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803B1 -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 Google Patents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803B1
KR101512803B1 KR1020130156429A KR20130156429A KR101512803B1 KR 101512803 B1 KR101512803 B1 KR 101512803B1 KR 1020130156429 A KR1020130156429 A KR 1020130156429A KR 20130156429 A KR20130156429 A KR 20130156429A KR 101512803 B1 KR101512803 B1 KR 10151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valve
passage
tube portion
valv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한
Original Assignee
(주)영진제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제어 filed Critical (주)영진제어
Priority to KR102013015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6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charging or discharg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과 연결된 실외기에서 냉매 이송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는 서비스밸브에 있어서, 에어컨의 이전 설치 시 냉매 유출을 방지하는 차단밸브가 삽입되거나 또는 냉매 주입구로 활용될 수 있는 제1관부에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밸브코어와, 상기 제1관부에 체결되는 몸체에 상기 제1밸브코어의 심봉을 가압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에 의하여 몸체 내부로 누설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포함하는 제1캡부재를 도입하여, 냉매의 충진 여부를 상시적으로 체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SERVICE VALVE FOR OUTDOOR FAN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과 연결된 실외기에서 냉매 이송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는 서비스밸브에 있어서, 에어컨의 이전 설치 시 냉매 유출을 방지하는 차단밸브가 삽입되거나 또는 냉매 주입구로 활용될 수 있는 제1관부에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밸브코어와, 상기 제1관부에 체결되는 몸체에 상기 제1밸브코어의 심봉을 가압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에 의하여 몸체 내부로 누설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포함하는 제1캡부재를 도입하여, 냉매의 충진 여부를 상시적으로 체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창문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에어컨의 실외기는 에어컨과 연결된 냉매 이송 라인이 연결되는 서비스밸브가 설치되어 에어컨으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밸브는 냉매의 이송 방향에 따라 실외기의 냉매가 에어컨으로 이송되는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고압측 서비스밸브와, 에어컨에서 사용된 냉매가 실외기로 이송되는 회수라인과 연결되는 저압측 서비스밸브로 구분된다.
상기 서비스밸브는 에어컨의 종류, 에어컨의 용량 등에 따라 고압측과 저압측 구조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일반 가정에 사용되는 실외기(5)의 저압측 서비스밸브(V1)는 실외기에 설치되는 설치관부와, 상기 설치관부와 연결되고 에어컨(1)의 냉매 공급 라인(2b)이 결합되는 이송관부와, 에어컨의 이전 설치 등과 같이 냉매 유출을 방지가 필요할 사용되는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밸브관부와, 냉매 주입용 밸브코어가 장착되는 냉매 주입관부를 포함하는 3-WAY(3방 밸브)로 구성되고,
고압측 서비스밸브(V2)는 실외기에 설치되는 설치관부와, 상기 설치관부와 연결되고 에어컨(1)의 냉매 공급 라인(2a)이 결합되는 이송관부와, 에어컨의 이전 설치 등과 같이 냉매 유출을 방지가 필요할 사용되는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밸브관부를 포함하는 2-WAY 서비스밸브(2방 밸브)로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37783호(2010.04.12.) "서비스 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공조기용 서비스밸브"(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콘덴서, 팽창부, 냉각기, 압축기와 이들을 연결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공조기 시스템에서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관의 연결관부의 끝단이 확관된 확관부가 연결되는 공조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관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플래어너트의 내측 단부를 지지돌기가 지지하게 되므로 플래어너트 체결 시 확관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체결에 의하여 확관부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래어너트와 제1분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한정함으로써 과도한 체결을 방지함과 동시에 과소 체결에 의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부에 미소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냉매가 손상부분을 통하여 누설되는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공조기용 서비스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실외기의 저압측 배관과 연결되는 3-WAY 밸브로써, 유사 '十'자형 밸브구조인데, 종래 냉매의 주입량(충진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압력계를 통해 확인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냉매의 주입량을 쉽게 확인하여 냉매 유출 여부 등을 점검할 수 없어 이상 유무 발생 시 서비스 기사의 출장으로만 이를 판단하기에 번거롭고 출장비용을 추가로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냉매 주입량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없는 점을 악용하여 출장 서비스 시 무조건 냉매의 보충을 요구하도록 하는 폐단이 발생되기도 한다.
