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866B1 -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 - Google Patents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866B1
KR101512866B1 KR1020097024917A KR20097024917A KR101512866B1 KR 101512866 B1 KR101512866 B1 KR 101512866B1 KR 1020097024917 A KR1020097024917 A KR 1020097024917A KR 20097024917 A KR20097024917 A KR 20097024917A KR 101512866 B1 KR101512866 B1 KR 10151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element
plate
dental implant
hole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486A (ko
Inventor
다니엘 귄터
라이너 밤머린
Original Assignee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filed Critical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Publication of KR2010001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요소 (1) 의 중심 축선 (Z) 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덴탈 임플란트가 안정된 위치에서 분리가능하게 고착되도록 설계된, 제 1 플레이트 (3) 와 제 2 플레이트 (6) 를 갖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 (3, 6) 는 개방 영역 (5) 에 의해 분리된다.
덴탈 임플란트, 수용 요소, 플레이트, 개방부.

Description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RECEIVING ELEMENT FOR AN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특히 나사 또는 실린더 형상의 임플란트의 수용 요소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임플란트는 예컨대 치과 기술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나사와 유사한데, 나사의 정점 영역은 뼈에 삽입되고 두정 (coronal) 영역은 치과 인공보철물에 수용되는데 적합하다. 또한, 치과 수술시, 한편으로는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용 요소로부터 무균 제거될 수 있게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다른 실시형태의 홀딩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홀딩 요소는 임플란트가 제조시로부터 수술 개입시까지 손과 같은 비 무균 수단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관련 적용 분야는 필요한 무균 취급의 이유로 임플란트를 사람의 손에 적어도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하는 분야 및 임플란트의 확실한 파지를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그러한 수용 요소는 임플란트를 안전하게 운반하고, 저장을 위해 무균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무균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수술 개입시 임플란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홀딩요소를 구비하는 수용 요소 (이하에서는 임플란트와 이에 부착된 홀딩요소의 조합물을 간단히 임플란트 조립체라고 칭함) 로부터, 예컨대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공구에 의하여 임플란트를 꺼내고, 이어서 그 임플란트는 환자의 준비된 임플란트 위치에 위치되고 홀딩 요소는 제거된다. 추가적인 보호를 위해서, 임플란트 시술시까지 수용 요소를 2 차 보호 요소에 저장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WO98/55039 로부터 임플란트를 수용하는데 적합하며 외측 캡슐에 삽입되는 실린더형 앰플 (ampule) 이 공지되어 있다. 앰플은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리세스는 임플란트와, 이 임플란트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홀딩 요소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조립체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임플란트 조립체가 개구를 관통하여 눌려져 앰플의 쓰로트 (throat) 안에 제자리에 고정된다. 충분한 고정을 위해서는, 임플란트가 압입될 때 유효 (substantial) 압력이 가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앰플 및 수용 요소의 강성 구조로 인해 구조재는 발생된 힘이 확장 홈과 실린더형 표면 모두를 따라 전파되므로 유효 응력을 받게 된다. 압력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쓰로트내에 조임 효과를 저감시키며 심지어는 오프셋시킬 수 있는 크랙이 면측 (face side) 으로 형성될 위험이 있다. 또한, 강성 구조로 인해 리세스는 오직 작은 개구각을 가지는 경우 오직 큰 힘을 이용하여야만 삽입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비교적 좁은 확장 홈 영역에서만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실린더형 표면은 확장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세스의 개구 각이 커지면, 양호한 조임 거동을 희생하여 덴탈 임플란트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며, 이로써 임플란트는 리세스 밖으로 용이하게 미끌어져서 비 무균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 더욱 불리하게는 임플란트가 예 를 들면 작업 테이블로부터 플로어로 낙하될 때 손상을 입게 될 수 있다. 또, 앰플의 면측은 비교적 작은 단면을 가지며, 임플란트와 쓰로트의 내부 사이의 전체 유지력은 상기 좁은 영역으로 제한되며, 그 유지력 또는 삽입 인출력 (withdrawal force) 각각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가 홀더로부터 제거될 때 압력 또는 압축에 의해 증가한다. 이러한 점은 임플란트 상의 파지를 증진시켜 제거 공정을 제어하기 어렵게 만든다.
