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221B1 -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221B1
KR101515221B1 KR1020130083386A KR20130083386A KR101515221B1 KR 101515221 B1 KR101515221 B1 KR 101515221B1 KR 1020130083386 A KR1020130083386 A KR 1020130083386A KR 20130083386 A KR20130083386 A KR 20130083386A KR 101515221 B1 KR101515221 B1 KR 10151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height
fix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213A (ko
Inventor
문귀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Priority to KR102013008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2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5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캐스터의 일측에서 대차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 연결판(10); 상기 고정 연결판(10)의 저면 일단에 상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으로는 일정 높이로 장공의 축가이드홀(21)을 형성하는 고정관(20); 상기 고정관(20)의 하부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관(20)의 축가이드홀(21)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 핀(31)이 축고정되고, 하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 핀(3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축홀(32)을 형성하는 승강 이동관(30); 양측의 선단은 힌지축(1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후단에는 일정면적의 해제용 발판(4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해제 레버(40); 일단은 상기 해제 레버(40)의 상기 힌지축(11) 하부의 판면에 링크결합되면서 상기 고정관(2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승강 핀(31)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잠금용 발판(51)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 이동관(40)을 일정 높이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잠금 레버(50); 상기 승강 이동관(30)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더(61)의 하단부가 이탈 방지되게 삽입고정된 착지구(62)가 상기 승강 핀(31)과 상기 고정 핀(33)과의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스프링(63)에 의해 일정 높이를 탄력적으로 승강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60)를 구비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Floor Lock for cart}
본 발명은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차에 화물을 싣거나 실린 화물을 하차시키는 과정에서 지면과의 안전한 착지와 안정된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화물 운송이 가능토록 자동으로 높이 조절과 완충 기능을 갖는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의 저면에는 대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캐스터와 함께 유동이 방지되도록 대차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플로어락(Floor Lock)이라 하는 바닥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대차의 바닥 고정장치는 대차에 짐을 싣거나 대차로부터 짐을 내리고자 할 때 대차에 구비한 캐스터에 의해서 대차가 유동하지 않도록 일정 높이로 대차를 들어올려 대차가 바닥으로부터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비교적 가벼운 짐을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대차에는 캐스터에 락장치를 동시에 구비하여 이동시에는 락장치를 해제시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정지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동 조작에 의해 락장치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적용한다.
하지만 운반해야 할 짐의 중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캐스터의 락장치만으로는 고정이 불가능하므로 케스터의 일측으로 대차의 바닥 고정장치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에 대해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 특허공개 제2010-0072443호(2010.07.01.명칭:대차용 바닥 고정장치)를 통해서 소개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 기술에서는 대차에 짐을 싣거나 캐스터를 이용해서 일정 위치로 이동한 후 짐을 내리고자 할 때 바닥 고정장치의 고정레버를 발로 누르게 되면 지주내관이 일정 높이를 하강하면서 고정판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고정판이 더이상 하강할 수 없으므로 대차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리게 된다.
고정레버를 더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는 순간까지 밟게 되면 고정레버는 하강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이와 반대로 해지레버는 상승하게 되며, 대차와 함께 캐스터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결국 대차가 고정판에 의해서 안전하게 지지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대차 저면에 구비되는 캐스터와 인접하는 위치에 종래 기술의 바닥 고정장치를 구비하게 되면 대차를 이동시에는 캐스터를 이용하고, 대차에 짐을 싣거나 내릴 때에는 바닥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대차가 안정되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바닥 고정장치는 고정판이 하향 이동하는 높이가 모두 같은데 반해 고정판이 안치되는 지면 상태는 고르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지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어느 지면에서는 고정판이 안정되게 착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일부에서는 고정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대차가 불안전하게 고정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공개 제2010-0072443호(2010.07.01.)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지판이 고정되는 승강 이동관이 일정 높이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착지면 상태가 고르지 않더라도 착지판이 균일하게 지면에 착지되면서 대차를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캐스터의 일측에서 대차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 연결판; 상기 고정 연결판의 저면 일단에 상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으로는 일정 높이로 장공의 축가이드홀을 형성하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하부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관의 축가이드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축가이드홀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 핀이 축고정되고, 하부의 양측면에는 일정 높이로 장공형의 축홀을 형성하면서 축홀의 하단부간으로는 고정 핀이 관통하여 상기 고정 핀의 일단은 상기 고정 연결판과 인장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승강 이동관; 양측의 선단은 상기 고정 연결판의 저면 일측에 부착되도록 한 양측의 브라켓트간을 연결한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후단은 상기 고정관을 지나 연장되게 하여 일정면적의 해제용 발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해제 레버; 일단은 상기 해제 레버의 상기 힌지축 하부의 판면에 링크결합되면서 중간의 판면은 상기 고정관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승강 핀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잠금용 발판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 이동관을 일정 높이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잠금 레버; 상기 승강 이동관(30)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 핀과 상기 고정 핀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지면과는 항상 밀착되도록 하여 안정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를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상기 홀더는 상부를 수평 관통하는 상기 고정 핀에 의해 상기 승강 이동관에 형성한 축홀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 이동한다.
