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484B1 -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484B1
KR101951484B1 KR1020120022984A KR20120022984A KR101951484B1 KR 101951484 B1 KR101951484 B1 KR 101951484B1 KR 1020120022984 A KR1020120022984 A KR 1020120022984A KR 20120022984 A KR20120022984 A KR 20120022984A KR 101951484 B1 KR101951484 B1 KR 10195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terminal
termina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885A (ko
Inventor
유창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2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484B1/ko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3/785,266 priority patent/US20130244730A1/en
Priority to US13/785,302 priority patent/US20130241854A1/en
Priority to US13/785,498 priority patent/US8913026B2/en
Priority to US13/785,600 priority patent/US20130234984A1/en
Priority to US13/785,370 priority patent/US20130234959A1/en
Publication of KR2013010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885A/ko
Priority to US14/155,204 priority patent/US20140125622A1/en
Priority to US15/052,803 priority patent/US20160170703A1/en
Priority to US16/142,998 priority patent/US106568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들을 연동시키고 제어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는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RECEPTION DEVICE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들을 연동시키고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은 스마트폰 등의 전자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거나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웹 서핑을 즐긴다. 상기 전자단말기는 가볍고 작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화면이 작아서 게임 등을 충분하게 즐길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즉, 상기 전자단말기의 작은 사이즈로 인하여 게임, 웹 서핑 등의 즐거움이 반감되고 이메일 등을 확인하기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큰 사이즈의 단말기와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연동시키고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는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와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는 제 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하는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단말기 연결 및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제 1 이미지를 단말기들에 공유시킨 상태에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동작과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큰 사이즈의 단말기의 제 1 이미지 위에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통하여 게임, 웹 서핑 등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이미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들을 연동시키고 제어하는 시스템, 특히 이미지 공유 및 공유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예를 들어 터치 방식으로 제어하는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와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연동시킨 후 사용자가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라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수신 단말기라 하겠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지만, 단말기들의 사이즈는 위의 사이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 및 유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나, 통신 기능은 필수적인 기능은 아니다. 다만, 실생활 적용을 고려하면, 각 단말기들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다른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한 특정 장치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TV, PC, 태블릿 PC, 노트북, 터치 패드, 게임기, 클라우드 PC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들이 본 발명의 단말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는 터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기들이 공유하는 이미지를 제 1 이미지라 하고,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제 2 이미지(위치 표시 이미지)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수신 단말기(102)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단말기이며, 예를 들어 앵그리 버드 등과 같은 게임의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기능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이다.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는 않으나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하는 단말기이며, 이미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라마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TV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단말기(102)는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이되, 필수적으로 터치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다.
단말기들(100 및 102)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기기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채널들, 예를 들어 2개의 채널들을 통하여 연결된다. 하나의 채널은 공유되는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채널은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채널들은 모두 무선 채널들 또는 유선 채널들일 수도 있고, 하나는 무선 채널이고 다른 하나는 유선 채널일 수도 있다. 물론, 단말기들(100 및 102)은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의 전송 구간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구간들 사이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데이터(이미지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들 사이에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이 존재하므로, 상기 블랭크 구간을 제어 신호 전송 구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되, 이미지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데이터 구간들 사이에 존재하는 블랭크 구간 동안에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단말기들(100 및 102)의 실시간 연동이 중요한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제어 하에 자신이 디스플레이하고 있거나 디스플레이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이미지 신호로 하여 해당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동작, 터치 동작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해당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별도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 TV 등과 같은 단말기들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Mobile High definition Link), Displayport 등과 같은 유선 통신 표준 및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표준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은 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채널뿐만 아니라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별도의 제어 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HDMI에서는 CEC(Consumer Electronic Control), DDC(Display Data Channel), Utility, SCL/SDA를 제어 채널로 사용하고 있고, MHL에서는 CBUS를 제어 채널로 사용하고 있으며, Displayport에서는 auxiliary channel을 제어 채널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들(100 및 102)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채널들을 설정할 필요는 없으며, 단말기들(100 및 102)에 이미 존재하는 채널들을 본 발명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로 활용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수신 단말기(102) 또한 이미지 신호 등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기(102)는 위의 데이터 채널/제어 채널 외의 다른 채널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데이터 채널/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자신이 디스플레이하는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신호에 배신하여 해당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면, 수신 단말기(102)는 이미지 신호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동일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며, 즉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다만,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수신 단말기(102)의 단말기 특성으로 인하여 색감이 다르거나 디스플레이 비율 등이 다를 수는 있다.