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715A - 화물 취급 트롤리 - Google Patents

화물 취급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715A
KR20240043715A KR1020230129781A KR20230129781A KR20240043715A KR 20240043715 A KR20240043715 A KR 20240043715A KR 1020230129781 A KR1020230129781 A KR 1020230129781A KR 20230129781 A KR20230129781 A KR 20230129781A KR 20240043715 A KR20240043715 A KR 2024004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rank
trolley
load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스 조쉬
Original Assignee
졸로다 하이드라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졸로다 하이드라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졸로다 하이드라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9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of the single-tra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43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the wheels remaining stationary while the supporting surface is lif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화물 취급 트롤리가 설명된다. 화물 취급 트롤리는 화물 아래에 배치하기 위한 세장형 본체를 포함하고, 세장형 본체는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화물 받침 상부, 및 본체에 대해 화물 받침 상부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세장형 본체 내에 장착된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은 크랭크 구동식 체인 구동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취급 트롤리{Load Handling Trolley}
본 발명은 적재된 팔레트(pallete)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시설 및 트럭(lorry)의 바닥 채널에 탑재(run-in)하는 유형의 화물 취급 트롤리('스케이트'라고도 함)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나 유사한 운송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종종 불편하거나 비실용적이다(또한 특정 교육을 받은 사람이 필요한 경우도 많음). 대안으로, 공장, 창고 및 트럭과 같은 차량에는 바닥에 화물 취급 트롤리가 운행될 수 있는 한 쌍의 트랙 또는 채널이 있다. 이러한 화물 취급 트롤리는 비교적 컴팩트하며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랙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 또는 휠이 있으며, 화물을 바닥으로부터 상승시켜 자유롭게 구르며 화물이 목적지에 도달하면 내릴 수 있도록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내린 후에는 화물 취급 트롤리를 제거할 수 있다.
화물 취급 트롤리는 단일형이거나 쌍을 이룰 수 있다. 쌍인 경우, 트롤리는 함께 결합되거나 쌍으로 작동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물 취급 트롤리의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은 크랭크 기반 구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크랭크 기반 구성에서 핸들을 작동하고, 해당 핸들을 사용하여 크랭크 기반 메커니즘을 피봇시켜 바닥에서 화물을 올리거나 내린다.
화물을 내리는 경우, 핸들을 잡고 있는 작업자는 트롤리와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 설계로 작용하는 화물로 인한 힘을 느낄 것이다. 이 힘을 "반동(kick-back)" 또는 "백래시(backlash)"라고 한다. 반동은 힘을 극복 및/또는 수용하기 위해 작업자에게 중요한 강도 요건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작업자가 부상을 입거나 피로해질 위험이 있다.
부상 위험을 최소화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화물 취급 트롤리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왔다. 이들 중 일부는 리프팅을 위해 유압 장치, 에어백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복잡성과 비용을 증가시킨다. 종종 이러한 설계에는 리프팅 구성 요소를 위한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높이 위로 돌출된 본체가 형성된다. 이는 트롤리가 화물 아래로 통과할 수 없으며, 특정 물류 작업을 실행하려면 수동으로 채널 안팎으로 들어 올려야 함을 의미한다. 이들의 무게로 인해, 이러한 방식으로 트롤리를 수동으로 취급하면 작업자가 부상을 입거나 피로해질 위험이 더 커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화물 아래에 배치하기 위한 세장형 본체로서,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화물 받침 상부를 갖는 세장형 본체; 및
화물 받침 상부를 본체에 대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본체 내에 장착된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 어셈블리로서, 크랭크 구동식 체인 구동 연결부를 갖는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화물 취급 트롤리를 제공한다.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크랭크의 피봇을 중심으로 스프로켓이 있는 크랭크; 및
제거 가능한 핸들을 수용하고 결합하기 위한 연결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며,