상기 고정관은 양측면 하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핀이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관통되면서 일정 높이로 상기 고정 핀의 직경보다는 큰 폭으로서 상향 절개되도록 핀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승강 이동관의 하단부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승강 이동관을 관통하는 고정 핀이 상부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하는 홀더; 상기 홀더의 하단부가 이탈 방지되게 상부에 삽입되고, 일정 직경과 높이로 구비되는 착지구; 상기 승강 이동관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 핀과 상기 고정 핀과의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홀더가 일정 높이를 탄력적으로 승강하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착지구는 탄성을 갖는 우레탄 또는 경질의 고무로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 이동관을 최대한 하강시킨 상태의 상기 고정 연결판으로부터 상기 높이 조절부의 착지구 바닥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고정 연결판과 지면까지의 높이보다는 일정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에 의해서 비록 불규칙한 지면에서 화물을 상하차하게 되더라도 각 착지구가 지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어느 한 쪽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게 함으로써 안정된 화물의 하차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높이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용이한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잠금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잠금 작동 시 착지구가 지면에 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에 의한 높이 조절부의 작동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 연결판(10)과 고정관(20)과 승강 이동관(30)과 해제 레버(40)와 잠금 레버(50) 및 높이조절부(6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고정 연결판(10)과 고정관(20) 및 승강 이동관(30)과 해제 레버(40) 및 잠금 레버(50)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구성과도 유사하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고정 연결판(10)은 대차의 저면에서 대차의 이동을 위해 저면 모서리에 구비하는 복수의 캐스터의 일측에서 대차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평판의 구성이다.
고정 연결판(10)은 대차에 용접 또는 볼팅 체결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며, 이 고정 연결판(10)의 저면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고정관(20)이다.
고정관(20)은 내부가 빈 일정 길이로서 구비되는 수직의 관형상이며, 고정관(20)의 상단이 고정 연결판(10)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게 하고, 서로 대응하는 외주면에는 일정 높이로 장공의 축가이드홀(21)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고정관(20)은 원통형이 될 수도 있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정관(20)에는 외경이 고정관(20)의 내경보다는 작게 축소되게 하여 상기 고정관(20)의 내부를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관(30)이 삽입되도록 한다.
승강 이동관(30)은 고정관(20)과 단면 사이즈는 축소되도록 하지만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고정관(20)의 축가이드홀(21)을 형성한 면과 동일한 양측면의 상부에는 승강 핀(31)이 수평 관통되면서 승강 핀(31)의 양단부는 고정관(20)의 축가이드홀(21)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승강 이동관(30)의 승강 핀(31)이 관통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하부의 양측면에는 일정 높이의 장공 형상으로 축홀(32)을 형성한다.
장공의 축홀(32)에는 고정 핀(33)이 수평 관통되며, 일측의 축홀(32)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일단에는 인장 스프링(34)의 하단이 연결되고, 고정 핀(33)에 연결되는 인장 스프링(34)의 연결부에 수직으로 고정 연결판(10)에는 인장 스프링(34)의 상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 핀(33)이 축결합되는 승강 이동관(30)은 인장 스프링(34)에 의해서 고정관(20)으로부터 상향 이동 탄성을 갖는다.
