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265B1 -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265B1
KR101513265B1 KR1020130116731A KR20130116731A KR101513265B1 KR 101513265 B1 KR101513265 B1 KR 101513265B1 KR 1020130116731 A KR1020130116731 A KR 1020130116731A KR 20130116731 A KR20130116731 A KR 20130116731A KR 101513265 B1 KR101513265 B1 KR 10151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erminal
plate
power supply
electric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545A (ko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주)비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테크 filed Critical (주)비젼테크
Priority to US14/759,916 priority Critical patent/US9960519B2/en
Priority to PCT/KR2013/009404 priority patent/WO2014109462A1/ko
Priority to JP2015552563A priority patent/JP6101364B2/ja
Priority to CN201380071082.2A priority patent/CN104969416B/zh
Publication of KR2014009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ground fault prot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와 전원 공급선간에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감전 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침수 등에 의해 콘센트가 액체에 노출되어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Socket having a function of electric shock protection}
본 발명은 콘센트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라 하면, 전기 배선과 코드의 접속에 쓰는 기구로서, 여기에 플러그를 끼우게 되어 있고, 플러그의 핀 수에 따라 2핀 콘센트와 접지선이 있는 3핀 콘센트가 있으며 대개 110V에는 2핀, 220V에는 3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전원에 연결된 콘센트에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인체는 감전의 위험에 노출된다. 감전은 전원으로부터 인체를 통하여 접지면인 지면으로 흐르는 전류가 일정치 이상일 때 인체가 반응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흐르는 전류가 15mA 이상이면 경련을 일으키며 50mA 이상이 흐르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주된 사망 원인은 심장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신경을 손상시킴에 따라 심장이 작동을 멈추는 심장마비이다. 감전의 위험은 통전 당시 인체의 저항에 관련되는데 이는 피부의 상태에 크게 좌우된다.
콘센트가 물에 잠기었을 때 그 물이나 물을 통해 통전된 금속 하우징 등에 인체가 접촉하면 콘센트의 전류는 물과 인체를 거쳐 접지면인 지면으로 흐른다. 이때 인체는 피부가 비에 젖어 있기 쉽고 그 경우 접촉 저항이 극히 낮으므로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7986호(2005. 4. 25)에서 나충전부에 금속 재질의 금속판 또는 금속망을 부착하여 침수될 경우 나충전부에서 누설되는 전류가 도전성 금속판 또는 금속망으로 통전되어 감전 사고를 방지하는 침수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진 감전 방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금속판 또는 금속망은 단자대들 중 중성선 및 어스 단자에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금속판의 크기는 대략 50 cm x 30 cm 이다.
이 기술은 그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지 않으나 아마도 침수시 침수된 도체 사이에 물과 인체를 통한 저항보다 훨씬 낮은 저항이 되는 상태로 금속판을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인체와 병렬로 구성함으로써 인체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판 또는 금속망은 단자대에 별도의 전선으로 연결되고 부피가 크므로 설치에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7986호(2005. 4. 25)
본 발명은 물과 같은 액체 콘센트가 침수되어도 전류가 액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침수가 되어도 계속하여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가 내측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안착홈 일부에 설치되며,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플러그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플러그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안착홈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전원 공급선간에 연결되어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감전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감전 방지부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제1리드선에 연결되는 제1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제2리드선에 연결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선의 제3리드선에 연결되는 제3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선의 제4리드선에 연결되는 제4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3단자 사이에 연결되되, 그 폭은 제1리드선의 두께보다 넓고 그 길이는 제1리드선의 두께보다 길며, 그 폭과 길이는 각각 제1리드선의 반지름의 2배 이상이고, 그 폭과 길이의 곱인 면적은 제1리드선의 단면적의 4배 이상 100,000배 이하인 제1평판형 도전체와;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제4단자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는 제2평판형 도전체와;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와 제2평판형 도전체를 전기적으로 이격시켜 고정하는 부도체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와 제2평판형 도전체의 재질이 구리(Cu)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부도체 하우징은 제1평판형 도전체와 제2평판형 도전체를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와 전원 공급선간에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감전 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침수 등에 의해 콘센트가 액체에 노출되어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의 감전 방지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의 감전 방지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가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100)는 몸체(110)와, 덮개(120)와, 전원공급단자(130)와, 플러그 삽입홈(140)과, 감전 방지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내측에 안착홈(111)이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그라미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덮개(120)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110)에 덮개(120)를 결합하는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출원 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30)는 상기 몸체(110)의 안착홈(111) 일부에 설치되며, 플러그(200)가 결합되어 전기를 플러그로 공급한다. 즉, 이 전원공급단자(130)가 전극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플러그 삽입홈(140)은 상기 덮개(120)에 형성되며, 플러그(200)가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200)는 이 플러그 삽입홈(140)을 통해 삽입되어, 전극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공급단자(130)에 접속됨으로써 상용 전원이 플러그를 통해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기기(도면 도시 생략)로 인가된다.