나아가 건물 등에 에어컨을 신설 또는 이전 설치 시 종래 기술에 따른 서비스밸브를 사용할 경우 에어컨 시스템의 냉매의 유, 무를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냉매 체크를 하지 않고 냉매가 없는 상태 또는 적정 압력 이하의 상태에서 무리한 가동은 과도한 전력 에너지 소비의 원인이 되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 및 기계의 손상 등의 상황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매 충전 압력을 쉽게 파악하여 에어컨의 무리한 가동을 방지하고, 동시에 종래 사용하던 서비스 밸브의 교체 없이도 냉매의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계를 차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손쉽게 실외기의 냉배 주입량을 상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에어컨의 이전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불필요한 냉매 보충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제1관부에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1밸브코어를 도입하고, 상기 제1관부를 개폐하는 제1캡부재에 상기 제1밸브코어의 심봉을 가압하여 작동시키도록 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에 의하여 누설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도입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의 점검 또는 이전 작업 시 냉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서비스밸브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실외기에 대한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제1관부에 냉매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차단밸브를 도입하고, 상기 차단밸브와 일체화된 제1밸브코어를 도입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1관부의 제1밸브코어를 통한 냉매 주입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매 주입구를 구비함으로써, 가스 주입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도록 이송공간과 연통된 제2통로를 갖는 제2관부를 구비한 본체를 도입하고, 상기 본체의 제2통로에 제2밸브코어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관부가 냉매 주입구로 활용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종래 실외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서비스밸브의 구조에 본 발명의 서비스밸브의 구조를 차용하여 설치, 사용함으로써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관과 연통된 제2통로를 갖는 제2관부를 구비한 본체를 도입하고, 상기 제2통로에 결합되어 제2통로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상기 이송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차단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실외기의 냉매 배관에 설치되며, 에어컨과 연결된 냉매 이송라인이 상기 배관과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이송공간과, 상기 이송공간과 연통되는 제1통로를 갖는 제1관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통로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밸브코어; 및
상기 제1관부에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제1관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밸브코어의 심봉을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가압돌기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돌기에 의하여 누설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포함하는 제1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서 상기 제1통로에 결합되어 상기 제1통로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상기 이송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상기 이송공간과 연통된 중공과, 상기 중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1밸브코어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공을 구비한 제1차단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송공간과 연통되는 제2통로를 갖는 제2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로에는 제2밸브코어가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관부가 냉매 주입구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송공간과 연통되는 제2통로를 갖는 제2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로에 결합되어 상기 제2통로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상기 이송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차단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압력계를 통해 냉매 충전량을 쉽게 측정하여 파악할 수 있으므로, 냉매가 없는 상태 또는 적정 압력 이하에서 에어컨을 무리하게 가동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따른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에어컨의 냉매 충전량을 적정 압력으로 유지하기 쉬어 에어컨 사용에 따른 전기 소모를 줄이고 에어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제1밸브코어가 장착되는 제1관부를 개폐하는 제1캡부재의 몸체 내측면에 상기 제1밸브코어의 심봉을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가압돌기와,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돌기에 의하여 몸체 내부로 누설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도입함으로써, 작업자 및 사용자는 실외기에 충전된 냉매의 주입량을 상시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냉매 보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컨의 이전 및 보수 작업이 별도의 압력계가 없는 상태에서도 가능하며,