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특별한 가공없이 그대로 해당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자신의 특성에 맞도록 가공하여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즉,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한 상기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때, 수신 단말기(102)는 기존 실행 프로그램을 중지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고 기존 실행 프로그램은 실행시키되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기존 실행 프로그램을 함께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기(102)는 예를 들어 기존 실행 프로그램인 드라마를 중지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앵그리 버드 게임의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고, 드라마를 별도의 채널로 전환하여 방영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해당 채널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드라마를 현재 채널에서 계속적으로 방영하되 다른 채널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현재 채널에서 디스플레이시키되 방영되고 있었던 드라마를 별도의 팝업창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를 통하여 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수신 단말기(102)는 현재 채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중지하거나 다른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현재 채널의 화면을 상기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여 제 1 이미지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동작(터치 동작)을 반영하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의 이미지 공유는 초기 한번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가 전환될 때마다 동일한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가지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제어하되 시선은 수신 단말기(102)를 바라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기(100)를 보지 않으면 자신이 하는 동작을 파악하기 힘들고 수신 단말기(102)가 없으면 화면이 작으므로, 본 발명은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면,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상기 터치 수단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 예를 들어 그림자 이미지 등이 해당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즉 터치 수단의 위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위에 특정된다. 연동 시스템이 아닌 일반 PC 등일 경우 마우스를 움직이면 마우스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특정되지 않고 스마트폰 등의 경우 터치하더라도 위치를 표시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를 연동시키면서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터치 위치를 수신 단말기(102)에 그림자 이미지 등으로 특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보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만 보면서도 자신이 터치한 위치 및 동작을 확인할 수 있어서 수신 단말기(102)를 보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 터치 수단의 위치가 제 2 이미지로서 수신 단말기(102) 상에 표시된 후에는 사용자가 터치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다시 터치하거나 터치된 상태로 움직이면 제 2 이미지가 그림자 이미지에서 손가락 이미지 등과 같은 다른 이미지로 변환된 후 상기 터치 수단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터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공유된 제 1 이미지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이미지가 터치 수단의 위치 특정시의 이미지, 예를 들어 그림자 이미지를 계속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터치 수단의 조작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보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만을 보면서도 사용자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앵그리 버드 게임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큰 사이즈를 가지는 TV 화면만을 보면서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앵그리 버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제 1 이미지로 변경되면 수신 단말기(102)에도 동일한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이 경우 상기 제 2 이미지는 새로운 제 1 이미지상에서 해당 위치에 표시된다. 상기 제 2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단말기(102)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에 따라 공유될 수도 있고 수신 단말기(102)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에 따라 공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동 중일 때는 일단 표시되면 연동 종료시까지 계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연동 중에도 제 2 이미지를 표시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제 2 이미지의 생략을 선택하면 제 2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의 화면 상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의 위치를 계속 감지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102)에서 자신의 조작 동작을 확인할 수 없어서 불편하므로 제 2 이미지를 연동 중에는 계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트북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와 별도로 터치 패드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터치 패드를 한번 터치하면 해당 위치가 수신 단말기(102)에서 공유된 제 1 이미지 상에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 1 이미지 소자(100)의 터치 패드를 다시 터치하거나 터치된 상태로 움직이면 상기 제 2 이미지가 상기 움직임에 상응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제 1 이미지를 공유하며, 사용자는 큰 사이즈를 가지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미지상에서 손가락, 터치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동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상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을 클릭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새로운 제 1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다.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 2 이미지가 일단 수신 단말기(102) 상에 특정된 후에는 제 2 이미지가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반영할 수도 있지만, 물리적 키보드, 화면 상에 표시된 키보드 등을 조작함에 따라 움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100)과 하나의 수신 단말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 게임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들(100)은 수신 단말기(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들(100)이 각기 해당 터치 수단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면, 수신 단말기(102)는 동일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터치 수단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들(100)과 수신 단말기(102)가 공유하는 제 1 이미지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복수의 터치 수단들이 터치한 경우(멀티 터치),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우 손가락 하나씩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들의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이미지 위에 상기 위치 정보들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이미지들이 상호 구별되도록 모양, 색상 또는 사이즈가 다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각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수의 감지 방법들을 실현하여 터치 수단들을 다른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손가락을 정전 용량 방식을 통하여 감지하고 터치 펜을 리시버를 활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과 터치 펜을 동시에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복수의 터치 수단들을 이용하여 별개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들 중 하나는 터치하였을 때 위치를 감지하고, 다른 터치 수단은 터치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접근시에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수신 단말기 및 연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 서버는 제 1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에 모두 전송하여 동일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이미지 데이터(이미지 신호)를 전송할 때의 연동 및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 단말기(102)로 이미지의 연동을 요청한다(S200).