스프로켓은 체인 구동부의 대응 체인과 지속적으로 맞물리고, 연결 구멍의 핸들을 통해 크랭크가 작동될 때 체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구멍은 트롤리를 당기거나 밀고 크랭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핸들을 소정 위치에 유지하여 핸들을 잠그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체인 구동부는 크랭크의 대응 이중 스프로켓에 맞물리는 이중 체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화물로부터 분리될 때 화물 취급 트롤리의 본체 내에 유리하게는 완전히 수용되는 크랭크 구동식 체인 구동부를 이용한다. 제거 가능한 핸들을 트롤리에 연결하여 크랭크를 작동한 다음, 필요하지 않을 때(또는 예를 들어 트롤리를 화물 아래로 굴려야 하는 경우) 제거할 수 있다. 체인 구동 연결부는 지속적으로 맞물려 작동과 관련된 반동 및 기타 힘을 유리하게 최소화한다.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바닥 채널에서 움직이는 유형의 화물 취급 트롤리용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을 제공하려고 한다. 체인 구동부는 본체(트롤리 프레임)의 크기를 줄여 바닥 수준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므로, 트롤리는 화물 아래를 통과할 수 있어(화물을 내리고 화물로부터 분리될 때) 트롤리의 수동 취급 필요량을 줄일 수 있다.
체인 구동 연결부는 또한 크랭크와 본체 사이의 일정한 맞물림으로 인해 작동과 관련된 반동의 양을 유리하게 최소화한다. 다른 알려진 설계는 크랭크와 본체 사이에 일정한 맞물림이 없는 연결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과도한 반동을 일으킬 수 있는 연결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롤리는 제거 가능하지만 트롤리와 맞물려 유지되는 잠금 구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한다. 잠금, 맞물림 및 유지 구성에 있을 때, 핸들을 사용하여 트롤리를 밀거나 당길뿐만 아니라 크랭크를 작동할 수 있다. 이것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핸들은 유리하게 잠금 해제되고 분리되어 트롤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트롤리로부터 돌출된 영구 당김 너브(nub)가 제공되지만, 트롤리가 화물 아래를 통과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기존 설계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기존 화물 취급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물 취급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의 분해도이다.
도 4, 5 및 6은 사용 중인 도 3의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물 취급 트롤리의 추가적인 양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의 구성요소의 추가 선택적인 양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물 취급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의 분해도이다.
화물 취급 트롤리(10)는 화물 아래에 배치하기 위한 세장형(elongate) 본체(20), 화물 받침 상부(30), 및 화물 받침 상부를 본체에 대해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 화물 받침 상부에 있는 화물을 본체에 대해 올리고 내리기 위해 본체 내에 장착된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40)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은 크랭크 구동식 체인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며, 그 예가 도 3에 더 자세히 예시되어 있다. 화물 취급 트롤리의 하면에는 트롤리와 그 화물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휠(도시되지 않음) 또는 이와 유사한 휠이 포함되어 있다.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40)은 피봇 주위에 스프로켓(들)(56)이 중심에 있는 크랭크(50)와 제거 가능한 핸들(도 8에 도시됨)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구멍(55)을 포함하는 체인 구동부를 갖는다. 스프로켓(56)은 대응하는 체인(60)과 맞물린다.
도 3의 실시형태는 이중 스프로켓 및 체인 구성을 도시하지만, 단일 스프로켓/체인 또는 더 많은 수의 스프로켓 및 대응 체인 연결부가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강조하고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60)과 스프로켓(56)은 항상 맞물리며, 이는 반동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크랭크가 작동되고(피봇을 중심으로 크랭크를 돌리는 핸들에 의해) 스프로켓(65)이 체인(6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86)는 또한 체인(60)을 향해 당겨지며, 체인(60)은 차례로 리프트(80)의 리프트 롤러(87)를 프레임(70)의 램프 섹션(75) 위로 당긴다. 이는 프레임 마운트(80)를 상승시켜 화물 받침 상부(30)를 본체(20)에 대해 상승시킨다. 이 작업은 도 4 내지 6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화물 정지부(85)의 선택적 특징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크랭크(50)를 향한 로드의 이동을 억제한다. 화물 정지부(8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의 작동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 특징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 5 및 6은 사용 중인 도 3의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의 단면도이다.
