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87B1 - 가구용 조립구 - Google Patents

가구용 조립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487B1
KR101512487B1 KR20130051707A KR20130051707A KR101512487B1 KR 101512487 B1 KR101512487 B1 KR 101512487B1 KR 20130051707 A KR20130051707 A KR 20130051707A KR 20130051707 A KR20130051707 A KR 20130051707A KR 101512487 B1 KR101512487 B1 KR 10151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astening
assembled
engaging memb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495A (ko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주)토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템 filed Critical (주)토템
Priority to KR2013005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48Non-metal le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52Metal le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는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의 조립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를 간편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조립면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나사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단턱을 가진 네크부로 이루어진 체결부재; 상기 네크부의 단턱에 지지되게 조립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시 조립면에 대해 상기 헤드부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판형의 높이조절부재; 상기 피결합부재의 조립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인입되게 고정되며, 그 전면에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는 진입부가 인입 형성되고, 이 진입부에서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헤드부가 수용되는 헤드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헤드안착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본체블록으로 이루어진 수용부재; 및 상기 헤드부가 상기 헤드안착부에 수용된 후 상기 진입부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진입부와 상기 헤드안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구용 조립구는 체결부재의 네크부에 마련된 단턱에 지지되게 조립된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체결부재를 결합부재의 조립면에 체결시 헤드부가 조립면으로부터 균일한 높이로 체결된다. 따라서, 결합부재의 헤드부가 수용부재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간편하게 조립되어 헤드안착부에 수용되면서 높이조절부재와 헤드부 사이가 일정한 조립 공차를 유지되게 조립됨으로써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흔들림 없이 조립할 수 있고,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됨은 물론,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조립된 이후에도 탄성걸림부재에 의해 헤드부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분해시에는 탄성걸림부재를 눌러 헤드부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만 하면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조립구{ASSEMBLING TOOL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가구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으며,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가구용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책상 등을 포함한 가구는 일반적으로 각이 형성된 부재, 봉재(棒材) 또는 판재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로써 상호 결합시켜 제작한다.
그러나, 가구를 조립하는 데에는 전술한 봉재 또는 판재를 결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정확하게 위치를 맞추어 서로 나사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번거롭고 어려우며,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전술한 방법은 별도의 도구(공구)가 없으면 봉재와 판재를 상호 결합시키기 어려우므로, 제작상의 제약이 뒤따른다.
또한, 판재는 MDF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경우 볼트로 고정함에 있어서, 재료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장시간 경과 후 볼트와 결합 된 주위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33245호 "가구용 조립구"를 등록 받았으며, 현재 다양한 가구에 적용하고 있다.
선행 등록특허는 결합부재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부 중 일측의 돌기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부에 고정된 상기 일측의 돌기부를 축으로 하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 중 타측의 돌기부가 회동하여 삽입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고정되는 몸체봉과, 상기 몸체봉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단위블록 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에 고정되는 머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부의 종점측 또는 상기 제2수용부의 종점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머리의 폭은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종점의 폭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몸체봉은 정, 역회전하면서 상기 머리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1단위블록 수용부의 종점과 상기 제2 수용부의 종점은 일 직선상에 배열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형성 방향은 상기 제2 수용부의 형성 방향과 직교되는 가구용 조립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구용 조립구는 결합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 중 일측의 것을 피결합부재에 마련된 제1, 2 수용부 중 제1수용부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한 다음 타측의 돌기부를 회동시켜 제2 수용부에 고정하는 구조에 따라 조립을 위하여 별도의 도구를 준비할 필요없이 가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와 제1, 2 수용부가 각각 결합부재 및 피결합부재에 장착된 형태로 출고되므로,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결합하여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 등록특허 가구용 조립구는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돌기부의 높낮이를 균일하게 맞추기가 번거롭고, 제1 및 제2수용부의 가이드레일과 돌기부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 공차가 발생하게 되어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 간의 조립 및 분해가 불량해질 우려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돌기부가 가이드레일에 장착 된 이후에 외측으로 이탈될 우려가 있었으며, 제1 및 제2수용부를 금형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데 있어 특히 돌기부가 수용되는 가이드레일 내측이 언더 컷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대량 생산하는데 매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하기 위한 도구가 없어도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조립구를 제공하면서도,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와 조립공차를 균일하게 조립할 수 있는 체결부재와 수용부재로 이루어진 가구용 조립구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와 수용부재가 조립된 후 서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조립구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와 조립되기 위한 언더컷부를 가지는 수용부재를 대량 생산을 위한 사출 성형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며, 