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245B1 - 가구용 조립구 - Google Patents

가구용 조립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245B1
KR101193245B1 KR1020100074907A KR20100074907A KR101193245B1 KR 101193245 B1 KR101193245 B1 KR 101193245B1 KR 1020100074907 A KR1020100074907 A KR 1020100074907A KR 20100074907 A KR20100074907 A KR 20100074907A KR 101193245 B1 KR101193245 B1 KR 10119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end point
head
fixed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714A (ko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주)토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템 filed Critical (주)토템
Priority to KR102010007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48Non-metal le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2012/103Sleeves or dowels for connection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2012/106Connection bolts for connection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는 결합부재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와, 전술한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전술한 복수의 돌기부 중 일측의 돌기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수용부와, 전술한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전술한 제1 수용부에 고정된 전술한 일측의 돌기부를 축으로 하면서 전술한 복수의 돌기부 중 타측의 돌기부가 회동하여 삽입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전술한 돌기부는 전술한 제1 수용부의 종점측 또는 전술한 제2 수용부의 종점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전술한 제1 수용부의 종점과 전술한 제2 수용부의 종점은 일 직선상에 배열되며 전술한 제1 수용부의 형성 방향은 전술한 제2 수용부의 형성 방향과 직교를 이룬다.

Description

가구용 조립구{ASSEMBLING TOOL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가구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으며,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책상 등을 포함한 가구는 일반적으로 각이 형성된 부재, 봉재(棒材) 또는 판재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로써 상호 결합시켜 제작한다.
그러나, 가구를 조립하는 데에는 전술한 봉재 또는 판재를 결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정확하게 위치를 맞추어 결합시키는 것이 번거롭고 어려우며,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전술한 방법은 별도의 도구가 없으면 봉재와 판재를 상호 결합시키기 어려우므로, 제작상의 제약이 뒤따른다.
또한, 판재는 MDF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경우 볼트로 고정함에 있어서, 재료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장시간 경과 후 볼트와 결합된 주위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조립하기 위한 도구가 없어도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조립구와 관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구성이 뛰어난 가구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조립구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는 결합부재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와, 전술한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전술한 복수의 돌기부 중 일측의 돌기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수용부와, 전술한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전술한 제1 수용부에 고정된 전술한 일측의 돌기부를 축으로 하면서 전술한 복수의 돌기부 중 타측의 돌기부가 회동하여 삽입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전술한 돌기부는 전술한 제1 수용부의 종점측 또는 전술한 제2 수용부의 종점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전술한 제1 수용부의 종점과 전술한 제2 수용부의 종점은 일 직선상에 배열되며 전술한 제1 수용부의 형성 방향은 전술한 제2 수용부의 형성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결합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 중 일측의 것을 피결합부재에 마련된 제1, 2 수용부 중 제1 수용부에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한 다음 타측의 돌기부를 회동시켜 제2 수용부에 고정하는 구조에 따라 조립을 위하여 별도의 도구를 준비할 필요없이 가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와 제1, 2 수용부가 각각 결합부재 및 피결합부재에 장착된 형태로 출고되므로,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결합하여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주요부인 돌기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는 결합부재(400)에 마련된 돌기부(100, 100')와, 결합부재(400)와 조립되는 피결합부재(500)에 마련된 제1 수용부(200) 및 제2 수용부(3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결합부재(400) 및 피결합부재(500)는 각각 책상의 다리부분과 책상의 상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사각기둥 형상, 봉 형상 등 다양한 부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00, 100')와 제1 수용부(200) 및 제2 수용부(300)를 장착할 수 있다.
돌기부(100, 100')는 결합부재(400)로부터 복수로 돌출되어 일측의 돌기부(100)와 타측의 돌기부(100')가 일 직선상에 배치되며 후술할 피결합부재(500)와 결합되기 위한 중간부재의 역할을 한다.
제1 수용부(200)는 피결합부재(500) 상에 장착되는 것이며, 복수의 돌기부(100, 100') 중 일측의 돌기부(100)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피결합부재(500) 상에 시점(201)에서 종점(202)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며, 결합부재(400)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수용부(300)는 제1 수용부(200)와 함께 피결합부재(500) 상에 장착되는 것이며, 제1 수용부(200)에 고정된 일측의 돌기부(100)를 축으로 하면서 타측의 돌기부(100')가 회동하여 삽입되게 피결합부재(500) 상에 시점(301)에서 종점(302)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즉, 제2 수용부(300)는 최종적으로 결합부재(400)와 피결합부재(500) 상호간의 결합이 완료되도록 결합부재(400)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결합부재(400)와 피결합부재(500)는 일측의 돌기부(100)가 ①제1 수용부(200)의 시점(201)으로 이동하면서, ②제1 수용부(200)의 종점(202)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타측의 돌기부(100')는 ③일측의 돌기부(100)를 축으로 경사지게 회동하여 ③'제2 수용부(300)의 시점(301)으로 이동한 후, ④제2 수용부(300)의 종점(302)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호 체결된다.
여기서, 제1 수용부(200)의 종점(202)과 제2 수용부(300)의 종점(302)은 일 직선(ℓ)상에 배열되며, ①, ②, ③, ③', ④와 같은 순서로 결합되도록 제1 수용부(200)의 형성 방향은 제2 수용부(300)의 형성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돌기부(100, 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400)에 돌출된 것으로, 일측의 돌기부(100)는 몸체봉(110)과 머리(120)를 포함하여 제1 수용부(200)에 고정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몸체봉(110)은 결합부재(4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결합부재(400)에 박혀서 매몰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결합부재(400)로부터 일부분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머리(120)는 몸체봉(110)의 단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1 수용부(200)에 고정되는 것으로, 머리(120)의 직경(d)은 일측의 돌기부(100)가 제1 수용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수용부(200)의 종점(202)의 폭(d')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여기서, 종점(202)의 폭(d')은 후술할 제1 수용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30)의 폭, 즉 머리(120)가 고정되게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길이를 나타낸다.