나아가 상기 제1캡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밸브코어를 통해 실외기의 냉매 유출이 방지되므로, 냉매 주입장치를 통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제1관부를 냉배 주입구로 활용해 냉매 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서비스밸브의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작 용이성 확보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매우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는 실외기에 있어서도, 간소화된 서비스밸브를 통해 냉매와 관련된 유지, 보수, 이전 작업 등을 매우 쉽고 빠르게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효용성이 뛰어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본체의 제1관부에 결합되어 위치가 제1통로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본체의 이송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차단밸브에 본체의 이송공간과 연통된 중공과 상기 제1밸브코어가 장착되는 장착공을 도입함으로써, 차단밸브에 의하여 구조가 복잡한 종래 서비스밸브에 비하여 제작이 쉽고, 범용성 및 효용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본체의 이송공간과 연통된 제2통로를 갖는 제2관부를 도입하고, 상기 제2관부에 제1밸브코어를 결합시켜 냉매 주입구로 활용함으로써, 실외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서비스밸브의 구조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설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본체의 이송공간과 연통된 제2통로를 갖는 제2관부를 도입하고, 제2관부에 결합되어 위치가 제2통로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본체의 이송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차단밸브를 도입함으로써, 냉매의 압력 측정이 가능한 제1캡부재가 체결되는 제1관부와는 별도로 서비스밸브를 폐쇄시킨 후 에어컨의 이전 작업 등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다양한 구조의 서비스밸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서비스밸브와 발전된 다른 형태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실외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서비스밸브에도 압력계를 구비한 캡부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차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의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의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의 변형례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특히 도 2 내지 도 6에서 본체의 이송공간을 내측으로 하여 본체 외부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는 모든 방향을 외측으로 정하여 상하좌우 및 내측과 외측을 혼용하여 설명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는 크게 실외기(5)의 냉매 배관(6)과 에어컨(1)의 냉매 이송 라인(2)을 연결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제1관부(13)에 장착되는 제1밸브코어(21) 및 상기 제1관부(13)에 체결되는 제1캡부재(31)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우선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체(10)는 황동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이송공간(10A)을 통해 설치관부(11)의 제1이송로(11A)와, 이송관부(12)의 제2이송로(12A) 및 제1관부(13)의 제1통로(13A)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모두 연통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설치관부(11)에 대하여 직교된 방향으로 이송관부(12)가 연장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송관부(12)에 대하여 다시 직교된 방향 즉, 상기 설치관부(11)에 대칭되는 방향으로 제1관부(13)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이송공간(10A)은 좌측 내측면에 상기 제2이송로(12A)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상태로 상기 제1관부(13)에서 상기 설치관부(11) 방향으로 연통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밸브는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각각의 관부들의 형성 방향 및 위치 등을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달리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후세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설치관부(11)가 상기 실외기(5)의 냉매 배관(6)에 결합되는 방식은 냉매 배관(6)과 설치관부(11)의 결합부를 직접 용접 등을 통해 일체화하여 결합되는 방식 또는 냉매 배관(6)에 플레어너트(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관부(11)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나사 결합되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설치관부(11)의 외측면에는 볼트 체결이 가능한 브래킷이 더 구비되어 실외기(5)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부(12)는 내부에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된 제2이송로(12A)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에어컨(1)과 연결된 냉매 이송 라인(2)이 플레어너트(18)를 통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관부(13)의 제1통로(13A)에는 제1밸브코어(21)가 장착된다. 상기 제1밸브코어(21)는 내부에 패킹을 스프링으로 밀어 입출구(23)를 밀폐시키고 심봉(22)의 작동에 따라 입출구(23)가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냉매의 유입 또는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상기 본체(10)의 제1관부(13)에 장착되는 방식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1차단밸브(41)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방식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의 통로에 직접 장착되는 방식이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제1캡부재(31)가 상기 제1관부(13)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1캡부재(31)는 몸체(32) 외주면에 작업자가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제1캡부재(31)를 죄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육각 너트부(32a)가 구비된다.