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수신 단말기(102)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고 연동을 요청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에 연결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수신 단말기(102)가 상대 단말기를 식별한 후 상대방 단말기로 연동할 것인지를 문의할 수도 있다. 단말기들(100 및 102)의 연동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고, 단말기들(100 및 102)이 상호 식별하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2개의 채널들, 즉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로 연결될 수 있고, 연동 요청 또는 허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신호에 배신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202). 즉,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와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유용하므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미지부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한다(S204).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이 터치 패널의 화면 또는 터치 패드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면 상기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용량 방식 이외에도 전자기 유도 방식, 저항막 방식, 광학방식, 초음파 방식 등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방식에 따라 설정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2 이미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림자 이미지(400)를 이미지상에 표시한다(S206). 위에서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로 구분하여 신호들을 다르게 전송하였지만,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간들(110 및 114) 사이에 제어 구간(112)을 설정하여 제어 신호(C1)를 제어 구간(112) 동안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를 다시 터치하거나 터치 상태로 움직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러한 움직임에 따른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상에 표시한다(S208).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터치 수단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 상에 표시되고 이동된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제 1 이미지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는 메뉴를 클릭한 경우에는 이미지 전환만 이루어지므로, 수신 단말기(102)는 제 2 이미지를 현재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로 제 1 이미지만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새로운 이미지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은 제 1 이미지를 공유시킨 상태에서 터치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여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상에 제 2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다시 터치하거나 터치 상태로 움직이는 경우 제 2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 상에서 해당 위치에 표시하거나 이동시킨다.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별도의 이미지로서 오버랩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가 합성되어 생성된 합성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제 2 이미지가 제 1 이미지 위에 표시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제 2 이미지가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한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이미지 중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이 어둡게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어둡게 표현된 부분이 제 2 이미지일 수 있다.
이하,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 구성하고, 손가락 등과 같은 전기가 통하는 터치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감지부는 상기 터치 수단 접근시 및 터치시에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다른 방법들이 존재하며, 아래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할 터치 수단으로서 터치 펜(500)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사용한다.
터치 펜(500)은 몸체(510) 및 터치부(512)로 이루어진다. 몸체(5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터치부(512)는 전도체이다. 따라서, 터치부(512)로 인하여 터치 펜(500)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했을 때 정전 용량이 변화되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펜(5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정전 용량 방식에서 사용될 수 없었던 일반적인 터치 펜과 달리, 본 발명의 터치 펜(500)은 정전 용량 방식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터치 펜(500) 전체를 전도체로 제조할 수도 있지만 비용을 고려하면 실제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부(512)만을 전도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일부에 리시버(Receiver, 600)를 장착하고, 터치 펜(602)을 사용할 수 있다.
리시버(600)는 하나의 적외선 센서와 2개의 초음파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펜(602)의 터치부(펜촉)로부터 발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수신하여 터치 펜(602)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터치 펜(602)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에 제 2 이미지를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이미지가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리시버(6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리시버(600)가 터치 펜(602)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3개의 센서들은 각기 적외선의 전송 시간 및 초음파의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전송 시간들을 거리로 환산하고, 환산된 거리들을 삼각 측량과 유사한 방법을 통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를 검출한다. 물론, 적외선 및 초음파 외의 다른 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터치 펜(602)의 위치를 표시한 제 2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펜(602)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600)는 터치 펜(602)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시버(600)는 터치 제어부(610), 이미지 신호부(612), 제어 신호부(614) 및 송수신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610)는 수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공된 정보에 따라 터치 펜(602)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부(6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부(616)를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제어 신호부(614)는 상기 감지된 터치 펜(60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리시버(6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 및 터치 펜(60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시키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충분하다. 따라서, 통신 기능을 가지지 않은 단말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가지나 관련 통신 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단말기도 리시버(600)를 이용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 및 동작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 공유, 제 2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본 발명의 연동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 리시버가 포함되어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700) 및 전자기 발생부(702)를 포함한다.
