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834B1 -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 - Google Patents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834B1
KR101512834B1 KR1020140073061A KR20140073061A KR101512834B1 KR 101512834 B1 KR101512834 B1 KR 101512834B1 KR 1020140073061 A KR1020140073061 A KR 1020140073061A KR 20140073061 A KR20140073061 A KR 20140073061A KR 101512834 B1 KR101512834 B1 KR 10151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shaft
swing
toy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한
Original Assignee
이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한 filed Critical 이강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2Colour 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32Whirling or spinning discs driven by twisted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들 놀이용 딱지의 캐릭터의 입체를 구현함에 있어, 다수의 평판을 적층시켜 입체감을 살리고, 또한 팽이로도 활용 가능하고, 나아가 구현된 입체 캐릭터 또는 사물 등에 동작성을 부여하여 보다 현실감 있으면서도 주 대상인 아이들의 흥미를 충족할 수 있는 다기능의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1평판; 제1평판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2평판; 및 제2평판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3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 평판의 적층으로 캐릭터 또는 사물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COMPLETE ASSEMBLY CUBIC TOY USING LAMINATE}
본 발명은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들 놀이용 딱지의 캐릭터의 입체를 구현함에 있어, 다수의 평판을 적층시켜 입체감을 살리고, 또한 팽이로도 활용 가능하고, 나아가 구현된 입체 캐릭터 또는 사물 등에 동작성을 부여하여 보다 현실감 있으면서도 주 대상인 아이들의 흥미를 충족할 수 있는 다기능의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 까지 딱지는 아이들의 좋은 유희 수단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었다. 특히 근래에 들어 게임 캐릭터, 만화 캐릭터, 동물 등의 팬시아트가 도입된 딱지가 유행하고 있는데, 과거에 종이를 접어서 만드는 딱지 외에 다양한 형태의 딱지들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여러 장의 판지를 적층하여 만드는 형태의 딱지는 그 양산성 면에서 탁월하고 또한 내구성이 좋아 오래 가지고 놀아도 망가지지 않는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616422호 (2006년08월21일) [컬러 캐릭터 그림의 인쇄방법 및 컬러 캐릭터 그림이 인쇄된 입체 딱지]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컬러 캐릭터 등의 그림이나 문자 등을 PVC 등의 수지에 인쇄하여 입체감을 부여하고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컬러 캐릭터 그림의 인쇄방법 및 상기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컬러 캐릭터 그림이 인쇄되고 입체감이 나타난 딱지를 제시하고 있고, 상기 종래기술에 제시된 딱지는 캐릭터 문양이 입체적으로 표현된 입체 딱지에 화려하고 미려한 컬러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컬러 그림 위에 다양한 문구, 회사 로고 등을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제시된 따지는 적층하는 개념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고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지만, 컬러 캐릭터의 그림을 적층할 뿐, 그 캐릭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표현할 수 없고, 또한 그 동작감이나 움직임은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입체감을 표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실용 제20-2008-0001465호 (2008년06월02일) [종이자석딱지완구 및 자석놀이판]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는 종이와 고무자석을 결합한 재질로 구성함으로 기존의 딱지보다 입체감이 있고 보관 시 쉽게 훼손되지 않으며 고무자석의 무게로 인한 딱지의 중량감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고무자석이 갖는 자성을 이용하여 놀이판에 던져 붙이는 놀이를 가능하게 한 종이자석딱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고무 등을 활용하여 입체감을 살리는 동시에 내구성을 높였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발맞추어 신규 캐릭터를 제공해야 하는 제작자의 입장에서, 고무 소재의 특성 상 한 번 성형틀을 제작하면 제작 단가 상 변형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딱지와 함께 팽이도 아이들의 주된 놀이 중 하나인데, 본 발명은 이를 함께 적용하여 다양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본 발명과 같은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 제20-0421915호 (2006년07월12일) [팽이 놀이가 가능한 자석 완구]와 등록실용 제20-0394490호 (2005년08월25일) [팽이 겸용 딱지]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 제20-0421915호 (2006년07월12일) [팽이 놀이가 가능한 자석 완구]는 팽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게 많아 제작단가가 비싸고,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아 잔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 제20-0394490호 (2005년08월25일) [팽이 겸용 딱지]는 전기한 바와 같은 캐릭터의 입체감을 살릴 수 없고, 나아가 동작감의 표현 역시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이들 놀이용 딱지의 캐릭터의 입체를 구현함에 있어서, 다수의 평판을 배열하여 부착하는 형태로 적층시켜 입체감을 살리되, 다수의 평판을 적층하는 개념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캐릭터의 구성요소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제1평판 하부에 회전돌기를 갖는 회전축부재를 통해,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입체 완구를 회전시키는 형태를 도입하여 팽이로도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스윙축과 스윙작동부재를 통해 구현된 입체 캐릭터 또는 사물 등에 동작성을 부여하여 보다 현실감 있으면서도 주 대상인 아이들의 흥미를 충족할 수 있는 다기능의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1평판; 제1평판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2평판; 및
제2평판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3평판;을 포함하며,