또 상기 제1캡부재(31)는 몸체(32) 내부에 내부공간(32A)을 갖고 몸체(32) 내측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통로(13A)에 장착된 제1밸브코어(21)의 심봉(22)을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가압돌기(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제1관부(13) 외주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1캡부재(31)의 내부공간(32A) 둘레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대응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되어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1캡부재(31)는 상기 제1관부(13)에 수밀성을 갖도록 체결되며, 별도의 패킹 부재가 제1캡부재(31)와 제1관부(13) 사이에 더 배치되어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33)는 상기 제1캡부재(31)의 체결 완료 시 제1밸브코어(21)의 심봉에 접촉하는 높이에 상응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3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코어(21)를 통해 본체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로(33A)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32)의 상부에는 배출로를 따라 배출된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4)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캡부재(31)가 상기 제1관부(13)에 체결 완료되면, 상기 가압돌기(33)가 상기 제1밸브코어(21)의 심봉(22)을 가압하여 제1밸브코어(21)를 개방 상태로 작동시킨다.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0)의 이송공간(10A)에서 유동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제1통로(13A)에 장착된 제1밸브코어(21)의 입출구(23)를 통해 제1밸브코어(21) 외부로 누설된다.
이렇게 누설된 냉매는 상기 제1캡부재(31)의 수밀성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돌기(33)의 배출로(33A)를 타고 상기 압력계(34)로 누설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계(34)는 누설된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여 게이지를 통해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등에 에어컨을 신설 또는 이전 설치 시 종래 기술에 따른 서비스밸브를 사용할 경우 에어컨 시스템의 냉매의 유, 무를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냉매 체크를 하지 않고 냉매가 없는 상태 또는 적정 압력 이하의 상태에서 무리한 가동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고, 전기 소모량 또한 많으며, 무리한 가동으로 기계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압력계를 통하여 냉매의 충전량을 정확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압력 측정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냉매의 보충 작업 또는 에어컨과 실외기의 이전 설치 작업 중 진공 상태를 만드는 작업이 가능하며, 사용자 역시 냉매의 실제 압력을 확인하여 냉매 보충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냉매의 보충을 강요하는 악의의 작업자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캡부재(31)를 상기 제1관부(13)에서 제거하게 되면 상기 가압돌기(33)에 의한 제1밸브코어(21)의 개방 상태가 해제되므로 입출구(23)가 폐쇄되면서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냉매 보충이 필요한 경우 냉매 보충 장치의 공급 노즐을 상기 제1관부(13)에 체결하게 되면 공급 노즐에 구비된 별도의 작동 돌기에 의하여 상기 제1밸브코어(21)의 심봉(22)을 가압하여 입출구(23)를 개방상태로 만든 다음 냉매 보충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냉매가 제1밸브코어(21)를 통해 서비스밸브를 경유하여 실외기(5)의 냉배 저장부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장착되는 제1관부(13)에 압력계(34)를 구비한 제1캡부재(31)를 체결하여 냉매의 충진 압력을 상시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냉매 주입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밸브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 단가 절감 및 제작 용이성을 확보하고, 특히 협소한 작업 공간에 설치된 실외기에 대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서비스밸브는 설치관부와 이송관부 외에 별도의 밸브관부를 더 구비(2-way 서비스밸브의 경우, 3-way 서비스밸브의 경우 냉매 주입관부가 포함될 것이다.)