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677B1 - 악취제거용 크린룸 - Google Patents

악취제거용 크린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677B1
KR101512677B1 KR1020130079456A KR20130079456A KR101512677B1 KR 101512677 B1 KR101512677 B1 KR 101512677B1 KR 1020130079456 A KR1020130079456 A KR 1020130079456A KR 20130079456 A KR20130079456 A KR 20130079456A KR 101512677 B1 KR101512677 B1 KR 101512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
coupled
frame
collection box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502A (ko
Inventor
이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102013007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6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7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용 크린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서 발생된 악취가 제거되게 구성된 악취제거용 크린룸에 있어서, 상기 크린룸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크린 몸체와; 상기 크린 몸체의 전방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수납공간부로 인,입출되게 구비된 수거함 카트와; 상기 수거함 카드가 인,입출되어지는 크린 몸체 상부에 힌지로 개폐되게 구비된 투입 도어와; 상기 투입 도어의 상부로 위치된 크린 몸체에 결합된 크린 커버와; 상기 크린 몸체의 양측 내벽에 결합된 흡입부와; 상기 투입 도어와 대응되게 크린 몸체의 배면 내측에 결합된 배출팬을 갖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흡입측에 구비된 악취제거 필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용이하게 투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민원이 제기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제거용 크린룸{Odor for clean room}
본 발명은 악취제거용 크린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또는 쓰레기 수거함 이 수거함 카트에 올려진 상태에서 크린룸 몸체의 내부공간부로 인입되어 보관되어지도록 하고, 투입도어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수거함 뚜껑이 같이 개방되어지도록 하여 음식물과 쓰레기가 용이하게 수거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음식물 및 쓰레기 수거함을 개방 했을 때 쎈서에 의해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제거 후 강제배출 함으로써 개방했을 때 음식물 및 쓰레기 수거함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장소, 아파트, 주택단지, 상가, 공공기관 등 국내 많은 곳에는 생활하는데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과 쓰레기 수거함(이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라 한다)이 구비되어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거함의 상부에 수거함 뚜껑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일정한 장소에 놓아 둠으로써, 필요에 따라 수거함 뚜겅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임시로 보관한 후 별도의 수거장치에 의하여 일시에 수거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질 때 까지 일정 장소에서 대기중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심한 불쾌감과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공공장소, 아파트, 주택단지 및 상가 주변 곳곳에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 환경미화에 적합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음식물 수거함은 이를 처리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장비가 소요되며 처리비용과 시간이 더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838호(2008.09.0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922호(2006.09.12)
등록특허공보 제10-1135105호(2012.04.03)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용이하게 투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민원이 제기되는 것을 같이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공공장소, 아파트, 주택단지 및 상가 주변의 미관을 살려 환경미화에 적합하도록 하고,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장비, 처리시간 및 처리비용을 줄 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에서 발생된 악취가 제거되게 구성된 악취제거용 크린룸(A)에 있어서, 상기 크린룸(A)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부(11)가 형성된 크린 몸체(10)와; 상기 크린 몸체(10)의 전방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수납공간부(11)로 인,입출되게 구비된 수거함 카트(20)와; 상기 수거함 카드(20)가 인,입출되어지는 크린 몸체(10) 상부에 힌지(31)로 개폐되게 구비된 투입 도어(30)와; 상기 투입 도어(30)의 상부로 위치된 크린 몸체(10)에 결합된 크린 커버(40)와; 상기 크린 몸체(10)의 양측 내벽에 결합된 흡입부(50)와; 상기 투입 도어(30)와 대응되게 크린 몸체(10)의 배면 내측에 결합된 배출팬(61)을 갖는 배출부(60); 및 상기 배출부(60)의 흡입측에 구비된 악취제거 필터부(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린 몸체(10)는 몸체 프레임(12)의 외측에 스킨 패널(13)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 내,외부가 차단되어지되, 상기 몸체 프레임(12)은 양측에 수직되게 구비된 사이드 프레임(121)의 후방으로 후방 프레임(122)의 양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과 후방 프레임(122)의 하부에 입구측이 개방된 보강 프레임(123)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은 전방 상부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함 카트(20)는 이동휠(211)이 구비된 카트 수평 프레임(21) 상부에 받침판(2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트 수평 프레임(21)의 전방에 카드 수직 프레임(23)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카트 수직 프레임(23)의 전면에 카트 손잡이(241)를 갖는 커버판(24)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트 수직 프레임(23)의 양측 배면과 카트 수평 프레임(21)의 양측 사이에 보강대(25)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판(22)은 후방에 하부로 경사진 가이드편(221)이 절곡되어지고, 상기 받침판(22)의 상부에 찬넬형 위치결정구(25)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 도어(30)는 도어 손잡이(321)를 갖는 도어 패널(32)의 양측에 크린 몸체(10)의 내부를 향하는 도어 지지편(3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도어 지지편(33)에 힌지홀(331)이 형성되어 힌지(31)로 몸체 프레임(12)의 내부에 결합된 도어 지지 패널(3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 도어(30)는 도어 패널(32)의 내부에 수거함 뚜껑 개폐부(36)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거함 뚜껑 개폐부(36)는 마그네틱(36M) 또는 케이블(36C)로 구비되어 투입 도어(30)와 수거함 