전자기 발생부(702)는 터치 패널(7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얇은 금속제 막으로 이루어져서 전기가 흐르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펜(707)은 몸체(710) 및 터치부(712)를 포함하며, 터치부(712)는 바람직하게는 작은 금속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터치 펜(704)이 터치 패널(700)로 근접하면 터치부(712)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나며, 그 결과 전자기 발생부(702)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의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러한 전자기장의 변형을 감지하여 터치 펜(704)의 위치를 인식한다. 특히, 터치 펜(704)의 접근 위치, 터치 강도에 따라서 상기 전자기장의 변형이 다르므로, 이러한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은 터치 펜(704)의 터치 패널(700)에 대한 터치 압력을 세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단말기(102)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의 크기, 선으로 표현되는 경우 선의 굵기 등이 터치 펜(704)의 위치 또는 압력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이미지의 모양, 사이즈 또는 색상이 상기 터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정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터치 펜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수신 단말기(102)에 반영시킬 수 있다.
이하,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사용할 때의 단말기 연동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다만,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인 한 도 7의 방법으로 제한되지는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터치 수단의 압력 레벨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리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터치 펜을 이용하여 터치 펜의 터치 압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다양한 선의 굵기로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펜을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하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한 터치 펜의 위치 정보, 즉 터치 지점을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 펜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가볍게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펜을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동작을 해당 아이콘 등의 선택하는 동작으로 인식하지 않고 위치 정보 전송 동작으로 인식하여 터치 펜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의 동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 등을 선택하는 터치로 인식하지 않고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만을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터치 수단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터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102)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하로 터치하는 경우, 즉 가볍게 터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수신 단말기(102)만을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아이콘 또는 어플 등에 터치 수단을 위치시킨 후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으로 누르는 경우, 즉 강하게 터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러한 터치를 아이콘 또는 어플 등의 선택을 위한 터치로 인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아이콘 또는 어플 등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으로 터치하여 해당 아이콘, 어플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위에서는, 터치 압력 레벨을 2개로 분리하고 다른 동작을 수행시켰으나, 3개 이상의 압력 레벨들로 분리되고 각 압력 레벨마다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이 제 1 압력 레벨 이하로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제 1 압력 레벨과 상기 제 1 압력 레벨보다 높은 제 2 압력 레벨 사이로 터치하는 경우에는 그리기 동작을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압력 레벨 이상으로 터치하는 경우에는 아이콘, 어플 등의 선택 동작을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할 때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하로 터치할 때 아이콘, 어플 등의 선택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터치 수단의 접촉 면적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리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터치 펜을 이용하여 터치 펜과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촉 면적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다양한 선의 굵기로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동하는 상태에서 터치 수단이 기설정된 접촉 면적 이하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터치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 즉 터치 지점을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터치 수단이 기설정된 접촉 면적 이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터치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접촉 면적은 위에서 설명된 기설정된 압력 레벨과 유사한 개념이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터치 수단의 터치 압력에 따라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는 것과 같이, 터치 수단의 터치 면적에 따라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수단은 사람의 손가락, 압력에 따라 펜 촉이 펜 속으로 들어가는 터치 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800).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802). 즉,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손가락,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감지한다(S804).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상기 감지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표시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806). 결과적으로, 수산 단말기(102)에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제 1 이미지만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다시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가 표시된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808). 즉, 상기 터치 수단의 움직임이 수신 단말기(102)의 화면에 반영된다.
정리하면, 수신 단말기(102)에서 제 2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그 결과 수신 단말기(102)에는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900). 상기 연동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시작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 여부를 묻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작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S902).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따라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904).
