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879B1 -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879B1
KR100765879B1 KR1020060057450A KR20060057450A KR100765879B1 KR 100765879 B1 KR100765879 B1 KR 100765879B1 KR 1020060057450 A KR1020060057450 A KR 1020060057450A KR 20060057450 A KR20060057450 A KR 20060057450A KR 100765879 B1 KR100765879 B1 KR 10076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jig
connecting portion
coil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응수
임백운
Original Assignee
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피씨(주) filed Critical 디피씨(주)
Priority to KR102006005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879B1/ko
Priority to CN2006101036580A priority patent/CN10109780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2Aspects related to the boost transforme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2038/003High frequency transformer for microwave 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를 코일유닛의 코일에 연결시킬 때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와 코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자장착부에 지그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지그에 의해 압착된 단자의 코일연결부와 코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고정구조는, 후단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가 구비되고, 코일연결부의 내면에는 다수의 원통형 돌기가 형성되며, 돌기의 끝단에 통공이 형성된 단자와; 단자장착부는 전후방으로 통하고, 단자장착부에는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를 압착하는 지그가 상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지그수용홈이 형성된 단자고정대; 및 코일연결부의 내면에서 지그에 의해 압착·고정되면서 돌기에 의해 피복이 절개되어 단자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코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Terminal and terminal fixing structure for high voltage transformer}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고정구조의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고정구조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자 11: 코일연결부
12a, 12b: 돌기 13: 통공
16: 지지대 17: 지그홈
20: 단자고정대 21: 본체
22: 단자장착부 23: 수용홈
24: 고정홈 25:지그수용홈
30: 코일 31:피복
32: 코일유닛 40:지그
본 발명은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를 코일유닛의 코일에 연결시킬 때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와 코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자장착부에 지그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지그에 의해 압착된 단자의 코일연결부와 코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고압 변압기는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과 같이 고압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적용되어 고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E형 코어에 1차 코일과 이보다는 권선비가 큰 2차 코일을 각각 설치하고, E형 코어의 하부에는 I형 코어를 고정하며, I형 코어의 하부에는 타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용접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1차 코일에는 전원 입력단자를 고정하여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2차 코일의 단부에는 부하와 연결되는 고압선을 연결하여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상호유도작용에 의해 발생된 고전압을 부하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전원 입력단자를 통해 교류가 공급되어 1차 코일로 흐르게 되면 E형 코어와 I형 코어에 자계가 형성되고, 이 자계로 인해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서는 상호유도작용이 발생되어 상대적으로 1차 코일에 비해 권선비가 큰 2차 코일에서 고전압이 발생되며, 이 고전압이 그 단부에 연결된 고압선을 거쳐 부하로 전달되는 것이다.
단자고정구조의 한 형태는 후단부에 관형상의 코일연결부가 구비된 단자와 단자를 고정시키는 단자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관형상의 코일연결부에 코일이 삽입되어 압착·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고정구조에는 단자의 코일연결부가 관형상이고, 단자고정대의 단자장착부에 지그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좁은 면적의 코일연결부만이 압착되게 된다. 따라서 압착된 단자의 코일연결부와 코일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므로 결합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접촉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큰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의 내면에는 끝단에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원통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그에 의해 압착될 경우에 돌기가 코일과 코일연결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저항열이 감소하며 발생된 열이 통공을 통해 쉽게 배출될 수 있는 단자와;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가 단자장착부에 끼워진 후에 지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지그수용홈이 형성된 단자고정대를 포함하는 단자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가 지지대와 수직으로 구비되고, 코일연결부의 내면에는 끝단에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원통형 돌기가 형성되거나 지지대와 같은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나란히 형성되며, 코일연결부와 단자의 후단부 사이에는 지그가 통과할 수 있는 지그 홈이 형성되어 있어 지그에 의해 압착될 경우에 코일과 코일연결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저항열이 감소하는 단자와;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가 단자장착부에 끼워진 후에 지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지그수용홈이 형성된 단자고정대를 포함하는 단자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압 변압기의 코일에 연결되는 단자(1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은 하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후단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가 구비되고,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는 다수의 원통형 돌기(12a)가 형성되며, 돌기(12a)의 끝단에 통공(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자(10)에 코일유닛(32)의 코일(30) 단부를 연결할 때에는 코일(30)을 피복(31)이 있는 상태 그대로 단자(10)의 코일연결부(11) 내면에 위치시키고, 지그(40)로 코일연결부(11)의 양측을 안쪽으로 각각 압착하여 코일(30)과 강하게 결합되게 하며, 이러한 압착과정에서 코일연결부(11) 내면의 돌기(12a)가 압착력에 의해 코일(30) 단부의 피복(31)을 절개하게 되므로 단자(10)와 코일(30)이 통전된다. 