뚜껑(91)에 부착 또는 연결되어짐으로써 투입도어(30)와 같이 수거함 뚜껑(91)이 연동되어 개폐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린 커버(40)는 크린 몸체(10)의 상부가 커버되어지게 커버판(4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커버판(41)의 양측 모서리에 크린 몸체(10)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 상부측까지 연장되는 커버 가이드(42)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50)는 스킨 패널(13)에 다수개의 흡입공(5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흡입공(51)이 형성된 스킨 패널(13)의 내측으로 흡입필터(52)가 삽입된 흡입 필터 케이스(53)가 사이드 프레임(121)에 지지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60)는 후방 프레임(122)과 지지판(64)에 의하여 지지되는 배출 패널(62)에 배출공(6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출공(621)의 전면으로 팬지지구(63)에 의하여 배출팬(61)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악취제거 필터링부(70)는 배출부(60)의 팬지지구(63) 전방에 기능성 배출 필터(71)를 갖는 배출필터 케이스(7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기능성 배출 필터(71)는 나노탄소 활성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수거함 카트에 올려진 상태에서 크린 몸체의 내부공간부로 인,입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린룸의 내부로 수거함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크린룸에 형성된 투입도어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내부에 보관되어지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수거함 뚜껑이 같이 개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과 쓰레기를 용이하게 투입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수거되어지는 가운데 발생된 악취는 악취제거 필터링부에 의하여 악취만이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민원이 제기되는 것을 같이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공공장소, 아파트, 주택단지 및 상가 주변의 미관을 살려 환경미화에 적합하도록 한 효과를 얻고,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장비, 처리시간 및 처리비용을 줄 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용 크린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용 크린룸의 분해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용 크린룸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용 크린룸의 투입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에서 수거함 뚜껑이 동시에 오픈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용 크린룸(A)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크린룸(A)은 크린 몸체(10), 수거함 카트(20), 투입 도어(30), 크린 커버(40), 흡입부(50), 배출부(60) 및 악취제거 필터부(7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크린 몸체(10)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부(11)가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크린 몸체(10)의 전방에서 수거함 카트(20)에 얹혀진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수납공간부(11)로 인,입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크린 몸체(10)는 몸체 프레임(12)의 외측에 스킨 패널(13)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 내,외부가 차단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 프레임(12)은 양측에 수직되게 구비된 사이드 프레임(121)의 후방으로 후방 프레임(122)의 양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과 후방 프레임(122)의 하부에 입구측이 개방된 보강 프레임(123)이 결합되어 하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상기 사이드 프레임(121)은 전방 상부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투입도어(30)가 후방 상부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수거함 카트(20)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크린 몸체(11)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출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동휠(211)이 구비된 카트 수평 프레임(21) 상부에 받침판(2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트 수평 프레임(21)의 전방에 카드 수직 프레임(23)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카트 수직 프레임(23)의 전면에 카트 손잡이(241)를 갖는 커버판(24)이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커버판(24)에 의하여 수납공간부(11)의 전방이 폐쇄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수거함 카트(20)가 크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커버판(24)의 가장자리가 수납공간부(11)의 입구측에 끼워진 상태가 됨으로써, 내,외부가 차단단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상기 카트 수직 프레임(23)의 양측 배면과 카트 수평 프레임(21)의 양측 사이에 보강대(25)가 결합되어 인,입출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받침판(22)은 후방에 하부로 경사진 가이드편(221)이 절곡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용이하게 올려지도록 하거나 내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22)의 상부에 찬넬형 위치결정구(25)가 결합되어짐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오도록 하여 투입도어(30)를 개폐시키는 과정에서 수거함 뚜껑(91)이 연동되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 도어(30)는 수거함 카드(20)가 인,입출되어지는 크린 몸체(10) 상부에 힌지(31)로 개폐되게 구비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투입 도어(30)의 상부로 위치된 크린 몸체(10)에 크린 커버(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투입 도어(30)는 평상시 닫혀져 있어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어 손잡이(321)를 갖는 도어 패널(32)의 양측에 크린 몸체(10)의 내부를 향하는 도어 지지편(3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도어 지지편(33)에 힌지홀(331)이 형성되어 힌지(31)로 몸체 프레임(12)의 내부에 결합된 도어 지지 패널(3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투입 도어(30)는 도어 패널(32)의 내부에 수거함 뚜껑 개폐부(36)가 구비되어짐으로써, 투입 도어(30)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수납공간부(11)에 보관중인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에 결합된 수거함 뚜껑(91)이 동시에 같이 열리고 닫힐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거함 뚜껑 개폐부(36)는 마그네틱(36M) 또는 케이블(36C)로 구비되어 투입 도어(30)와 수거함 뚜껑(91)에 부착되거나 연결되어짐으로써, 투입도어(30)와 같이 수거함 뚜껑(91)이 연동되어 개폐되어지게 된다.
