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941B1 -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941B1
KR101512941B1 KR1020140083128A KR20140083128A KR101512941B1 KR 101512941 B1 KR101512941 B1 KR 101512941B1 KR 1020140083128 A KR1020140083128 A KR 1020140083128A KR 20140083128 A KR20140083128 A KR 20140083128A KR 101512941 B1 KR101512941 B1 KR 10151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pressure
low
flar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희
Original Assignee
유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희 filed Critical 유성희
Priority to KR102014008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9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Y02B3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관 및 저압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일단 및 상기 저압관의 일단에 각각 차지니플(charge nipple) 및 압력 게이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지니플 및 상기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각각 구비된 플레어 너트에 플레어 볼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차지니플을 통해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어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플레어 너트를 각각 실내기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어 볼트를 플레어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용접 과정 없이 고압 및 저압의 냉매 배관을 밀폐하여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고압관 및 저압관을 실내기 및 실외기에 배치하기 이전 단계인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지상에서 할 수 있어 고소작업 시간을 줄여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Method for leak test of refrigerant pipe of air conditioner using flare bolt}
본 발명은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냉매 배관을 설치하고 배관을 실내기 및 실외기와 연결하기 이전에 실외기와 연결되는 고압관(P1)의 일단 및 저압관(P2)의 일단에 각각 차지니플(20)(charge nipple) 및 압력게이지(30)를 연결하고, 실내기(IU)와 연결되는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얇은 모세관(10)을 삽입하여 용접한 후에, 차지니플(20)을 통해 질소 가스를 투입하여 압력게이지(30)의 압력 변화를 관찰한다.
즉, 차지니플(20)이 연결되어 있는 고압관(P1)의 질소 가스가 압력 게이지(30)로 흐를 수 있도록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을 모세관으로 용접하여 압력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냉매 배관의 누설을 검사한다.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마친 후 모세관(10)으로 용접한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을 각각 실내기(IU)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용접부위를 절단한 후에 플레어 너트(N)를 체결하여 실내기(IU)와 연결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모세관(10)을 연결한 후에 용접하여 누설 검사를 하는 경우 용접작업으로 인해 용접열이 전달되는 부분의 동관은 그을림이 발생하는 동시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변질된 상당 부분을 잘라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변질된 부분을 충분히 잘라내지 않고 실내기와 연결하는 경우 연결된 부위에 냉매 가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3807 (2012.11.20), "에어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 누설 검사장치"
본 발명은 용접 없이 플레어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할 수 있는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용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은 고압관 및 저압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일단 및 상기 저압관의 일단에 각각 차지니플(charge nipple) 및 압력 게이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지니플 및 상기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각각 구비된 플레어 너트에 플레어 볼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차지니플을 통해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어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플레어 너트를 각각 실내기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어 볼트는 결합부, 경사부, 고무패킹, 및 조임부를 포함하고,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플레어 너트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경사부가 상기 플레어 너트 내주면의 테이퍼진 일단과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경사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진 상기 고무패킹이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과 상기 경사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고압관의 타단과 상기 저압관 의 타단을 밀폐시키며,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조임부가 회전되어 상기 플레어 너트로부터 상기 플레어 볼트가 결합 또는 분리된다.
더욱이,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고압관 및 상기 저압관의 밀폐를 강화하도록 가장자리부가 상기 경사부의 테이퍼진 외면을 따라 확장되어 상기 경사부에 밀착되어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와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플레어 너트를 끼워 결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을 확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고압관 및 상기 저압관을 실내기 및 실외기에 체결하기 이전에 지상에서 작업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플레어 볼트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고압관 및 상기 저압관의 직경에 따라 구비되는 플레어 너트의 직경에 따라 외주면이 5mm 내지 20mm 직경의 플레어 볼트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냉매 배관의 누설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어 너트를 각각 실내기에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압관의 일단 및 상기 저압관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 상기 차지니플 및 상기 압력 게이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고압관의 일단 및 상기 저압관의 일단을 각각 실외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에 의하면,
첫째, 플레어 볼트를 플레어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용접 과정 없이 냉매 배관을 밀폐하여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할 수 있으므로, 자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고압관 및 저압관을 실내기 및 실외기에 배치하기 이전 단계인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지상에서 할 수 있어 고소작업 시간을 줄여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플레어 볼트는 결합부, 경사부, 고무패킹 및 조임부를 포함하여 냉매 배관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고무패킹에 의해 냉매 배관의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고, 고무패킹만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무패킹의 타단이 확장되도록 구비하여 냉매 배관의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다섯째, 외주면의 직경 5mm 내지 20mm 범위인 플레어 볼트를 구비하여 냉매 배관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종료 후 냉매 배관을 실내기와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어 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어 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어 볼트(100)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P1, P2)의 누설 검사 방법은 단계 S110 내지 S190을 포함한다.