화물 취급 트롤리(10)가 정지 위치에서 탑재(run-in) 바닥 채널 내부로 배치되면 화물 정지부(85)만이 바닥 위로 돌출되며, 모든 연결 메커니즘은 프레임 내에 포함된다. 크랭크 피봇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시작 부분에 위치한다.
연결 구멍(55)에는 핸들(미도시)이 배치되어 피봇을 중심으로 크랭크(50)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도 5 및 6은 크랭크 스프로켓(들)(56)이 체인(60)을 자신 주위로 감싸기 시작할 때 크랭크 피봇이 연결 플레이트의 슬롯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리프트 롤러(87)는 또한 프레임(70)의 램프 섹션(75) 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화물 받침 상부(30)는 연결 지점(81/82)에서 리프트(80)에 연결된다. 리프트 롤러가 램프 섹션(75) 위로 이동함에 따라, 리프트(80)와 화물 받침 상부(30)의 연결은 거리(A)를 증가시켜 화물 받침 상부를 상승시킨다.
도 6에 도시된 최종 위치는, 트롤리가 상승 위치에 있고, 리프트 롤러가 리프트 프로파일의 시트에 안착되고, 그리고 크랭크 피봇이 연결 플레이트의 슬롯 단부에 있을 때이다. 이 위치에서는 작업자가 화물을 이동할 수 있다(트롤리는 일반적으로 이동을 돕기 위해 휠이 있거나 롤러에 장착되어 있음).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물 취급 트롤리의 추가 양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는 화물 받침 상부(30)는 그 길이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커넥터(90)를 갖는다. 리프트(80)가 램프 섹션(75) 위로 당겨지고, 연결부(86)가 체인(6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화물 받침 상부(30)도 체인 및 크랭크 단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당겨진다. 화물 받침 상부(30)가 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커넥터(90)는 대응하는 롤러(110)에 대해 지탱되고, 커넥터(90)의 경사진 프로파일은 화물 받침 상부(30)를 상향으로 밀어서, 크랭크 작동 중에 전체 길이를 따라 화물 받침 상부(30)를 지지하고 상응하게 상승시킨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의 추가 선택적인 양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크랭크(50)의 바람직한 양태를 도시한다. 이전에 설명된 실시형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 실시형태에서, 연결 구멍(55)은 핸들(200) 상의 대응 결합부(210)와 결합하고 유지하는 잠금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핸들은 잠금 부분과 함께 제1 방향으로 삽입된 다음, 구멍(55)에서 90도 회전하여 핸들을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일단 잠기고 유지되면, 핸들은 크랭크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트롤리(10)를 밀거나 당기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200)은 결합 구멍(55)에 대해 비대칭인 프로파일 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결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핸들이 삽입될 때, 연결 구멍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핸들이 연결 구멍 내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까지 회전할 때, 결합 부분은 연결 구멍의 프로파일과의 정렬에서 벗어나 핸들을 소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크랭크 동작은 트롤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데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중에 사용자가 실수로 트롤리를 다시 아래로 내리는 것을 중단하기 위해, 롤러가 올라가는 램프에는 롤러가 떨어지고 롤러를 유지할 수 있는 작은 새들(saddle)이 있다. 작업 시,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핸들 하나를 잡고 트롤리를 올리고 내리면서 팔레트의 움직임을 제동한다. 당길 때, 당기는 힘이 일반적으로 이미 크랭크 작동된 핸들 방향으로 적용되므로, 당김 핸들과 램프 새들의 '하향 각도(down angle)'가 화물을 계속 올려준다. 밀 때,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핸들을 사용하는 대신 화물을 민다. 이동 중 크랭크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메커니즘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캐치(catch), 스프링 로딩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핸들을 소정의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트롤리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핸들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잠금 장치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정규 원형 단면 핸들 또는 크랭크 작동을 위한 다른 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 표시된 부분, 요소 및 특징을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두 개 이상의 부분, 요소 또는 특징의 임의 또는 모든 조합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등가물을 갖는 특정 정수가 본 명세서에 언급되며, 그러한 공지된 등가물은 마치 개별적으로 제시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아래 청구범위의 인용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 및 그의 등가물을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10: 트롤리 20: 본체