상기 크린 커버(40)는 크린 몸체(10)의 상부가 커버되어지게 커버판(4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커버판(41)의 양측 모서리에 크린 몸체(10)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 상부측까지 연장되는 커버 가이드(4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50)는 외부의 공기가 수납공간부(11)로 유입되어지도록 하여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크린 몸체(10)의 양측 내벽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흡입부(50)는 스킨 패널(13)에 다수개의 흡입공(51)이 형성되어외기가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흡입공(51)이 형성된 스킨 패널(13)의 내측으로 흡입필터(52)가 삽입된 흡입 필터 케이스(53)가 사이드 프레임(121)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외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부(60)는 흡입부(50)를 통해 수납공간부(11)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투입 도어(30)와 대응되게 크린 몸체(10)의 배면 내측에 배출팬(61)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고, 이러한 배출부(60)의 흡입측에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악취제거 필터링부(70)가 구비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배출부(60)는 후방 프레임(122)과 지지판(64)에 의하여 지지되는 배출 패널(62)에 배출공(6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출공(621)의 전면으로 팬지지구(63)에 의하여 배출팬(61)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악취제거 필터링부(70)는 배출부(60)의 팬지지구(63) 전방에 기능성 배출 필터(71)를 갖는 배출필터 케이스(72)가 결합되어진 것으로 이러한 상기 기능성 배출 필터(71)는 나노탄소 활성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팬(61)은 미도시한 전원공급부의 전원 스위치를 통해 구동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용 크린룸(A)은 먼저, 수거함 카트(20)의 카트 손잡이(241)를 잡아 당김과 동시에 이동휠(211)에 의하여 크린 몸체(10)의 수납공간부(11)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인출된 수거함 카트(20)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을 끌어 얹혀놓게 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에 구비된 바퀴는 경사진 가이드편(211)에 의하여 받침판(22)에 용이하게 올려질 수 있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의 외측 하부가 찬넬형 위치 결정구(25)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올 수 있게 된다.
다음, 수거함 카트(20)의 카트 손잡이(241)를 다시 잡아 이동휠(211)이 수납공간부(11)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고, 수거함 카트(20)에 형성된 커버판(24)이 수납공간부(11)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하는 것으로 크린 몸체(10)의 수납공간부(11)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교체되어지게 된다. 이때, 투입도어(30)의 도어패널(32)에 마그네틱(36M)이 구비된 경우, 수거함 뚜껑(91)에도 동일한 위치에 마그네틱(36M)이 구비되어지도록 하여 서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한편, 투입도어(30)의 도어패널(32)에 케이블(36C)이 구비된 경우, 작업자가 수거함 뚜껑(91)에도 동일한 위치에 케이블(36C)이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에 수거되어지도록 할 경우,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도어(30)에 형성된 도어 손잡이(321)를 잡아 상부로 젖힘과 동시에 힌지(31)에 의하여 도어패널(32)이 상부로 회동하여 개방되어지게 된다. 이때, 개방되어지는 도어패널(32)은 커버판(41)의 하부로 인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되고, 도어패널(32)에 구비된 마그네틱(36M) 또는 케이블(36C)에 의하여 수거함 뚜껑(91)이 동시에 오픈되어짐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도어 손잡이(321)를 이용하여 도어패널(32)이 닫혀지도록 하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로 부터 발생된 악취는 미도시한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전원이 배출팬(61)으로 인가되어짐과 동시에 배출팬(61)의 회전으로 인한 흡입력으로 외기가 흡입부(50)를 통해 수납공간부(11)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흡입필터(52)에 의하여 먼지 등이 이물질이 제거되어지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와 혼합된 악취는 배출부(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악취제거 필터링부(70)의 나노탄소 활성판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배출 필터(71)에 의하여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어지게 됨으로써, 악취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크린 몸체 11:수납공간부
20:수거함 카트 30:투입 도어
31:힌지 40:크린 커버
50:흡입부 60:배출부
61:배출팬 70:악취제거 필터부

Claims (9)

  1.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에서 발생된 악취가 제거되게 구성된 악취제거용 크린룸(A);
    상기 크린룸(A)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부(11)가 형성된 크린 몸체(10)와;