상기 감전 방지부(150)는 상기 몸체(110)의 안착홈(111)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130)와 전원 공급선(160)간에 연결되어 전류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의 감전 방지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의 감전 방지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전 방지부(150)는 제1단자(151)와, 제2단자(152)와, 제3단자(153)와, 제4단자(154)와, 제1평판형 도전체(155)와, 제2평판형 도전체(156)와, 부도체 하우징(1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151)는 상기 전원공급단자(130)의 제1리드선(131)에 연결된다. 상기 제2단자(152)는 상기 전원공급단자(130)의 제2리드선(132)에 연결된다. 상기 제3단자(153)는 상기 전원 공급선(160)의 제3리드선(161)에 연결된다. 상기 제4단자(154)는 상기 전원 공급선(160)의 제4리드선(162)에 연결된다.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155)는 상기 제1단자(151)와 상기 제3단자(153) 사이에 연결되되, 그 폭은 제1리드선(131)의 두께보다 넓고 그 길이는 제1리드선(131)의 두께보다 길며, 그 폭과 길이는 각각 제1리드선의 반지름의 2배 이상이고, 그 폭과 길이의 곱인 면적은 제1리드선의 단면적의 4배 이상 100,000배 이하이다. 상기 제2평판형 도전체(156)는 상기 제2단자(152)와 상기 제4단자(154)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155)와 동일한 규격을 가진다. 상기 부도체 하우징(157)은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155)와 제2평판형 도전체(156)를 전기적으로 이격시켜 고정한다.
통상 제1단자(151)에 나사로 체결되는 제1리드선(131)과 제2단자(152)에 나사로 체결되는 제2리드선(132)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동일한 규격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통상 제3단자(153)에 나사로 체결되는 제3리드선(161)과 제4단자(154)에 나사로 체결되는 제4리드선(162)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동일한 규격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센트는 통상 제1리드선(131)과 제3리드선(161)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동일한 전선이며, 제2리드선(132)과 제4리드선(162)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동일한 전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단자(151), 제2단자(152), 제3단자(153), 제4단자(154)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각각 혹은 한 쌍씩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단자들은 제1평판형 도전체(155) 및 제2평판형 도전체(156)의 양단에 직접 천공한 나사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부도체 하우징(157)에 밀착되고 나사와 부도체 하우징(157) 사이에서 피복이 벗겨진 도선의 고정을 도와주는 보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은 제1평판형 도전체(155) 및 제2평판형 도전체(156)의 일단에 압착 고정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자들은 전선을 상기 평판형 도전체의 양단에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부도체 하우징(157)은 상기 단자와 상기 평판형 도전체들을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구조체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2선식에 적용되므로 부도체 하우징(157)은 두 개의 평판형 도전체들을 고정하지만 3선식의 경우 3 개의 평판형 도전체들을 고정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부도체 하우징은 부도체인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침수 상태에서 평판형 도전체가 최대한 서로 노출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부도체 하우징은 평판형 도전체의 양단 일부분을 고정하며 평판형 도전체의 대부분은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노출되는 형상이 되도록 부도체 하우징의 구조가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형 도전체는 부도체 하우징의 바깥 외곽선보다 낮은 높이로 고정되어 설치 시 혹은 설치 후 노출된 평판형 도전체에 조작자가 부주의에 의해 접촉하여 감전되는 것을 줄인다.
구체적으로, 부도체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된 4개의 기둥은 평판형 도전체를 단자에 의해 고정하는데, 이들 기둥은 그 기둥에 고정된 평판형 도전체보다 약간 더 높게 돌출된다.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부도체 하우징(157)이 제1평판형 도전체(155)와 제2평판형 도전체(156)를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전기적으로 볼 때 콘센트가 물에 잠겼을 때 두 평판형 도전체 사이에 물이 가득 차고, 결국 두 평판형 도전체 사이에 물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적 저항체가 된다.
