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816B1 -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816B1
KR101515816B1 KR1020140025836A KR20140025836A KR101515816B1 KR 101515816 B1 KR101515816 B1 KR 101515816B1 KR 1020140025836 A KR1020140025836 A KR 1020140025836A KR 20140025836 A KR20140025836 A KR 20140025836A KR 101515816 B1 KR101515816 B1 KR 10151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light
product
boiling point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익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젤
Priority to KR102014002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3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by two or more of a fractionation, separation or rectific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목적물의 생산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정제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DEVICE OF REFINING FEED COMPRISING A LOW BOILING COMPONET, A MIDDLE BOILING COMPONENT AND A HIGH BOILING COMPONENT AND REFIN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의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각각의 성분을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정제 장치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KR 2008-0099034 A는 일반적인 3성분 정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 공정에서 얻어진 C4-유분에는 여러 종류의 탄화수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정제 공정을 거친다.
납사분해시 부산물로 생성되는 라피네이트(Raffinate)는 석유 등을 용제로 녹일 때 남는 불용해 성분이다. 라피네이트는 납사 크래커에서 생산되는 C4-유분을 포함하며, 이것은 탄소수가 4인 탄화수소 혼합물로서, 여기에는 1,3-부타디엔, 이소부텐 또는 1-부텐등 여러 종류의 탄화수소류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유분에 포함된 각 성분들은 합성고무나 플라스틱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되므로, 상기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각 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2008-0099034호
본 출원은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제 장치는 하나의 예시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로부터 목적하는 물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장치로서, 하부에 재비기(104)를 가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 하부에 응축기(105)를 가지는 제 1 리시버(103), 하부에 재비기(109)를 가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 제 2 리시버(108) 및 이송 시스템(114, 115 및 116)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이송 시스템은 상기 장치의 각 설비을 연결하여 원료 또는 배출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모든 종류의 설비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파이프나 펌프 등으로 되는 배관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이송 시스템은 제 1 라인(114) 및 제 2 라인(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인(114)은 상기 원료를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으로 도입하고,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의 상부 생성물을 상기 제 1 리시버(103)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라인(115)은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하부 생성물을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라인(115)은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108)에 도입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108)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정제 장치는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에서 저비점과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분리하는 정제 장치일 수 있고, 각 성분의 제거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원료에서 고비점 성분을 제거하고 저비점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저비점 성분이란 비점이 -20℃ 내지 -5℃인 성분을 의미할 수 있고, 고비점 성분이란 비점이 -4℃ 내지 10℃인 성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중비점 성분은 비점이 -10℃ 내지 -3℃인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비점, 중비점 및 고비점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상기 온도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텐-1을 정제하는 공정에 있어서, 저비점 성분은 약 -11 ℃ 이하인 성분을 의미할 수 있고, 고비점 성분이란 비점이 약 -1℃ 내지 4℃인 성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중비점 성분이란 비점이 약 -6℃인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비점은 대기압하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하나의 예시로, 부텐-1을 정제하는 공정에서, 상기 고비점 성분은 2-부텐 및 n-부탄을 포함할 수 있고, 저비점 성분은 프로판, 이소부틸렌 및 이소부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비점 성분은 부텐-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역」이란 하나 이상의 분류탑을 포함하여 비점의 차이로 혼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모든 종류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헤비 앤드 분류영역(100)은 상기 원료에서 고비점 성분을 제거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헤비 앤드 분류영역(100)은 고비점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헤비 앤드 