각 평판의 적층으로 캐릭터 또는 사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또 하부에 배열되는 평판은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보다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하부에 배열되는 평판 상면에는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의 부착 위치표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평판 하면에는 팽이가 구현되도록 하는 회전축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부에 위치한 평판의 외곽 형상에 상응한 형상을 갖고, 그 크기는 상부 배열평판 보다 작고,
제1평판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에는 스윙축이 구비되어 있고, 이 스윙축에는 스윙동작부재가 축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윙축은 평판과 평행하게 배열된 제1축 또는 평판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제2축,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는
아이들 놀이용 딱지의 캐릭터의 입체를 구현함에 있어서, 다수의 평판을 배열하여 부착하는 형태로 적층시켜 입체감을 살리되, 다수의 평판을 적층하는 개념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캐릭터의 구성요소를 표현하여 제품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제품 신뢰도가 높고,
또한 제1평판 하부에 공기저항의 감소를 위한 나선돌기를 갖는 디스크와 회전축의 중심이 되는 회전돌기를 갖는 제5평판을 포함하는 회전축부재를 도입하여 본 입체 완구를 팽이로도 활용 가능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나아가 스윙축에 결합되는 스윙작동부재가 회동하기 때문에 구현된 입체 캐릭터 또는 사물 등에 동작성이 부여되고, 이를 통해 보다 현실감 있으면서도 주 대상인 아이들의 흥미를 충족할 수 있어 시장경쟁력이 우수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스윙작동부재의 설명을 위한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도1을 참고하여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시된 방향 그대로(중력이 작용하는 방향 기준) 상, 하를 나누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특별한 방향의 특정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이를 적용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T)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1평판(10), 제1평판(10)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2평판(20) 및
제2평판(20)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3평판(30)을 포함하며, 각 평판의 적층으로 캐릭터 또는 사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평판(10)(20)(30)은 우드락(스티로폼에 종이가 합지된 소재), 고무, 스티로폼(정식명칭: 발포폴리스타이렌), 폼 보드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4 및 제5평판(53)(55) 역시 동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이종(異種)소재의 도입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평판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도무송"가공[정식명칭:톰슨 가공(Thompson Press)]이 있는데, 이 톰슨가공은 프레스기와 인쇄기의 원리를 조합한 것으로, 인쇄물에 맞춰 원하는 모양으로 합판위에 칼을 꽂아서 만든 목형을 이용하여 '찍어내는'형태를 갖는다.
톰슨 가공을 통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들을 찍어내고 형태에 따라 절취선을 구비하여 잘라내어 접착부재 등을 활용하여 적층시키는 형태로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도1에서는 상기 평판을 제1 내지 제5평판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평판 외에 구현하고자 하는 캐릭터 또는 사물의 형상 복잡 정도에 따라 제6, 제7, 제8평판 등 적층되는 평판의 수는 늘어날 수도 혹은 줄어들 수도 있다.
상기 제1평판(10)은 베이스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평판(10)(20)(30)을 적층 하여 캐릭터 또는 사물의 입체화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평판(20)(30)은 캐릭터의 입체화를 위해 고유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평판(10)은 그 위에 적층되는 제2평판(20)보다 크기가 크고, 또한 상기 제2평판(20)은 그 위에 적층되는 상기 제3평판(30)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작업성을 쉽게 하기 위함으로, 보다 큰 크기의 평판을 먼저 적층하여 본드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활용한 접착결합 또는 홈을 형성하여 끼움 결합 할 때 보다 수월하게 작업이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보다 큰 면적의 평판을 하부에 배열하는 특징은 전기한 바와 같은 효과와 더불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 중 하나인 위치표시부(40)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보다 큰 평판이 하부에 배열되고 이 평판에 형성된 위표시부(40)에 보다 작은 평판이 적층되는 형태로, 적층되는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상세 정보 없이도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작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위치표시부(40)는 제1평판(10) 및 제2평판(20)에 적용될 수 있고, 제1평판(10)에 형성된 제1위치표시부(40A)는 제2평판(20)에 상응하는 형상을, 상기 제2평판(20)에 형성된 제2위치표시부(40B)는 제3평판(3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부(40)는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보다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1 우측 상세도(쇄선 원 영역 내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표시부(40A)는 상부에 배열되는 제2평판(2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과 동시에, 상부에 배열되는 제2평판(20)보다 그 크기가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기 제1위치표시부(40A)는 제2평판(20)이 적층되고 나면 제2평판(20)에 의해 은닉되어 외관 상 드러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가진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특성은 제1위치표시부(40A)를 특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제2위치표시부(40B)를 비롯한 제3, 제4… 위치표시부(제4, 제5…평판이 도입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평판(10)의 하면에는 팽이가 구현되도록 하는 회전축부재(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아이들의 기호(주거래 대상층을 아이들이라고 가정할 때)에 부합하고, 흥미유발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입체 형상을 갖는 딱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부에 회전축부재(50)를 결합하여 팽이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안출되었다.