게다가, 저장 시간이 더 길어지면 조임 영역이 약해질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임플란트가 더 이상 완전한 조임력을 가지고 유지될 수 없게 되게 되고, 이로써 임플란트가 앰플내에서 진동하게 되어 앰플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내려 놓아지면 실린더형 앰플은 파지를 어렵게 만드는 특정 영역내에서 그 앰플의 축선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덴탈 임플란트를 수용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장치의 전술한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덴탈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자리에 더욱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덴탈 임플란트 어셈블리가 수용 요소의 구조에 위치될 때 발생하는 힘을 더욱 양호하게 전환시키며 제거 (carry off) 할 수 있는 수용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더욱 간단하고 안전한 취급이 제공되어야 하며, 기존의 기술로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야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안정성 및 힘의 전환성을 가지는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수용 요소는 전술한 단점을 회피한다.
상기 목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더 양호하게 보호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 요소를 더욱 쉽고 더욱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지된 방법으로 수용 요소를 쉽게 그리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과 이하의 명세서에서 발견될 다른 목적이 청구항 1 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가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인 수용 요소의 구조적 특징은, 수용 요소를 유지시키는 헤드 영역이 본체로부터 거의 분리되어서 덴탈 임플란트가 홀더로부터 상기 목적을 위해 제공된 개구를 통해 제거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힘이 효과적으로 전환되고 및/또는 완전히 제거된다.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본체부에는 덴탈 임플란트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개방측이 제공되어 있다. 또, 헤드 영역은 덴탈 임플란트와 조임 연결되는데 적합한 제 1 면과, 덴탈 임플란트가 본체부의 내부 벽을 닿지 않게 하는 제 2 면을 구비한다.
더 나아가, 수용 요소의 일측에는 작업 테이블과 같은 표면상에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는, 수용 요소가 본체 영역내에 한편으로는 외측벽을 보강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양호하게 파지되게 하는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 그리고,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작동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을 도시하며 이 도면은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대부분 요소들이 명백하게 "반복적인 요소" 라고 인정될 수 있는 한 이하 도면에 동일한 요소에는 도면부호를 표시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를 화살표 방향으로 선 A-A 를 따라 취한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를 화살표 방향으로 선 B-B 를 따라 취한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1 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를 화살표 방향으로 선 F-F 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1 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를 화살표 방향으로 선 D-D 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도 1 에 따른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용 요소
2 전방면
3 제 1 플레이트
4 제 1 숄더
4' 제 2 숄더
5 죠오형 부분
6 제 2 플레이트
7 본체
8 보강 리브
9 기부면
10 둘레 에지부
11 저부
12 기립 영역
13 편평한 저부
14 저부 에지부
15 헤드 에지부
16 편평한 헤드 영역
17 모따기부
18 기다란 제 1 구멍
19 기다란 제 2 구멍
20 제 1 돌출부
21 제 2 돌출부
22 모따기된 레그
23 제 1 관통 구멍
24 제 2 관통 구멍
25 환형부
26 제 1 모따기부
27 제 2 모따기부
28 제 1 삽입 에지부
29 제 2 삽입 에지부
30 제 1 안내 레일
31 제 2 안내 레일
32 정지부
33 U 형상부
34 제 1 노치
35 제 2 노치
36 제 1 틈새
37 제 2 틈새
38 실린더형 내부벽
39 홈
40 개구
41 영역
42 제 3 관통 구멍
도 1 내지 도 7 을 기초로 하여,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의 본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수용 요소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의 저부 영역, 덴탈 임플란트를 둘러싸는 본체 영역, 및 2 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가요성 헤드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이 가요성 헤드 영역은 덴탈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풀림가능하게 조이고 고정시키는데 적합한, 덴탈 임플란트를 수용하는 조임 장치를 구비한다.