분류영역(100)은 하나 이상의 증류탑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2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1 및 102)은 원료가 도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하부에 재비기(104)를 가지는 제 1 분류탑(101) 및 상기 제 1 분류탑(101)과 연결되어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의 상부 생성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2 분류탑(102)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라이트 앤드 분류영역(200)은 상기 원료에서 저비점 성분을 제거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라이트 앤드 분류영역(200)은 저비점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영역(200)은 하나 이상의 증류탑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106 및 107)은 제 1 리시버(103)의 하부 생성물이 도입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분류탑(106) 및 상기 제 1 분류탑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에 재비기(109)를 가지는 제 2 분류탑(107)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하부 생성물은 중비점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비점 성분이 목적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중비점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하나의 예시에서, 부텐-1을 포함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부텐-1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부텐-1」은 그 혼합물 자체를 실질적으로 부텐-1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구체적으로 부텐-1을 주 성분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 적어도 90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또는 99중량% 이상 부텐-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정제 장치의 제 1 라인(114)은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을 다시 제 1 리시버(103)로 환류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장치는 상기 제 1 라인(114) 상에 컴프레서(1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라인(114)은,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을 상기 컴프레서(111)를 경유시킨 후에 일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의 재비기(104)로 도입하고, 나머지 일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재비기(109)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은 컴프레서(111)를 경유하여 온도가 상승될 수 있고, 온도가 상승된 상기 생성물은 상기 헤비 앤드 분류영역(100)의 하부의 재비기(104) 및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하부의 재비기(109)에서, 각각 헤비 앤드 분류영역(100)의 하부 생성물 및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하부 생성물과 열교환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정제 장치는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을 상기 컴프레서(111)를 경유시킨 후에, 상기 제 1 리시버(103)로 환류시키는 컨덴세이트 드럼(11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은 상기 컴프레서(111)를 경유하고, 일부는 상기 헤비 앤드 분류영역(100)의 하부의 재비기(104)를 거치며, 다른 일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하부의 재비기(109)를 거친 후 컨덴세이트 드럼(113)으로 이송될 수 있다. 컨덴세이트 드럼(113)은 상기 상부 생성물의 응축물을 다시 상기 제 1 리시버(103)로 환류시킬 수 있으며, 환류시키는 경로 중에 응축기(117)를 거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정제 장치는 환류 드럼(11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송 시스템은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의 하부 생성물이 상기 환류 드럼(112)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3 라인(11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제 2 라인(115)은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108)에 도입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108)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제 2 라인(115)은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을 나누어,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로 들어가는 상기 상부 생성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 전체가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에서 열교환하지 않고, 일부만이 열교환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전체 열 부하(Heat Duty)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열 부하가 감소됨으로써, 원료의 유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제 1 리시버(114)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이 적정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시버(114)의 상부에 컴프레서(111)를 설치할 경우, 상기 원료의 유량이 증가될 때 컴프레서의 유량이 증가되어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의 따른 상기 제 2 라인(115)을 통하여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이 제어되어 컴프레서(111)의 유량이 직접적으로 제어 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제 장치는 상기 제 2 라인(115)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시키지 않고 제 2 리시버(108)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경로에 존재하는 냉각기(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108)에 도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냉각기(110)를 거쳐 제 2 리시버(108)로 도입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냉각기(110)는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로(105) 