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864B1 - 유저장치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864B1
KR101515864B1 KR1020107003322A KR20107003322A KR101515864B1 KR 101515864 B1 KR101515864 B1 KR 101515864B1 KR 1020107003322 A KR1020107003322 A KR 1020107003322A KR 20107003322 A KR20107003322 A KR 20107003322A KR 101515864 B1 KR101515864 B1 KR 10151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ption
bcch
rnti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367A (ko
Inventor
미키오 이와무라
미나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6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기지국장치에 의해 통지된 알림정보 변경통지에 기초하여,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에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을 구비한다.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은, 알림정보의 재수신이 수행된 경우에, 미리 결정된 소정의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의 경과 후에 알림정보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에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유저장치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W-CDMA나 HSDPA(총칭 UMTS)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법. 즉 LTE(Long Term Evolution)가, UMTS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어,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3GPP TR 25.814(V7.0.0), "Physical Layer Aspects for Evolved UTRA," June 2006 참조).
기지국장치는, 공통채널(common channel)의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이나, 규제정보(restriction information), 측정제어 정보, 주변 셀 정보(neighboring cell information) 등을 알림제어채널(BCCH: Broadcast Control Channel)로 알리고 있다. 여기서, 이들의 알림정보 내용을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폭주(congestion)가 검출되면 규제정보가 변경되고, 주변에 신규 셀이 개설되면 주변 셀 정보가 변경된다. 또, 랜덤액세스채널(RACH: Random Access Channel)을 송신할 때의 초기 송신전력의 설정이, 상향 간섭량 등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알림정보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경을 유저장치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채널과 같은 시그널링이 네트워크로부터 기지국장치로 통지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는,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시그널링함으로써 유저장치에 통지한다. 이 시그널링은, 알림제어채널 변경통지(BCCH Change Notification 혹은 System Information Change Notification)라 불린다. 유저장치는, 기지국장치에 의해 송신된 알림제어채널 변경통지를 수신하면, 그 변경된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한다.
대기중, 즉 아이들 상태(RRC_IDLE)의 유저장치는, 자 유저장치가 속하는 군에 대해서 지정된 타이밍에서, 페이징채널(paging)을 모니터(monitor)한다. 즉, 페이징의 수신 타이밍은, 유저장치가 속하는 군에 따라 다르다. 기지국장치는, 해당 군에 속하는 유저장치로의 착신이 있을 경우는, 페이징용의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P-RNTI: Paging-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를 사용하여 물리 하향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로 시스너링한다. PDCCH에는, 물리 하향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리소스 블록의 위치, 트랜스포트 블록의 포맷(TB format) 등이 포함된다. PDCCH는, L1/L2 제어채널이라고도 불린다. PDSCH에는, 구체적으로는 페이징된 유저장치의 ID(UE ID)가 포함된다. 유저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 유저장치의 간헐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의 타이밍에서, P-RNTI 앞으로의 PDCCH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있는 경우는 PDSCH를 더 수신하고, 자 유저장치의 UE ID가 들어 있는 경우는 착신을 확인하고 접속 프로시저로 이행한다. 또한, 페이징하는 유저장치가 없는 경우는, PDCCH, PDSCH 모두 송신되지 않고, 빈 리소스는 데이터전송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유저장치가 셀 재선택(셀 리섹션)을 수행하고, 그 셀에서 새롭게 대기하는 경우에는 알림정보를 모두 수신하기 때문에, 알림정보가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그 변경이 반영된다. 그러나, 대기중에 알림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는, 상기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이 통지되거나, 유저장치가 정기적으로 알림정보를 재수신하지 않는 한(예를 들어 알려지고 있는 Value Tag를 확인하지 않는 한), 유저장치는, 그 변경을 인식할 수 없다. 후자는 알림정보의 재수신에 배터리를 소모하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의 관점에서는 전자가 바람직하다. 유저장치는, 페이징의 타이밍에서만 페이징의 수신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 페이징의 타이밍에서 알림정보의 변경이 통지되면, 배터리 세이빙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기중의 유저장치에 대해서 알림정보의 변경을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3GPP R2-073235, August 2007, 3GPP R2-073304, August 2007 참조).