하여 상기 밸브관부에 차단밸브가 삽입 결합되어 차단밸브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본체(10)의 이송공간(10A)을 개폐하여 실외기(5)의 이전 설치 작업 시 냉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장착되어 일체화된 제1차단밸브(41)를 도입하여 상기 제1관부(13)를 통해 냉매 압력 감지, 냉매 주입 및 냉매의 유출 차단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통로(13A)에 결합되어 상기 제1통로(13A)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상기 이송공간(10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된 중공(42A)과, 상기 중공(42A)과 연통되고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공(43A)을 구비한 제1차단밸브(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밸브(41)는 바디(42)의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원통형 이송공간(10A) 둘레 내측면에는 상기 바디(42)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대응나사산(미도시)이 상기 제1통로(13A)에서 상기 제1이송로(11A)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42)의 상부에는 내부에 장착공(43A)이 구비되는 돌출연결부(43)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연결부(43) 외측면에는 박스 렌치를 통해 제1차단밸브(41)를 죄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부(43a)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부 하부에는 냉매 충전용 나사부(43b)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밸브(41)는 상기 제1통로(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이송공간(10A)에 일부가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너트부를 통해 죄거나 풀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이송공간(10A)으로 인출입이 가능해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밸브(41)는 상기 제1통로(13A)를 타고 인출입되면서 위치가 변위되는데, 상기 제1차단밸브(41)의 바디(42)가 상기 이송공간(10A)에 모두 인입되어 끝단부가 상기 제1이송로(11A)에 접촉하여 냉매 이송 통로를 밀폐하게 되면, 실외기(5)의 냉매 저장부가 밀폐되어 실외기(5)의 이전 설치를 위하여 냉매 이송 라인(2)을 제거하더라도 실외기(5) 내의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42)는 상기 제1통로(13A) 및 원통형 이송공간(10A)에 상응하는 원통형 부재로 제작되며, 바디(42)의 끝단부 둘레에는 사면부(42a)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로(11A)의 상측 둘레 즉, 상기 이송공간(10A)과 제1이송로(11A)와의 연결부에는 상기 사면부(42a)에 상응하는 대응사면부(11a)가 구비되어 제1차단밸브(41)가 인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사면부(42a)와 상기 대응사면부(11a)가 밀착하여 접촉됨으로써, 제1이송로(11A)를 밀폐하여 냉매가 본체(10) 내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밸브(41)는 바디(42)와 돌출연결부(43) 사이에 상기 제1통로(13A) 및 원통형 이송공간(10A)의 내측면과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삽입홈(44)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44)에 패킹부재(45)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밸브(41)의 바디(42)가 상기 제1통로(13A)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송공간(10A)이 개방되므로 냉매가 상기 각 이송로(11A)(12A)와 이송공간(10A)을 경유하여 각각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밸브코어(21)는 상기 제1차단밸브(41)의 장착공(43A)에 수밀성을 갖도록 장착되며, 제1밸브코어(21)의 입출구(23)는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된 중공(42A)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차단밸브(41)가 상기 제1통로(13A) 상에서 본체(10)의 이송공간(10A)을 개방한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캡부재(31)가 제1관부(13)에 체결되면서 가압돌기(33)가 제1밸브코어(21)의 심봉(22)을 가압하여 작동시키면 이송공간(10A)을 경유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중공(42A)과 입출구(23)를 통해 누설되어 상기 배출로(33A)를 따라 압력계로 유동되면서, 제1캡부재(31)의 압력계(34)가 냉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차단밸브(41)의 돌출연결부(43) 끝단부에 개스킷 부재(46; 도 2 참고)가 더 배치되어 제1캡부재(31)의 가압돌기(33) 둘레 내측면과 상기 돌출연결부(43)의 장착공(43A) 사이의 수밀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캡부재(31)가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본체(10)에 체결됨으로써, 장기간 결합 내지 해제가 반복될 경우 나사산들을 통한 수밀성이 저하되어 제1밸브코어(21)를 통해 누설되는 냉매가 