유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냉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 1 리시버(103)의 열부하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정제 방법은 상기 원료를 하부에 재비기(104)를 가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으로 도입하여 분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의 상부 생성물을 하부에 응축기(105)를 가지는 제 1 리시버(103)에 도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하부 생성물을 하부에 재비기(109)를 가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으로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을 제 2 리시버(108)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108)에 도입하고, 상기 상부 생성물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108)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정제 방법은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를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으로 도입하여 분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원료는 부텐-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은 하나 이상의 증류탑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분류탑(101) 및 제 2 분류탑(102)을 통하여 분리 정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리 공정으로 고비점 성분인 하부 생성물은 환류 드럼(112)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부 생성물은 제 1 리시버(103)로 도입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비점 성분은 2-부텐 또는 n-부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은 응축되어 다시 제 1 리시버(103)로 환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은 상기 컴프레서(111)를 경유하고, 상기 헤비 앤드 분류영역(100)의 하부의 재비기(104) 및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하부의 재비기(109)를 거친 후 컨덴세이트 드럼(113)으로 이송될 수 있다. 컨덴세이트 드럼(113)은 상기 상부 생성물의 응축물을 다시 상기 제 1 리시버(103)로 환류시킬 수 있으며, 환류시키는 경로 중에 응축기(117)를 거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시버(103)의 하부 생성물은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으로 도입되어 분리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은 하나 이상의 증류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리 정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은 제 1 분류탑(106) 및 제 2 분류탑(1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108)에 도입하고, 상기 상부 생성물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108)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하부 생성물은 중비점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중비점 성분으로서 부텐-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생성물은 실질적으로 부텐-1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로 배출되는 저비점 성분은 이소부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여 제 2 리시버(108)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V1)은 40,000 kg/hr 내지 70,000 kg/hr, 45,000 kg/hr 내지 65,000 kg/hr, 48,000 kg/hr 내지 63,000 kg/hr, 51,000 kg/hr 내지 59,000 kg/hr, 51,000 kg/hr 내지 58,000 kg/hr, 51,000 kg/hr 내지 57,000 kg/hr, 51,000 kg/hr 내지 56,000 kg/hr 또는 52,000 kg/hr 내지 55,000 kg/hr 또는 53,000 kg/hr 내지 54,000 kg/hr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108)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V2)은 3000 kg/hr 내지 20,000 kg/hr, 5,000 kg/hr 내지 18,000 kg/hr, 6000 kg/hr 내지 14,000 kg/hr, 6000 kg/hr 내지 13,000 kg/hr, 7000 kg/hr 내지 12,000 kg/hr, 7000 kg/hr 내지 11,000 kg/hr 또는 8000 kg/hr 내지 10,000 kg/hr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하여 제 2 리시버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V1)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V2)의 비율(V2/V1)이 0.05 내지 0.3, 0.09 내지 0.25, 0.09 내지 0.22, 0.1 내지 0.2 또는 0.12 내지 0.18 일 수 있다. 상기 비율로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리시버의 열 부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108)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을 제 2 리시버(108)로 도입하기 전에 냉각기를 경유시키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108)에 도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냉각기(110)를 거쳐 제 2 리시버(108)로 도입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냉각기(110)는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로 유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냉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 1 리시버의 열부하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로 도입되기 전 또는 상기 냉각기(110)에 도입되기 전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1)는 각각 36℃ 내지 55℃, 38℃ 내지 50℃, 40℃ 내지 48℃ 또는 43℃ 내지 47℃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거친 후 또는 상기 냉각기(110)를 거친 후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2)는 각각 20℃ 내지 45℃, 22℃ 내지 43℃, 25℃ 내지 42℃, 28℃ 내지 41℃, 30℃ 내지 40℃, 32℃ 내지 38℃ 또는 34℃ 내지 36.5℃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냉각기에 도입되기 