(1)P-RNTI 앞으로 PDCCH를 송신하여, 상기 PDCCH에 의해 알림제어채널 변경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2)P-RNTI 앞으로 PDCCH를 송신하여, 상기 PDCCH가 어드레스한 PDSCH로 알림제어채널 변경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3)BCCH 변경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BCCH-change-RNTI) 앞으로 PDCCH를 송신하여, 상기 PDCCH에 의해 알림제어채널 변경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4)BCCH 변경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BCCH-change-RNTI) 앞으로 PDCCH를 송신하여, 상기 PDCCH가 어드레스한 PDSCH에 의해 알림제어채널 변경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은, 자 셀에 대기를 수행하는 전 유저장치에 통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시그널링은 반복해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유저장치가 수신하지 못할 것도 고려하여, 간헐수신주기의 2-3배 정도 동안 반복해서 통지된다.
통신중(액티브 상태)의 유저장치에 대해서 알림정보의 변경을 통지하는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유저장치는, 액티브 상태(RRC_CONNECTED)의 경우에, 송수신 데이터의 액티비티(activity)에 따라서 간헐수신을 적용할 수 있다. 간헐수신중은, PDCCH를 간헐적으로 수신하고, PDCCH로 상향 또는 하향의 데이터전송을 지시받지 않으면, 차회 간헐주기 후의 수신 타이밍까지 PDCCH의 수신을 휴지한다. 액티브 상태, 즉 무선 베어러를 편 상태에서 간헐수신을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도래시의 전송지연을 삭감하면서 베터리 세이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 상태에는 간헐수신 상태의 경우도 포함된다. 이 간헐수신 상태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기동하는 타이밍은, 유저장치에 따라 다르다. 기지국장치는, 간헐수신 상태에 있는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자 셀이 커버하는 에어리어에 재권하는 모든 유저장치에 알림정보의 변경을 통지하기 위해서, 어느 기간 반복해서 알림정보 변경통지를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간헐수신 타이밍이 유저장치마다 다르기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어느 기간마다 TTI 반복 송신할 필요가 생긴다. 또, 1회의 통지로 수신실패하는 유저장치가 생길 가능성을 고려해서, 어느 정도 긴 시간(예를 들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최대 간헐수신주기의 정수배) 반복해서 송신할 필요가 있다.
간헐수신 상태의 유저장치는, 자 유저장치의 수신처리를 수행하는 타이밍에서 그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알림정보가 변경되어 있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한다.
한편, 액티브 상태에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은(즉 데이터 송수신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유저장치는, 매TTI 송신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알림정보의 변경통지를 매TTI 수신하는 것은, 배터리 세이빙 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 매TTI 송신되는 시그널링에 의해 알림정보의 변경이 통지된 경우, 유저장치측에서는, 그 변경이 어느 시점에서 생겼는지가 애매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알림제어 정보의 변경통지를 수행할 경우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유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유저장치는,
기지국장치에 의해 통지된 알림정보 변경통지에 기초하여,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판단하는 판단수단;
상기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에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은, 미리 결정된 소정의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의 경과 후에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한다.
개시의 유저장치에 의하면, 알림제어 정보의 변경통지를 수행하는 경우의 배터리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페이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알림제어채널 변경통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물리 하향제어채널, 알림제어채널 RNTI 검출 타이밍 및 알림정보 재수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7은 물리 하향제어채널, 알림제어채널 RNTI 검출 타이밍 및 알림정보 재수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물리 하향제어채널, 알림제어채널 검출 타이밍 및 알림정보 재수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11은 물리 하향제어채널, 알림제어채널 검출 타이밍 및 알림정보 재수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며,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가 적용되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나,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를 가지는 시스템이라면 적용할 수 있다. 넓게는, 네트워크로부터 알림제어 정보 변경통지에 상당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알림제어 정보 변경통지에 따라서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이라면, 적용가능하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기지국장치(eNB: eNode B)(200)와 복수의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100n(1001, 1002, 1003, …, 100n, n은 n>0의 정수))를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장치, 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상위국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여기서, 유저장치(100n)는, 각 기지국장치(200)가 커버하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유저장치(100n(1001, 1002, 1003, …, 100n))에 대해서는, 동일의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유저장치(100n)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200)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국장치이지만,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도 고정단말도 포함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접속)가 적용된다. OFDM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상에 데이터를 올려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 간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액세스 게이트웨어 장치(aGW: access Gateway)(300)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400)에 구비되도록 해도 좋으며, 코어 네트워크(400) 이외의 네트워크에 구비되도록 해도 좋다. 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어 플레인(C-plane) 및 유저 플레인(U-plane)의 논리 엔티티(logical entities)로 나눠,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 Gateway)로 하는 경우도 있다. 또, 코어 네트워크(400)에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 Home Location Register)(미도시)가 구비된다.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는, 각 유저장치(100n)를 관리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가 보유된다.