30: 화물 받침 상부 40: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
50: 크랭크 55: 연결 구멍
56, 65: 스프로켓 60: 체인
70: 프레임 75: 램프 섹션
80: 프레임 마운트 81, 82: 연결 지점
85: 정지부 86: 연결부
87: 리프트 롤러 90: 커넥터
110: 롤러 200: 핸들
210: 결합부

Claims (6)

  1. 화물 아래에 배치하기 위한 세장형 본체로서,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화물 받침 상부를 갖는 세장형 본체; 및
    상기 화물 받침 상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상기 세장형 본체 내에 장착된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이 크랭크 구동식 체인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화물 취급 트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작동 메커니즘은,
    크랭크의 피봇을 중심으로 스프로켓이 있는 크랭크; 및
    제거 가능한 핸들을 수용하고 결합하기 위한 연결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프로켓은 체인 구동부의 대응 체인과 지속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연결 구멍의 핸들을 통해 상기 크랭크가 작동될 때 상기 체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트롤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멍은 상기 핸들을 잠그고, 트롤리를 당기고 및/또는 밀고 뿐만 아니라 상기 크랭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을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잠금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트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핸들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 구멍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트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이 삽입될 때, 상기 연결 구멍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까지 회전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 구멍의 프로파일과의 정렬에서 벗어나 상기 핸들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트롤리.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구동부는 상기 크랭크의 대응 이중 스프로켓에 맞물리는 이중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트롤리.
KR1020230129781A 2022-09-27 2023-09-26 화물 취급 트롤리 KR20240043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2214141.0A GB202214141D0 (en) 2022-09-27 2022-09-27 Load handling apparatus
GB2214141.0 2022-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715A true KR20240043715A (ko) 2024-04-03

Family

ID=8397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781A KR20240043715A (ko) 2022-09-27 2023-09-26 화물 취급 트롤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48385A (ko)
KR (1) KR20240043715A (ko)
GB (1) GB202214141D0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48385A (ja) 2024-04-08
GB202214141D0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936B1 (ko) 조합형 침대 적재 및 고정 시스템
US9114966B2 (en) Commercial lifting device-jack stand
US11661269B2 (en) Vehicle transport structures
US9926179B2 (en) Commercial lifting device-power unit with safety mechanism
US6158947A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JP2538827Y2 (ja) 荷役搬送用昇降機
KR20240043715A (ko) 화물 취급 트롤리
JP2019111996A (ja) ローダ
AU2012231771A1 (en) System and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EP2701945A1 (en) System and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US9033313B2 (en) Hand operated jacks for lifting file cabinets
US9527704B2 (en) Rack for transporting jack stands
US9522814B2 (en) Commercial lifting device-power unit with bridge latching mechanism
US9522813B2 (en) Commercial lifting device-power unit with slide forward bridge
US9522815B2 (en) Commercial lifting device-power unit with leveling pads
WO2018115607A1 (fr) Grue de levag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levage à double mouflage
GB2616498A (en) A cycle for carrying cargo
WO2023170432A1 (en) A cycle for carrying cargo
AU2013100135B4 (en) Ejector assembly in a system and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GB2377688A (en) Lifting platform
JP2002347504A (ja) 積荷昇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