결국 승강 이동관(30)에는 상부에 승강 핀(31)이 하부에는 승강 핀(3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 핀(33)을 축고정되게 한다.
고정 연결판(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관(20)에 대응하는 타측에는 힌지축(11)이 양측의 브라켓트(12)에 의해서 축고정되고, 이 힌지축(11)에는 해제 레버(4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해제 레버(40)는 힌지축(11)에 축지지되는 일단의 하부로 힌지축(11)과 평행하게 링크축(41)을 축고정되게 하고, 타단은 고정관(20)의 일측면을 지나 타측으로 고정 연결판(10)의 판면을 벗어나도록 연장되게 하면서 이러한 연장단부에는 일정면적으로 해제용 발판(4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해제 레버(40)의 힌지축(11)과 링크축(41)이 각각 축지지되는 일단부는 2단 절곡의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양측 단면간으로 각각 힌지축(11)과 링크축(41)이 평행하게 축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해제 레버(40)는 작동 전 채널 형상의 일단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해제 레버(40)에 대해서 잠금 레버(50)는 반대로 승강 작동되도록 한다.
잠금 레버(50)는 일단이 해제 레버(40)에 축지지되는 링크축(41)에 축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고정관(20)의 축가이드홀(21)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한 승강 핀(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잠금 레버(50)의 링크축(41)에 축결합되는 일단과 대응되는 타단은 해제 레버(40)와 마찬가지로 고정 연결판(10)의 판면을 벗어나게 연장되도록 하면서 그 연장단부에는 잠금용 발판(51)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잠금 레버(50)를 작동시키기 전에 링크축(41)은 승강 핀(31)보다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잠금 레버(50)는 해제 레버(40)와는 반대로 상향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해 해제 레버(40)는 일단이 고정 연결판(10)과 힌지축(11)에 의해 축지지되고, 잠금 레버(50)는 해제 레버(40)에 링크축(41)에 의해 축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해제 레버(40)와 잠금 레버(5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 이동관(30)에는 하부로 자중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부(60)가 구비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높이 조절부(60)는 다시 홀더(61)와 착지구(62) 및 압축 스프링(6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이중 홀더(61)는 상부가 승강 이동관(30)의 하단부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승강 이동관(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특히 홀더(61)의 상부에는 승강 핀(41)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승강 이동관(30)의 축홀(32)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하는 고정 핀(33)이 축고정되도록 한다.
홀더(61) 상부의 고정 핀(33)은 승강 이동관(30)의 축홀(32)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축고정된다.
홀더(61)의 하단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수평 절곡시켜 일정 폭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승강 이동관(30)의 하단부에 걸려져 완전 삽입이 되지 않도록 한다.
착지구(62)는 홀더(61)의 하단부가 상부면 중앙에 인서트 삽입되어 이탈 방지되게 결합되도록 하면서 지면과의 안정된 착지를 위하여 충분한 면적의 착지면을 갖도록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착지구(62)는 지면에의 착지 시 충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서 구비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압축 스프링(63)은 승강 이동관(30)의 내부에서 홀더(31)의 상부에 축고정한 고정 핀(33)과 승강 이동관(30) 상부에 축고정한 승강 핀(31) 사이에서 일정 탄성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홀더(31)와 함께 착지구(62)를 밀어 고정 핀(33)을 승강 이동관(30)의 축홀(32) 하단부로 위치되도록 한다.