수용부재를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피결합부재 또는 피결합부재 조립면에 인써트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조립구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는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의 조립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를 간편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조립면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나사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단턱을 가진 네크부로 이루어진 체결부재; 상기 네크부의 단턱에 지지되게 조립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시 조립면에 대해 상기 헤드부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판형의 높이조절부재; 상기 피결합부재의 조립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인입되게 고정되며, 그 전면에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는 진입부가 인입 형성되고, 이 진입부에서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헤드부가 수용되는 헤드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헤드안착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본체블록으로 이루어진 수용부재; 및 상기 헤드부가 상기 헤드안착부에 수용된 후 상기 진입부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진입부와 상기 헤드안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및 가이드레일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상을 기준으로 2 분할되어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은 일측 가장자리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타측단부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체결면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2 분할된 상기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및 가이드레일부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에 각각 사출 성형되고, 사출 성형 후에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블록로 합쳐지면서 상기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및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단위블록 및 제2단위블록의 체결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 편에서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본체블록의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사이 바닥면에 일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헤드안착부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향 탄발되는 쐐기형 탄성돌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진입부 및 상기 헤드안착부의 바닥면 하부에는 탄성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조립면에 대해 그 두께 만큼 인입되게 형성된 자리홈에 안착되어 그 외측면이 상기 조립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체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재 외주면에는 다수의 쐐기형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형돌기와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회전방지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재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면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결합부재의 조립홈 원형의 측벽에는 상기 면취부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평면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체결부재의 네크부에 마련된 단턱에 지지되게 조립된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체결부재를 결합부재의 조립면에 체결시 헤드부가 조립면으로부터 균일한 높이로 체결된다.
따라서, 결합부재의 헤드부가 수용부재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간편하게 조립되어 헤드안착부에 수용되면서 높이조절부재와 헤드부 사이가 일정한 조립 공차를 유지되게 조립됨으로써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흔들림 없이 조립할 수 있고,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됨은 물론,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조립된 이후에도 탄성걸림부재에 의해 헤드부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분해시에는 탄성걸림부재를 눌러 헤드부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만 하면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구용 연결구에 의하면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를 조립함에 있어서 별도의 도구(공구) 등을 준비할 필요없이 가구를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와 수용부재는 각각 결합부재 및 피결합부재에 장착된 형태로 출고되므로, 보관 및 물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가구 부품을 신속하게 견고하게 결합하여 누구나 가구를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사출 성형을 위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사출 성형 직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가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2의 평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사출 성형을 위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사출 성형 직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가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2의 평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 언급되는 결합부재(10) 및 피결합부재(20)는 각각 책상의 다리부분과 책상의 상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사각기둥 형상, 봉 형상 등 다양한 부재에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30)와 수용부재(50)를 적용하여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의 조립면(11,21)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를 간편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100)는 결합부재(10)의 조립면(11)에 장착되는 체결부재(30)와, 결합부재(10)와 조립되는 피결합부재(20)의 조립면(21)에 에 장착되는 수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체결부재(30)에는 높이조절부재(40)가 더 구비되며, 수용부재(5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결합부재(10)의 조립면(11)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되는 것으로서, 나사부(31)와, 헤드부(32)와 네크부(34)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31)는 결합부재(10)가 나무 또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 재질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지만 통상적으로 나사못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10)의 재질과 상관 없이 그 조립면(11) 또는 그 내측에 인써트 너트 등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나사부(31)는 볼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32)는 상기 나사부(31)의 체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나사부(31)가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못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조과정에서 체결부재(30)를 결합부재(10)에 사전 장착하기 위한 공구에 따라 십자 또는 일자 또는 렌치 홈이 형성된 통상의 체결나사 머리와 동일하게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있다.