먼저, 단계 S110은 고압관(P1) 및 저압관(P2)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계 S11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실내기(IU)와 체결이 용이하도록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플레어 너트(N)를 끼워 결합하는 단계 S111과, 그리고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을 확관하는 단계 S112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단계 S120은 고압관(P1)의 일단 및 저압관(P2)의 일단에 각각 차지니플(20) 및 압력 게이지(3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단계 S130은 차지니플(20) 및 압력 게이지(3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즉, 후술할 차지니플(20)을 통해 주입되는 질소 가스의 압력 변화를 압력 게이지(30)를 통해 확인하여 냉매 배관(P1, P2)의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지니플(20)과 압력 게이지(3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40은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플레어 볼트(1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플레어 볼트(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플레어 볼트(100)는 결합부(110), 경사부(120), 고무패킹(130) 및 조임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0)는 플레어 너트(N)와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갖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경사부(120)는 결합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고무패킹(130)은 경사부(120) 탈착 가능하게 끼워진다. 고무패킹(130)은 경사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되어 경사부(120)에 캡 형태로 끼워진다. 고무패킹(130)은 냉매 배관(P1, P2)의 테이퍼진 일단과 경사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플레어 너트(N)에 삽입된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을 밀폐시킨다. 나아가, 고무패킹(130)은 상면이 냉각 배관(P1, P2)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경사부(120)와 결합하는 저면의 중심부가 경사부(120)의 홈에 끼워지며, 상기 저면의 가장자리 부분은 경사부(120)의 테이퍼진 외면을 따라 확장되어 경사부(120)에 밀착 결합되므로, 냉매 배관(P1, P2)의 밀폐를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조임부(140)는 결합부(1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렌치와 같은 도구에 의해 조작되어 플레어 너트(N)로부터 플레어 볼트(100)를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40은 플레어 볼트(100)를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구비된 플레어 너트(N)와 결합하여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을 밀폐시키는 단계이다.
나아가, 플레어 볼트(100)를 결합하는 단계 S140은 고압관(P1) 및 저압관(P2)의 직경에 따라 외주면이 5mm 내지 20mm 직경의 플레어 볼트(100)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즉, 플레어 볼트(100)는 결합부(110)의 외주면의 직경이 5mm 내지 20mm 로 구비될 수 있으며, 냉매 배관(P1, P2)의 직경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0은 차지니플(20)을 통해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압력 게이지(30)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고압관(P1)의 일단 및 저압관(P2)의 일단에는 각각 차지니플(20) 및 압력 게이지(30)를 배치하고,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은 플레어 볼트(100)로 밀폐하여, 차지니플(20)을 통해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 밀폐된 냉매 배관(P1, P2)의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압력 게이지(30)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냉매 배관(P1, P2)의 누설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0은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으로부터 플레어 볼트(10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계 S110 내지 단계 S150 즉, 고압관(P1) 및 저압관(P2)을 배치하는 단계 S110 내지 압력 게이지(30)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S150은 고압관(P1) 및 저압관(P2)을 실내기(IU) 및 실외기(OU)에 체결하기 이전에 지상에서 작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소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단계 S170은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구비된 플레어 너트(N)를 각각 실내기(IU)에 체결하는 단계이다.