도 1 은 기본적으로 3 개의 부분을 구비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를 나타낸다. 제 1 부분은 헤드영역을 형성하고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덴탈 임플란트 (미 도시) 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는데 적합한 제 1 플레이트 (3) 를 포함하는 대략 C 형상이며 편평한 전방면 (2) 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플레이트 (3) 는 개방 영역 (5) 에 인접해 있는데, 이 개방 영역은 제 1 플레이트 (3) 에 인접해 있는 제 1 숄더 (4) 와 그 밑에 2 플레이트 (6) 에 인접해 있는 제 2 숄더 (4') 로 둘러싸여 있다. 개방 영역 (5) 은 바람직하게는 죠오 형상 (jaw-shaped) 을 가지며, 플레이트 (3, 6) 의 각 단부에서 그 개방 영역의 개방측으로부터 수용 요소 (1) 의 이론적 중심 축선 (Z) 까지 연장되어 있고, 중심 축선 (Z) 의 영역에서의 개방 폭은 외측에서 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죠오형 개방 영역 (5) 은 각각 플레이트 (3,6) 들을 기계적으로 분리시키고, 제 1 플레이트 (3) 를 본체 (7) 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시킨다.
죠오형 개방 영역 (5)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는, 편평한 전방면 (2) 의 외측 에지부로부터 편평한 헤드 영역 (16) 까지 모따기부 (17) 가 형성되어 있으며, 편평한 헤드 영역 (16) 은 그 헤드 영역 (16) 과 수용 요소 (1) 의 본체 (7) 모두에 인접해 있는 편평한 헤드 에지부 (15) 에 인접해 있다. 죠오형 개방 영역 (5) 과 제 2 숄더 (4') 각각에 인접해 있는 제 2 플레이트 (6) 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그리고 나서 죠오형 개방 영역 (5) 밑에 있는 제 2 플레이트 (6) 의 일부는 본체 (7) 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개의 대칭 배열 보강 리브 (8) 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부분에 인접해 있다. 그 보강 리브는 본체 (7)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등거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강 리브 (8) 는 종방향의 형상을 가진다. 제 2 플레이트 (6) 를 대향하며 본체 (7) 의 에지부에 인접해 있는 기부면 (9) 은 실질적으로 대칭 둥근형이며 그 위에는 본체 (7) 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3 부분은 기부면 (9) 과 저부 (11) 사이에 끼워져 있는 주변 둘레 에지부 (10) 를 포함하는데 저부 (11) 의 일측은 표면에 배치되는데 적합한 기립 영역 (12) 으로 전이된다. 기립 영역 (12) 과 저부 에지부 (14) 사이에 형성된 저부 (13) 는 편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저부 에지부 (14) 또한 편평한데, 이는 저부 (13) 에 인접한다. 저부 에지부 (14) 와 헤드 에지부 (15) 가 편평한 실시형태이기 때문에, 수용 요소 (1) 는 표면에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굴러다니지 않고 또한 쉽게 파지될 수 있다.