제1 실시 예에 의한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n)에 알림제어채널 변경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change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이하, BCCH 변경 RNTI라 함)를 사용해서, 통신중의 유저장치(100n)에 알림정보의 변경이 생긴 것을 통지한다.
기지국장치(200)는, 해당하는 군에 속하는 유저장치로 착신이 있을 경우, P-RNTI 앞으로 PDCCH를 송신함으로써 착신의 통지를 수행하나, 마찬가지로 BCCH 변경 RNTI 앞으로 PDCCH를 송신함으로써, 알림정보의 변경을 통지한다. 이 PDCCH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RNTI 앞으로의 PDCCH와는 다른 심볼위치에 맵핑된다. 유저장치(100n)는, P-RNTI를 대기함과 동시에, BCCH 변경 RNTI에서, 알림정보의 변경통지가 수행되는 것을 대기한다. 자 기지국장치(200)가 커버하는 에어리어에 재권하는 전 유저장치(100n)에 수신시키는 관점에서는, 이 BCCH 변경 RNTI는, 시스템(상기 셀)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배-3배 정도의 시간 반복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 유저장치(100n)에는, 액티브 상태이며 간헐수신 상태인 유저장치도 포함된다. 이 경우,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상의 시간, 매TTI, BCCH 변경 RNTI가 송신된다. 이처럼 함으로써,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최초로 송신된 BCCH 변경 RNTI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의 수신기회가 주어져 있기 때문에, 재차 송신되는 BCCH 변경 RNTI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상기 셀)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를 640ms, 1280ms, 2560ms로 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BCCH 변경 RNTI에 의해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이 통지되지만, 상기 알림정보의 변경내용은, 상기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 PDCCH에 의해 통지해도 좋으며, PDSCH에 의해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PDSCH에 의해 통지되는 경우에는, BCCH 변경 RNTI에 의해, 읽어야 할 PDSCH의 리소스블록 위치나 트랜스포트 포맷이 통지된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PDCCH에 포함되는 BCCH 변경 RNTI를 검출하는 검출수신주기(BCCH 변경 RNTI 검출주기)를 지정한다.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상의 시간, 매TTI, BCCH 변경 RNTI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는, TTI 초과로,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하의 시간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함으로써, PDCCH에 포함되는 BCCH 변경 RNTI의 검출처리 횟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TI마다 송신되는 PDCCH 중, 시스템(상기 셀)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마다 BCCH 변경 RNTI의 검출처리를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반드시 지정된 수신주기에서 수신할 필요는 없으며, 지정된 수신주기 이내에 최소 한번 수신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n)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로 BCCH 변경 RNTI의 검출처리를 수행한 결과, BCCH 변경 RNTI를 검출한 경우에, 변경된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지정한다. 이 같은 변경된 BCCH의 재수신처리 횟수를 감소시키는 관점에서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와 동일한 기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와 동일한 기간으로 설정된다. 이처럼 함으로써, 동일한 BCCH 변경 RNTI가 수신된 경우에 있어서의 중복된 변경처리를 저감할 수 있다.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에서는, 기지국장치(200)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BCCH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과, BCCH의 변경을 수행하는 시간단위를 같게 해도 좋다. 상기 BCCH의 변경을 수행하는 시간단위는, BCCH 모디피케이션 피리어드(BCCH modification period)라 불려도 좋다. 또, 기지국(200)은,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BCCH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유저장치(100n)는,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BCCH가 송신되고 있다고 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시스템의 알림정보로 통지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개별로 시그널링하도록 해도 좋다. 이처럼 함으로써, 유저장치(100n)와 회선접속이 수행된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통신중으로 천이한 경우, 유저장치(100n)의 재권 셀이 핸드오버에 의해 바뀐 경우에 통지할 수 있다.
