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564B1 -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564B1
KR101514564B1 KR1020130136072A KR20130136072A KR101514564B1 KR 101514564 B1 KR101514564 B1 KR 101514564B1 KR 1020130136072 A KR1020130136072 A KR 1020130136072A KR 20130136072 A KR20130136072 A KR 20130136072A KR 101514564 B1 KR101514564 B1 KR 101514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iron
temperature
reference temperature
charcoal
chrom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민오
임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3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005Manufacture of 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81Treating and handling under 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은 유도용해로에서 용해된 제1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1 용선을 출선하는 단계; 고로에서 출선된 제2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제2 용선은 상기 제1 용선보다 융점이 낮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음-; 상기 제2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용선이 수선되어 있는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2 용선을 출선하여 상기 제1 용선과 제2 용선을 합탕하는 단계; 및 상기 장입레이들에서 합탕된 상기 제1 용선 및 제2 용선을 전로로 장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입레이들에서 고로 용선과 크롬 용선을 합탕할 때 발생하는 응고에 의한 지금 레이들 부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입레이들에서 고로 용선과 크롬 용선을 합탕할 때 발생하는 응고에 의한 지금 레이들 부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기로에서 스크랩을 용해한 후 1500℃ 이상의 고온 용선을 AOD(Argan Oxygen Decarburization)에 장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제조 원가 절감을 위하여, 고로에서 나오는 저가의 예비처리 용선을 크롬 용선과 합탕한 1300℃ 정도의 저온 용선을 전로에 장입하여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한다.
전로내 장입 횟수 단축을 위해서는, 고로 용선과 크롬 용선을 사전에 장입레이들에서 혼합한 후 전로에 장입해야 하는데, 이때, 크롬 용선의 경우 융점이 높아 저온의 고로 용선과 합탕시 온도 하락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응고가 발생하여 장입레이들 벽에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레이들 운용상 문제점이 발생하고, 지금의 성분 또한 불확실하여 전로 초기 장입성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조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장입레이들에서 고로 용선과 크롬 용선을 합탕할 때 발생하는 응고에 의한 지금 레이들 부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용해로에서 용해된 제1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1 용선을 출선하는 단계; 고로에서 출선된 제2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제2 용선은 상기 제1 용선보다 융점이 낮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음-; 상기 제2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용선이 수선되어 있는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2 용선을 출선하여 상기 제1 용선과 제2 용선을 합탕하는 단계; 및 상기 장입레이들에서 합탕된 상기 제1 용선 및 제2 용선을 전로로 장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용선은 Cr: 50~70wt%, Si: 0 초과 4wt% 이하, C: 6~9wt%,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크롬 용선일 수 있다.
상기 제2 용선은 C: 3~4wt%,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고로 용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온도는 1600℃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온도는 1300℃일 수 있다.
상기 장입레이들로 출선되는 제1 용선의 양은 상기 장입레이들로 출선되는 제2 용선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제1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용선을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용선을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용해로에서 용해된 제1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1 용선이 출선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고로에서 출선된 제2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용선이 수선되어 있는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2 용선이 출선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용선은 상기 제1 용선보다 융점이 낮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으며, 상기 제1 용선과 제2 용선은 상기 장입레이들에서 합탕되어 전로로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입레이들에서 고로 용선과 크롬 용선을 합탕할 때 발생하는 응고에 의한 지금 레이들 부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제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용선의 성분에 따른 용선온도와 용선융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크롬 용선을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보다 나중에 수선하는 방식으로 합탕하는 경우, 장입레이들 내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을 크롬 용선보다 나중에 수선하는 방식으로 합탕하는 경우, 장입레이들 내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제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은 크롬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 크롬 용선을 출선하는 단계(S120), 크롬 용선을 승온시키는 단계(S130), 고로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40), 고로 용선을 크롬 용선과 합탕하는 단계(S150), 고로 용선을 승온시키는 단계(S160), 및 장입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며, 스테인리스강 제조 장치(100)는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단계(S110)에서 제1 제어부(110)는 유도용해로에서 용해된 크롬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단계(S120)에서 크롬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장입레이들로 크롬 용선이 출선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롬 용선은 Cr: 50~70wt%, Si: 0 초과 4wt% 이하, C: 6~9wt%,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크롬 용선의 출선의 기준이 되는 제1 기준온도는 1600℃일 수 있다. 크롬 용선은 고융점의 용선으로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1600℃ 이상이 되어야 저융점의 고로 용선과 접촉하여도 바로 응고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제어부(110)는 크롬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크롬 용선이 제1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S130), 그 후 크롬 용선이 장입레이들로 출선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롬 용선은 출선 직전 온도가 1600℃ 이상의 값을 갖게 된다.
