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858B1 -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 Google Patents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858B1
KR101513858B1 KR1020097012473A KR20097012473A KR101513858B1 KR 101513858 B1 KR101513858 B1 KR 101513858B1 KR 1020097012473 A KR1020097012473 A KR 1020097012473A KR 20097012473 A KR20097012473 A KR 20097012473A KR 101513858 B1 KR101513858 B1 KR 10151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transformer
turns
taps
conn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462A (ko
Inventor
찰리 에이치 사버
바비 필 구드슨
조이 리 챈들러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9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25Constructional details of transformers or reactors with tapping on coil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다지점 접속 모듈은 다수의 탭들을 구비한 지지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다수의 턴들을 가지는 변압기 코일의 외부면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의 접속을 허용한다. 탭들은 탭들이 코일의 대응하는 턴과 접합하도록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열된다.
Figure R1020097012473
변압기, 다지점 접속 모듈, 턴, 커넥터, 지지 플레이트

Description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A MULTI-POINT CONNECTION MODULE FOR A TRANSFORMER COIL, AND A TRANSFORMER COMPRISING SUCH A CONNECTION MODULE}
본 발명은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과, 이러한 다지점 접속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 또는 배전 변압기는 하나의 회로로부터 다른 회로로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사용되는 전기 장치이다. 변압기는 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전압 레벨로 특정 전압 레벨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전자석 유도의 원리를 이용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자석 유도는 가변 자기장에 배치되는 전도체 상에서 전압을 유도한다. 변압기에서, 가변 자기장은 대체로 주 코일 또는 권선으로 표현되는 변압기 코일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주 권선은 통상적으로 2차 권선 또는 코일에 결합되고, 각각 다수의 턴(turn)들을 포함하는 주 권선 및 2차 권선은 자석 코어 주위에 감겨진다. 교류 전류가 주 권선에 인가될 때, 가변 자속이 코어에서 유도되고, 2차 권선에서 전압이 생성된다.
항상 존재하는 불가피한 손실 외에, 주 권선과 2차 권선을 교차하는 전압 비는 이상적으로 주 권선과 2차 권선에서의 턴 수 사이의 비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주 권선과 2차 권선들의 턴 수 사이의 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압 비는 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변압기에 접속된 임의의 부하에 대한 변압기에 의해 공급된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2차 권선에 걸쳐 있는 전압을 제어 또는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변압기들은 변압기 산업에서 탭(tap)으로서 지칭되는 특정 접속부를 구비한다. 변압기 탭은, 주 권선 및/또는 2차 권선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서 위치되고 턴의 수가 선택되는 것을 허용하는 전기 접속 지점이다. 사용되는 탭의 선택은 탭 변경 메커니즘(tap changer mechanism)을 통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탭 변경 메커니즘은 부하 회로에 접속되게 되는 2차 권선 코일에서의 턴을 선택하고, 이에 의해 변압기에서의 턴들의 비를 변화시켜 출력 전압을 조정한다.
현재, 각각의 코일에 대하여, 예를 들어 코일에서의 대응하는 턴에 각각 부착되고 그런 다음 코일의 면(face)에 모두 드러나는 특정 수의 단일 접속 탭들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탭은 돌기(lug) 또는 평탄 바(bar)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경우에 코일 내측에 용접된다. 그런 다음, 탭들은 전형적으로 각각의 코일의 면 상에 있는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단일 접속 탭의 이러한 사용은 특히 코일 권선 제조 공정에서 요구되는 시간, 사용된 재료의 함유량, 및 변압기 봉입 깊이 크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소의 결점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코일 권선 공정에서의 제조 시간을 최적화하고 변압기 인클로저 내측에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변압기와 관련된 재료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허 용하는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복수의 턴들을 가지는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이 제공된다. 다지점 접속 모듈은,
- 복수의 탭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 상기 코일의 외부면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외부면에 대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접속을 허용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탭들이 상기 복수의 턴들 중 대응하는 턴들과 접합하는데 적합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이러한 다지점 접속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 복수의 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지는 코일; 및
- 복수의 접속 탭들을 구비하는 접속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모듈은 상기 접속 탭들과 함께 상기 코일의 외부면에 작동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접속 탭들이 상기 복수의 턴들 중 대응하는 턴들과 접합하는데 적합한 변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양태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접속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지점 접속 모듈의 하나의 구성 요소의 평면도.