이때,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연결부(11)의 양측 선단을 뾰족하게 형성함으로써, 지그(40)에 의해 코일연결부(11)의 양측을 안쪽으로 압착하는 과정에서 코일(30)의 피복(31)이 더욱 쉽게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10)에는 코일유닛(32)의 코일(30)이 연결되므로 각 단자(10) 사이의 절연은 필수적이며, 또한 단자(10)가 코일유닛(32)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단자고정대(20)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단자고정대(20)에는 코일유닛(32)와 접촉되는 판형상의 본체(21)에 전후방으로 통하는 형상으로 적어도 2개의 단자장착부(22)가 각각 형성되고, 단자장착부(22)에는 코일연결부(11)를 수용하는 수용홈(23)과 단자(10)의 양측이 끼워지는 고정홈(24)과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압착하는 지그(40)가 상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지그수용홈(25)이 형성된다. 또한, 단자고정대(2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어 별도의 절연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각 단자(10) 사이의 절연은 물론 이러한 단자(10)를 코일유닛(32)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매개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자(10), 단자고정대(20), 코일(30) 사이의 결합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단자고정대(20)를 코일유닛(32)의 일측에 고정수단(50)인 테잎과 같은 절연성을 갖는 부재로 고정시키고, 단자고정대(20)의 단자장착부(22)에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끼우며, 코일연결부(11)에는 코일유닛(32)의 코일(30) 단부를 위치시켜 지그(40)로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단자고정대(20)의 단자장착부(22)는 전후방으로 통하도록 되어 있어 단자(10)의 코일연결부(11)를 단자장착부(22)의 전방으로부터 수용홈(23)에 위치시키 면서 단자(10)의 양측이 고정홈(24)에 끼워지도록 하면, 단자(10)가 단자고정대(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단자장착부(22)의 후방으로 개방된 부위를 통해 코일(30)을 넣어 코일(30)의 단부가 단자(10)의 코일연결부(11) 내측에 위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로 지그(40)를 통해 단자장착부(22)의 수용홈(23)에 위치된 단자(10)의 코일연결부(11)를 눌러 압착·고정하면 코일(30)과 단자(10)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단자장착부(22)에는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압착하는 지그(40)가 상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지그수용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지그(40)는 상부로 갈수록 코일연결부(11)와 닿는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나타내므로 지그(4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코일연결부(11)의 양측을 안쪽으로 압착하여 코일(30)과의 결합력을 강하게 한다.
한편, 지그(40)는 상부로 갈수록 코일연결부(11)와 닿는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보여야 하므로 지그(40)의 폭은 일정 한도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변압기의 크기나 규격으로 인해 단자(10) 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단자장착부(22)에 지그수용홈(25)을 형성하는데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되므로, 단자(1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앞쪽은 하향으로 절곡되게 할 수 있고, 후단부에는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6)가 형성되고, 지지대(16)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가 지지대(16)와 수직으로 구비되며,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는 끝단에 통공(13)이 형성된 다수의 원통형 돌 기(12a)가 형성되거나 지지대(16)와 같은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12b)가 나란히 형성되고, 코일연결부(11)와 단자(10)의 후단부 사이에 지그(40)가 통과할 수 있는 지그홈(17)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연결부(11)의 양측 선단을 뾰족하게 형성함으로써, 지그(40)에 의한 코일연결부(11)의 양측을 안쪽으로 압착하는 과정에서 코일(30)의 피복(31)이 더욱 쉽게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단자(10)가 코일유닛(32)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단자고정대(20)에는 코일유닛(32)와 접촉되는 판형상의 본체(21)에 좌우측으로 통하는 형상으로 적어도 2개의 단자장착부(22)가 각각 형성되고, 단자장착부(22)에는 코일연결부(110)를 수용하는 수용홈(23)과 단자(10)의 양측이 끼워지는 고정홈(24)과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압착하는 지그(40)가 상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지그수용홈(25)이 형성된다. 또한, 단자고정대(2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어 별도의 절연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각 단자(10) 사이의 절연은 물론 이러한 단자(10)를 코일유닛(32)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매개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자(10), 단자고정대(20), 코일(30) 사이의 결합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단자고정대(20)를 코일유닛(32)의 일측에 고정수단(50)인 테잎과 같은 절연성을 갖는 부재로 고정시키고, 단자장착부(22)에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6) 사이에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끼우며, 코일연결부(11)에는 코일유닛(32)의 코일(301) 단부를 위치시켜 지그(40)로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 다.