    상기 크린 몸체(10)의 전방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90)이 수납공간부(11)로 인,입출되게 구비된 수거함 카트(20)와;
    상기 수거함 카드(20)가 인,입출되어지는 크린 몸체(10) 상부에 힌지(31)로 개폐되게 구비된 투입 도어(30)와;
    상기 투입 도어(30)의 상부로 위치된 크린 몸체(10)에 결합된 크린 커버(40)와;
    상기 크린 몸체(10)의 양측 내벽에 결합된 흡입부(50)와;
    상기 투입 도어(30)와 대응되게 크린 몸체(10)의 배면 내측에 결합된 배출팬(61)을 갖는 배출부(60); 및
    상기 배출부(60)의 흡입측에 구비된 악취제거 필터부(70)로 구성된 악취제거용 크린룸에 있어서,
    상기 크린 몸체(10)는 몸체 프레임(12)의 외측에 스킨 패널(13)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 내,외부가 차단되어지되, 상기 몸체 프레임(12)은 양측에 수직되게 구비된 사이드 프레임(121)의 후방으로 후방 프레임(122)의 양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과 후방 프레임(122)의 하부에 입구측이 개방된 보강 프레임(123)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은 전방 상부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크린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 카트(20)는 이동휠(211)이 구비된 카트 수평 프레임(21) 상부에 받침판(2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트 수평 프레임(21)의 전방에 카드 수직 프레임(23)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카트 수직 프레임(23)의 전면에 카트 손잡이(241)를 갖는 커버판(24)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트 수직 프레임(23)의 양측 배면과 카트 수평 프레임(21)의 양측 사이에 보강대(25)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판(22)은 후방에 하부로 경사진 가이드편(221)이 절곡되어지고, 상기 받침판(22)의 상부에 찬넬형 위치결정구(25)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크린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도어(30)는 도어 패널(32)의 내부에 수거함 뚜껑 개폐부(36)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거함 뚜껑 개폐부(36)는 마그네틱(36M) 또는 케이블(36C)로 구비되어 투입 도어(30)와 수거함 뚜껑(91)에 부착 또는 연결되어짐으로써 투입도어(30)와 같이 수거함 뚜껑(91)이 연동되어 개폐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크린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50)는 스킨 패널(13)에 다수개의 흡입공(5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흡입공(51)이 형성된 스킨 패널(13)의 내측으로 흡입필터(52)가 삽입된 흡입 필터 케이스(53)가 사이드 프레임(121)에 지지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크린룸.
  8. 삭제
  9. 삭제
KR1020130079456A 2013-07-08 2013-07-08 악취제거용 크린룸 KR101512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56A KR101512677B1 (ko) 2013-07-08 2013-07-08 악취제거용 크린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56A KR101512677B1 (ko) 2013-07-08 2013-07-08 악취제거용 크린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502A KR20150006502A (ko) 2015-01-19
KR101512677B1 true KR101512677B1 (ko) 2015-04-17

Family

ID=5256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456A KR101512677B1 (ko) 2013-07-08 2013-07-08 악취제거용 크린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0041B (zh) * 2018-12-24 2023-10-20 深圳市建艺装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转运站的污水臭气处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202A (ja) * 2000-10-26 2002-05-09 Toto Ltd 脱臭機付廃棄物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202A (ja) * 2000-10-26 2002-05-09 Toto Ltd 脱臭機付廃棄物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502A (ko)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591B2 (en) Dust container
KR20160100980A (ko) 자동 청소기
GB2486666A (en) A vacuum cleaner
KR20060118185A (ko) 집진 유니트의 개폐장치
KR101201675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CN108403016B (zh) 一种智能清洁机器人
KR101512677B1 (ko) 악취제거용 크린룸
KR10146239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보관장치
KR101317475B1 (ko) 음식물쓰레기 위생 수거장치
CN103126610B (zh) 具有磁性扣盖装置的卧式吸尘器
KR101654506B1 (ko) 가정용 쓰레기 배출방법 및 장치
KR20100060551A (ko) 쓰레기통 탈취 보관함
EP2422671A2 (de) Nass- und Trocken-Bodenstaubsauger
KR102360629B1 (ko) 현관 청소 장치
CN210871311U (zh) 一种集尘盒及其扫地机器人
JP3584711B2 (ja) 押し入れの集塵構造
CN105752543A (zh) 防散落垃圾箱
CN111498338A (zh) 垃圾桶
KR100797756B1 (ko) 음식물쓰레기통의 소독장치
CN211495004U (zh) 一种混凝土废料收集装置
JP3549558B2 (ja) キッチンの作業台構造
JPH08275993A (ja) 酸性イオン水による洗浄装置
KR20110045454A (ko) 야외용 쓰레기통
CN217604311U (zh) 一种带有控制装置保护结构的空气消毒机
CN211036836U (zh) 一种垃圾运输用清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