유저장치(100n)는, 자 유저장치의 P-RNTI 앞으로의 PDCCH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 PDCCH에는, 셀 고유의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C-RNTI: Cell specific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와, 트랜스포트 포맷, 리소스블록 위치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유저장치(100n)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통지된 BCCT 변경 RNTI 검출주기(혹은 상기 주기 이내)에서 BCCH 변경 RNTI 앞으로 PDCCH가 송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유저장치(100n)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서 BCCH 변경 RNTI의 검출처리를 수행한 결과, BCCH 변경 RNTI를 검출한 경우에는, 변경된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통지된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 BCCH 변경 RNTI의 검출처리를 중지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100n)는, 수신 RF부(102)와 판단수단으로서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처리부(104)와,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으로서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처리부(106)를 구비한다.
RRC 처리부(106)에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이 입력된다.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100n)가 통신중인 경우에는, 매TTI,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또,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가 간헐수신(DRX) 상태인 경우에는, 간헐수신의 타이밍에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MAC 처리부(104)는,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포함되는 C-RNTI의 체크를 수행한다.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검출된 경우에는, MAC 처리부(104)는, 검출된 상기 C-RNTI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또, MAC 처리부(104)는,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BCCH 변경 RNTI가 검출된 경우에는, MAC 처리부(104)는, 검출된 BCCH 변경 RNTI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입력된 경우,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PDSCH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또, RRC 처리부(106)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MAC 처리부(104)에 의해 BCCH 변경 RNTI가 입력된 경우에는,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RRC 처리부(106)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BCCH 변경 RNTI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고, 그리고 MAC 처리부(104)에 의해 BCCH 변경 RNTI가 입력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한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상기 BCCH 변경 RNTI 앞으로의 PDC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으며, 우선 BCCH 변경 RNTI 앞으로의 PDCCH를 수신하고, 다음에 상기 PDCCH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PDS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처럼, 수신 RF부(102)에 의해 PDCCH가 입력된 경우의 모든 타이밍에서 알림정보의 변경내용의 수신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BCCH 변경 RNTI가 검출된 경우에, 알림정보의 변경내용을 수신함으로써, 알림정보 변경내용의 수신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을 도모할 수 있다.
또, RRC 처리부(106)는,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경우,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여, MAC 처리부(104)에 의해 BCCH 변경 RNTI가 입력되어도, 그 입력된 BCCH 변경 RNTI에 대응한 처리, 즉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하는 처리는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이처럼 함으로써, 중복된 알림정보의 재수신처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유저장치(100n)를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른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100n)는, 수신 RF부(102)와 MAC 처리부(104)와, RRC 처리부(106)를 구비한다.
RRC 처리부(106)에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이 입력된다.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100n)가 통신중인 경우에는, 매TTI,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또,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가 간헐수신 상태인 경우에는, 간헐수신의 타이밍에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MAC 처리부(104)는,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포함되는 C-RNTI의 체크를 수행한다.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검출된 경우에는, MAC 처리부(104)는, 검출된 상기 C-RNTI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또, MAC 처리부(104)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기초하여,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BCCH 변경 RNTI가 검출된 경우에는, MAC 처리부(104)는, 검출된 BCCH 변경 RNTI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그리고, MAC 처리부(104)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의 체크는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AC 처리부(104)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기초하여,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BCCH 변경 RNTI가 검출된 경우에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의 체크는 수행하지 않는다. 도 7에는, 최초의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검출되어, BCCH의 재수신이 수행되고,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경과 후의 PDCCH에는 BCCH 변경 RNTI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MAC 처리부(104)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입력한다. 이 경우, MAC 처리부(104)는, 상기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BCCH 변경 RNTI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에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처럼, 수신 RF부(102)에 의해 PDCCH가 입력된 모든 타이밍에서 BCCH 변경 RNTI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기초하여 BCCH 변경 RNTI를 검출함으로써, BCCH 변경 RNTI의 검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을 도모할 수 있다. 