 L2 및 초음파 전자펜(101)과 제 3 초음파 센서(210c) 간의 거리 L3는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전자펜(101)에서 송신된 초음파 센서에서 수신한 시간 간격에 대해 초음파의 속도록 곱하여 구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의 x좌표를 구하기 위해 L1, L2 및 Lx를 각각 삼각형의 한 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이용하면 다음의 수학식 1이 성립된다. 그리고, 수학식 1을 x에 대해서 풀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x좌표 값을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한편,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의 y좌표를 구하기 위해 L2, L3 및 Ly를 각각 삼각형의 한 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이용하여 상술한 수학식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하면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y좌표 값을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각각 L4, y, z 인 삼각형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z값을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따라서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P)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좌표 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의 위치(P)의 위치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부(130)는 초음파 전자펜(1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위치(P)의 (x, y, z)값이 검출된 경우, 초음파 전자펜(101)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위치 정보(예를 들어, 좌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초음파 전자펜(101)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입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은, 먼저, 내부 입력 프로그램 및 외부 입력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한다(310).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 자체의 고유 특성으로 설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있는지, 백그라운드(background)에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따라 내부 입력 및 외부 입력 모두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가능하다.
그 후,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고(320),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인지 또는 외부 입력인지를 판단한다(33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내부 입력부(111)로부터의 입력 이벤트인지, 외부 입력부(113)로부터의 입력 이벤트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인지 외부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내부 입력부(111)가 정전식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외부 입력부(113)가 초음파 전자펜인 경우, 제어부(13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즉 터치 IC를 통해 임계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경우 내부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초음파 센서를 통해 초음파 신호가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외부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330의 판단 결과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내부 입력 프로그램이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한다(340). 반면, 단계 330의 판단 결과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한다(350).
그 후, 제어부(130)는 각 프로그램에서의 사용자 입력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한다(360).
도 4a 및 도 4b는 내부 입력이 터치 입력이고, 외부 입력이 초음파 전자펜 입력인 경우 입력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프로그램 1 및 2는 이동 단말에서 동시에 실행 중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옵션 1 모드는 프로그램 1이 외부 입력인 초음파 전자펜 입력을 처리하고, 프로그램 2가 내부 입력인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모드이고, 옵션 2 모드는 프로그램 1이 내부 입력인 터치 입력을 처리하고, 프로그램 2가 외부 입력인 초음파 전자펜 입력을 처리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옵션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고, 프로그램 1, 2의 고유의 특성이나 현재 상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외부 입력 프로그램과 내부 입력 프로그램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또는 프로그램 고유의 특성이나 현재 상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면(410),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초음파 전자펜 입력인지를 판단하고(420), 초음파 전자펜 입력인 경우, 옵션 1 모드인지를 판단한다(430). 이때, 옵션 1 모드는 가정에 따라 프로그램 1이 외부 입력인 초음파 전자펜 입력을 처리하고, 프로그램 2가 내부 입력인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모드이다.
단계 430의 판단 결과, 옵션 1 모드인 경우, 제어부(130)는 초음파 전자펜 입력을 프로그램 1을 동작시켜 처리한다(440). 반면에, 단계 430의 판단 결과, 옵션 1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2를 동작시켜 초음파 전자펜 입력을 처리한다(450),
단계 420의 판단 결과, 초음파 전자펜 입력이 아닌 경우, 즉, 터치 입력인 경우, 옵션 2 모드인지를 판단한다(460), 이때, 옵션 2 모드는 가정에 따라 프로그램 1이 내부 입력인 터치 입력을 처리하고, 프로그램 2가 외부 입력인 초음파 전자펜 입력을 처리하는 모드이다.