도 3은 변압기 코일에 결합된 도 1의 다지점 접속 모듈의 사시도.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이것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었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개시하기 위하여,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이 다소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도 1은 포괄적으로 도면 부호 1에 의해 인용되고 장착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접속 모듈을 도시하는 반면에, 도 3은 다수의 턴(101)들을 가지는 변압기 코일(100)과 결합되는 반대편 측에서 본 다지점 접속 모듈(1)을 도시한다. 도 3은 소위 디스크-권선형의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 코일(100)을 도시하며, 본 발명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상이한 형태의 코일들에 대한 본 발명의 임의의 추가적인 가능한 적용을 제한하도록 의도함이 없이 이러한 형태의 코일 권선들에 대한 특정 기준을 만드는 것으로 이후에 기술되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권선들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권선들로 각각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가지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산업적인 변압기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변압기의 구성, 부품, 조립, 및 기능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었으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용 가능하며, 그러므로, 변압기는 변압기 코일(100)의 예시 외에 본원에서 추가로 예시되지 않으며, 이러한 예시는 본원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정도로 예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접속 모듈(1)은 다수의 전기 탭(3)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2), 및 지지 플레이트(2)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2)는 일정 형상,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형상체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는 커넥터(4)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중앙 관통 개구(5), 및 하나 이상의 측면 벽(7)을 가지는 다수의 구획(6)들을 가진다. 구획(6)들은 각각 대응하는 탭(3)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다. 또한, 구획(6)들은 전기 트랙킹 또는 아크화(arcing)를 감소시키도록 추가의 표면적을 제공하고, 탭(3)의 부분들이 회전할 경우에 임의의 다른 통전 접속부(live connection)와 우발적으로 접촉되는 가능성을 제거한다.
차례로, 커넥터(4)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방식으로 코일 자체의 외부면에서 도 3에 도시된 코일(100)과 같은 코일에 지지 플레이트(2)의 기계적인 결합을 허용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4)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단편체를 포함한다. 단편 형상체는 지지 플레이트(2) 상에 제공된 관통 개구(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8)을 가진다. 또한, 형상체는, 관통 개구(5) 외측으로 돌출하고 슬롯(11)을 가지는 제 1 단부 부분(9)과, 제 1 단부 부분(9)에 대해 반대편의 관통 개구(5)로부터 돌출하는 제 2 단부 부분(12)을 포함한다. 제 2 단부 부분(12)은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8)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여서, 단편 형상체가 관통 개구(5) 내로 삽입될 때와 같이, 그 편심 부분(12a, 12b)들은 개구(5) 자체의 경계에 접한다. 차례로, 제 2 단부 부분(12)은 코일(100)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스페이서 벌집(spacer comb)으로서 통상 지칭되는 유리섬유 스페이서 내로 록킹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3)들이 즉 그 구조 및/또는 형상, 및/또는 구성, 및/또는 위치, 및/또는 재료 조성을 고려하여 지지 플레이트(2) 상에 배열되어서, 탭들은 지지 플레이트(2)가 코일(100)에 결합될 때 다수의 턴(101)들의 대응하는 턴(101)들과 작동적으로 접합하는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탭(3)들은 코일(100)의 외부면으로부터 직접 대응하는 턴(101)들에 접속되도록 배열된다.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에서, 다수의 탭(3)들 중 적어도 제 1 탭(3a)과 제 2 탭(3b)들은 지지 플레이트(2) 자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기준 축선(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으로 지지 플레이트(2) 상에 배열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탭(3)들은 적어도 제 1 열 및 제 2 열을 따라서 그리고 실질적으로 기준 축선(10)에 대해 정렬되어 지지 플레이트(2) 상에 배열되며, 제 1 열을 따라서 정렬된 탭들의 각각의 탭(3a)은 제 2 열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탭(3b)과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위치된다. 또한, 쌍을 이룬 대칭 탭들은 또한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도면들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탭(3)은 대응하는 턴(101)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예리한 이빨(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13)은 예를 들어 스테이플 또는 C 형상 구성으로 중앙 측부(20)에 의해 접속되는 2개의 측면 측부를 포함하며, 측면 측부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 또는 한점에 모일 수 있다. 2개의 측면 측부 들 및 중앙 측부는 이빨(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진다.