계속하여, 단계(S110) 내지 단계(S130)와 유사하게, 단계(S140)에서 제2 제어부(120)는 고로에서 출선된 고로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단계(S150)에서 고로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크롬 용선이 수용되어 있는 장입레이들로 고로 용선이 출선되도록 제어하여 크롬 용선과 고로 용선을 합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로 용선은 C: 3~4wt%,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비처리된 용선일 수 있다.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의 출선의 기준이 되는 제2 기준온도는 1300℃일 수 있다. 고로 용선은 크롬 용선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융점의 용선으로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1300℃보다 낮은 경우에는 크롬 용선과 접촉시 쉽게 크롬 용선을 응고시키기 때문이다.
이때에도, 고로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2 제어부(120)는 고로 용선이 제2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S160), 제2 기준온도 이상의 고로 용선만이 장입레이들로 출선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은 출선 직전 온도가 1300℃ 이상의 값을 갖는다.
다음으로, 단계(S170)에서는 장입레이들에서 합탕된 크롬 용선과 고로 용선을 전로로 장입하게 되고, 이어지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융점의 크롬 용선이 먼저 장입레이들로 수선되고, 그 후 저융점의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이 미리 크롬 용선이 수선되어 있는 장입레이들로 수선되게 된다.
즉,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해 장입레이들에서 크롬 용선과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을 합탕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크롬 용선을 장입레이들에 수선한 후,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을 상부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출선하는 방식으로 크롬 용선과 고로 용선을 장입레이들에서 합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입레이들로의 수선 순서에 있어서 먼저 크롬 용선을 수선하고, 이후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을 수선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대부분의 경우 크롬 용선에 비해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의 양이 많다는 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서(일례로, 18wt%Cr강 90톤의 경우, 크롬 용선 25톤과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 65톤을 혼합함), 상대적으로 양이 많은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을 상부에서 자유낙하하는 방식으로 장입레이들에 기 수선된 크롬 용선과 합탕하는 것이 더 많은 위치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더 많은 위치 에너지를 갖는 고로 용선을 기 수선된 크롬 용선에 혼합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혼합 용선의 성분이 균일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용선의 성분이 균일해져야 하는 이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분이 균일할 경우 크롬 용선과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이 합탕되더라도 이론적으로는 응고가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두 용선이 합탕되는 순간 경계면에서는 성분이 균일해지는 속도(물질이동 지배 반응)보다 온도가 균일해지는 속도(전도에 의한 이동 지배)가 더 빨라 국부적으로 응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용선의 성분이 최대한 빠르게 균일해지는 것이 응고를 막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롬 용선(10)을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20)보다 나중에 수선하는 방식으로 합탕하는 경우에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20) 안으로 크롬 용선(10)이 가라앉는 형태가 되어 지속적으로 응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20)을 크롬 용선(10)보다 나중에 수선하는 방식으로 합탕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크롬 용선(10) 안으로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20)이 가라앉는 형태가 되고, 이에 따라, 경계면에서 용융점이 높은 크롬 용선이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에 의해 온도를 빼앗겨 응고가 일어나 응고물이 생성되더라도, 이후 지속적으로 온도가 높은 크롬 용선(10)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응고물이 용해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는 고융점의 크롬 용선(10)의 양은 25톤이고 1650℃의 온도를 가지며, 저융점의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20)의 양은 65톤이고 1250℃의 온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하기의 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금의 부착 정도를 기존의 방식에 따른 지금 부착 정도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구분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