단계 460의 판단 결과, 옵션 2 모드인 경우, 제어부(130)는 내부 입력인 터치 입력을 프로그램 1을 동작시켜 처리한다(470). 반면에, 단계 460의 판단 결과, 옵션 2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2를 동작시켜 터치 입력을 처리한다(48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입력 또는 외부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실선(530 내지 560)은 내부 입력인 경우 제어부(130)와 프로그램 1, 2(510, 520)의 이벤트 신호 송수신을 나타내고, 점선(570, 580)은 외부 입력인 경우 제어부(130)와 프로그램 1, 2(510, 520)의 이벤트 신호 송수신을 나타낸다. 또한, 프로그램 1(510)은 외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있고, 최상위에 실행 중이라고 가정하고, 프로그램 2(520)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프로그램 1(510)의 아래에 실행 중이라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내부 입력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130)는 최상위 프로그램부터 순차적으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그 리턴값을 확인한다. 이때, 리턴값으로 폴스(false)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다음 프로그램으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처리하고 리턴값으로 트루(true) 신호를 수신하면 이벤트의 처리를 종료한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인지 또는 외부 입력 인지를 판단하고, 최상위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1(510)에 이벤트 신호를 전달한다(530). 프로그램 1(510)의 내부 입력 처리부(511)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때, 프로그램 1(510)은 현재 외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없으므로 제어부(130)에 리턴값으로 폴스(false) 신호를 송신한다(540).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1(510)로부터 리턴값 폴스(false) 신호를 받았으므로, 다음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2(520)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한다(550). 프로그램 2(520)의 내부 입력 처리부(521)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때, 프로그램 2(520)은 현재 내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에 리턴값으로 트루(true)신호를 송신한다(560).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2(520)로부터 리턴값으로 트루(true) 신호를 수신하였으므로, 프로그램 2(520)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고 이벤트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인지 또는 외부 입력 인지를 판단하여 외부 입력이므로, 최상위에 실행 중인 프로그램 1(510)에 이벤트 신호를 전달한다(570). 프로그램 1(510)의 외부 입력 처리부(513)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때, 프로그램 1(510)은 현재 외부 입력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에 리턴값으로 트루(true) 신호를 송신한다(580).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1(510)로부터 리턴값으로 트루(true) 신호를 수신하였으므로, 프로그램 1(510)이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고 이벤트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즉, 외부 입력 이벤트는 프로그램 2(520)로 전달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423은 프로그램 2(520)의 외부 입력 처리부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처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6a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투명도 및 크기를 달리하여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입력 처리의 예를 도시하고, 도 6b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동일 크기(전체 화면)로 투명하게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입력 처리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외부 입력은 초음파 전자펜(630)을 이용한 입력으로 가정하고, 초음파 전자펜의 입력을 위한 외부 입력 영역(610)도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내부 입력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의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 예를 들어 홈 화면)이고,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 670-2)이라고 가정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이 실행되어, 크기와 투명도를 달리하여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때, 초음파 전자펜(630)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영역(610)에 외부 입력을 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이므로 외부 입력 프로그램인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이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 결과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다. 즉,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이 초음파 전자펜(630)의 움직임에 대한 좌표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 입력(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 등)의 경우에는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은 동작하지 않고,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가 동작 및 입력 처리하여,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의 아이콘의 이동이나 프로그램 실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내부 입력은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에 의해 처리되고, 외부 입력은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에 의해 처리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문서편집 프로그램(670-2)이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와 동일 크기(전체 화면)로 투명하게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초음파 전자펜(630)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영역(610)에 외부 입력을 하면, 문서편집 프로그램(670-2)이 외부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 처리 결과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다. 이 경우,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문서편집 프로그램(670-2)은 AOT 형태의 서비스 객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 입력일 경우에는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가 내부 입력을 처리하여 아이콘을 옮기거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문서편집 프로그램(670-2)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있는 경우에는 외부 입력뿐만 아니라 내부 입력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초음파 전자펜(630)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영역(610)에 외부 입력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초음파 전자펜(63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직접 외부 입력을 하는 경우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전자펜(530)을 이용하여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 670-2) 상에 입력을 하는 경우 역시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가 이를 처리하지 않고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 670-2)이 입력 이벤트를 전달받아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터치 입력에 의한 내부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가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 670-2)의 영역 내이더라도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 670-2)이 내부 입력을 처리하지 않고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가 내부 입력을 전달받아 처리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6a와 같이 문서 편집 프로그램(670-1)이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의 일부 영역만 차지하는 경우, 초음파 전자펜(630)을 이용하여 문서편집 프로그램(570-1)의 영역 내에 입력을 하면 외부 입력으로 처리하여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이 입력 이벤트를 전달받아 처리하고, 문서편집 프로그램(670-1)의 영역 밖에 입력을 하면 내부 입력으로 처리하여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650)가 입력 이벤트를 전달받아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외부 입력은 초음파 전자펜(720)을 이용한 입력으로 가정하고, 초음파 전자펜(720)의 입력을 위한 외부 입력 영역(710)도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내부 입력 프로그램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730)이고,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문서편집 프로그램(740)이라고 가정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문서편집 프로그램(740)이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730)과 동일 크기(전체 화면)로 투명하게 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외부 입력에 따라 처리한 결과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명도 조절바(75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도 조절바(650)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외부 입력을 받아 처리한 결과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프로그레스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투명도 조절바(750)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 전체(배경)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입력 프로그램 전체(배경)의 투명도 조절을 위하여 별도의 투명도 조절바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을 투명/불투명하게 조절하기 위한 투명도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입력 프로그램 전체(배경)의 색깔이나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처리 결과의 색깔을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조절바 또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투명도 조절바 및 투명도 조절 버튼은 문서편집 프로그램(740)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된 객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문서편집 프로그램(740)의 배경 또는 처리 결과의 색깔이나 투명도 조절은, 문서편집 프로그램의 배경이나 처리 결과의 RGB 값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도중 사용자가 초음파 전자펜(720)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영역(710)에 외부 입력을 하면, 문서편집 프로그램(740)이 외부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 처리 결과가 표시된다. 그러나, 투명도 조절바(750)의 조절에 의해 처리 결과가 투명하게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보여지지는 않는다. 즉, 문서편집 프로그램(740)의 외부 입력 처리 결과가 투명하게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보여지지 않고,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730)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만 시각적으로 보여지게 된다. 그 결과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투명도 조절바(750)를 이용하여 투명도를 조절하여 문서편집 프로그램(740)의 외부 입력 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처리 결과(760)의 투명도가 조절되어 시각적으로 보여 지게 된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외부 입력 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방법으로 투명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예로 들었으나, 외부 입력 처리 결과의 표시 여부를 선택하는 온/오프(on/off) 버튼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음파 전자펜(720)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영역(710)에 외부 입력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초음파 전자펜(72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직접 외부 입력을 하는 경우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처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및 처리 결과 표시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경우, 내부 입력 프로그램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이고,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문서편집 프로그램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810), 문서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한다(820). 그 후,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감지되면(830),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인지를 판단한다(840). 단계 840의 판단 결과 외부 입력이 아닌 경우, 내부 입력 프로그램인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아 처리한다(860).