이어서, 사용자에 의한 연동 중지 요청 또는 설정 변경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906). 상기 연동 중지 또는 설정 변경 요청은 사용자가 메뉴 선택 등의 방법으로 요청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의 연결을 오프(Off)시킴에 의해 요청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제어하다가 사용자 단말기(100)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 또는 수신 단말기(102)만 보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연결된 상태에서 연동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연동 중에 제 2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설정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연동 중지 또는 설정 변경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단계 S904가 다시 수행된다.
반면에, 사용자의 연동 중지 또는 설정 변경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 1 이미지 전송을 중지하거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S908).
정리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임의로 연동 요청, 연동 중지 요청, 설정 변경을 임의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연동하며, 즉 제 1 이미지를 공유한 상태로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1000)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다만, 제 1 이미지 공유시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수신 단말기(102)가 IPTV인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 1010)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UI(1010)들이 표시된 제 1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공유될 수 있다. 물론, 수신 단말기(102)에는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1000)가 디스플레이된다.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공유할 때의 장점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 예를 들어 TV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 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를 통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메일을 보내거나 전자 상거래 거래, 게임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수신 단말기(102)와 동일한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의 화면을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가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에서 거실에 있는 수신 단말기(102)를 제어하여 전자 상거래 등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1100).
이어서, 수신 단말기(102)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 또는 디스플레이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S1102). 즉,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한다(S1104).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 용량 감지 방법, 전자기 감지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10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상기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는 전자의 방식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터치 수단으로 다시 터치하거나 터치된 상태로 움직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여 수신 단말기(102)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108).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서는 리시버(1200)가 사용자 단말기(100)가 아닌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사용되는 터치 수단으로서 터치 펜(1202)이 초음파 및 적외선을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된 리시버(1200)로 발신하면, 리시버(1200)는 상기 초음파 및 적외선을 수신하여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한다.
리시버(1200)는 상기 감지된 터치 펜(120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터치 펜(1202)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킨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제 1 이미지를 공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1200)는 터치 펜(1202)의 위치 감지뿐만 아니라 통신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시버(1200)는 터치 수단 감지부(1210), 이미지 신호부(1212), 제어 신호부(1214) 및 송수신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수단 감지부(1210)는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부(12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송수신부(1216)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의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부(1216)를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여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물론, 이미지 신호부(1212)는 수신 단말기(10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 신호부(1214)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연동 동작 등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터치 펜(120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리시버(1200)로 전송되지는 않는다. 결론적으로, 리시버(1200)는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통신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수신 단말기(102)는 통신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본 발명의 연동 및 제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리시버(1200)를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한다(S13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수신 단말기(102)에 내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1302).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하거나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S1304).
이어서, 터치 수단, 예를 들어 터치 펜(1202)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면, 리시버(1200)는 터치 펜(1202)으로부터 발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통하여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른 그림자 등과 같은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킨다(S1306).
계속하여, 사용자가 터치 펜(1202)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다시 터치하거나 터치 후 움직이면, 리시버(1200)는 이러한 터치 펜(1202)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해당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308).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기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수신 단말기(102) 및 동글(1400)을 포함한다.
동글(140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보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터치 수단으로서 터치 펜(1402)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동글(1400)은 통신부(1410) 및 터치 수단 감지부(14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41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특정 통신 기능, 예를 들어 Wibro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특정 통신 기능을 다른 통신 기능으로 변환시켜, 예를 들어 Wibro를 Wi-Fi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를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터치 수단 감지부(1412)는 리시버와 유사하게 터치 펜(1402)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를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동글(1400)을 통하여 통신 기능을 가지며, 동글(1400)은 터치 펜(1402)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도 사용된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100)와 분리되어 구분되는 경우의 리시버 및 동글을 외부 장치로 통칭하겠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500), 연동부(1502), 이미지부(1504), 감지부(1506), 설정부(1508), 디스플레이부(1510), 신호부(1512), 송수신부(1514) 및 저장부(1516)를 포함한다.
연동부(1502)는 수신 단말기(102)와의 연동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관리한다.
이미지부(1504)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2 이미지와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부(1504)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감지부(1506)는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지부(1506)는 상기 터치 수단이 터치하였을 때 재터치하였을 때를 구별하여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 방법으로는 정전 용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등 제한이 없다.