전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1)와 냉각기를 거친 후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200)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2)의 비율(T2/T1)이 0.70 내지 0.95, 0.72 내지 0.93, 0.75 내지 0.90, 0.77 내지 0.88 또는 0.80 내지 0.85 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생성물의 온도의 비율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리시버의 열 부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제조 방법은 제 1 리시버의 상부 생성물을 컴프레서(111)로 도입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상부 생성물의 일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4)로 도입하고, 나머지 일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9)로 도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상부 생성물이 각각의 재비기를 거쳐 콘덴세이트 드럼(113)을 통해 상기 제 1 리시버(103)로 환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상부 생성물을 각각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4) 및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9)로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4)로 도입되기 전의,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상부 생성물의 유량(V3)은 50,000 kg/hr 내지 200,000 kg/hr, 60,000 kg/hr 내지 180,000 kg/hr, 90,000 kg/hr 내지 110,000 kg/hr, 92,000 kg/hr 내지 105,000 kg/hr, 95,000 kg/hr 내지 103,000 kg/hr 또는 96,000 kg/hr 내지 100,000 kg/h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9)로 도입되기 전의,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상부 생성물의 유량(V4)은 20,000 kg/hr 내지 150,000 kg/hr, 30,000 kg/hr 내지 130,000 kg/hr, 40,000 kg/hr 내지 100,000 kg/hr, 45,000 kg/hr 내지 80,000 kg/hr, 50,000 kg/hr 내지 70,000 kg/hr 또는 55,000 kg/hr 내지 65,000 kg/h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4)로 도입되기 전 또는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9)에 도입되기 전의,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상부 생성물의 온도(T3)는 각각 62℃ 내지 90℃, 64℃ 내지 88℃, 66℃ 내지 85℃, 68℃ 내지 83℃, 70℃ 내지 80℃ 또는 72℃ 내지 74℃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4)를 거친 후 또는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109)를 거친 후의, 상기 상부 생성물의 온도(T4)는 각각 40℃ 내지 70℃, 42℃ 내지 69℃, 44℃ 내지 68℃, 46℃ 내지 67℃, 50℃ 내지 66℃, 53℃ 내지 65℃, 55℃ 내지 64℃, 58℃ 내지 63℃ 또는 60℃ 내지 62℃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원료는 10,000 kg/hr 이상의 유량(V0)으로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100)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1,000 kg/hr 내지 100,000 kg/hr, 12,000 kg/hr 내지 90,000 kg/hr 또는 13,000 kg/hr 내지 80,000 kg/hr의 유량(V0)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컴프레서(111)로 도입되는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V5)은 135,000 kg/hr 내지 300,000 kg/hr, 135,000 kg/hr 내지 280,000 kg/hr, 135,000 kg/hr 내지 260,000 kg/hr, 138,000 kg/hr 내지 250,000 kg/hr, 140,000 kg/hr 내지 230,000 kg/hr, 145,000 kg/hr 내지 200,000 kg/hr, 150,000 내지 180,000 kg/hr 155,000 kg/hr 내지 170,000 kg/h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서(111)로 도입되는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5)는 20℃ 내지 50℃, 22℃ 내지 48℃, 25℃ 내지 45℃, 28℃ 내지 43℃, 30℃ 내지 40℃ 또는 33℃ 내지 37℃일 수 있으며,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후의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6)는 50℃ 내지 90℃, 53℃ 내지 88℃, 55℃ 내지 85℃, 58℃ 내지 83℃, 60℃ 내지 80℃, 63℃ 내지 78℃, 65℃ 내지 75℃, 70℃ 내지 75℃ 또는 73℃ 내지 7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111)로 도입되는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5)와 상기 컴프레서(111)를 거친 후의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6)의 비율(T6/T5)은 2.0 내지 3.0, 2.1 내지 2.8 또는 2.2 내지 2.6일 수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제조 방법은 목적 물질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하여 원료의 유량을 증대시키되,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이 급격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컴프레서(111)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생성물이 상기 컴프레서(111)로 유입되어 과부하가 오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공정의 증가된 엔탈피를 제거할 수 있고, 에너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리시버의 열 부하를 감소시켜 전체 공정의 에너지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목적물의 생산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출원에 따른 정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출원의 권리 범위는 하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원료를 안정탑을 거쳐 분리한 후, 도 2에 나타난 본 출원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STREAM (kg/hr)
원료 (안정탑 전)
헤비 앤드 제1분류탑 원료 (안정탑후)
비 응축성 물질 7.0 0.0
14.0 14
저비점 성분 729.4 718.3
중비점 성분 7,184.8 7,139.8
고비점 성분 6,069.0 6,042.4
합계 14000.0 13914.5
표 1은 실시예 1의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으로 도입되는 원료의 성분 분류표를 표시한다.