크롬 용선 우선적으로 수선한
용선
부착 지금
(톤)
중량
(ton)
온도
(℃)
성분 중량
(ton)
온도
(℃)
성분(wt%)
비교예1 70 1347 Fe-3.5C 26.5 1647 Fe-6.84C-3.18Si-55.84Cr 예비처리 고로 용선 8
비교예 2 70 1266 Fe-4.11C 18.8 1595 Fe-7.00C-3.05Si-52.66Cr 예비처리 고로 용선 6
비교예 3 65 1276 Fe-3.64C 25.0 1604 Fe-7.44C-3.5Si-59.25Cr 예비처리 고로 용선 9
비교예 4 66 1270 Fe-4C 22 1600 Fe-7.40C-3.3Si-59.22Cr 크롬 용선 6
비교예 5 68 1320 Fe-4C 22 1560 Fe-7.1C-3.3Si-58.25Cr 크롬 용선 7
발명예 1 66.6 1310 Fe-3.40C 24.9 1700 Fe-7.06C-3.10Si-53.53Cr 크롬 용선 0.8
발명예 2 69.0 1312 Fe-3.60C 24.0 1620 Fe-7.02C-3.06Si-52.85Cr 크롬 용선 1.2
발명예 3 65.0 1300 Fe-3.27C 24.1 1678 Fe-7.09C-3.12Si-53.86Cr 크롬 용선 0
발명예 4 65.4 1310 Fe-3.94C 23.0 1600 Fe-7.44C-3.43Si-59.14Cr 크롬 용선 1.5
발명예 5 60.0 1326 Fe-3.50C 20.2 1635 Fe-7.06C-3.10Si-53.4Cr 크롬 용선 0.3
발명예 6 71.5 1301 Fe-3.50C 20.2 1646 Fe-7.43C-3.42Si-59.06Cr 크롬 용선 0
발명예 7 63.5 1328 Fe-3.50C 26.8 1640 Fe-7.07C-3.11Si-53.69Cr 크롬 용선 0.5
상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의 온도가 1300℃ 이하이거나, 크롬 용선의 온도가 1600℃ 이하인 경우, 용선 수선의 순서와 무관하게 장입레이들에 지금이 다량 부착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의 온도가 1300℃ 이상이고, 크롬 용선의 온도가 1600℃ 이상인 경우라 하더라도,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이 크롬 용선보다 장입레이들로 먼저 수선되는 경우 다량의 지금이 부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의 온도가 1300℃ 이상이고, 크롬 용선의 온도가 1600℃ 이상이며, 장입레이들로 크롬 용선을 먼저 수선하고 이후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을 수선하여 합탕하는 경우에는 지금의 부착량이 2톤 이하로서, 대부분 1톤 이하로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해 장입레이들에 크롬 용선과 고로 용선을 합탕함에 있어서, 기존의 방식에 따른 용선의 온도 조건이나 수선 순서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선의 온도 조건과 수선 순서에 의할 경우, 장입레이들 내 응고에 의한 지금 부착량을 크게 감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에 따라, 조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크롬 용선 20 : 예비처리된 고로 용선
100 : 스테인리스강 제조 장치 110 : 제1 제어부
120 : 제2 제어부

Claims (9)

  1. 유도용해로에서 용해된 제1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1 용선을 출선하는 단계;
    고로에서 출선된 제2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제2 용선은 상기 제1 용선보다 융점이 낮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음-;
    상기 제2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용선이 수선되어 있는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2 용선을 출선하여 상기 제1 용선과 제2 용선을 합탕하는 단계; 및
    상기 장입레이들에서 합탕된 상기 제1 용선 및 제2 용선을 전로로 장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용선은 Cr: 50~70wt%, Si: 0 초과 4wt% 이하, C: 6~9wt%,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크롬 용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선은 C: 3~4wt%,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고로 용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온도는 1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온도는 1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레이들로 출선되는 제1 용선의 양은 상기 장입레이들로 출선되는 제2 용선의 양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용선을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용선을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9. 유도용해로에서 용해된 제1 용선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1 용선이 출선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고로에서 출선된 제2 용선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용선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용선이 수선되어 있는 장입레이들로 상기 제2 용선이 출선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용선은 상기 제1 용선보다 융점이 낮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으며, 상기 제1 용선과 제2 용선은 상기 장입레이들에서 합탕되어 전로로 장입되며,
    상기 제1 용선은 Cr: 50~70wt%, Si: 0 초과 4wt% 이하, C: 6~9wt%,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크롬 용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 제조 장치.