또, BCCH 변경 RNTI가 검출된 경우에,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의 체크는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복된 알림정보의 재수신처리를 저감할 수 있다.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입력된 경우,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PDSCH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또,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BCCH 변경 RNTI가 입력된 경우에는,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한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상기 BCCH 변경 RNTI 앞으로의 PDC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으며, 우선 BCCH 변경 RNTI 앞으로의 PDCCH를 수신하고, 다음에 상기 PDCCH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PDS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 RRC 처리부(106)는,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BCCH 변경 RNTI의 검출 타이밍이 되는 것을 MAC 처리부(104)에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MAC 처리부(104)는, 입력된 BCCH 변경 RNTI의 검출 타이밍에 따라서, PDCCH에 BCCH 변경 RNT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BCCH 변경 RNTI가 입력된 경우,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RRC 처리부(106)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BCCH 변경 RNTI의 검출 타이밍이 된 것을 MAC 처리부(104)에 통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BCCH 변경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BCCH 변경 RNTI의 검출 타이밍이 된 것을 MAC 처리부(104)에 통지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 예에 의한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n)에 P-RNTI를 사용해서, 통신중의 유저장치(100n)에 알림정보의 변경이 생긴 것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장치(200)는, 해당하는 군에 속하는 유저장치로 착신이 있는 경우, P-RNTI를 사용해서, PDCCH에 의해 착신의 통지를 수행하나, 이 P-RNTI로 BCCH 변경통지를 수행한다. 이 경우, PDCCH로, BCCH 변경통지를 수행하도록 해도 좋으며, 통상의 페이징과 마찬가지로, P-RNTI를 사용한 PDCCH를 송신하고, PDSCH로 BCCH 변경통지를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PDSCH로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된다.
자 기지국장치(200)가 커버하는 에어리어에 재권하는 전 유저장치(100n)에, BCCH 변경통지를 수신시키는 관점에서는, 시스템(상기 셀)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배-3배 정도의 시간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 유저장치(100n)에는, 간헐수신 상태인 유저장치도 포함된다. 이 경우,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상의 시간, 매TTI, BCCH 변경통지가 송신된다. 이처럼 함으로써,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최초로 송신된 P-RNTI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의 수신기회가 주어져 있기 때문에, 재차 송신되는 P-RNTI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상기 셀)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를, 640ms, 1280ms, 2560ms로 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P-RNTI에 의해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이 통지되지만, 상기 알림정보의 변경내용은, 상기 P-RNTI가 포함되는 PDCCH에 의해 통지해도 좋으며, PDSCH에 의해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PDSCH에 의해 통지되는 경우에는, P-RNTI에 의해, PDSCH의 리소스블록의 위치나 트랜스포트 포맷이 지정된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PDCCH에 포함되는 P-RNTI를 사용해서 BCCH의 변경을 검출하는 주기(BCCH 변경 검출주기)를 지정한다.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상의 시간, 매TTI, BCCH 변경통지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BCCH 변경 검출주기는, TTI 초과,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 이하의 시간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함으로써, 매TTI 송신되는 PDCCH에 포함되는 P-RNTI를 사용한 BCCH 변경 검출처리의 횟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TI마다 송신되는 PDCCH 중, 시스템(상기 셀)이 서포트하는 최대의 간헐수신주기마다 BCCH 변경의 검출처리를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n)가 BCCH 변경 검출주기에서 P-RNTI를 사용한 BCCH 변경의 검출처리를 수행하고, BCCH 변경을 검출한 경우에, 변경된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지정한다. 이 같은 변경된 BCCH 재수신처리의 횟수를 감소시키는 관점에서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은, BCCH 변경 검출주기와 동일한 기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은, BCCH 변경 검출주기와 동일한 기간으로 설정된다. 이처럼 함으로써, 동일한 BCCH 변경통지가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의 중복된 재수신처리를 저감할 수 있다. 도 8에는, 최초의 PDCCH에 BCCH 변경통지가 검출되어, BCCH의 재수신이 수행되고,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경과 후의 PDCCH에는 BCCH 변경통지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에서는, 기지국장치(200)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BCCH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과, BCCH의 변경을 수행하는 시간단위를 같게 해도 좋다. 상기 BCCH의 변경을 수행하는 시간단위는, BCCH 모디피케이션 피리어드(BCCH modification period)라 불려도 좋다. 또, 기지국(200)은,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BCCH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유저장치(100n)는, BCCH의 재수신처리를 중지시키는 기간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BCCH가 송신되고 있다고 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BCCH 변경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시스템의 알림정보로 통지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BCCH 변경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개별로 시그널링하도록 해도 좋다. 이처럼 함으로써, 유저장치(100n)와 회선접속이 수행된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통신중으로 천이한 경우, 유저장치(100n)의 재권 셀이 핸드오버에 의해 바뀐 경우에 통지할 수 있다.