성분 제품 분류
수소 비 응축성 물질
(안정탑 상부에서 기체 제품으로 생산)
메탄
프로판 저비점 성분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 제 1 분류탑 상부에서 생산)
이소부탄
이소부틸렌
1-부텐 중비점 성분 (부텐-1 제품)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 제 2 분류탑 하부에서 생산)
N-부탄 고비점 성분
(헤비 앤드 분류 영역 제 1 분류탑 하부에서 생산)
트랜스-2-부탄
시스-2-부탄
표 2는 표 1에 표시된 성분의 제품 분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원료를 도 2의 장치를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분리 정제 공정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제 1 분류탑(101) 상부온도,압력 40.0℃,
3.65kg/cm2
38.6℃,
3.23 kg/cm2
39.3℃,
3.4 kg/cm2
하부온도,압력 52.4℃,
4.3kg/cm2
49.9℃,
3.97 kg/cm2
51.5℃,
4.16 kg/cm2
제 2 분류탑(102) 상부온도,압력 34.1℃,
3.0kg/cm2
30.8℃,
2.63 kg/cm2
31.9℃,
2.77 kg/cm2
하부온도,압력 39.9℃,
3.6kg/cm2
38.7℃,
3.35 kg/cm2
39.4℃,
3.52 kg/cm2
제 1 리시버(103) 상부온도,압력 33.3℃,
2.9kg/cm2
30.7℃,
2.65 kg/cm2
31.7℃,
2.98 kg/cm2
제 1 분류탑(106) 상부온도,압력 44.1℃,
4.9kg/cm2
49.6℃,
4.59 kg/cm2
51.2℃,
4.73 kg/cm2
하부온도,압력 51.2℃,
5.3kg/cm2
55.0℃,
5.87 kg/cm2
51.8℃,
5.36 kg/cm2
제 2 분류탑(107) 상부온도,압력 51.3℃,
5.35kg/cm2
50.5℃,
5.01 kg/cm2
51.4℃,
5.19 kg/cm2
하부온도,압력 54.3℃,
5.8kg/cm2
53.9℃,
5.66 kg/cm2
55℃,
5.87 kg/cm2
제 2 리시버(108) 온도, 압력 36℃,
4.3kg/cm2
34.7℃,
3.86 kg/cm2
38.9℃,
4.35 kg/cm2
실시예 1에서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101)에 도입된 원료는 제 2 분류탑(102)을 거쳐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로서 저비점 성분(717.7kg/hr) 및 중비점 성분(6782.3kg/hr)이 배출되고, 하부 생성물로서 저비점 성분(0.6 kg/hr), 중비점 성분(357.5 kg/hr) 및 고비점 성분(6042.4 kg/hr)이 배출된다.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106)으로 도입된 제 1 리시버(103)의 하부 생성물은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에서 저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으로 분리 정제된다.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106)은 상부 생성물로서 저비점 성분(43762.8 kg/hr) 및 중비점 성분(17892.6 kg/hr)을 배출하고, 제 2 분류탑(107)은 하부 생성물로서 저비점 성분(50.5 kg/hr) 및 중비점 성분(6509.5 kg/hr)을 배출한다. 라이트 앤드 영역의 제 1 분류탑(106)의 상부 생성물 총 유량은 61655.4 kg/hr이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경유하는 유량(V1) 53265.3 kg/hr과 응축기를 경유하지 않고 냉각기를 거쳐 제 2 리시버로 도입되는 유량(V2) 8390.1 kg/hr로 분리 되었다. 후술하는 비교예 1 및 2는 라이트 앤드 영역의 제 1 분류탑(106)의 상부 생성물 총 유량이 분리되지 않고 제 1 리시버 응축기 (105)를 경유하는 한 가지 흐름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교예 1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으로 원료의 유량을 14450.0 kg/hr으로 도입하고,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106)에서 배출된 상부 생성물 전부가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를 거치는 것 (냉각기(110)로 도입되는 라인이 존재하지 않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3의 조건에 따라 원료를 분리 정제하였다.
비교예 2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으로 원료의 유량을 13720.0 kg/hr으로 도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3의 조건에 따라 원료를 분리 정제하였다.
헤비 앤드 제 1 분류탑 (101) 하부 생성물 헤비 앤드 제 2 분류탑 (102) 상부 생성물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비교예 1 비교예 2
STREAM (kg/hr) 6414.5 6730 6409 7500 6858 6394
표 4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101) 및 제 2 분류탑(102)의 생성물의 유량을 나타낸다.
라이트 엔드 제1분류탑(106)
상부 생성물
라이트 엔드 제2분류탑 (107) 하부 생성물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STREAM(kg/hr) 61655.4 44880 49530 6560 5735 5189
표 5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제 1 분류탑(106) 및 제 2 분류탑(107)의 생성물의 유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부텐-1 중량%
[제2분류탑(102) 상부 생성물]
90.4%
( 6782.3 / 7500 * 100=90.4 )
부텐-1 전체 공정 회수율 90.6%
( 6509.5 / 7184.8 * 100=90.6 )
부텐-1 제품 순도 중량%
[제2분류탑(102) 하부 생성물]
99.2%
(6509.5 / 6560 * 100=99.2 )
표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비점 성분인 부텐-1의 제품 순도 및 회수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결과인 상기 표에서 나타난 것처럼 부텐-1 제품 순도는 99.2 %로 목표치 99 %를 초과하였으며 부텐-1 전체 공정 회수율은 90.6 %로 목표치 90 % 이상으로 나타났다.