상기 네크부(34)는 나사부(31)와 헤드부(32)의 경계 바람직하기로 헤드부(32)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단턱(33)이 형성되고, 이 단턱(33) 상측으로 네크부(34)가 형성되며, 단턱(33) 하측의 나사부(31)에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재(40)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나사부(31)의 나사산의 뿌리부의 직경보다는 네크부(34)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단턱(33)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헤드부(32)는 나사부(31)의 직경보가 1.5배 이상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헤드부(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링 형상의 높이조절부재(40)는 중앙에 체결구멍(41)이 형성되어 이 체결구멍(41)을 통해 나사부(31)의 나사산 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되어 조립되고 단턱(33)에 걸리게 조립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30)와 높이조절부재(40)는 별도로 취급하지 않고 한 몸을 이루게 되므로 취급상 용이해지며, 특히 결합부재(10)에 체결 작업시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체결부개(10)를 결합부재(10)의 조립면(11)에 수직으로 체결하면 결합부재(10)가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나사부(31)가 조립면(11)에 체결되면 높이조절부재(40)의 일측면이 단턱(33)에 지지되면서 이와 동시에 타측면이 상기 피결합부재(20)의 조립면(21)에 지지되면서 체결이 완료된다.
따라서, 조립자는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30)를 제조 과정에서 조립할 때 일일이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의 높이를 맞출 필요 없이 체결부재(30)를 결합부재(10)의 조립면(11)에 수직으로 체결하는 일련의 단순 동작만으로도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다수의 결합부재(10)에 간편하게 사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상기 결합부재(10)의 조립면(11)에 대해 그 두께 만큼 인입되게 형성된 자리홈(12)에 안착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높이조절부재의 외측면이 상기 조립면(11)과 평면을 이루게 됨으로서 결합부재(10) 및 피결합부재(20)를 조립하는 경우 각 조립면(11,21)이 전체적으로 면접촉하면서 조립되므로 견고한 체결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편의성과 균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조립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40)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 제품에 있어서 조립 전 균일한 조립성을 갖는 고품질을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가 DIY 가구방식으로 스스로 조립할 때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성과 조립 완료 후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부재(50)는 상기 피결합부재(20)의 조립면(21)에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홈(22)에 인입되게 고정되는 본체블록(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용부재(50)는 본체블록(150)에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및 가이드레일부(5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즉, 본체블록(150)이 상기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가 일정 깊이로 수용된 후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그 헤드부(32)가 헤드안착부(52)에 수용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 과정에서 가이드레일부(53)에 의해 네크부(34)가 안내되어 헤드부(32)가 진입부(51)로부터 헤드안착부(52)까지 자연스럽게 이동된 후 후술된 탄성걸림부재(6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가 조립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전술한 본체블록(150)은 금속 또는 내구성이 높고 질긴 아세탈 또는 PC재질로 이루어지며, 피결합부재(20)의 재질(금속 또는 나무재질(MDF))에 따라 그 조립면(21)에 별도의 체결나사로 고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피결합부재(20) 조립면(21)에 본체블록(15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 (원형 또는 다면체)의 조립홈(22)을 형성하고 원형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본체블록(150)을 조립홈(22)에 강제로 압입 고정된 구성이다.