단계 840의 판단 결과 외부 입력인 경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인 문서편집 프로그램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아 처리한다(850).
그 후, 사용자 입력 처리 결과를 투명하게 표시할 것인지를 판단한다(87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처리 결과 표시의 투명도 조절을 위한 투명도 조절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경우는 그 투명도 조절바의 설정에 따라 판단하고, 사용자 입력 처리 결과 표시 여부를 선택하는 온/오프(on/off) 버튼을 제공하는 경우는 그 온/오프 키의 설정에 따라 판단한다.
단계 870의 판단 결과, 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사용자 입력 처리 결과에 대하여 RGB 값을 조절하여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게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고(880), 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역시 사용자 입력 처리 결과에 대하여 RGB 값을 조절하여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한다(89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 110 : 입력부,
111 : 내부 입력부, 113 : 외부 입력부,
130 : 제어부, 150 : 터치스크린.

Claims (20)

  1. 내부 입력 이벤트 및 외부 입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입력 이벤트에 대하여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프로그램을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지 외부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내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에 상기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내부 입력 처리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외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에 상기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외부 입력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입력 이벤트는, 이동 단말에 구비된 키 패드, 버튼 및 터치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입력 이벤트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이벤트는, 이동 단말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및 초음파 전자펜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입력 이벤트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보다 상위에 표시되며 실행되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AOT(Always On Top) 형태의 객체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함께 표시하는 프로그램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표시단계가,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배경 또는 입력 처리 결과 표시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 조절단계가,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배경 또는 상기 입력 처리 결과 표시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배경 또는 상기 입력 처리 결과의 RGB 값을 조절하는 RGB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프로그레스 바 및 버튼 중 하나 이상인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 및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설정의 의해 결정되는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
  13. 내부 입력 이벤트 및 외부 입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입력 이벤트에 대하여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프로그램을 구분하여 처리하는 이동 단말로서,
    상기 입력 이벤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내부 입력을 처리하는 내부 입력 프로그램 및 상기 외부 입력을 처리하는 외부 입력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 이벤트가 내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에 상기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가 외부 입력 이벤트인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에 상기 입력 이벤트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이동 단말에 직접 구비된 입력 매체인 내부 입력부; 및
    상기 이동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입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입력부가, 상기 이동 단말에 구비된 키 패드, 버튼 및 터치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부가, 상기 이동 단말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및 초음파 전자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부가,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초음파 전자펜; 및
    상기 초음파 전자펜이 발생하는 상기 초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이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보다 상위에 표시되며 실행되는 이동 단말.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과 상기 내부 입력 프로그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투명도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이동 단말.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외부 입력 프로그램의 배경 또는 입력 처리 결과 표시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이동 단말.
KR1020120106658A 2012-09-25 2012-09-25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KR20140040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58A KR20140040346A (ko) 2012-09-25 2012-09-25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58A KR20140040346A (ko) 2012-09-25 2012-09-25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46A true KR20140040346A (ko) 2014-04-03

Family

ID=5065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658A KR20140040346A (ko) 2012-09-25 2012-09-25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3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526A1 (ko) * 2020-07-27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526A1 (ko) * 2020-07-27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0235941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US8988342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97727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2013010670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method
KR20150006180A (ko) 채팅 창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AU20132230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CN103677711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KR20130142824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39026A1 (en)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EP27284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KR20130092074A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52481A (ko)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EP29988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94442B2 (en) Adjustment of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user accuracy and content consumption
US9372557B2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oordinates using the same
KR20140040346A (ko)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US20120119990A1 (en) Pointer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40136854A (ko) 어플리케이션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102157621B1 (ko)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515912B1 (ko) 이미지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2510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