타측의 돌기부(100')는 몸체봉(110')과 머리(120')를 포함하여 제2 수용부(300)에 고정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몸체봉(110')은 결합부재(4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결합부재(400)에 박혀서 매몰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결합부재(400)로부터 일부분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머리(120')는 몸체봉(110')의 단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2 수용부(300)에 고정되는 것으로, 머리(120')의 직경(d)은 타측의 돌기부(100')가 제2 수용부(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 수용부(300)의 종점(302)의 폭(d')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여기서, 종점(302)의 폭(d')은 후술할 제2 수용부(300)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330)의 폭, 즉 머리(120')가 고정되게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길이를 나타낸다.
제1 수용부(200)는 일측의 돌기부(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블럭(210)과 가이드 레일(220)을 포함한다.
본체블럭(210)은 피결합부재(500) 상에 탈착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220)은 본체블럭(210)의 상면에 시점(201)에서 종점(202)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일측의 돌기부(100)의 단부, 즉 머리(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머리(120)는 가이드 레일(220)에 수용되어 가이드 레일(2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시점(201)에서 종점(202)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220)의 종점(202)의 폭은 일측의 돌기부(100)의 머리(120)가 이탈되지 않게 머리(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제2 수용부(300)는 타측의 돌기부(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블럭(310)과 가이드 레일(320)을 포함한다.
본체블럭(310)은 피결합부재(500) 상에 탈착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320)은 본체블럭(310)의 상면에 시점(301)에서 종점(302)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타측의 돌기부(100')의 단부, 즉 머리(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머리(120')는 가이드 레일(320)에 수용되어 가이드 레일(3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시점(301)에서 종점(302)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320)의 종점(302)의 폭은 타측의 돌기부(100')의 머리(120')가 이탈되지 않게 돌기부(100')의 단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2 수용부(200, 300)의 형상을 원판 형상으로 제작하여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면서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제작되는 가구들의 형상에 따라 사각 블럭 등 다양한 형상의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구의 결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결합부재(400)에 마련된 일측 돌기부(100)의 머리(120)가 ①피결합부재(500)의 제1 수용부(200)의 시점(201), 즉 본체블럭(210)의 가이드 레일(220)에 삽입되고, ②머리(120)는 가이드 레일(2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종점(202)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된다.
다음으로, 결합부재(400)에 마련된 타측 돌기부(100')의 머리(120')는 ③일측의 돌기부(100)를 축으로 경사지게 회동하여 ③'제2 수용부(300)의 시점(301), 즉 본체블럭(310)의 가이드 레일(320)에 삽입되고, ④머리(120')는 가이드 레일(3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종점(302)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됨으로써 결합부재(400)와 피결합부재(500)의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체결 방식은 책상 등과 같은 가구에서 상판(미도시)에 피결합부재(500)로서의 측판(미도시)이 각각 양측에 장착된 경우에도 ①, ②, ③, ③', ④의 순서로 결합부재(400) 양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부(100, 100')가 동시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돌기부(100, 1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도 2 및 도 3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참고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의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도면의 상측에 배치된 돌기부(100')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즉, 돌기부(100')는 도 2와 같이 결합부재(400)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쐐기 형상의 고정 돌기(132') 북수개가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몸체봉(110')이 나사 결합되는 앵커(130')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봉(110')은 앵커(130')에 나사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가구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 적절히 머리(1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앵커(130')는 고정 돌기(132')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봉(110')과 결합되는 부위, 즉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131')이 형성되며, 몸체봉(110')이 삽입되는 입구부에 육각 렌치 등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서 결합부재(4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의 체결홈(133') 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기부(100')는 도 3과 같이 결합부재(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어 몸체봉(110')이 중앙에 나사 결합되는 브라켓(14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브라켓(140')은 크게 중심편(142')과 고정편(144')을 포함한다.
중심편(142')은 결합부재(400)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며 몸체봉(110')이 나사결합되는 체결공(141')이 중앙에 관통되는 구조이다.
고정편(144')은 중심편(14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면서 결합부재(400)의 양면에 접촉하여 중심편(142')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몸체봉(110')은 브라켓(140')의 체결공(141')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가구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 적절히 머리(1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구가 없어도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난 가구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조립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돌기부 110, 100'...몸체봉
120, 120'...머리 130'...앵커
131'...나사산 132'...고정 돌기
133'...체결홈 140'...브라켓
141'...체결공 142'...중심편
144'...고정편 200...제1 수용부
201...시점 202...종점
210...본체블럭 220...가이드 레일
300...제2 수용부 301...시점
302...종점 310...본체블럭
320...가이드 레일 400...결합부재
500...피결합부재