피결합부재(20)의 조립홈(22)의 깊이는 본체블록(150)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져서 본체블록(150)이 조립홈(22)에 압입되면 그 전면부만이 표면에 노출되면서 피결합부재(20)의 조립면(21)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블록(150)은 그 형상이 원형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피결합부재(20)의 조립면(21)에 조립홈(22)을 후가공(드릴작업)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원형의 조립홈(22)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체블록(150)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강제 압입된 반대 방향으로 본체블록(1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재(50) 외주면 즉, 본체블록(15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쐐기형돌기(56)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형돌기(56)와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회전방지리브(57)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됨으로써 본체블록(150)이 압입된 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블록(1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및 가이드레일부(53)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입부(51)는 본체블록(150)의 전면부로부터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깊이와 폭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본체블록(150)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헤드부(32)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 각도를 가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블록(150)의 전체 외형과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 형상 및 크기(두께)에 따라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진입부(51)는 하측으로는 상기 헤드안착부(52)와 통하도록 형성되면서, 상측으로는 상기 가이드레일부(53)와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안착부(52)는 부채꼴형상의 진입부(51)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이 점차로 좁아지게 형성되되, 그 종점 위치에서 상기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가 수용되어 정지될 때 외면 전체를 감싸면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53)는 상기 진입부(51)로부터 상기 헤드안착부(52)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되 종점 위치에서 체결부재(30)의 네크부(34)의 외주면을 감싸는 직경의 안착홈(54)이 상기 헤드안착부(52)와 동일 중심축 선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안착홈(54)에는 상기 네크부(34)가 위치되어 안착되는 것으로서 안착홈(54) 입구(54a)는 네크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네크부(34)가 입구에서 억지로 끼워지면서 안착홈(54)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부(32)는 진입부(51)를 통해 삽입된 후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헤드안착부(52)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네크부(34)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안착홈(54)까지 이동됨으로써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는 가이드레일부(53)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턱(58)에 걸리는 형태로 수용부재(50)와 조립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는 체결부재(30)가 수용부재(50)의 진입부(51)에 1차 삽입된 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조립되고, 헤드부(32)와 가이드레일의 걸림턱(58)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체결부재(30)의 네크부(34)에 조리되어 있는 높이조절부재(40)의 외측면은 헤드부(3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진입부(51)에 삽입되면 높이조절부재(40)가 수용부재(50)의 전면부와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재(1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와 높이조절부재(40) 사이 공간으로 가이드레일이 끼워지게 되고 이때 걸림턱(58)은 헤드부(32)의 내측면과 외측면과 접촉됨에 따라 체결부재(30)가 수용부재(50)가 조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재(40)와 헤드부(32) 사이의 조립 공차는 가이드레일부(53)의 걸림턱(58)의 두께와 그 내측면의 형상을 감안하여 조립 공차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부(32)의 형상을 접시머리형상으로 구성하여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였고, 이에 대응되는 진입부(51) 및 헤드안착부(52)의 내측면 형상과 가이드레일의 걸림턱(58) 형상을 접시머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부(32)가 상기 헤드안착부(52)에 수용된 후 상기 진입부(51)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진입부(51)와 상기 헤드안착부(52) 사이에 탄성걸림부재(6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점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탄성걸림부재(60)는 상기 본체블록(150)의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사이 바닥면에 일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헤드안착부(52)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향 탄발되는 쐐기형 탄성돌기(61)로 이루어진다.