제1캡부재(31)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제1차단밸브(41)가 상기 제1통로(13A)에 소정 깊이 이상의 위치까지 결합되면(이송공간(10A)이 일부 개방된 상태) 상기 제1캡부재(31)를 상기 제1관부(13)에 체결하더라도 상기 가압돌기(33)가 상기 제1밸브코어(21)의 심봉(22)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냉매의 압력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캡부재(31)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의 가압돌기(36)와, 상기 제1밸브코어(21)에 내장되는 스프링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37)을 도입하여 가압돌기(36)가 상기 심봉(22)에 상시적으로 접촉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가압돌기(36)는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 가능하며 신축되는 분체(36a)가 제1캡부재(31)의 몸체(32)에 대하여 코일스프링(37)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돌기(33)는 상기 제1차단밸브(41)가 소정 깊이 이상으로 상기 제1통로(13A) 상에 결합되더라도 제1캡부재(31)를 제1관부(13)에 체결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돌기(33)가 상기 심봉(22)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 제1캡부재(31)의 코일스프링과 제1밸브코어(21)에 내장된 심봉(22)의 스프링과의 탄성력 차이에 의하여 가압돌기(33)가 제1밸브코어(21)의 심봉(22)을 가압하여 입출구(23)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밸브의 제2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써, 상기 본체(10)는 상기 이송공간(10A)에 연통되는 제2통로(14A)를 갖는 제2관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로(14A)에는 제2밸브코어(26)가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관부(14)가 냉매 주입구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차단밸브(41)가 장착되는 제1관부(13)를 통해 냉매 주입구로 활용 가능하나, 제1캡부재(31)를 반복하여 개폐할 경우 수밀성이 저하되어 냉매의 압력 감지를 위해 누설되는 냉매가 제1캡부재(31) 외부로 누출된 위험이 크고, 나아가 실외기(5)의 이전 설치 작업 등에서 냉매 이송 라인(2)의 진공 상태를 측정하여 실외기(5) 및 에어컨(1)의 냉매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이 수반되는데, 이때 상기 제1캡부재(31)의 압력계(34)를 통해 내부 압력을 체크하여 진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진공 상태에서 상기 제2관부(14)를 냉매 주입구로 활용하여 냉매 보충 작업을 바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외기(5)의 유지, 보수, 이전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통하여 종래 사용되던 서비스밸브를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밸브의 교체 없이 본 발명의 압력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 상기 제2관부(14)는 상기 이송관부(12)와 대칭되는 방향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관부들의 형성 방향 및 위치 등을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달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코어(26)는 상기 제1밸브코어(21)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제2관부(14)의 제2통로(14A)에 수밀성을 갖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부(14)에는 상기 제2밸브코어(2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제2캡부재(38)가 체결되어 실외기(5) 부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제2밸브코어(26)의 심봉이 의도되지 않게 가압되어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통해 기존의 3-way 서비스밸브의 구성에서 제1밸브코어(21)와 제1차단밸브(41) 및 제1캡부재(31)의 구성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차단밸브를 통해 냉매 주입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차단밸브는 상술한 연결돌출부(43)가 구비되지 않는 형태로 제작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밸브(41)는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된 중공(42A)과, 상기 중공(42A)과 연통된 장착공(42B)을 갖는 바디(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착공(42B)은 상기 바디(42)의 하부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제1밸브코어(21)의 심봉 상측에는 바디(42) 상측과 연통된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의 내측면에 육각 렌치가 삽입하여 제1차단밸브(41)를 죄거나 풀 수 있는 렌치부(42C)가 구비된다.