설정부(1508)는 연동 기능 설정 등 다양한 기능들을 설정을 관리한다.
디스플레이부(1510)는 터치 패널이며,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부(1512)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및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512)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1514)는 수신 단말기(102)와의 통신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1516)는 제 1 이미지, 이미지 신호, 제어 신호, 응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5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이미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미지부(1504)는 제 1 이미지 생성부(1600), 제 2 이미지 생성부(1602) 및 이미지 합성부(1604)를 포함한다.
제 1 이미지 생성부(1600)는 공유되는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 2 이미지 생성부(1602)는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그림자 이미지 등과 같은 제 2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합성부(1604)는 상기 생성된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가 아닌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 표시 데이터를 배신한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리시버가 설치된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700), 연동부(1702), 이미지부(1704), 터치 수단부(1706), 설정부(1708), 디스플레이부(1710), 신호부(1712), 송수신부(1714) 및 저장부(17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지부(1704)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터치 관리부(1706)는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리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한다. 즉, 터치 수단의 위치는 리시버가 감지하고, 터치 관리부(1706)는 리시버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검출한다.
신호부(1712)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712)는 상기 이미지 신호 또는 상기 합성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리시버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800), 연동부(1802), 송수신부(1804), 이미지부(1806), 리시버부(1808), 설정부(1810), 디스플레이부(1812), 신호부(1814) 및 저장부(18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지부(1806)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리시버부(1808)는 터치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는 경우 터치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분석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검출한다.
신호부(1814)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814)는 상기 이미지 신호 또는 합성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900), 연동부(1902), 이미지부(1904), 전자기 발생부(1906), 감지부(1908), 설정부(1910), 디스플레이부(1912), 신호부(1914), 송수신부(1916) 및 저장부(1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지부(1904)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전자기 발생부(1906)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하여 전자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191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1908)는 터치 수단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전자기를 감지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신호부(1914)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914)는 상기 이미지 신호 또는 합성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2000), 연동부(2002), 송수신부(2004), 이미지 신호부(2006), 이미지부(2008), 감지부(2010), 신호부(2012), 디스플레이부(2014), 설정부(2016) 및 저장부(20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지 신호부(2006)는 수신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신호를 송수신부(2004)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분석한다.
이미지부(2008)는 이미지 신호부(2006)의 의해 분석된 이미지 신호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감지부(2010)는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신호부(2012)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914)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100), 연동부(2102), 송수신부(2104), 이미지 신호부(2106), 제어 신호부(2108), 이미지부(2110), 디스플레이부(2112) 및 저장부(2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부(210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연동 기능을 관리한다.
송수신부(210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부(2106)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분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한다.
제어 신호부(2108)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이미지부(2110)는 상기 검출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1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검출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그림자 등과 같은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1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가 표시되는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1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디스플레이부(2114)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한 제한이 없이 LCD, OLED, PDP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될 수 있고, 터치 기능을 가질 필요도 없다.
저장부(2114)는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합성 이미지,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2100)는 수신 단말기(102)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합성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되는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200), 연동부(2202), 송수신부(2204), 신호부(2206), 이미지부(2208), 디스플레이부(2210) 및 저장부(2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신호부(2206)는 이미지 신호 및 합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 및 합성 신호를 분석한다. 신호부(2206)는 연동 시작시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경우 합성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합성 신호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부(2206)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와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배신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미지부(2208)는 상기 합성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결과적으로, 수신 단말기(102)에는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208)는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3은 수신 단말기(102)에 리시버가 설치된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300), 연동부(2302), 송수신부(2304), 신호부(2306), 리시버부(2308), 이미지부(2310), 디스플레이부(2312) 및 저장부(2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신호부(2306)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분석한다.