상기 회전축부재(50)는 제1평판(10)의 하부에 적층되는 디스크(51)와 상기 디스크(51) 하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4평판(53) 및 상기 제4평판(53) 하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5평판(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51)의 외주면에는 나선돌기(5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돌기(511)는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휘어진 호형(弧形)으로, 회전 시 공기가 나선돌기(511)를 타고 흐르게 하여(유선형 구조가 물의 저항력을 줄여주는 것과 같은 원리)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보다 수월하게 본 입체 완구(T)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평판(55) 하부에는 원추 형태의 회전돌기(5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돌기(551)는 입체 완구(T)의 회전의 축이 되는 첨단부를 가지고 있어, 본 입체 완구(T)가 '팽이'로 활용 가능하게끔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부재(50)의 디스크(51), 제4평판(53) 및 제5평판(55)은 일부 또는 모두가 상기 위치표시부(40)를 가져 보다 정확한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위치표시부(40)를 안착홈의 형태로 구비하여 상부 배열되는 평판을 수용하여 끼움 결합 형태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 상기 위치표시부(40)를 안착홈의 형태로 구비하면 접착부재를 활용하지 않아도 쉽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작성이 우수한 입체 완구(T)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T)는
제1평판(10)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에 스윙축(60)이 구비되어 있고, 이 스윙축(60)에는 스윙작동부재(61)가 축결합부(6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4 [A]에서는 제3평판(30)에 상기 스윙축(6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상기 스윙축(60)은 제2평판(20)에도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 제1평판(10)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어느 평판에나 도입 가능하다.
도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축(60)은 통공의 형태로 제3평판(30)에 구비되어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4 [A]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제1, 도4 [B]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제2 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 스윙축(60)에 제1축결합부(63a)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이에 제1스윙작동부재(61a)가 연결되어 제1스윙작동부재(61a)가 상하로 스윙운동을 할 수 있게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윙작동부재(61a)는 본 발명의 입체 완구(T)를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나아가 특히 캐릭터의 경우 동작성을 부여할 수 있어, 주 소비층이 되는 아이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나아가 아이들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이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단순하여 대량생산에도 유리하고, 나아가 제품의 원가 절감 및 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 도4 [A]에 도시된 스윙축(60)(제1축)과 다른 형태로 도4 [B]에는 돌기의 형태를 갖는 스윙축(60B)(제2축)이 제1평판(10)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축(60B)에 결합되는 제2스윙작동부재(61b)는 통공 형태의 제2축결합부(63b)를 갖고, 상기 제2축결합부(63b)에 연결된 제2스윙작동부재(61b)는 수평으로 스윙운동을 할 수 있게끔 구비된다.
상기 제2스윙작동부재(61b) 역시 본 발명의 입체 완구(T)를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입체 캐릭터 또는 사물에 동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윙작동부재(61)의 동작에 대해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검과 같은 무기의 움직임을 표현하거나 대상 캐릭터의 팔, 다리와 같은 일부가 회동되게끔 구비할 수 있으며, 사물의 경우는 특정 부분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60B)은 그 결합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제1평판(10)의 비중첩은닉부(65)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깔끔한 외관을 보장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2스윙작동부재(61b)가 파손되거나, 제2스윙작동부재(61b)의 축결합부(63)가 스윙축(6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막아주어 제품의 내구성 면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입체 완구 10: 제1평판
20: 제2평판 30: 제3평판
40: 위치표시부 40A: 제1위치표시부
40B: 제2위치표시부
50: 회전축부재 51: 디스크
511: 나선돌기 53: 제4평판
55: 제5평판 551: 회전돌기
60: 스윙축 61: 스윙작동부재
63: 축결합부 65: 비중첩은닉부

Claims (4)

  1.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1평판;
    제1평판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2평판; 및
    제2평판 상부에 배열되어 부착되는 제3평판;을
    포함하며,
    각 평판의 적층으로 캐릭터 또는 사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하부에 배열되는 평판 상면에는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의 부착 위치표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평판 하면에는 팽이가 구현되도록 하는 회전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부에 위치한 평판의 외곽 형상에 상응한 형상을 갖고, 그 크기는 상부 배열평판 보다 작고,
    제1평판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에는 스윙축이 구비되어 있고, 이 스윙축에는 스윙동작부재가 축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윙축은 평판과 평행하게 배열된 제1축 또는 평판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제2축,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에 배열되는 평판은 상부에 배열되는 평판보다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60B)은 그 결합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제1평판(10)의 비중첩은닉부(6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완구.