도 2 는 수용 요소 (1) 의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데, 제 1 플레이트의 중심에 제 1 관통구멍 (23) 과 제 2 관통 구멍 (2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관통 구멍 (24) 은 제 1 관통 구멍 (23)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바람직하지만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직경이 다르지 않아도 된다. 제 1 관통 구멍 (23) 과 제 2 관통 구멍 (24) 은 도 7 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위치에서 개방 홈 (39)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관통 구멍 (23) 은 제 1 플레이트 (3) 의 개구 (40) (도 7 참조) 에 인접해 있다. 또한,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7) 에는 기다란 제 1 구멍 (18) 과 기다란 제 2 구멍 (19)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는 수용 요소 (1) 의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데, 제 1 플레이트 (3) 의 일부에 외측 에지부로부터 대략 수용 요소 (1) 의 이론적 중심 축선 (Z) 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모따기된 레그 (22)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따기된 레그 (22) 로 인해 덴탈 임플란트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덴탈 임플란트가 압입되는 경우에, 제 1 플레이트 (3) 는 덴탈 임플란트가 제 1 관통 구멍 (23) 에 제 위치에 잠금되고 그 구멍에서 조여져 유지될 때까지 수용 요소 (1) 의 중심 축선 (Z) 에 수직 방향으로 제 2 플레이트 (6) 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죠오형 개방 부분 (5) 의 제 1 틈새 (36) 및 제 2 틈새 (37) 가 제 1 플레이트 (3) 를 본체 (7) 와 제 2 플레이트 (6) 로부터 각각 기계적으로 분리시킨다. 이 외에, 대향측의 모따기부 (17) 는 탄력 효과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덴탈 임플란트가 압입될 때 발생되는 인장력에 대항하여 구조를 보강시킬 수 있도록 제 1 보강부 (20) 와 제 2 보강부 (21) 가 사용된다. 제 1 노치 (34) 와 제 2 노치 (35) 가 제 1 관통 구멍 (23) 과 제 2 관통 구멍 (24) 에 인접해 있으며 제 1 플레이트 (3) 에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고 원뿔형일 수 있으며, 이 노치들은 제 1 플레이트 (3) 의 개구 (40) 를 통해 덴탈 임플란트가 압입될 때 힘을 분배시키는데 적합하고, 제 1 플레이트 (3) 는 중심 축선 (Z) 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수용 요소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는 특히 기계적인 이유로 원뿔형 노치를 선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관통 구멍 (24) 은 제 1 관통 구멍 (23)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홈 (39) 에 의해 제 1 관통 구멍에 연결되며 이로써 제 2 관통 구멍 (24) 은 확장 관통 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덴탈 임플란트가 압입될 때 확장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 (3) 의 탄성 변형성으로 인해 조이고 제 1 관통 구멍 (23) 에 덴탈 임플란트를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스냅 - 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 은 수용 요소 (1) 의 헤드 영역을 나타내고, 도 5 는 영역 (41) 이 개구 (40) 의 일부 (도 7 참조) 에 덴탈 임플란트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사용되는 제 1 모따기부 (26) 및 제 2 모따기부 (27) 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 낸다. 제 1 모따기부와 제 2 모따기부 사이의 각은 80 ~ 120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따기부 (26, 27) 까지의 전체 단면적에 걸쳐 둘러싸인 영역 (41) 은 도 6 에 도시된 U 형상부 (32) 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강성이다. U 형상부 (32) 의 내측면은 정지부 (33) 를 형성하며, 삽입된 덴탈 임플란트가 안정된 위치에 유지되어 예컨대 운반중에 본체 (7) 의 내부벽과의 접촉이 차단된다. 개구 (40) 의 일부에서는 도 1 의 기부면 (9) 이 대략 U 형상부 (32) 의 폭을 가지는 환형부 (25) 를 구비하며 그 중앙에는 기부면이 제 1 관통 구멍 및 제 2 관통 구멍 (23, 24)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 3 관통 구멍 (42) 을 구비한다.
도 7 은 제 1 관통 구멍 (23) 이 제 3 관통 구멍 (42) 과 정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노치 (34) 와 제 2 노치 (35) 는 제 1 관통 구멍 (23) 및 제 2 관통 구멍 (24) 가까이에서 제 2 관통 구멍 (24) 의 중심 방향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으며 개구 (40) 영역에서는 그 영역 쪽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수용 요소 (1) 는 종래의 공정 예컨대 주조로 제조될 수 있으며 탄성 플라스틱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청구항에서 언급되는 기술적 특징부에 도면부호가 제공되는 경우에 그 도면 부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단지 포함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 도면부호는 실시예를 통하여 그러한 도면부호로 식별되는 각 요소의 범위를 제한시키는 효과는 없다.