즉, 단자(10)의 코일연결부(11)를 단자장착부(22)의 전방으로부터 수용홈(23)에 위치시키면서 지지대(16)의 양측이 고정홈(24)에 끼워지도록 하면, 단자(10)가 단자고정대(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단자장착부(22)의 좌우측으로 개방된 부위를 통해 코일(30)을 넣어 코일(30)의 단부가 단자(10)의 코일연결부(11) 내측에 위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로 지그(40)를 통해 단자장착부(22)의 수용홈(23)에 위치된 단자(10)의 코일연결부(11)를 눌러 압착·고정하면 코일(30)과 단자(10)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단자장착부(22)에는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압착하는 지그(40)가 상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지그수용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지그(40)는 상부로 갈수록 코일연결부(11)와 닿는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나타내므로 지그(4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코일연결부(11)의 양측을 안쪽으로 압착하여 코일(30)과의 결합력을 강하게 한다.
이와 같이 지지대(16)와 수직으로 코일연결부(11)가 형성되고, 단자장착부(22)에 삽입된 지지대(16) 사이에서 지그수용홈(25)이 형성되므로 단자(10) 사이의 거리를 좁게 유지할 수 있으며, 코일(30)의 단부와 단자(10)도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코일(30)을 잡아당기더라도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고압 변압기뿐만 아니라 리액터 등과 같이 코어에 코일유닛가 끼 워지는 장치에서 코일유닛에 전원 입출력단자를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는, 다수의 원통형 돌기에 의해 코일연결부와 코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결합력이 증가하고 저항열이 감소하며 발생된 저항열이 통공을 통해 쉽게 배출된다. 또한, 지그에 의해 코일연결부의 양측이 안쪽으로 압착되어 코일의 피복이 훨씬 용이하게 절개되므로 통전에도 유리하고, 지지대와 수직으로 코일연결부를 형성하여 단자의 간격을 좁게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고정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가 단자장착부에 끼워진 후에 지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지그수용홈이 형성된 단자고정대를 포함하므로 코일연결부와 코일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지지대에 수직으로 코일연결부가 형성될 경우, 코일(30)의 단부와 단자(10)도 수직으로 위치하므로 외부에서 코일(30)을 잡아당기더라도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코일유닛(32)의 코일(30)과 연결되는 단자(10)에 있어서,
    후단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는 다수의 원통형 돌기(12a)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2a)의 끝단에 통공(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변압기의 단자.
  2. 코일유닛(32)의 코일(30)과 연결되는 단자(10)와; 상기 코일유닛(32)와 접촉되는 판형상의 본체(21)에 적어도 2개의 단자장착부(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자장착부(22)에는 상기 코일연결부(11)를 수용하는 수용홈(23)과 상기 단자(10)의 양측이 끼워지는 고정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유닛(32)의 일측에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되는 단자고정대(20)를 포함하는 단자고정구조에 있어서,
    후단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는 다수의 원통형 돌기(12a)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2a)의 끝단에 통공(13)이 형성된 단자(10)와;
    상기 단자장착부(22)는 전후방으로 통하고, 상기 단자장착부(22)에는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압착하는 지그(40)가 상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지그수용홈(25)이 형성된 단자고정대(20); 및
    상기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서 지그(40)에 의해 압착·고정되면서 상기 돌기(12a)에 의해 피복(31)이 절개되어 상기 단자(10)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코 일(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변압기의 단자고정구조.
  3. 코일유닛(32)의 코일(30)과 연결되는 단자(10)에 있어서,
    후단부에는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6)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6)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가 상기 지지대(16)와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는 끝단에 통공(13)이 형성된 다수의 원통형 돌기(12a)가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대(16)와 같은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12b)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코일연결부(11)와 상기 단자(10)의 후단부 사이에는 지그(40)가 통과할 수 있는 지그홈(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변압기의 단자.