Claims (6)

  1. 결합부재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부 중 일측의 돌기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피결합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점에서 종점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부에 고정된 상기 일측의 돌기부를 축으로 하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 중 타측의 돌기부가 회동하여 삽입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고정되는 몸체봉과, 상기 몸체봉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에 고정되는 머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종점측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종점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머리의 폭은 상기 제1 수용부 또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종점의 폭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몸체봉은 정, 역회전하면서 상기 머리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종점과 상기 제2 수용부의 종점은 일 직선상에 배열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형성 방향은 상기 제2 수용부의 형성 방향과 직교되는 가구용 조립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수용부는,
    상기 피결합부재 상에 탈착 결합되는 본체블럭과,
    상기 본체블럭의 상면에 상기 시점에서 상기 종점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단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종점의 폭은 상기 돌기부의 단부의 폭보다 작은 가구용 조립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쐐기 형상의 고정 돌기 북수개가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봉이 나사 결합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봉은 상기 앵커에 나사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상기 머리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가구용 조립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어 상기 몸체봉이 중앙에 나사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봉은 상기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상기 머리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가구용 조립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며 상기 몸체봉이 나사결합되는 체결공이 중앙에 관통된 중심편과,
    상기 중심편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면서 상기 결합부재의 양면에 접촉하여 상기 중심편을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가구용 조립구.
KR1020100074907A 2010-08-03 2010-08-03 가구용 조립구 KR10119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07A KR101193245B1 (ko) 2010-08-03 2010-08-03 가구용 조립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07A KR101193245B1 (ko) 2010-08-03 2010-08-03 가구용 조립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14A KR20120012714A (ko) 2012-02-10
KR101193245B1 true KR101193245B1 (ko) 2012-10-26

Family

ID=4583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07A KR101193245B1 (ko) 2010-08-03 2010-08-03 가구용 조립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87B1 (ko) * 2013-05-08 2015-04-15 (주)토템 가구용 조립구
KR20190005091A (ko) 2017-07-05 2019-01-15 박찬민 규격화된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용 구조체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립식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0728U (ko) 1974-05-08 1975-11-19
KR200206800Y1 (ko) 2000-06-28 2000-12-15 엄창호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조립식선반
KR100358949B1 (ko) 1999-09-15 2002-11-01 (주)키즈퍼니쳐 조립용 가구 연결구
JP2003254628A (ja) 2002-02-27 2003-09-10 Sanyo Electric Co Ltd 温水器の据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0728U (ko) 1974-05-08 1975-11-19
KR100358949B1 (ko) 1999-09-15 2002-11-01 (주)키즈퍼니쳐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200206800Y1 (ko) 2000-06-28 2000-12-15 엄창호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조립식선반
JP2003254628A (ja) 2002-02-27 2003-09-10 Sanyo Electric Co Ltd 温水器の据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87B1 (ko) * 2013-05-08 2015-04-15 (주)토템 가구용 조립구
KR20190005091A (ko) 2017-07-05 2019-01-15 박찬민 규격화된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용 구조체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립식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14A (ko) 201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964B2 (en) Fastening device, fastening system and furniture assembly
US10799022B2 (en) Connecting structure, connecting method and article containing such connecting structure
US20130048632A1 (en) Quick-disconnect storage box modular structure
US20080193209A1 (en) Fastener For Connecting Components and Assembling Embodying Same
EP1793129A1 (en) Joint for removably connecting two structural furniture members abutting orthogonally against each other
EP2253855B1 (en) Adjustable joining assembly
KR101193245B1 (ko) 가구용 조립구
KR101512487B1 (ko) 가구용 조립구
JP2008036727A (ja) ソケットユニット
KR101271580B1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KR101423244B1 (ko) 조립식 옷장
KR200469535Y1 (ko) 조립과 분해가 간편한 조립식 가구
KR200382746Y1 (ko) 가구용 직결볼트
KR101977679B1 (ko) 가구의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연결장치
KR100663730B1 (ko) 기둥용 유로폼의 고정장치
JP2012067519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WO2018026340A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меб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меб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0482289Y1 (ko)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KR20130005638A (ko) 조립식 프레임 구성물
JP5276033B2 (ja) 止め金具
KR101557001B1 (ko) 조립식 가구
KR101545465B1 (ko) 드라이버 체결용 소형너트
KR20180107615A (ko) 프레임 체결체
KR200413711Y1 (ko) 보울트 조립구조
KR200463151Y1 (ko) 가구용 조립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