KR1020130136072A 2013-11-11 2013-11-11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514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72A KR101514564B1 (ko) 2013-11-11 2013-11-11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72A KR101514564B1 (ko) 2013-11-11 2013-11-11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564B1 true KR101514564B1 (ko) 2015-04-22

Family

ID=5305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072A KR101514564B1 (ko) 2013-11-11 2013-11-11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5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120A (ja) * 1993-03-10 1994-09-20 Nippon Steel Corp 銑鉄製造方法
JP2938535B2 (ja) * 1990-08-29 1999-08-23 日新製鋼株式会社 含クロム溶鋼の製造プロセス
JP2010209383A (ja) * 2009-03-09 2010-09-24 Jfe Steel Corp 転炉製鋼法
JP2012092435A (ja) * 2010-09-29 2012-05-17 Jfe Steel Corp 鉄スクラップを利用した製鋼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535B2 (ja) * 1990-08-29 1999-08-23 日新製鋼株式会社 含クロム溶鋼の製造プロセス
JPH06264120A (ja) * 1993-03-10 1994-09-20 Nippon Steel Corp 銑鉄製造方法
JP2010209383A (ja) * 2009-03-09 2010-09-24 Jfe Steel Corp 転炉製鋼法
JP2012092435A (ja) * 2010-09-29 2012-05-17 Jfe Steel Corp 鉄スクラップを利用した製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89708A (zh) 13Cr9Mo2Co1NiVNbNB超级马氏体耐热钢及其生产方法
CN113789472B (zh) 合金铸钢、其制作方法及应用
CN101748236B (zh) 一种控制钢水中钛成分含量的方法
CN103045948B (zh) 高铬钢及其制造方法
CN102453831A (zh) 冶炼高铬钢的方法和高铬钢
CN102978505A (zh) 高强if钢的冶炼方法
CN102021490A (zh) X12CrMoWVNbN10-1-1高温结构钢及其生产方法
CN102943145A (zh) 一种超低磷钢的转炉冶炼方法
CN103642971A (zh) 提高半钢炼钢终点碳含量的方法及半钢炼钢方法
CN105132621B (zh) 一种低硅不含铝焊丝用钢的冶炼工艺
CN102719726A (zh) 一种生产不锈钢母液的方法
CN102965465A (zh) 一种转炉渣固化的方法
CN101619377B (zh) 一种电炉排渣脱磷的方法
CN103627839A (zh) 半钢炼钢碳含量控制方法及半钢炼钢方法
CN103205536A (zh) 半钢脱磷剂及半钢脱磷方法
CN109161650B (zh) 一种低合金铸钢、制造方法及其应用
CN105648301A (zh) 一种42CrMo熔炼工艺
CN103642966A (zh) 提高冶炼高碳高锰钢转炉终点碳含量的方法及炼钢方法
JP2007538156A (ja) 冶金スラグのクロム還元方法
CN105886699B (zh) 一种降低热作模具用4Cr5MoSiV1钢氧含量的冶炼方法
KR101514564B1 (ko)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및 장치
CN104178596B (zh) 电弧炉返回吹氧法冶炼不锈钢的工艺
CN104928435A (zh) 一种电炉全铁水冶炼工艺生产优特钢的方法
CN113106190B (zh) 一种转炉冶炼得到高锰低磷钢水的炼钢方法
JP6269974B2 (ja) 鋼の溶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