이때 제1캡부재(31)가 본체(1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가압돌기(33)는 상기 렌치부(42C)를 통과하여 바디(42) 내부에 장착된 제1밸브코어(21)의 심봉(22)을 가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도 2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밸브의 제3실시예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상기 본체(10)는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되는 제2통로(14A)를 갖는 제2관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로(14A)에 결합되어 상기 제2통로(14A)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상기 이송공간(10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차단밸브(4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도 2 및 도 4와 달리 제1관부(13)와 제2관부(14)의 위치가 달리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제2관부(13)(14)란 지칭은 형성 위치가 아닌 기능에 의한 차이를 구분하기 위한 지칭으로써,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1관부(13)의 제1통로(13A)에 제1밸브코어(21)가 직접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관부(13)에 상기 제1캡부재(31)가 체결되어 상술한 냉매의 압력 측정 기능이 구현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의 제2관부(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차단밸브(47)는 제1, 제2실시예의 제2차단밸브(47)와 달리 내부가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42A) 및 장착공(43A)이 구비되지 않은 원통형 부재로써, 바디(48)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만이 구비되어 제2관부(14)의 제2통로(14A)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어 본체(10)의 이송공간(10A)만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6의 우측 하부 원내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48)의 상면(49)에 육각 렌치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렌치공(49a)이 구비되어 제2차단밸브(47)를 죄거나 풀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통해 종래 3-way 서비스밸브의 구성에서 제1캡부재(31)의 구성만을 교체하여 사용(통상적으로 3-way 서비스밸브는 하나 이상의 밸브코어가 장착되어 냉매 주입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부(14)에는 제2통로를 밀폐하는 제2캡부재(39)가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미설명 부호인 48a는 상기 제1차단밸브(41)의 사면부(42a)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1차단밸브(41)의 중공(42A)과 장착공(43A) 및 돌출연결부(43)를 제외한 구성은 제2차단밸브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통해 압력 측정이 가능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작자는 다양성 확보에 따른 판매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서비스밸브 또는 구성 부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라 제작자가 서비스밸브를 제작하여 판매할 경우 종래 에어컨 실외기에 설치되는 2-way 또는 3-way 서비스밸브를 대신하여 설치 사용함으로써, 작업 공간 확보 및 압력 측정에 따른 편의성 확보를 보장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기존의 2-way 서비스밸브의 밸브관부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밸브코어(21)와 제1차단밸브(41) 및 제1캡부재(31)의 구성을 차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파손되지 않은 종래의 서비스밸브(즉 교체가 필요 없는 서비스밸브)에 적은 비용만을 투자하여 효용성이 증대된 서비스밸브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도 기존의 3-way 서비스밸브에 제2실시예의 제1밸브코어(21)와 제1차단밸브(41) 및 제1캡부재(31)의 구성 또는 제3실시예의 제1캡부재(31)의 구성을 차용하여 적용 가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기대되므로, 본 발명의 범용성 및 효용성을 매우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에어컨 2 : 냉매 이송 라인
5 : 실외기 6 : 냉매 배관
10 : 본체 11 : 설치관부
11A : 제1이송로 12 : 이송관부
12A : 제2이송로 13 : 제1관부
13A : 제1통로 14 : 제2관부
14A : 제2통로
21 : 제1밸브코어 22 : 심봉
23 : 입출구 26 : 제2밸브코어
31 : 제1캡부재 32 : 몸체
32A : 내부공간 33, 36 : 가압돌기
34 : 압력계 39 : 제2캡부재
41 : 제1차단밸브 42 : 바디
42A : 중공 43 : 돌출연결부
42B, 43A : 장착공

Claims (4)

  1. 실외기(5)의 냉매 배관(6)에 설치되며, 에어컨(1)과 연결된 냉매 이송라인(2)이 상기 배관(6)과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이송공간(10A)과,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되는 제1통로(13A)를 갖는 제1관부(13)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제1통로(13A) 상에 구비되는 제1밸브코어(21); 및
    상기 제1관부(13)에 체결되는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배출로(33A)를 갖는 가압돌기(33),