즉 압축 스프링(63)은 착지구(62)를 탄력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하중에 의해 착지구(62)가 지면과 항상 접촉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특히, 승강 이동관(30)을 최대한 하강시킨 상태에서의 고정 연결판(10)으로부터 높이 조절부(60)의 착지구(62) 바닥면까지의 높이는 고정 연결판(10)과 지면까지의 높이보다는 일정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차용 캐스터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통상 승강 이동관(30)이 고정관(20)에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의 고정 연결판(10)과 착지구(62) 까지의 높이는 캐스터의 높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어 대차를 이동 시에는 착지구(62)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된 상태에서 캐스터의 구름 회전에 의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대차에 화물을 싣고자 하거나 실린 화물을 하차하고자 할 때에는 대차가 유동되지 않도록 해야 안전한 화물 승하차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화물 승하차의 안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닥 고정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는 종래 기술에서의 조작 방식과 동일하게 조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바닥 고정장치는 캐스터와 마찬가지로 대차의 각 모서리에 고정 연결판(10)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의 잠금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때 잠금 레버(50)의 잠금용 발판(51)은 상측에 구비되고, 해제 레버(40)의 해제용 발판(42)은 하측에 구비되어 있게 되며, 승강 이동관(30)과 함께 높이 조절부(60)는 인장 스프링(34)의 장력에 의해 최대한 고정관(20)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대차에 화물을 싣고자 하거나 실린 화물을 내리고자 할 때에는 대차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바닥 고정장치는 대차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므로 각 바닥 고정장치를 하나씩 차례대로 작동시켜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 중 상측에 위치되는 잠금용 발판(51)을 발로 일정 압력에 의해 누르게 되면 잠금 레버(50)의 잠금용 발판(51)이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잠금 레버(50)의 일단과 링크축(41)에 의해 결합된 해제 레버(40)의 해제용 발판(42)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된다.
잠금 레버(50)과 해제 레버(40)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게 되면 잠금 레버(50)에 의해서는 승강 이동관(30)의 상부에 축고정된 승강 핀(31)을 동시에 고정관(20)의 축가이드홀(21)을 따라 하향 이동되게 하므로서 승강 이동관(30)의 승강 핀(31)과 높이 조절부(60)의 고정 핀(33)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스프링(63)을 통해 승강 이동관(30)과 함께 홀더(61) 및 착지구(62)가 동시에 일정 높이를 하향 이동하면서 고정관(20)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인출된다.
즉, 잠금 레버(50)의 잠금용 발판(51)을 발로 밟으면서 누르게 되면 잠금 레버(50)는 일단의 링크 축(41)을 축으로 일정 각도를 하향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잠금 레버(50)에 연결된 승강 핀(31)에 의해서 승강 이동관(30)을 일정 높이로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승강 이동관(30)이 하향 이동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승강 이동관(30)에 고정 핀(33)으로 연결된 높이 조절부(60)의 착지구(62)가 지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고, 승강 이동관(30)을 좀더 하향 이동시켜 힌지축(11)과 승강 핀(31)간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선보다 링크축(41)이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순간 인장 스프링(34)에 의해 승강 핀(31)이 고정관(20)의 축가이드홀(21) 하단부에까지 밀려내려가게 되므로 이 상태가 승강 핀(31)을 축고정한 승강 이동관(30)이 최대한 하강한 상태가 된다.
다만 승강 이동관(30)이 일정 높이를 하강하는 과정에서 이미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에서 일측으로 구비되는 캐스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들려지게 되므로 이때부터는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대차의 각 모서리에 설치한 바닥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각 바닥 고정장치의 착지구(62)가 지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다만 각 착지구(62)가 착지하는 지면의 상태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대차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각 바닥 고정장치의 압축 스프링(63)에 가해지게 되는 압축 탄성이 각기 다르게 작용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에 의한 잠금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60)의 착지구(62)가 지면에 착지되더라도 승강 이동관(30)은 더욱 하강하게 되면서 높이 조절부(60)는 더이상 하강할 수가 없으므로 상부의 압축 스프링(63)을 일정 높이만큼 압축시키면서 승강 이동관(30)의 내부로 홀더(61)가 일정 높이 상향 삽입된다.