Claims (16)

  1.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로서,
    상기 수용 요소 (1) 의 중심 축선 (Z) 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본체 (7);
    상기 수용 요소 (1) 의 중심 축선 (Z) 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덴탈 임플란트를 안정된 위치에 풀림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 1 플레이트 (3) 와 제 2 플레이트 (6) 로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3) 및 제 2 플레이트 (6) 각각은 전방 단부 및 상기 전방 단부에 대향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고, 제 1 측방 단부 및 상기 제 1 측방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측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플레이트 (3) 와 제 2 플레이트 (6) ;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 (3) 와 제 2 플레이트 (6) 를 부분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3) 와 제 2 플레이트 (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 요소 (1) 의 중심 축선 (Z) 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1 측방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 축선 (Z) 까지 연장되는 제 1 간격 (gap) 및 상기 제 2 측방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 축선 (Z) 까지 연장되는 제 2 간격을 포함하는 개방부 (5) 로서, 각각의 간격은 상기 간격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본체 (7) 의 내부와 상기 본체 (7) 의 외부 사이에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 개방부 (5)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3) 는 덴탈 임플란트가 제 1 플레이트 (3) 의 개구 (40) 에 조임 수용되도록 탄성이며,
    상기 제 2 플레이트 (6) 는 삽입된 덴탈 임플란트의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U 형상의 정지부 (32) 를 구비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 (5) 는 측방에서 봤을 때 상기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 축선 (Z) 까지 테이퍼 진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 (6) 는 강성이며, 덴탈 임플란트를 위한 안내부를 제공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3) 는 수용 요소 (1) 의 중심 축선 (Z)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3) 는 수용 요소 (1) 의 중심 축선 (Z) 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3) 는 제 1 관통 구멍 (23), 및 개구 (40) 에 인접한 제 2 관통 구멍 (24) 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관통 구멍 (24) 은 제 1 관통 구멍 (23)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제 1 관통 구멍 및 제 2 관통 구멍 (23, 24) 은 홈 (39) 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3) 는 대칭 배열된 노치 (34, 35) 를 구비하며, 상기 노치는 개구 주변에 배열된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7) 는 복수개의 파지 요소를 포함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7) 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요소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7) 는 복수개의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덴탈 임플란트용 수용 요소 (1).
KR1020097024917A 2007-06-05 2008-06-05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 KR101512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6504A DE102007026504A1 (de) 2007-06-05 2007-06-05 Aufnahmeelement für ein Implantat
DE102007026504.4 2007-06-05
PCT/EP2008/056997 WO2008148843A1 (de) 2007-06-05 2008-06-05 Aufnahmeelement für ein implant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486A KR20100017486A (ko) 2010-02-16
KR101512866B1 true KR101512866B1 (ko) 2015-04-16

Family

ID=3973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917A KR101512866B1 (ko) 2007-06-05 2008-06-05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042684B2 (ko)
EP (1) EP2152189B1 (ko)
JP (1) JP5583577B2 (ko)
KR (1) KR101512866B1 (ko)
AU (1) AU2008258552B2 (ko)
BR (1) BRPI0812377B8 (ko)
CA (1) CA2689232A1 (ko)
DE (1) DE102007026504A1 (ko)
ES (1) ES2615577T3 (ko)
MX (1) MX2009013238A (ko)
WO (1) WO2008148843A1 (ko)
ZA (1) ZA2009090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7553B4 (de) 2009-02-04 2011-06-22 coffeeaffairs GmbH, 81671 Kapsel für die Zubereitung einer Flüssigkeit, insbesondere eines Kaffeegetränks
US11547529B2 (en) * 2013-01-10 2023-01-10 Straumann Holding Ag Annular resilient retention member