전기 저항은 저항체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평판형 도전체가 서로 대향할 때 단면적이 최대가 되고 길이가 최소가 되어 전기 저항이 최소로 된다. 이에 따라 인체와 접지면에 대해 병렬로 연결될 때 더 저항이 큰 인체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155)와 제2평판형 도전체(156)가 대향하는 채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콘센트는 침수로부터 보호하고자하는 대상 전기기기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등의 경우 하부에 노출된 제어기는 방수된 공간에 설치되지만 이 공간에 빗물 등이 차게 되면 주변 사람들은 감전의 위험에 놓이게 된다.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는 이 방수 공간에 설치되면서 제어기보다 낮은 위치로 설치되어 제어기가 침수되는 시점보다 먼저 침수되고 이로 인해 먼저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평판형 도전체(155)와 제2평판형 도전체(156)의 재질이 구리(Cu)일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평판형 도전체의 재질이 철, 알루미늄일 때보다 구리인 경우가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가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실험은 수조(502)에 물을 채우고 일단이 상용 전원의 콘센트에 연결된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100)를 수조(502)에 담그고, 콘센트(100)에 전자기기인 램프(505)의 플러그를 접속하여 램프를 수조 바깥에 노출시키고 수조의 물은 접지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때,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100)가 물에 잠겼음에도 불구하고 램프(505)에 불이 켜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실험자(509)가 전선의 노출된 일단을 잡고 노출된 타단을 수조에 담근 상태에서 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류계(507)로 측정한다. 실험자(509)가 직접 실험할 경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인체 대신에 인체와 유사한 도전 성질을 가지는 동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아래 <표 1>은 다양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가진 평판형 도전체에 대해 실험을 반복한 결과이다. 전원은 220V/60Hz의 상용전원을 사용하였고, 부하는 120W 백열등을 연결하였으며, 대향하는 두 평판형 도전체 사이의 간격은 10mm 이다. 또한 사용한 전선은 지름 1.8mm 의 원통형 도체를 포함한다. 아래 표에서 가로는 평판형 도전체의 폭이며, 세로는 길이를 나타내고 측정치는 mA 단위이다.
길이\폭 0.9mm 1.8mm 3.6mm 7.2mm 14.4mm 28.8mm
0.9mm 13.12 12.51 12.07 11.42 11.03 10.02
1.8mm 12.52 2.52 1.10 0.90 0.75 0.67
3.6mm 12.05 1.10 0.95 0.75 0.67 0.37
7.2mm 11.41 0.90 0.75 0.67 0.37 0.21
14.4mm 11.02 0.75 0.67 0.37 0.21 0.11
28.8mm 10.03 0.67 0.37 0.21 0.11 0.05
57.6mm 9.81 0.37 0.21 0.11 0.05 0.01
실험 결과는 모든 평판형 도전체의 싸이즈에 대해 인체를 통과하는 전류는 미약하여 문제가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실험은 단상 교류가 수조의 물을 통해 흐르면 입체 저항체인 물 안에서 전압 강하가 일어나고, 인체가 접촉시 물과 접지면 사이에 인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물에 담그는 위치에 따라 단상 교류의 중간값 전후로 결정되므로 일반적인 단상 교류에 직접 접촉한 경우보다 실제로는 훨씬 낮은 교류 전원에 노출되는 셈이 되어 초래되는 결과로 추정된다.
아래 데이터는 위 실험과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단지 수조속의 물에 접지선을 담구어 물을 접지시킨 상태에서의 실험 결과이다. 가로등 등이 침수될 경우 물이 지면에 전기적으로 닿아 접지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전기 설비가 침수된 상태에 좀 더 가까운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도 누설전류의 량은 크게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길이\폭 0.9mm 1.8mm 3.6mm 7.2mm 14.4mm 28.8mm
0.9mm 13.21 12.79 12.21 11.68 11.12 10.13
1.8mm 12.79 2.54 1.12 0.92 0.77 0.69
3.6mm 12.21 1.12 0.97 0.77 0.69 0.39
7.2mm 11.68 0.92 0.77 0.69 0.39 0.23
14.4mm 11.12 0.77 0.69 0.39 0.23 0.13
28.8mm 10.13 0.69 0.39 0.23 0.13 0.07
57.6mm 10.01 0.39 0.23 0.13 0.07 0.03
아래 데이터는 수조속 평판형 도전체 주변의 누설전류량을 거리별로 측정한 결과이다. 이 실험을 통해 도전선상의 누설전류와 평판형 도전체 주변의 누설전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면적\거리 0cm 5cm 10cm 15cm
14.4mm x 28.8mm 0.304 0.230 0.170 0.120
28.8mm x 28.8mm 0.605 0.054 0.009 0.005
위 실험결과는 대향하는 평판형 도전체 사이의 공간 주위에 대부분의 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을 추정케 한다. 평판형 도전체를 설치하기전 노출된 두 전선 간에는 943V/m의 전계가 형성되었으나, 평판형 도전체를 설치후 두 평판형 도전체 사이에는 측정한계치인 1,999V/m을 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은 두 평판형 도전체 사이의 물이라는 전기적 저항체의 중간 부분이 접지된 상태로 전기회로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인체는 이 전기적 저항체와 접지면 사이에 연결되는 또다른 저항체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인체라는 저항체와, 두 평판형 도전체와 접지면 사이에 연결된 물이라는 저항체들이 전기회로적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인체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은 기존의 전기회로적인 해석으로 이해가 될 수 있다.