STREAM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
분류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컴프레서(111)전 유량 (kg/hr) 160,000 123,700 133,980
컴프레서(111)전 온도 (℃) 33.3 30.7 31.7
컴프레서(111)후 유량 (kg/hr) 160,000 123,700 133,980
컴프레서(111)후 온도 (℃) 74.0 66.5 67.6
표 7은 제 1 리시버(103)의 상부 생성물이 컴프레서(111)로 도입되기 전과 후의 유량 및 온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의 컴프레서 운전 능력이 비교예 1 및 2 보다 상당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1의 경우는 본원보다 원료를 더 많이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컴프레서로의 유량이 더 작아지는 결과가 발생하고, 비교예 2의 경우도 본 발명보다 컴프레서로 유입되는 물질이 더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컴프레서의 운전 능력이 현저히 떨어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반해 실시예 1은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상당히 많은 유량을 컴프레서에서 수용할 수 있고, 온도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은 더 많은 양의 유량을 효율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공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됨을 알 수 있다.
STREAM 라이트 앤드 영역 제 1분류탑(106)
상부 생성물
분류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응축기(105)전 유량 (kg/hr) 53265.3 44880 49530
응축기(105)전 온도 (℃) 43.9 49.6 51.2
응축기(105)후 유량 (kg/hr) 53265.3 44880 49530
응축기(105)후 온도 (℃) 36 34.7 38.9
표 8은 라이트 앤드 영역의 제 1 분류탑(106)의 상부 생성물이 제 1 리시버의 응축기(105)로 도입되기 전과 후의 유량 및 온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1은 라이트 앤드 영역 제 1 분류탑의 상부 생성물이 두 개의 라인으로 나뉨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유량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공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됨을 알 수 있다.
100: 헤비 앤드 분류 영역
200: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
101: 헤비 앤드 분류 영역 제 1 분류탑
102: 헤비 앤드 분류 영역 제 2 분류탑
103: 제 1 리시버
104: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
105: 제 1 리시버의 응축기
106: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 제 1 분류탑
107: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 제 2 분류탑
108: 제 2 리시버
109: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
110: 냉각기
111: 컴프레서
112: 환류 드럼
113: 컨덴세이트 드럼
114: 제 1 라인
115: 제 2 라인
116: 제 3 라인
117: 응축기

Claims (16)

  1.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를 정제하는 정제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재비기를 가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 하부에 응축기를 가지는 제 1 리시버; 하부에 재비기를 가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 제 2 리시버; 및
    상기 원료를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으로 도입하고,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을 상기 제 1 리시버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라인과 상기 제 1 리시버의 하부 생성물을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으로 도입하고,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에 도입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2 라인을 가지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정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컴프레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 1 라인은, 제 1 리시버의 상부 생성물을 상기 컴프레서를 경유시킨 후에 일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로 도입하고, 나머지 일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정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환류 드럼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송 시스템은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하부 생성물을 상기 환류 드럼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3 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라인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시키지 않고 제 2 리시버로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경로에 존재하는 냉각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은 원료가 도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재비기를 가지는 제 1 분류탑 및 상기 제 1 분류탑과 연결되어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2 분류탑을 포함하는 정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은 제 1 리시버의 하부 생성물이 도입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분류탑 및 상기 제 1 분류탑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에 재비기를 가지는 제 2 분류탑을 포함하는 정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중비점 성분이 부텐-1을 포함하는 정제 장치.