  4. 삭제
KR1020140073061A 2014-06-10 2014-06-16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 KR101512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97 2014-06-10
KR20140070297 2014-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834B1 true KR101512834B1 (ko) 2015-04-20

Family

ID=5305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061A KR101512834B1 (ko) 2014-06-10 2014-06-16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40B1 (ko) * 2017-11-03 2018-07-06 송유진 입체감을 가지는 종이모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종이모형을 만드는 방법
KR101896363B1 (ko) * 2018-08-06 2018-09-07 이용구 놀이겸용 기능성 학습 딱지
KR20190022998A (ko) 2017-08-25 2019-03-07 주식회사 이엘에프비 플라스틱 딱지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딱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072U (ko) * 1989-11-20 1991-07-23
JP3073072B2 (ja) 1991-11-20 2000-08-07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圧縮及び復元方式
KR200229657Y1 (ko) * 2000-08-28 2001-07-03 유해은 점착력이 있는 딱지 완구
KR20050010305A (ko) * 2003-07-19 2005-01-27 주식회사 더 플라잉 액자형 입체 카드
CN2887389Y (zh) * 2006-05-15 2007-04-11 蔡东青 一种组合式的陀螺螺片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072U (ko) * 1989-11-20 1991-07-23
JP3073072B2 (ja) 1991-11-20 2000-08-07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圧縮及び復元方式
KR200229657Y1 (ko) * 2000-08-28 2001-07-03 유해은 점착력이 있는 딱지 완구
KR20050010305A (ko) * 2003-07-19 2005-01-27 주식회사 더 플라잉 액자형 입체 카드
CN2887389Y (zh) * 2006-05-15 2007-04-11 蔡东青 一种组合式的陀螺螺片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998A (ko) 2017-08-25 2019-03-07 주식회사 이엘에프비 플라스틱 딱지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딱지
KR101876140B1 (ko) * 2017-11-03 2018-07-06 송유진 입체감을 가지는 종이모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종이모형을 만드는 방법
KR101896363B1 (ko) * 2018-08-06 2018-09-07 이용구 놀이겸용 기능성 학습 딱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2337C (en) Customizable wobble objects
KR101512834B1 (ko) 평판 적층형 입체 완구
US6364360B1 (en) Foam book with bendable memory retaining elements
KR101759053B1 (ko) 입체감을 갖는 색칠놀이 극장
US5967874A (en) Book with three dimensional sculpture and self supporting core
CN206304346U (zh) 一种互动七巧板
US20080231978A1 (en) Mirror and Representations
KR20190105685A (ko) 합성수지재 딱지완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1465U (ko) 종이자석딱지완구 및 자석놀이판
JP3164368U (ja) パズルブロック組立体
KR101966714B1 (ko) 셀이미지시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시스템 및 블록조립방법
KR200422172Y1 (ko) 퍼즐식 블럭
RU208212U1 (ru) Печатное издание для детей
US20240091631A1 (en) Animated puzzle
JP3204669U (ja) 折り畳み式知育マグネット
US20220339531A1 (en) Interactive Toy
JP3124626U (ja) 多機能パネル
JPH10105042A (ja) 色砂を封入した組立式教材又は組立式玩具
ES1306845U (es) Escenografia impresa en 3d preensamblada para su despliegue rapido en juegos de estrategia, rol y juegos de mesa en general
JP3114843U (ja) 絵本
KR200351616Y1 (ko) 자석놀이용 공부상
TWM604655U (zh) 堆疊式展示品
KR20240002291A (ko) 퍼즐 형태의 냉장고 자석판 조립체
KR200427229Y1 (ko) 퍼즐식 블럭
KR200317910Y1 (ko) 색칠놀이용 유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