다시 말해 승강 이동관(30)을 최대한 하강시킨 상태의 대차와 착지구(62)의 높이는 대차와 지면과의 높이보다는 더 높게 형성되므로 승강 이동관(30)이 하강하는 과정에 이미 착지구(62)는 지면에 닿게 되고, 착지구(62)가 더이상 하강할 수가 없게 되므로 결국 높이 조절부(60)는 정지된 상태에서 승강 이동관(30)이 하강하는 높이만큼 압축 스프링(63)을 압축시키며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이동관(30)은 정해진 높이를 하강하게 되지만 승강 이동관(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높이 조절부(60)는 일정 높이를 하강한 상태에서 지면과 밀착되어 하강할 수가 없게 되므로 이때부터는 승강 이동관(30)만이 압축 스프링(63)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승강 이동관(30)으로 높이 조절부(60)의 홀더(61)가 상승하면서 삽입되는 형상으로 보여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가 위치되는 지면이 항상 균일하지는 못하므로 대차의 저면과 지면과의 높이가 불균일하게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승강 이동관(30)이 하강하면서 지면의 높이가 고르지 못하게 되면 높이 조절부(60)의 착지구(62)가 지면에 착지되는 시점에 차이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 높이 조절부(60)의 착지구(62)가 지면에 착지되는 시점에서의 승강 이동관(30)의 하강 높이가 달라지게 될 뿐 결국 착지구(62)를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에서 승강 이동관(30)은 정해진 높이만큼 하강하면서 압축 스프링(63)을 압축시키는 높이가 다르게 구현될 뿐이다.
결국 불균일한 지면으로 대차의 각 바닥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대차와 지면과의 높이차에 따라 압축 스프링(63)의 압축 강도가 달라지게 될 뿐 착지구(62)는 항상 지면에 안전하게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착지구(62)를 지면에 균일하게 착지시킨 상태에서 화물을 대차로부터 안전하게 승하차시킨 후 다시 대차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부에 위치되는 해제 레버(40)를 반대로 밟게 되면 힌지축(11)과 승강 핀(31)간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링크축(41)이 하부에 위치되는 순간 인장 스프링(34)에 의해 순간적으로 해제 레버(41)의 해제용 발판(42)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잠금용 발판(51)은 상부로 이동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가 해제 상태가 되면서 승강 이동관(30)이 일정 높이를 상승하게 될 때 그 일측에 구비되어 있던 캐스터가 지면에 접촉되어 캐스터에 의해 대차가 지지되는 상태가 되며, 대차의 각 캐스터가 지면에 닿게 되면 캐스터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바닥 고정장치는 지면 상태가 고르지 않더라고 착지구(62)가 자동으로 안정되게 착지되도록 함으로써 대차로부터 화물을 승하차시키는 작업을 하면서 대차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떠한 장소에서도 대차의 안정된 고정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되므로 안전한 화물 승하차 작업과 함께 작업자의 안전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인장 스프링(34)과 압축 스프링(63)을 상호 간섭받지 않도록 하면서 비교적 결합이 난해한 인장 스프링(34)은 외부에서 연결되게 하고, 압축 스프링(63)은 고정관(20)의 내부로 단순히 삽입되게만 하면 되므로 조립 작업성이 매우 용이하지게 되며, 이와 함께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수동 조절이 필요치 않게 되어 높이 조절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10 : 고정 연결판 11 : 힌지축
20 : 고정관 21 : 축가이드홀
30 : 승강 이동관 31 : 승강 핀
32 : 축홀 33 : 고정 핀
40 : 해제 레버 50 : 잠금 레버
60 : 높이 조절부 61 : 홀더
62 : 착지구 63 : 압축 스프링

Claims (6)

  1. 캐스터의 일측에서 대차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 연결판(10);
    상기 고정 연결판(10)의 저면 일단에 상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양측면으로는 일정 높이로 장공의 축가이드홀(21)을 형성하는 수직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관(20);
    상기 고정관(20)의 하부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관(20)의 축가이드홀(21)을 동시에 관통하여 축가이드홀(21)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 핀(31)이 축고정되고, 하부의 양측면에는 일정 높이로 장공형의 축홀(32)을 형성하면서 축홀(32)의 하단부간으로는 고정 핀(33)이 관통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 핀(33)의 외부로 인출된 일단에는 상기 고정 연결판(10)과 인장 스프링(34)에 의해서 연결되는 승강 이동관(30);
    선단측 양측면은 상기 고정 연결판(10)의 저면 일측에 부착되도록 한 양측의 브라켓트(12)에 힌지축(11)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고정관(20)의 일측을 지나 연장되게 하여 일정면적의 해제용 발판(4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해제 레버(40);
    상기 해제 레버(40)의 상기 힌지축(11)이 축고정되는 일단측 판면 하부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판면의 일단이 링크결합되면서 양측의 판면은 상기 고정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승강 핀(31)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양측의 판면을 일체로 연결한 잠금용 발판(51)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 이동관(30)을 일정 높이로 하강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 레버(50);