탭(3)은, 와셔 형상이고 바람직하게 제 1 부분(13)과 구조적으로 일체인 제 2 부분(15)과, 제 2 와셔 형상 부분(15)에 작동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스터드 형상 부분(16)을 추가로 포함한다. 부분(13, 15, 16)들은 각각의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3개 모두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
실제로, 탭(3)들이 지지 플레이트(12)와 조립될 때, 2개의 부분(13, 15)들에 의해 형성된 완전체는 대응하는 구획(6)의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한편, 스터드 형상 부분(16)은 지지 플레이트(12)의 장착 벽을 통과하여 와셔 형상 부분(15) 내로 들어간다. 적절한 너트(17)들은 스터드 형상 부분(16) 상에 나사 결합되고, 그러므로 2개의 부분(15, 16)들을 상호 전기 접촉시키고, 전체 탭(3)을 지지 플레이트(12)의 장착 벽에 각각 고정한다.
조립된 모듈(1)을 코일(100)과 결합할 때, 모듈(1)은 코일(100)의 외부면에서 커넥터의 단부 부분(9)의 슬롯(11)과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커넥터의 단부 부분은 코일 부분, 예를 들어 코일 스페이서 벌집과 맞물린다. 탭(3)들은 대응하는 턴(101)과 접합하며, 특히 탭(3)들은 코일(100)의 외부면으로부터 대응하는 턴(101)에 직접 접속된다. 바람직하게, 탭(3)들은 이빨(14)과 함께 대응하는 턴(101) 상으로 클립 고정되어, 반드시 턴 절연물을 제거할 필요없이 권선 턴들의 표면을 붙잡는다.
접속 모듈(1)은 2개의 탭(3)들을,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터드 부분(16)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속 소자(18),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 평탄 바를 추가로 포함한다. 탭들, 특히 스터드 형상 부분(16)들의 상기된 대칭 위치 선정으로 인하여, 접속 소자(18)는 특정 순서로 탭(3)들을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따라서, 접속된 턴(101)들의 수, 및 그에 따른 변압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 전압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필요한 접속들은 지지 플레이트(12)의 면들에 위치된다.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이 독점적인 것 보다는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개시된 요지의 실시예에 대한 특정의 추가, 변경 및/또는 변형을 만들 수 있이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는 상이한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 있으며, 커넥터(4)는 상이하게 형상화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실현될 수 있다. 탭들의 수는 적용물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각각의 탭들은 상이한 수의 부분들로 실현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형상은 이것들이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능이 적절하게 남아 있으면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1)

  1. 복수의 절연된(insulated) 턴들을 가지는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로서, 상기 다지점 접속 모듈(multi-point connection module)은,
    복수의 탭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로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변압기 코일에 접속될 때 상기 탭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변압기 코일 턴들의 수의 선택을 허용하며, 상기 탭들 각각은 예리한 이빨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제 1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예리한 이빨부는 상기 변압기 코일 절연 턴의 절연물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변압기 코일 절연 턴들의 대응하는 턴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제공되는 관통 개구(through opening)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비-전도성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관통 개구 바깥측으로 돌출하며 슬롯을 갖는 제 1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 1 단부 부분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 코일 턴들에서가 아닌 상기 변압기 코일의 외부면에서 상기 변압기 코일의 외부면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접속을 허용하는,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변압기 코일 턴들로가 아닌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 슬롯에 의해 접속될 때, 상기 탭들은 상기 복수의 변압기 코일 턴들의 대응하는 턴들과 접합하도록(mate with)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서 배열되는, 다지점 접속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은 상기 변압기 코일의 상기 외부면 상에서 직접 상기 대응하는 턴들에 접속되도록 배열되는 다지점 접속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탭들 중 적어도 제 1 탭과 제 2 탭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직각인 기준 축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열되는 다지점 접속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은 적어도 제 1 열 및 제 2 열을 따라서 정렬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열을 따라서 정렬되는 각각의 탭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직각인 기준 축선에 대해 상기 제 2 열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탭과 대칭으로 위치되는 다지점 접속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탭의 적어도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구획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들은 상기 탭들을 서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벽을 가지는 다지점 접속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탭들 중 2개의 탭들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소자를 포함하는 다지점 접속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제공된 관통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 및 상기 제 1 단부 부분의 반대편에서 상기 관통 개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제 2 단부 부분을 가지는 형상체를 포함하는 다지점 접속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은 상기 제 1 부분과 구조적으로 일체인(integral) 제 2 와셔 형상 부분, 및 상기 제 2 와셔 형상 부분에 작동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제 3 스터드(stud) 형상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지점 접속 모듈.