    그리고 상기 몸체(32)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로(33A)와 연결되어 있는 압력계(34)로 구성된 제1캡부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캡부재(31)가 상기 제1관부(13)에 체결 완료되었을 때, 상기 가압돌기(33)가 상기 제1밸브코어(21)의 심봉을 가압하면서 입출구(23)가 개방되어, 상기 압력계(34)가 상기 배출로(33A)로 누설되는 냉매의 압력을 상시적으로 측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캡부재(31)를 개방할 필요없이, 실외기(1)에 충전된 냉매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13A)에 결합되어 상기 제1통로(13A)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상기 이송공간(10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된 중공(42A)과, 상기 중공(42A)과 연통되고 상기 제1밸브코어(21)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공(42B)을 구비한 제1차단밸브(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되는 제2통로(14A)를 갖는 제2관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통로(14A)에는 제2밸브코어(26)가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관부(14)가 냉매 주입구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이송공간(10A)과 연통되는 제2통로(14A)를 갖는 제2관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로(14A)에 결합되어 상기 제2통로(14A)를 따라 위치가 변위되면서 상기 이송공간(10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차단밸브(4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33)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의 가압돌기(36)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돌기(36)는 신축되는 분체(36a)가 상기 몸체(32)에 대하여 코일스프링(37)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며,
    상기 코일스프링(37)은 상기 제1밸브코어(21)에 내장된 스프링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KR1020130156429A 2013-12-16 2013-12-16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KR10151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29A KR101512803B1 (ko) 2013-12-16 2013-12-16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29A KR101512803B1 (ko) 2013-12-16 2013-12-16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803B1 true KR101512803B1 (ko) 2015-04-20

Family

ID=5305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429A KR101512803B1 (ko) 2013-12-16 2013-12-16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2127A (zh) * 2017-12-08 2018-05-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窗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41110A (ko) 2018-10-11 2020-04-21 (주)에쎈테크 냉매 가스 충전포트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용 배관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468U (ja) * 1991-12-21 1993-07-13 株式会社大東バルブ製作所 医療用ガス受入ヨーク
KR200224523Y1 (ko) * 2000-12-11 2001-05-15 주식회사에쎈테크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의 냉매 누설방지구조
JP2008298277A (ja) * 2007-06-04 2008-12-11 Chiyoda Kucho Kiki Kk バルブ装置及びバルブ装置のアダプター
KR20130117416A (ko) * 2012-04-17 2013-10-2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질소가스 주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468U (ja) * 1991-12-21 1993-07-13 株式会社大東バルブ製作所 医療用ガス受入ヨーク
KR200224523Y1 (ko) * 2000-12-11 2001-05-15 주식회사에쎈테크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의 냉매 누설방지구조
JP2008298277A (ja) * 2007-06-04 2008-12-11 Chiyoda Kucho Kiki Kk バルブ装置及びバルブ装置のアダプター
KR20130117416A (ko) * 2012-04-17 2013-10-2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질소가스 주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2127A (zh) * 2017-12-08 2018-05-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窗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41110A (ko) 2018-10-11 2020-04-21 (주)에쎈테크 냉매 가스 충전포트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용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75184B (zh) 具有保护帽的压力释放阀
KR101512803B1 (ko)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용 서비스밸브
JP6650427B2 (ja) インタンクレギュレーターの圧力測定システム
KR200463807Y1 (ko) 에어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 누설 검사장치
CN112984157B (zh) 一种储气气瓶瓶阀及储氢系统
US7549389B2 (en) Ball valve apparatus having a moisture indicator
US11719352B2 (en) Check cover assemblies for backflow prevention assemblies with integrated test cock protection shroud
KR101284359B1 (ko) 버터플라이 밸브 단면고정형 수명시험장치
US20050022872A1 (en) Combination shut-off and resetable excess flow valve
CN209394615U (zh) 带气换球阀工装
CN205120319U (zh) 一种车用lng气瓶多功能阀测试系统
KR101477577B1 (ko) 배관 압력시험용 수압캡
CN104776235B (zh) 截止阀及具有其的空调器
CN113176047A (zh) 密封段检测装置及方法
KR200463038Y1 (ko) 정압기 점검장치
KR20180000181U (ko) 볼 밸브의 차압식 누설 검사 장치
KR100866352B1 (ko) 유압엑츄에이터의 차단밸브 진단 방법
JP2007278483A (ja) 緊急遮断弁
CN211315793U (zh) 一种核电站换料水池水闸门应急气源箱
CN113295348A (zh) 一种机床主轴油冷区域密封性检测装置
CN103148245B (zh) 多功能电控泄压装置及其电控系统和电控方法
KR200420521Y1 (ko) 냉매주입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볼밸브
KR20230001114U (ko) 가스설비 잔압 확인장치
KR200493227Y1 (ko) 볼밸브용 가스 누출 차단장치
CN210622765U (zh) 一种气井井口导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