    상기 승강 이동관(30)과 함께 승강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핀(31)과 상기 고정 핀(33)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스프링(63)에 의해서 착지구(62)에 하단부가 매설되는 홀더(61)의 상부를 수평 관통하는 고정 핀(33)이 상기 승강 이동관(30)에 형성한 축홀(32)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 이동하면서 상기 착지구(62)가 지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20)은 양측면 하단부가 상기 고정 핀(33)이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핀(33)의 직경보다는 큰 폭으로서 하향 개방되게 상향 절개되도록 핀 가이드홀을 형성하는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60)는
    상기 승강 이동관(30)의 하단부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부에는 상기 승강 이동관(30)을 동시에 고정 핀(33)이 관통하도록 하는 홀더(61);
    상기 홀더(61)의 하단부가 이탈 방지되게 상부에 삽입되고, 일정 직경과 높이로 구비되는 착지구(62);
    상기 승강 이동관(30)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 핀(31)과 상기 고정 핀(33)과의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홀더(61)가 일정 높이를 탄력적으로 승강하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63);
    으로 이루어지는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착지구(62)는 탄성을 갖는 우레탄 또는 경질의 고무로 구비되도록 하는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 이동관(30)을 최대한 하강시킨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 연결판(10)으로부터 상기 높이 조절부(60)의 착지구(62) 바닥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고정 연결판(10)과 지면까지의 높이보다는 일정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KR1020130083386A 2013-07-16 2013-07-16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KR10151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86A KR101515221B1 (ko) 2013-07-16 2013-07-16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86A KR101515221B1 (ko) 2013-07-16 2013-07-16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213A KR20150009213A (ko) 2015-01-26
KR101515221B1 true KR101515221B1 (ko) 2015-04-24

Family

ID=5257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386A KR101515221B1 (ko) 2013-07-16 2013-07-16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867B1 (ko) * 2023-04-21 2023-09-27 (주)케이알에스 부품 리프트 운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5000B (zh) * 2017-04-28 2022-05-03 通用电气公司 可移动患者床
CN108715182B (zh) * 2018-05-31 2024-02-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底座锁刹机构
CN111169522B (zh) * 2020-03-04 2024-03-22 江苏北人智能制造科技股份有限公司 料车定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62Y1 (ko) 2000-09-01 2001-04-16 유수남 바닥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62Y1 (ko) 2000-09-01 2001-04-16 유수남 바닥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867B1 (ko) * 2023-04-21 2023-09-27 (주)케이알에스 부품 리프트 운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213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369B2 (ja) 組合せ簡易ベッドの積込み及び締結システム
KR101515221B1 (ko) 대차용 바닥 고정장치
KR101426072B1 (ko) 이송대차
JP4978371B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4314497B2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US279207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20060239805A1 (en) Locking apparatus of truck with hoist
KR20180109923A (ko) 승강 장치
JP4778280B2 (ja) 可搬型消防ポンプの昇降積み降し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20190002577A (ko) 팔레트 트럭 카트 운반 디바이스
KR20160092223A (ko) 리프트 장치
US7636961B1 (en) Transport cot lift device
KR101916035B1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KR101324543B1 (ko)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US20060182567A1 (en) Glass loading rack
JP6336366B2 (ja) 積荷移動台車
JP2019042159A (ja) 避難装置
KR20180007882A (ko) 다용도의 이동 구조물용 래치타입의 착지장치
KR200478007Y1 (ko) 대차의 고정 장치
JP6234831B2 (ja) 昇降ローラー付運搬用台車
KR101217859B1 (ko) 전동식 이동 작업대
JP2010215119A (ja) 作業用昇降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ンクローリ並びにコンテナ
KR20240043715A (ko) 화물 취급 트롤리
KR200478006Y1 (ko) 대차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