  9. 복수의 절연된 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지는 변압기 코일; 및
    복수의 탭들 및 비-전도성 커넥터가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접속 모듈로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변압기 코일에 접속될 때 상기 탭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변압기 코일 턴들의 수의 선택을 허용하며,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제공되는 관통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관통 개구를 넘어 돌출하는 제 1 단부 부분을 갖는, 상기 접속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로서,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의 제 1 단부 부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변압기 코일에서가 아닌 상기 변압기 코일의 외부면에서 그 위에(thereon) 배열되는 상기 탭들과 결합하여,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의 제 1 단부 부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변압기 코일 턴들로가 아닌 상기 비-전도성 제 1 단부 부분에 의해 접속될 때 상기 복수의 변압기 코일 턴들의 대응하는 턴들과 접합하기에(mate with) 적합하며,
    상기 탭들 각각은 예리한 이빨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제 1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예리한 이빨부는 상기 변압기 코일 절연 턴의 절연물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변압기 코일 절연 턴들의 대응하는 턴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변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은 상기 변압기 코일의 상기 외부면 상에서 상기 대응하는 턴들에 직접 접속되도록 배열되는 변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턴에 클립되는 변압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탭들 중 적어도 제 1 탭 및 대응하는 제 2 탭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직각인 기준 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열되는 변압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은 각각 적어도 제 1 열 및 제 2 열을 따라서 정렬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변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을 따라서 정렬된 각각의 탭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직각인 기준 축선에 대해 상기 제 2 열을 따라서 배치된 대응하는 탭과 대칭으로 위치되는 변압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탭의 적어도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구획들을 포함하는 변압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탭들 중 2개의 탭들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소자를 포함하는 변압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제공된 관통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을 갖는 형상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 부분은 슬롯을 가지며, 상기 비-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제 1 단부 부분의 반대편에서 상기 관통 개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제 2 단부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변압기.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은 상기 제 1 부분과 구조적으로 일체인 제 2 와셔 형상 부분, 및 상기 제 2 와셔 형상 부분에 작동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제 3 스터드 형상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변압기.
  19. 제 1 항에 따른 다지점 접속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20. 복수의 턴들을 가지는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로서, 상기 다지점 접속 모듈은,
    복수의 탭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작동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코일의 외부면으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탭들은 상기 탭들이 상기 복수의 턴들의 대응하는 턴들과 접합하기에(mate with) 적합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상에서 배열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제공된 관통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 상기 관통 개구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슬롯을 가지는 제 1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1 단부 부분의 반대편에서 상기 관통 개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평행육면체인 중앙 부분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제 2 단부 부분;을 갖는 형상체를 포함하는, 다지점 접속 모듈.