US9700397B2 (en) 2015-11-30 2017-07-11 Metal Industries Research & Development Centre Implant carrier, mixing pot, and implant carrie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0315A1 (en) 2000-10-12 2002-04-18 Astra Tech Ab Package
JP2004243127A (ja) 2003-02-12 2004-09-02 Heraeus Kulzer Gmbh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パッケージ
WO2005037126A1 (de) 2003-10-16 2005-04-28 Straumann Holding Ag Verbessertes übertragungsteil für ein implanta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1097B1 (en) * 1997-06-02 2001-07-17 Institut Straumann Ag Retaining element for an implant and ampoule for preserving said implant
DE19860060C2 (de) * 1998-12-23 2003-03-27 Bego Semados Gmbh Montagesatz mit einem Zahnersatz-Implantat sowie Aufnahmegefäß
EP1252866A1 (de) * 2001-04-27 2002-10-30 Straumann Holding AG Anordnung für das Handling eines Implantats
IL158789A (en) * 2002-11-13 2009-11-18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DE20304757U1 (de) * 2003-03-24 2003-05-28 Oraltronics Dental Implant Tec Verpackung für ein Kieferimplantat
EP1523955B1 (en) * 2003-10-16 2011-12-14 Straumann Holding AG Package for preserving a medical device, in particular a dental implant
ES2351277T3 (es) * 2005-08-03 2011-02-02 Straumann Holding Ag Elemento de sujeción para un implante dent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0315A1 (en) 2000-10-12 2002-04-18 Astra Tech Ab Package
JP2004243127A (ja) 2003-02-12 2004-09-02 Heraeus Kulzer Gmbh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パッケージ
WO2005037126A1 (de) 2003-10-16 2005-04-28 Straumann Holding Ag Verbessertes übertragungsteil für ein implantat
US20070072148A1 (en) 2003-10-16 2007-03-29 Marcello Memmolo Transfer part for an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909044B (en) 2011-02-23
KR20100017486A (ko) 2010-02-16
BRPI0812377A2 (pt) 2015-02-03
BRPI0812377B1 (pt) 2019-04-02
JP5583577B2 (ja) 2014-09-03
ES2615577T3 (es) 2017-06-07
MX2009013238A (es) 2010-01-25
WO2008148843A1 (de) 2008-12-11
DE102007026504A1 (de) 2008-12-11
AU2008258552B2 (en) 2013-01-10
EP2152189A1 (de) 2010-02-17
US8042684B2 (en) 2011-10-25
US20100173261A1 (en) 2010-07-08
JP2010528742A (ja) 2010-08-26
BRPI0812377B8 (pt) 2021-06-22
CA2689232A1 (en) 2008-12-11
EP2152189B1 (de) 2016-11-23
AU2008258552A1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0814B2 (ja) 移植物を取り扱うための外科器具
JP6864724B2 (ja) ノットを進め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4656810B2 (ja) 骨接合装置用の脊柱インプラント
EP2221013B1 (en)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rod for coupling the rod to a bone anchoring element and a bone anchoring device with such a receiving part
JP5671620B2 (ja) ネジ内にピンを挿入するシステム
US8080015B2 (en) Impacting device and method
US20060122611A1 (en) Sternum closure device
CA2005180A1 (en) Surgical slider instrument and method of using instrument
US20120041447A1 (en) Resetting Tool
CN101237962A (zh) 固定螺钉的螺丝刀
KR100824753B1 (ko) 종단 캐리어를 뼈 고정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1512866B1 (ko) 임플란트를 위한 수용 요소
JP2013070998A (ja) 骨固定アセンブリ
JP2005509484A5 (ko)
EP2777568B1 (en) spinal rod insertion instrument
US10758319B2 (en) Surgical dental tool
JP2007508118A (ja) 脊椎固定フックおよび脊椎固定方法
US20030050653A1 (en) Device for holding a sleev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KR20090031558A (ko) 치아 임플란트용 유지 및 패키징 장치
KR20170002613A (ko) 뼈 터널(tunnel)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물질 다발의 끝단을 트래핑(trapping)하기 위한 장치
KR101377575B1 (ko) 척추고정나사의 롱암헤드 커터
KR101437153B1 (ko) 의료용 스크류를 파지하기 위한 포셉
JP2013111260A (ja) 脊椎固定用手術器具
US20150245919A1 (en) Holder for a medical implant
JP2004147884A (ja) 脊椎骨矯正ロッド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