<표 1>과 <표 2>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수조의 물을 접지한 경우나 그렇지 않은 경우나 측정값은 큰 차이가 없어 감전의 위험이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평판형 도전체의 폭이나 길이 중 하나라도 도전체의 지름보다 더 좁거나 짧아지면 흐르는 전류량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감전 위험의 증가를 의미한다.
또한, <표 1>과 <표 2>의 실험 결과를 통해 인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평판형 도전체의 면적과 원통형 전선의 단면적의 비에도 관련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평판형 도전체의 면적이란 평판형 도전체의 평판 모양에서 폭과 길이를 곱한 값을 말한다. <표 2>의 실험 결과를 분석하면 전선의 반경을 r이라 하면, 전선의 폭은 2r이고, 전선의 단면적은 πr2 이므로, 예를 들어 <표 2>의 첫 행에서 평판형 도전체의 면적은 (r)(r)=r2, (r)2r=2r2, (r)(4r)=4r2, (r)(8r)=8r2, (r)(16r)=16r2, (r)(32r)=32r2 등에 해당하고, 평판형 도전체의 면적과 전선 단면적과의 비는 1/π=0.32, 2/π=0.64, 4/π=1.27, 8/π=2.55, 16/π=5.09, 32/π=10.19 등이 된다.
현실적으로 전기 설비가 침수된 상태에 좀 더 가까운 상태인 물이 접지된 상태일 경우인 <표 2>에서 평판형 도전체의 면적과 원통형 전선의 단면적의 비가 대략 1.27 이하일 때 기준치인 2.54mA 이상의 전류가 흘렀으며, 5.09배 일 경우 기준치 0.97mA 의 전류가 흘렀다. 본 실험을 통해 평판형 도전체의 길이와 폭이 각각 원통형 전선 반지름의 2배 이상이고, 평판형 도전체의 면적이 대략 원통형 전선의 단면적의 4배 이상일 경우 일반적인 상태에서 인체에 위험하지 않는 정도의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다.
평판형 도전체가 클수록 제조원가가 올라갈 뿐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실용상 문제가 생긴다. 통상 도선 지름이 2mm 정도라면 단면적이 3.14 mm2 인데, 그 100,000배라면 3,140cm2 이고, 이는 평판형 도전체의 폭이 10cm 일때 길이가 314cm 인 것으로 도선의 크기에 비해 과도한 크기이므로 상업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시된 또 암시된 양상으로부터 당업자가 도출할 수 있는 자명한 변형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삼상 전력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자명한 변형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별도의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라는 전기 설비를 예로 들었으나,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는 다른 전기 설비, 예를 들면 차단기, 단자대, 플러그, 밧데리, 각종 전기기기 등에 내장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전기기기 내부의 송배전 경로 상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두 개의 평판형 도전체를 삽입하는 설계 변경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라는 표현은 이러한 다양한 전기 설비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콘센트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콘센트
110 : 몸체
120 : 덮개
130 : 전원공급단자
140 : 플러그 삽입홈
150 : 감전 방지부
151 : 제1단자
152 : 제2단자
153 : 제3단자
154 : 제4단자
155 : 제1평판형 도전체
156 : 제2평판형 도전체
157 : 부도체 하우징

Claims (4)

  1. 내측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안착홈 일부에 설치되며,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플러그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플러그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안착홈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전원 공급선간에 연결되어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감전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 방지부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제1리드선에 연결되는 제1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제2리드선에 연결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선의 제3리드선에 연결되는 제3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선의 제4리드선에 연결되는 제4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3단자 사이에 연결되되, 그 폭은 제1리드선의 두께보다 넓고 그 길이는 제1리드선의 두께보다 길며, 그 폭과 길이는 각각 제1리드선의 반지름의 2배 이상이고, 그 폭과 길이의 곱인 면적은 제1리드선의 단면적의 4배 이상 100,000배 이하인 제1평판형 도전체와;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제4단자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는 제2평판형 도전체와;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와 제2평판형 도전체를 전기적으로 이격시켜 고정하는 부도체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판형 도전체와 제2평판형 도전체의 재질이 구리(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 하우징은 제1평판형 도전체와 제2평판형 도전체를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KR1020130116731A 2013-01-09 2013-09-30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KR10151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59,916 US9960519B2 (en) 2013-01-09 2013-10-22 Electrode structure with electric-shock prevention function