  21. 제 20항에 따른 다지점 접속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KR1020097012473A 2006-11-17 2007-10-09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KR101513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01,297 2006-11-17
US11/601,297 US8228155B2 (en) 2006-11-17 2006-11-17 Multi-point connection module for a transformer coil, and a transformer comprising such a connection module
PCT/US2007/021578 WO2008063296A1 (en) 2006-11-17 2007-10-09 A multi-point connection module for a transformer coil, and a transformer comprising such a connection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462A KR20090096462A (ko) 2009-09-10
KR101513858B1 true KR101513858B1 (ko) 2015-04-21

Family

ID=3943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473A KR101513858B1 (ko) 2006-11-17 2007-10-09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28155B2 (ko)
KR (1) KR101513858B1 (ko)
CN (1) CN101553966B (ko)
CA (1) CA2670111C (ko)
MX (1) MX2009005196A (ko)
WO (1) WO2008063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101495B1 (pt) * 2011-04-15 2020-09-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formador de distribuição a seco trifásico ou monofásico e método de isolação elétrica para um painel de taps de um transformador de distribuição a seco trifásico ou monofásico
KR20160088565A (ko) 2015-01-16 2016-07-26 Koc 전기 주식회사 방폭 변압기용 무부하 탭절환기
KR20160088567A (ko) 2015-01-16 2016-07-26 Koc 전기 주식회사 방폭 변압기용 무부하 전압 유지기
KR20160088569A (ko) 2015-01-16 2016-07-26 Koc 전기 주식회사 방폭 변압기용 무부하 탭절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2073A (en) * 1959-03-30 1960-06-21 Gen Electric Tap changing switch for electrical apparatus
US3738656A (en) * 1971-09-23 1973-06-12 Brunswick Corp Pinsetter masking
US6676454B2 (en) * 2002-05-07 2004-01-13 Delri Llc Top-loading pad mount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364A (en) * 1967-03-30 1968-08-27 Forbro Design Corp Electrical coil with a tap changing means
US3728656A (en) * 1972-06-26 1973-04-17 Gte Sylvania Inc Transormer and terminal assembly
US4317006A (en) * 1980-06-09 1982-02-23 Amp Incorporated Load coil
US4694241A (en) * 1986-06-06 1987-09-15 Honeywell Bull Inc. Transformer tap changer
US5161088A (en) 1989-05-10 1992-11-03 Burgher Peter H Transformer assembly with exposed hollow housings, and multiple coils
US6160464A (en) 1998-02-06 2000-12-12 Dynapower Corporation Solid cast resin coil for high voltage transformer, high voltage transformer using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6223421B1 (en) 1999-09-27 2001-05-01 Abb Power T&D Company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coil with a disposable mandrel and mol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2073A (en) * 1959-03-30 1960-06-21 Gen Electric Tap changing switch for electrical apparatus
US3738656A (en) * 1971-09-23 1973-06-12 Brunswick Corp Pinsetter masking
US6676454B2 (en) * 2002-05-07 2004-01-13 Delri Llc Top-loading pad moun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6573A1 (en) 2008-06-12
WO2008063296A1 (en) 2008-05-29
CN101553966A (zh) 2009-10-07
MX2009005196A (es) 2009-06-10
CA2670111C (en) 2015-02-17
KR20090096462A (ko) 2009-09-10
CN101553966B (zh) 2012-01-04
CA2670111A1 (en) 2008-05-29
US8228155B2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9839B2 (en) High-current electrical coil, and transformer construction including same
US7248139B1 (en) High-current electrical coil construction
US6441605B1 (en) Current sensor for an electrical device
KR101513858B1 (ko)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KR20150050025A (ko) 코일 부품
CA2591103C (en) Aluminum wound transformer
KR20220018912A (ko) 자기 디바이스
CN105931815A (zh) 平面变压器
EP1826785B1 (en) Transformer and circuit comprising said transformer
US6525632B2 (en) Magnetic release, in particular for a circuit breaker, and a circuit breaker having such a magnetic release
CN101345126B (zh) 电源用变流器及其制造方法
US5015983A (en) Compact circuit interrupter having multiple ampere ratings
KR100765879B1 (ko)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KR100656422B1 (ko) 트랜스포머의 코일유닛 단자고정구조
WO2012042707A1 (ja) 絶縁トランス
KR101338905B1 (ko) 고주파 변압기
EP3058576B1 (en) Current transformer for low voltage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s
KR200338261Y1 (ko) 트랜스포머
CN210142571U (zh) 一种变压器结构
WO2022107432A1 (ja) アンテナ装置
KR102145338B1 (ko) 환형 자기력 장치
JP2509590Y2 (ja) コイルボビン
US3914658A (en) Compact transformer with integral connector
JP2008205210A (ja) トランス
JPH0737290Y2 (ja) 端子台を備えたコイ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