리시버부(2308)는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된 리시버로부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이미지부(23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3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310)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3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는 수신 단말기(102)에 리시버가 내장된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400), 연동부(2402), 송수신부(2404), 신호부(2406), 리시버부(2408), 이미지부(2410), 디스플레이부(2412) 및 저장부(24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리시버부(2408)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는 터치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감지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미지부(24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4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리시버부(2408)에 의해 검출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410)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3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수신 단말기(102)가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500), 연동부(2502), 신호부(2504), 이미지부(2506), 디스플레이부(2508), 송수신부(2510) 및 저장부(2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신호부(2504)는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 또는 디스플레이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 신호를 송수신부(25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신호부(2504)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이미지부(2506)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5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506)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5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02 : 수신 단말기
400 : 제 2 이미지 500 : 터치 펜
600 : 리시버 602 : 터치 펜
700 : 터치 패널 702 : 전자기 발생부
704 : 터치 펜 1000 : 제 2 이미지
1010 : UI 1200 : 리시버
1202 : 터치 펜 1400 : 동글
1402 : 터치 펜

Claims (20)

  1.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되,
    상기 제어 채널은 HDMI 방식에서의 CEC(Consumer Electronic Control), DDC(Display Data Channel), Utility, SCL/SDA, MHL 방식에서는 CBUS, Displayport 방식에서는 auxiliary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부는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4.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방영중이던 프로그램을 중지시킨 후 현재 채널에서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채널을 다른 채널로 전환한 후 상기 다른 채널에서 상기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시키거나, 현재 채널에서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면서 방영중이던 프로그램은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기.
  5. 삭제
  6.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일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미지 신호는 데이터 구간들에서 전송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데이터 구간들 사이의 블랭크 구간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7.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하로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의 사이즈, 모양 또는 색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상기 압력 레벨 이상으로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의 사이즈, 모양 또는 색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8.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저장된 광고 이미지가 상기 제 2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9.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와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이미지의 모양, 사이즈 또는 색상이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강도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하며,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11. 삭제
  12. 사용자 단말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하로 터치하거나 처음 터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의 제 1 이미지 위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고,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상기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으로 터치하거나 재터치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가 선택되어 활성화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가 상기 수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저장된 광고 이미지가 상기 제 2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15. 사용자 단말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이미지의 모양, 사이즈 또는 색상이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 강도에 따라 다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16. 사용자 단말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부; 및
    상기 수신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복수의 터치 수단들의 위치 정보들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와 상기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 2 이미지들은 상기 제 1 이미지 위에 표시되며, 상기 제 2 이미지들의 모양, 사이즈 또는 색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22984A 2012-03-06 2012-03-06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KR10195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84A KR101951484B1 (ko) 2012-03-06 2012-03-06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US13/785,302 US20130241854A1 (en) 2012-03-06 2013-03-05 Image sharing system and user terminal for the system
US13/785,498 US8913026B2 (en) 2012-03-06 2013-03-05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US13/785,600 US20130234984A1 (en) 2012-03-06 2013-03-05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US13/785,266 US20130244730A1 (en) 2012-03-06 2013-03-05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785,370 US20130234959A1 (en) 2012-03-06 2013-03-05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US14/155,204 US20140125622A1 (en) 2012-03-06 2014-01-14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US15/052,803 US20160170703A1 (en) 2012-03-06 2016-02-24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US16/142,998 US10656895B2 (en) 2012-03-06 2018-09-26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84A KR101951484B1 (ko) 2012-03-06 2012-03-06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85A KR20130101885A (ko) 2013-09-16
KR101951484B1 true KR101951484B1 (ko) 2019-02-22

Family

ID=4945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984A KR101951484B1 (ko) 2012-03-06 2012-03-06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4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5678A1 (en) * 2001-08-04 2003-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external display device connected there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5678A1 (en) * 2001-08-04 2003-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external display device connected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85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895B2 (en)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US9753547B2 (en) Interactive displaying metho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chieving displaying of a holographic image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US20120274547A1 (en) Techniques for content navigation using proximity sensing
KR1009807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CN111052063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EP2874401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user interface that reflects user's intention
KR101019254B1 (ko) 공간 투영 및 공간 터치 기능이 구비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3198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7665B1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US20160345048A1 (en) Remote controller having dual touch pads and method of control using the same
US103869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134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140036532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WO2022017421A1 (zh) 交互方法、显示装置、发射装置、交互系统及存储介质
US20130244730A1 (en)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12364B1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CN106020692A (zh) 一种触屏手机的操作方法及系统
US20150009143A1 (en) Operating system
KR101151549B1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KR101951484B1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KR101515912B1 (ko) 이미지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101886A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신 단말기
KR20130129684A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