유저장치(100n)는,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 PDCCH에는, C-RNTI와, 트랜스포트 포맷, 리소스블록 위치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유저장치(100n)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통지된 BCCH 변경 검출주기에서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송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유저장치(100n)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BCCH 변경 검출주기에서 P-RNTI를 사용한 BCCH 변경통지의 수신처리를 수행한 결과,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통지된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 P-RNTI를 사용한 BCCH 변경통지의 수신처리를 중지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100n)는, 수신 RF부(102)와 MAC 처리부(104)와, RRC 처리부(106)를 구비한다.
RRC 처리부(106)에는, BCCH 변경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이 입력된다.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100n)가 통신중인 경우에는, 매TTI,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또,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가 간헐수신 상태인 경우에는, 간헐수신의 타이밍에서, 예를 들어, P-RNTI 앞으로의 PDCCH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MAC 처리부(104)는,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포함되는 C-RNTI의 체크를 수행한다.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검출된 경우에는, MAC 처리부(104)는, 검출된 상기 C-RNTI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또, MAC 처리부(104)는,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P-RNTI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입력된 경우,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TB size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PDSCH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또, RRC 처리부(106)는, BCCH 변경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MAC 처리부(104)에 의해 검출된 P-RNTI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를 검출한다. 이 경우, P-RNTI가 포함되는 PDCCH로, BCCH 변경통지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으며, 통상의 페이징과 마찬가지로, P-RNTI를 사용해서 PDCCH에 의해 지정된 BCCH 변경통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 PDSCH로 BCCH 변경통지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BCCH 변경통지가 검출된 경우, RRC 처리부(106)는,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RRC 처리부(106)는, BCCH 변경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BCCH 변경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고, 그리고 MAC 처리부(104)에 의해 P-RNTI가 입력되어, 상기 P-RNTI에 기초하여 BCCH 변경통지의 검출을 수행한 결과, BCCH 변경통지가 검출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한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상기 P-RNTI 앞으로의 PDC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으며, 우선 P-RNTI 앞으로의 PDCCH를 수신하고, 다음에 상기 PDCCH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PDS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처럼, MAC 처리부(104)에 의해 P-RNTI가 입력된 경우의 모든 타이밍에서 알림정보의 변경내용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P-RNTI가 입력되어, 또한 BCCH 변경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알림정보의 변경내용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알림정보 변경내용의 수신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을 도모할 수 있다.
또, RRC 처리부(106)는,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한 경우,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MAC 처리부(104)에 의해 P-RNTI가 입력되고, BCCH 변경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해도, 그 입력된 P-RNTI에 대응한 처리, 즉 BCCH 변경통지의 검출처리는 수행하지 않는다. 그 결과, 알림정보의 재수신처리도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이처럼 함으로써, 중복된 알림정보의 재수신처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유저장치(100n)를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른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100n)는, 수신 RF부(102)와 MAC 처리부(104)와, RRC 처리부(106)를 구비한다.
RRC 처리부(106)에는, BCCH 변경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이 입력된다.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100n)가 통신중인 경우에는, 매TTI,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또, 수신 RF부(102)는, 자 유저장치가 간헐수신 상태인 경우에는, 간헐수신의 타이밍에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PDCCH를 MAC 처리부(104)에 입력한다.