즉, 단계 S150을 통해 냉매 배관(P1, P2)의 누설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각각 결합했던 플레어 볼트(100)를 제거하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고압관(P1)의 타단 및 저압관(P2)의 타단에 각각 배치된 플레어 너트(N)를 이용하여 실내기(IU)에 체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단계 S180은 고압관(P1)의 일단 및 저압관(P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 차지니플(20) 및 압력 게이지(3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단계 S190은 고압관(P1)의 일단 및 저압관(P2)의 일단을 각각 실외기(OU)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즉, 단계 S150을 통해 냉매 배관(P1, P2)의 누설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압관(P1)의 일단 및 저압관(P2)의 일단에 각각 결합했던 차지니플(20) 및 압력 게이지를 제거하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고압관(P1)의 일단 및 저압관(P2)의 일단을 실외기(OU)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플레어 볼트 110...결합부
120...경사부 130...고무패킹
140...조임부 N...플레어 너트
P1...고압관 P2...저압관
IU...실내기 OU...실외기

Claims (8)

  1. 고압관 및 저압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일단 및 상기 저압관의 일단에 각각 차지니플(charge nipple) 및 압력 게이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지니플 및 상기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각각 구비된 플레어 너트에 플레어 볼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차지니플을 통해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어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플레어 너트를 각각 실내기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와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에 플레어 너트를 끼워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을 확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어 볼트는 결합부, 경사부, 고무패킹, 및 조임부를 포함하고,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부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어 너트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경사부가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플레어 너트 내주면의 테이퍼진 일단과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경사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진 상기 고무패킹이 상기 고압관의 타단 및 상기 저압관의 타단과 상기 경사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고압관의 타단과 상기 저압관 의 타단을 밀폐시키며,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조임부가 회전되어 상기 플레어 너트로부터 상기 플레어 볼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고압관 및 상기 저압관의 밀폐를 강화하도록 가장자리부가 상기 경사부의 테이퍼진 외면을 따라 확장되어 상기 경사부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을 배치하는 단계 내지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고압관 및 상기 저압관을 실내기 및 실외기에 체결하기 이전에 지상에서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 볼트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고압관 및 상기 저압관의 직경에 따라 구비되는 플레어 너트의 직경에 따라 외주면이 5mm 내지 20mm 직경의 플레어 볼트 중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게이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냉매 배관의 누설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 너트를 각각 실내기에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압관의 일단 및 상기 저압관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 상기 차지니플 및 상기 압력 게이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고압관의 일단 및 상기 저압관의 일단을 각각 실외기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KR1020140083128A 2014-07-03 2014-07-03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Active KR10151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28A KR101512941B1 (ko) 2014-07-03 2014-07-03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28A KR101512941B1 (ko) 2014-07-03 2014-07-03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941B1 true KR101512941B1 (ko) 2015-04-16

Family

ID=5305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28A Active KR101512941B1 (ko) 2014-07-03 2014-07-03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9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79B1 (ko) * 2015-09-22 2016-05-11 성기천 기밀 테스트용 배관 연결관, 이를 결합한 스테인리스 배관 및 스테인리스 배관 형성방법
KR20220153192A (ko) 2021-05-11 2022-11-18 박경준 매립 배관 구조의 에어컨 설치 방법 및 이를 위한 도구
CN116929673A (zh) * 2023-09-15 2023-10-24 武汉天运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用阀类零件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667Y1 (ko) * 2001-03-15 2001-10-08 (주) 월드두성 기밀검사용 너트
KR20050029578A (ko) * 2003-09-23 2005-03-28 박한균 배관 누설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667Y1 (ko) * 2001-03-15 2001-10-08 (주) 월드두성 기밀검사용 너트
KR20050029578A (ko) * 2003-09-23 2005-03-28 박한균 배관 누설 테스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79B1 (ko) * 2015-09-22 2016-05-11 성기천 기밀 테스트용 배관 연결관, 이를 결합한 스테인리스 배관 및 스테인리스 배관 형성방법
KR20220153192A (ko) 2021-05-11 2022-11-18 박경준 매립 배관 구조의 에어컨 설치 방법 및 이를 위한 도구
CN116929673A (zh) * 2023-09-15 2023-10-24 武汉天运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用阀类零件检测装置
CN116929673B (zh) * 2023-09-15 2023-12-12 武汉天运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用阀类零件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760A (en) Testable bulkhead
KR101512941B1 (ko) 플레어 볼트를 이용한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 방법
KR101192595B1 (ko) 누설 테스트 장치 및 누설 테스트 방법
US8096590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iping
KR20200008939A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 배관 연결구
JP5616715B2 (ja) 配管の施工確認方法
KR101607070B1 (ko)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용 플레어 볼트
US20130099488A1 (en) O-ring shield system and method
CN204647624U (zh) 一种真空低温管道连接密封结构
CN205958208U (zh) 发动机燃烧室气密性检测装置
KR20130005163U (ko) 배관 기밀 시험용 지그
US20150211436A1 (en) Method for repair of cylinder block including water ferrule
KR100938439B1 (ko) 배관의 압력시험용 수압 캡
US6755216B1 (en) Method of repairing an un-isolatable leak in a piping system and apparatus and components for accomplishing the same
CN106402662B (zh) 一种管道流体泄漏检测装置
CN205246296U (zh) 一种管道微漏检测装置
JP2000155069A (ja) 漏水検査用プラグ
US10352633B2 (en) Flow passage connect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CN108679295B (zh) 一种用于检测燃气表阀门泄露的检测设备及其使用方法
CN110397739B (zh) 管道地漏系统施工方法及压力试验装置
JP3174164U (ja) テストプラグ
GB2460912A (en) An annular gasket
CN2795615Y (zh) 大口径塑料管材、管件耐压试验用密封接头
US11054155B2 (en) Resin-coated aluminum pipe connector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CN211740491U (zh) 一种管道类设备打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