탄성걸림수단은 본체블록(150)과 별도로 제작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된 실시예서와 같이 본체블록(150)이 사출 성형되는 경우를 감안하여 본체블록(150) 사출 성형시 탄성걸림부재(60)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진입부(51) 및 상기 헤드안착부(52)의 바닥면 하부에는 탄성공간부(55)가 더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헤드부가 진입부로 이동될 때 헤드부와 접촉되는 바닥면이 아래로 탄성공간부 쪽으로 눌려진 후 헤드부가 헤드안착부에 위치되면 다시 상측으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헤드부가 헤드안착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한 탄성걸리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재(50)는 사출 성형을 감안하여 상기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및 가이드레일부(5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상을 기준으로 2 분할된 제1단위블록(151)과 제2단위블록(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재(5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단위블록(151)과 제2단위블록(152)은 반원형상으로 구성되며, 분할된 체결면 쪽으로 상기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및 가이드레일부(53)가 2 분할되어 각각 형성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단위블록(151)과 제2단위블록(152)은 일측 가장자리가 연결부(15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타측단부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단위블록(151)과 제2단위블록(152)은 상기 연결부(153)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체결면(154)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2 분할된 상기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및 가이드레일부(53)가 상기 제1단위블록(151)과 제2단위블록(152)에 각각 사출 성형되고, 사출 성형 후에는 상기 연결부(153)에 의해 상기 본체블록(150)로 합쳐지면서 상기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및 가이드레일부(53)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단위블록(151) 및 제2단위블록(152)의 체결면(154)에는 상기 연결부(153)의 반대편에서 체결돌기(155)와 체결홈(15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단위블록(151)과 제2단위블록(152)가 사출성형 되면서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부(15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출 부품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부(153)를 기준으로 제1단위블록(151)과 제2단위블록(152)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원형 형상의 본체블록(150)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50)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쐐기형돌기(56)는 전술한 일실시예서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쐐기형돌기(56)와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회전방지리브(5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형돌기(56)는 수용부재(50)가 본 실시예서와 같이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레스물로 제작된 인써트물로 구성되어 수용부재(50) 사출 성형시 금형 코어 내부에 인써트 시킨 상태에서 사출성형 함으로써 조립홈(22)에 수용부재(50)를 강제 압입 시킨 후 쐐기형돌기(56)에 의해 수용부재(50)가 조립홈(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조립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재(5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면취부(5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결합부재(20)의 조립홈(22) 원형의 측벽에는 상기 면취부(59)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평면부(2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수용부재(50)와 체결부재(30)의 조립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조립하도록 안내하는 경우 조립홈(22)의 평면부(23) 형성 위치를 슬라이드 조립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수용부재(50)의 면취부(59)를 상기 평면부(23)와 동일한 방향(슬라이드 방향)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의 슬라이드 조립 방향을 가구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선택적하여 비 숙력자가 가구를 조립하더라도 슬라이드 삽입 방향에 따라 안내를 받아 가구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100)의 결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우선, 제조 공장에서의 사전 조립과정이다.
먼저, 봉재와 같은 결합부재(10)의 조립면(11)에 체결부재(30)를 드라이버 공구 등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체결한다.
이때, 체결부재(30)의 네크부(34)에 조립된 높이조절부재(40)가 조립면(11)에 지지되면서 체결부재(30)의 나사부(31)가 항상 일정 깊이로 체결되며, 높이조절부재(40)는 네크부(34)의 단턱(33)에 걸려 더 이상 나사부(31)가 깊이 박히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의 내측면과 높이조절부재(40)의 외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한편, 수용부재(50)는 도 와 같이 사출 성형된 상태이므로 연결부(153)를 통하여 반으로 접은 다음 체결돌기(155)와 체결홈(156)을 정합시켜 조립하면 원형의 본체블록(150)이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피결합부재(20)의 조립면(21)에 사전에 앤드밀 가공 등으로 형성된 조립홈(22)에 수용부재(50)를 강제 압입한다.
수용부재(50)는 쐐기형돌기(56)에 의해 압입 방향으로 삽입이 잘 이루어지게 되고 압입된 이후에는 쐐기형돌기(56)가 조립홈(22)의 내벽에 박히게 됨으로써 수용부재(50)는 쐐기형돌기(56)에 의해 조립홈(22)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회전방지리브(57)에 의해 수용부재(50)는 조립홈(22) 내부에서 유동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견고하게 장착된다.
또한, 면취부(59)와 평면부(23)에 의해 수용부재(50)가 조립홈(22)에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의 슬라이드 조립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일반 사용자는 가구를 조립하기 위하여 체결부재(30)의 헤드부(32)를 수용부재(50)의 진입부(51)에 삽입한다.