MAC 처리부(104)는,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포함되는 C-RNTI의 체크를 수행한다.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검출된 경우에는, MAC 처리부(104)는, 검출된 상기 C-RNTI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또, MAC 처리부(104)는,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P-RNTI을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P-RNTI를 사용해서, 상기 P-RNTI가 포함되는 PDCCH로, BCCH 변경통지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으며, 통상의 페이징과 마찬가지로, P-RNTI를 사용해서 PDCCH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PDSCH로 BCCH 변경통지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MAC 처리부(104)는,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결과(BCCH 변경통지 판정결과)를 RRC 처리부(106)에 입력한다. 그리고, MAC 처리부(104)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수신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PDCCH에 P-RNTI가 포함되는 경우라도, 상기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AC 처리부(104)는, BCCH 변경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기초하여,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P-RNTI를 사용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는 수행하지 않는다. 도 11에는, 최초의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상기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다고 판정되어, BCCH의 재수신이 수행된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11에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경과 후의 PDCCH에 포함되는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MAC 처리부(104)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P-RNTI를 사용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BCCH 변경 검출주기 및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을 입력한다. 이 경우, MAC 처리부(104)는, 상기 BCCH 변경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BCCH 변경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고,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처럼, 수신 RF부(102)에 의해 PDCCH가 입력된 모든 타이밍에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BCCH 변경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기초하여,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을 도모할 수 있다. 또,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PDCCH에 포함되는 P-RNTI에 자 유저장치(100n)가 속하는 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P-RNTI를 사용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중지함으로써, 중복된 알림정보의 재수신처리를 저감할 수 있다.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자 유저장치(100n)에 대응하는 C-RNTI가 입력된 경우,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블록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PDSCH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또,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입력된 BCCH 변경통지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한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상기 P-RNTI 앞으로의 PDC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으며, 우선 P-RNTI 앞으로의 PDCCH를 수신하고, 다음에 상기 PDCCH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PDSCH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재수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 RRC 처리부(106)는, BCCH 변경 검출주기에 기초하여, 검출 타이밍이 되는 것을 MAC 처리부(104)에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MAC 처리부(104)는, 입력된 검출 타이밍에 따라서, P-RNTI를 사용해서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RRC 처리부(106)는, MAC 처리부(104)에 의해 입력된 BCCH 변경통지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BCCH 변경통지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알림정보를 재차 수신한다. 그리고, RRC 처리부(106)는, BCCH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동안은, BCCH 변경 RNTI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검출 타이밍이 된 것을 MAC 처리부(104)에 통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06)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BCCH 변경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BCCH 변경 검출주기에 있어서의 검출 타이밍이 된 것을 MAC 처리부(104)에 통지하는 처리를 중지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를 기재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유저장치 및 무선통신시스템은, 네트워크로부터 알림제어 정보 변경통지에 상당하는 유저장치의 알림제어 정보 변경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알림제어 정보 변경통지에 따라서 알림제어 정보의 변경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상,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되나, 특별한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해서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을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9월 21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24592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7-245927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50 셀
100n(1001, 1002, 1003, …, 100n) 유저장치
102 수신 RF 부
104 MAC 처리부
106 RRC 처리부
200 기지국장치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1000 무선통신시스템

Claims (11)

  1. 기지국장치에 의해 통지된 알림정보 변경통지에 기초하여,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간헐수신주기 이상의 시간 반복 송신되는 하향링크의 신호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상기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에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은, 알림정보의 재수신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간헐수신주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는 소정의 재수신처리 중지기간의 경과 후에 알림정보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에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재수신처리 중지기간 이하의 소정의 주기마다,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페이징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를 포함하는 물리 하향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은, 상기 물리 하향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페이징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를 포함하는 물리 하향제어채널이 지시하는 물리 하향공유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은, 상기 물리 하향공유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제어채널 변경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를 포함하는 물리 하향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은, 상기 물리 하향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제어채널 변경 무선네트워크 템포러리 ID를 포함하는 물리 하향제어채널이 지시하는 물리 하향공유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가 변경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 재수신수단은, 상기 물리 하향공유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의 재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1. 삭제