  8. 저비점 성분, 중비점 성분 및 고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를 하부에 재비기를 가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으로 도입하여 분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을 하부에 응축기를 가지는 제 1 리시버에 도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리시버의 하부 생성물을 하부에 재비기를 가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으로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을 제 2 리시버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시켜 상기 제 2 리시버에 도입하고, 상기 상부 생성물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하여 제 2 리시버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V1)과 상기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V2)의 비율(V2/V1)이 0.05 내지 0.3 인 정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리시버의 응축기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리시버로 도입되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을 제 2 리시버로 도입하기 전에 냉각기를 경유시키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정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냉각기에 도입되기 전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1)와 냉각기를 거친 후의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2)의 비율(T2/T1)이 0.7 내지 0.95 인 정제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리시버의 상부 생성물을 컴프레서로 도입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를 거친 상부 생성물의 일부는 헤비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로 도입하고, 나머지 일부는 라이트 앤드 분류 영역의 재비기로 도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컴프레서로 도입되는 제 1 리시버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5)와 상기 컴프레서를 거친 후의 제 1 리시버의 상부 생성물의 온도(T6)의 비율(T6/T5)은 2.0 내지 3.0인 정제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원료의 유량은 10,000 kg/hr 이상인 정제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리시버의 상부 생성물의 유량이 135,000 kg/hr 내지 200,000 kg/hr 인 정제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비점 성분이 부텐-1을 포함하는 정제 방법.
KR1020140025836A 2014-03-05 2014-03-05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10151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36A KR101515816B1 (ko) 2014-03-05 2014-03-05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36A KR101515816B1 (ko) 2014-03-05 2014-03-05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816B1 true KR101515816B1 (ko) 2015-05-04

Family

ID=5339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36A KR101515816B1 (ko) 2014-03-05 2014-03-05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8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697B1 (ko) * 1977-08-10 1980-12-31 로버트 엠. 바라타 탄화수소 혼합물의 분별 증류법
KR20000015878A (ko) * 1996-05-21 2000-03-15 로빈 에이. 콘미어 열분해 가솔린으로부터 추출증류에 의한 스티렌의 회수방법
KR20130011565A (ko) *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에젤 이소부텐 및 부텐-1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3159599A (ja) * 2012-02-08 2013-08-19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アクロレイ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697B1 (ko) * 1977-08-10 1980-12-31 로버트 엠. 바라타 탄화수소 혼합물의 분별 증류법
KR20000015878A (ko) * 1996-05-21 2000-03-15 로빈 에이. 콘미어 열분해 가솔린으로부터 추출증류에 의한 스티렌의 회수방법
KR20130011565A (ko) *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에젤 이소부텐 및 부텐-1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3159599A (ja) * 2012-02-08 2013-08-19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アクロレイン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5692B (zh) 結合二甲苯異構化及烷轉化之加工單元
JP5327485B2 (ja) アセチレン転換を用いた原油c4留分からの1,3−ブタジエン分離方法
EP3050866B1 (en) Method for preparing butadiene through oxidative dehydrogenation
KR102006422B1 (ko) 증류 장치
US9611192B2 (en) Integration of N-C4/N-C4=/BD separation system for on-purpose butadiene synthesis
KR20110111387A (ko) 분할 벽 증류 칼럼을 사용하는 방법
EP3390342B1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methyl methacrylate
US9856188B2 (en) Integration of N-C4/N-C4=/BD separation system for on-purpose butadiene synthesis
US1004702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5 di-olefins from pyrolysis gasoline
KR101515816B1 (ko) 고비점, 중비점 및 저비점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102581168B1 (ko) 순수 1,3-부타디엔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
CN113474317A (zh) 使用精馏和吸附剂从丁烷和丁烯的混合物中分离烯烃成分
CN108137442B (zh) 纯化1,3-丁二烯的方法和系统
US10287222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sorbent recovery
US10640582B2 (en) Olefin polymerization process
KR102558309B1 (ko) 에틸렌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의 분리방법
US1028751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sorbent recovery
KR20220007388A (ko) 증류 컬럼 제어방법
EP3390341B1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methyl methacrylate
US20220016575A1 (en) Olefins-Paraffins Separation Process by Membrane
KR102579492B1 (ko)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회수 방법
US10918968B2 (en) Selective distillation apparatus and distillation method
US20190152880A1 (en) Enhanced olefin recovery process
EP3512615B1 (en) Side rectifier column for olefin and diluent recovery
WO2021161170A1 (en) Separation process to obtain high purity 1-but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