여기서, 헤드부(32)의 상면은 진입부(51)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고, 높이조절부재(40)의 외측면은 수용부재(50)의 전면부에 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높이조절부재(40)와 헤드부(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일측 방향 즉, 헤드안착부(52) 방향으로 결합부재(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여기서, 네크부(34)는 가이드레일부(53)를 따라 안내되면서 안착홈(54)을 향해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헤드부(32)는 가이드레일부(53)의 걸림턱(58)과 바닥면 사이에 간격으로 빡빡하게 끼워지면서 헤드안착부(52)로 이동된다.
또한, 헤드부(32)는 진입부(51)와 헤드안착부(52) 사이에 구비된 탄성걸림부재(60)를 타고 넘어가게 되는데, 이때 탄성걸림부재(60)는 헤드안착부(52)를 향해 경사진 쐐기형상이므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눌려지게 되면서 상측으로 탄발되는 힘을 갖게 된다.
또한, 바닥면은 탄성공간부(55)에 의해 눌려지더라도 상향 탄발되는 힘이 작용하므로 헤드부(32)는 적절한 조립 공차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32)가 탄성걸림부재(60)를 통과하는 지점에서는 눌려 있던 상태에서 다시 원래대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헤드부(32)의 측면이 탄성걸림부재(60)에 걸리게 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헤드부(32)가 헤드안착부(52)에 위치된 상태는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의 각 조립면(11,21)이 면대 면으로 접촉되는 상태가 되며, 높이조절부재(40)와 헤드부(32) 사이에 끼워진 가이드레일부(53)의 걸림턱(58)에 의하여 결합부재(10)는 피결합부재(20)와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를 분리할 때에는 결합부재(10)를 파지 한 상태에서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탄성걸림부재(60)를 하측으로 밀어 쐐기부위가 바닥면까지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결합부재(10)를 진입부(51)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헤드부(32)가 탄성걸림부재(60)를 타고 넘어 진입부(51) 쪽으로 위치됨으로써 결합부재(10)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면 결합부재(10)와 피결합부재(20)가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 나사 와 공구 없이도 일반인 누구나 가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조립된 후에는 쉽게 가구 부품이 이탈되지 않고 체결력이 양호하므로 사용 과정에서 뛰어난 내구성을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결합부재 11,21 : 조립면
12 : 자리홈 20 : 피결합부재
22 : 조립홈
30 : 체결부재 31 : 나사부
32 : 헤드부 33 : 단턱
34 : 네크부
40 : 높이조절부재 41 : 체결구멍
50 : 수용부재 51 : 진입부
52 : 헤드안착부 53 : 가이드레일부
54 : 안착홈 55 : 탄성공간부
56 : 쐐기형돌기 57 : 회전방지리브
58 : 걸림턱
60 : 탄성걸림부재 61 : 쐐기형 탄성돌기
100 : 조립구
150 : 본체블록 151 : 제1단위블록
152 : 제2단위블록 153 : 연결부
154 : 체결면 155 : 체결돌기
156 : 체결홈

Claims (10)

  1.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의 조립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를 간편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조립면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나사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단턱을 가진 네크부로 이루어진 체결부재;
    상기 네크부의 단턱에 지지되게 조립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시 조립면에 대해 상기 헤드부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판형의 높이조절부재;
    상기 피결합부재의 조립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인입되게 고정되며, 그 전면에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는 진입부가 인입 형성되고, 이 진입부에서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헤드부가 수용되는 헤드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헤드안착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본체블록으로 이루어진 수용부재; 및
    상기 헤드부가 상기 헤드안착부에 수용된 후 상기 진입부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진입부와 상기 헤드안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및 가이드레일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상을 기준으로 2 분할되어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으로 되는 본체블록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가구용 조립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은 일측 가장자리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타측단부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체결면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2 분할된 상기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및 가이드레일부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 사출 성형 후에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블록로 합쳐지면서 상기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및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블록 및 제2단위블록 체결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편에서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본체블록의 진입부와 헤드안착부 사이 바닥면에 일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헤드안착부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향 탄발되는 쐐기형 탄성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 및 상기 헤드안착부의 바닥면 하부에는 탄성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조립면에 대해 그 두께 만큼 인입되게 형성된 자리홈에 안착되어 그 외측면이 상기 조립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체결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 외주면에는 다수의 쐐기형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쐐기형돌기와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회전방지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면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결합부재의 조립홈 원형의 측벽에는 상기 면취부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구.