PCT/KR2013/009404 WO2014109462A1 (ko) 2013-01-09 2013-10-22 감전방지 기능을 가진 전극 구조체
JP2015552563A JP6101364B2 (ja) 2013-01-09 2013-10-22 感電防止機能を有した電極構造体
CN201380071082.2A CN104969416B (zh) 2013-01-09 2013-10-22 具有防电击功能的电极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2669 2013-01-09
KR1020130002669 2013-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45A KR20140090545A (ko) 2014-07-17
KR101513265B1 true KR101513265B1 (ko) 2015-04-17

Family

ID=5116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731A KR101513265B1 (ko) 2013-01-09 2013-09-30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3265B1 (ko)
WO (1) WO201410943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589B1 (ko) * 2020-08-14 2021-06-29 주식회사 아이티이 침수 시에 감전을 방지하는 배전시스템 및 단자대
KR102350771B1 (ko) * 2021-07-01 2022-01-13 김민원 누설 전류 차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6Y1 (ko) 2007-10-01 2009-07-08 한국전기안전공사 수중 인체 전격 방지를 위한 안전 콘센트
KR101197414B1 (ko) 2012-07-20 2012-11-05 (주)디에이치코프 침수 시 누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6Y1 (ko) 2007-10-01 2009-07-08 한국전기안전공사 수중 인체 전격 방지를 위한 안전 콘센트
KR101197414B1 (ko) 2012-07-20 2012-11-05 (주)디에이치코프 침수 시 누전방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향곤외2, 'LED 가로등 및 경관조명의 직류 누전 특성 분석', 전기학회논문지 60권 4호 2011년 4월, pp885-89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9432A2 (ko) 2014-07-17
KR20140090545A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493B1 (ko) 도전체의 배치와 형상에 제한이 없는 감전방지 및 누설전류 제한장치
KR101197414B1 (ko) 침수 시 누전방지장치
KR200445226Y1 (ko) 수중 인체 전격 방지를 위한 안전 콘센트
MX2019005204A (es) Toma electrica de alto voltaje montada sobre pcb.
US9960519B2 (en) Electrode structure with electric-shock prevention function
KR101400711B1 (ko) 전기 설비용 감전 방지 장치
KR101513265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CN107449941A (zh) 具有法拉第罩的测试块
KR20140110696A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진 전극 구조체
US9190746B2 (en) High-voltage resistance for a connector attached to a circuit board
KR20160149610A (ko) 누전 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
US20170040744A1 (en) Power inlet socket for provid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
KR101408017B1 (ko) 입상주 감전방지장치
KR101404806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진 전력 차단기
KR100425423B1 (ko) 전자파를 흡수, 제거하는 접지 플러그
KR101496836B1 (ko) 전기 설비용 통형 감전 방지 장치
CA2899422C (en) Printed shield with grounded matrix and pass through solder point systems and methods
FI80828C (fi) Anordning foer vaermning av en vattenbaedd.
WO2014109462A1 (ko) 감전방지 기능을 가진 전극 구조체
US10278892B2 (en) Printed shield with grounded matrix and pass through solder point systems and methods
KR102671149B1 (ko) 침수된 전기설비의 3상 4선식 상간전류 및 누설전류 제한장치
KR102722297B1 (ko) 누설전류 회수 기능을 갖는 3상3선향 감전 방지 단자대
JPH0543163B2 (ko)
TWI438981B (zh) 電源供應連接器
CN202221833U (zh) 一种新型的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