KR1020107003322A 2007-09-21 2008-09-17 유저장치 KR101515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45927 2007-09-21
JP2007245927A JP5103113B2 (ja) 2007-09-21 2007-09-21 ユーザ装置
PCT/JP2008/066740 WO2009038077A1 (ja) 2007-09-21 2008-09-17 ユー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367A KR20100068367A (ko) 2010-06-23
KR101515864B1 true KR101515864B1 (ko) 2015-05-04

Family

ID=4046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322A KR101515864B1 (ko) 2007-09-21 2008-09-17 유저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50142B2 (ko)
EP (1) EP2192818B1 (ko)
JP (1) JP5103113B2 (ko)
KR (1) KR101515864B1 (ko)
CN (1) CN101803411B (ko)
BR (1) BRPI0816900A2 (ko)
RU (1) RU2010114856A (ko)
WO (1) WO2009038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4083B2 (en) * 2008-01-10 2016-11-22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s device for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ality
US8848547B2 (en) * 2009-06-22 2014-09-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network
CN101998580B (zh) * 2009-08-13 2013-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载波模式下的信息处理方法和设备
JP4769898B2 (ja) 2010-01-08 2011-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JP5300912B2 (ja) * 2011-04-26 2013-09-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基地局が実行する方法
US9369980B2 (en) * 2011-07-19 2016-06-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random access response
JP5918490B2 (ja) 2011-08-11 2016-05-18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
US20130046821A1 (en) * 2011-08-15 2013-02-21 Renasas Mobile Corporation Advanced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KR102092579B1 (ko) 2011-08-22 2020-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주파수 밴드 지원 방법 및 장치
JP5848062B2 (ja) * 2011-08-24 2016-01-27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
US9253713B2 (en) * 2011-09-26 2016-02-0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CN103179644B (zh) 2011-12-21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读取系统消息的方法、设备
EP2804416B1 (en) 2012-01-09 202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CN103220077A (zh) * 2012-01-21 2013-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和接收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20140334371A1 (en) 2012-01-27 2014-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9806873B2 (en) 2012-05-09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854443B1 (en) 2012-05-21 2019-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4011548A (ja) * 2012-06-28 2014-01-20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700A1 (en) 2004-01-09 2005-07-14 Farnsworth Andrew J.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etection of system information changes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335B2 (ja) * 1995-06-27 2003-08-04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通信装置
JP3743521B2 (ja) * 1997-10-30 2006-02-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通信網
CN100536355C (zh) * 2001-10-10 2009-09-02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处于间断接收模式的小区搜索方法
KR100595644B1 (ko) * 2004-01-0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점대다 서비스를 위한 통지 지시자 수신방법
JP2007245927A (ja) 2006-03-16 2007-09-27 Nhk Spring Co Ltd 自動車のフード持ち上げ構造及び当該構造を有する自動車
US8768383B2 (en) * 2007-09-13 2014-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using the paging proced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700A1 (en) 2004-01-09 2005-07-14 Farnsworth Andrew J.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etection of system information changes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2 #58bis, R2-072736, LG Electronics Inc., "Discussion on BCCH Update", 2007.06.25.*
3GPP TSG-RAN WG2 Meeting #59, R2-073235, Ericsson, "BCCH updates", 2007.08.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3411B (zh) 2013-09-11
JP5103113B2 (ja) 2012-12-19
KR20100068367A (ko) 2010-06-23
EP2192818B1 (en) 2014-09-03
WO2009038077A1 (ja) 2009-03-26
BRPI0816900A2 (pt) 2015-03-24
RU2010114856A (ru) 2011-10-27
US8750142B2 (en) 2014-06-10
US20100195524A1 (en) 2010-08-05
EP2192818A4 (en) 2013-04-03
CN101803411A (zh) 2010-08-11
EP2192818A1 (en) 2010-06-02
JP2009077289A (ja)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864B1 (ko) 유저장치
US11937331B2 (en)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US119631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736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xtended DRX operation based on uplink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304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49802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9344996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base st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70027A1 (en) Flexible paging and on-demand page indicator
US20100110897A1 (en) Method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user equipements
US20220232514A1 (en) Ue grouping for paging enhancement
KR2008008453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20190261447A1 (en) Radio terminal and base station
EP392531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adio access network node,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power efficient paging escalation
WO2021219043A1 (zh) 业务指示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3070688A1 (e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paging early indication
CN116600385B (zh) 用于在无线网络中寻呼和发射ue身份的方法、设备和系统
EP4175371A2 (en) Power saving feature assistance information in 5gs and eps
WO2024031572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