KR20130051707A 2013-05-08 2013-05-08 가구용 조립구 KR10151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707A KR101512487B1 (ko) 2013-05-08 2013-05-08 가구용 조립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707A KR101512487B1 (ko) 2013-05-08 2013-05-08 가구용 조립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495A KR20140132495A (ko) 2014-11-18
KR101512487B1 true KR101512487B1 (ko) 2015-04-15

Family

ID=5245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707A KR101512487B1 (ko) 2013-05-08 2013-05-08 가구용 조립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4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07B1 (ko) * 2018-06-29 2019-07-10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 조립용 체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구
KR102256935B1 (ko) * 2021-03-18 2021-05-27 주식회사 앤우드 천공 부위 비노출 타입의 슬라이드 단순 결합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5147B (zh) * 2016-08-30 2018-06-29 安徽省中阳管业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波纹管模具
KR101966087B1 (ko) * 2018-08-13 2019-04-05 (주)코아스 조립 가구용 연결장치
KR20210082253A (ko) * 2019-04-18 2021-07-02 에스.피.에스 인터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넉다운 가구용 잠금장치
KR102277160B1 (ko) * 2019-11-21 2021-07-15 (주)진합 갈바닉 부식 및 풀림방지용 삼각머리 볼트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949B1 (ko) * 1999-09-15 2002-11-01 (주)키즈퍼니쳐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101193245B1 (ko) * 2010-08-03 2012-10-26 (주)토템 가구용 조립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949B1 (ko) * 1999-09-15 2002-11-01 (주)키즈퍼니쳐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101193245B1 (ko) * 2010-08-03 2012-10-26 (주)토템 가구용 조립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07B1 (ko) * 2018-06-29 2019-07-10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 조립용 체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구
KR102256935B1 (ko) * 2021-03-18 2021-05-27 주식회사 앤우드 천공 부위 비노출 타입의 슬라이드 단순 결합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495A (ko)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487B1 (ko) 가구용 조립구
US20120321378A1 (en) Corner joint system for furniture panels
US6474901B1 (en) Modular dovetail joint
EP3262308B1 (en) Furniture joint
US201000030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tructural Components
KR20130106764A (ko) 프레임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슬라이드
CA3052659A1 (en) Furniture assembly
KR101633702B1 (ko) 조립식 수납함
US20180080489A1 (en) Furniture assembly bracket, self-assembly furniture using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2019005780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US7658002B2 (en) Moun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harness assembly
JP6711882B2 (ja) テーブル等の脚継手
CN102829044A (zh) 用于家具面板的角部接合系统
KR101925706B1 (ko) 조립식 프레임
JP5632941B1 (ja) 締結具取付装置及び締結具取付構造
KR20210113688A (ko) 가구 부품용 연결 시스템
TWI690282B (zh) 用於家具的可組裝抽屜以及組裝抽屜的方法
KR101995996B1 (ko) 완구 조립부품
KR101193245B1 (ko) 가구용 조립구
KR101130653B1 (ko) 캡티브 스크류
KR200352566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멀티너트
KR20170049751A (ko) 테이블 프레임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101545708B1 (ko) 조립 어셈블리
KR20160109950A (ko) 미닫이문의 손잡이 조립체
KR20140107884A (ko) 크로스바 연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