  4. 코일유닛(32)의 코일(30)과 연결되는 단자(10)와; 상기 코일유닛(32)와 접촉되는 판형상의 본체(21)에 적어도 2개의 단자장착부(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자장착부(22)에는 상기 코일연결부(11)를 수용하는 수용홈(23)과 상기 단자(10)의 양측이 끼워지는 고정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유닛(32)의 일측에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되는 단자고정대(20)를 포함하는 단자고정구조에 있어서,
    후단부에는 두 갈래로 갈라진 지지대(16)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6)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가 상기 지지대(16)와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는 끝단에 통공(13)이 형성된 다수의 원통형 돌기(12a)가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대(16)와 같은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12b)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코일연결부(11)와 상기 단자(10)의 후단부 사이에는 지그(40) 가 통과할 수 있는 지그홈(17)이 형성된 단자(10)와;
    상기 단자장착부(22)는 좌우측으로 통하고, 상기 단자장착부(22)에는 개방된 반원형의 코일연결부(11)를 압착하는 지그(40)가 상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지그수용홈(25)이 형성된 단자고정대(20); 및 상기 코일연결부(11)의 내면에서 지그(40)에 의해 압착·고정되면서 상기 돌기(12a)(12b)에 의해 피복(31)이 절개되어 상기 단자(10)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코일(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변압기의 단자고정구조.
KR1020060057450A 2006-06-26 2006-06-26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KR10076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50A KR100765879B1 (ko) 2006-06-26 2006-06-26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CN2006101036580A CN101097803B (zh) 2006-06-26 2006-07-27 高压变压器的端子及端子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50A KR100765879B1 (ko) 2006-06-26 2006-06-26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879B1 true KR100765879B1 (ko) 2007-10-10

Family

ID=3901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450A KR100765879B1 (ko) 2006-06-26 2006-06-26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5879B1 (ko)
CN (1) CN10109780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54B1 (ko)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대
KR101447053B1 (ko)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
KR200479264Y1 (ko) * 2014-12-15 2016-01-08 디피씨 주식회사 변압기용 단자구조체
KR101657668B1 (ko) * 2015-04-17 2016-09-30 디피씨(주) 리액터용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0522A (zh) * 2011-06-21 2011-11-30 沈阳新电脱盐设备制造厂 电脱盐罐高压电导入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3286A (en) * 1977-09-15 1979-04-26 Amp Inc Electric terminal
KR19990008720A (ko) * 1997-07-03 1999-02-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371A (ja) * 2002-12-24 2004-07-22 Tokyo Coil Engineering Kk 表面実装チョークコイル
KR100564014B1 (ko) * 2004-08-09 2006-03-24 디피씨(주) 고압 트랜스포머의 단자 연결구조 및 방법
KR200372946Y1 (ko) * 2004-10-29 2005-01-14 디피씨(주) 단자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3286A (en) * 1977-09-15 1979-04-26 Amp Inc Electric terminal
KR19990008720A (ko) * 1997-07-03 1999-02-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54B1 (ko)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대
KR101447053B1 (ko) 2013-10-23 2014-10-07 디피씨(주) 변압기용 단자
KR200479264Y1 (ko) * 2014-12-15 2016-01-08 디피씨 주식회사 변압기용 단자구조체
KR101657668B1 (ko) * 2015-04-17 2016-09-30 디피씨(주) 리액터용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7803B (zh) 2011-04-27
CN101097803A (zh)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8199B1 (en) Structure of transformer
US7449986B2 (en) Planar coil component, method for winding end connection thereof and resonance transformer
KR100765879B1 (ko) 고압 변압기의 단자 및 단자고정구조
KR20150050025A (ko) 코일 부품
TW201137903A (en) Bobbin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RU2388092C2 (ru) Импульс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с фольговой обмоткой
KR100656422B1 (ko) 트랜스포머의 코일유닛 단자고정구조
KR20220001248U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101470073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513858B1 (ko) 변압기 코일을 위한 다지점 접속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변압기
US20220044867A1 (en) High-Frequency Transformers using Solid Wire for Welding-Type Power Supplies
JP2004228559A (ja) 高圧変圧器
KR101753902B1 (ko) 전자접촉기의 알루미늄 코일 조립체
KR101447054B1 (ko) 변압기용 단자대
KR200372946Y1 (ko) 단자 고정구조
JP2000503160A (ja) 電磁誘導加熱用コイル
KR101338905B1 (ko) 고주파 변압기
KR200370387Y1 (ko) 단자고정대
KR101090003B1 (ko) 트랜스포머
KR100618253B1 (ko) 고압 트랜스포머의 고압선 절연구조
KR102262613B1 (ko) 평판형 변압기용 코일체 어셈블리 및 평판형 변압기
KR100544705B1 (ko) 전자레인지용 고압 변압기
CN215931992U (zh) 一种减少温升的互感器组件
JP4789053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の取付構造
JP2007201235A (ja) シート巻線及びシート巻線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