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183B1 - 재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재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183B1
KR101512183B1 KR1020130151726A KR20130151726A KR101512183B1 KR 101512183 B1 KR101512183 B1 KR 101512183B1 KR 1020130151726 A KR1020130151726 A KR 1020130151726A KR 20130151726 A KR20130151726 A KR 20130151726A KR 101512183 B1 KR101512183 B1 KR 10151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ake
reel
rotary shaft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섭
Original Assignee
김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섭 filed Critical 김응섭
Priority to KR102013015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6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winding-up or winding-off several parallel metal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형성된 압연강판을 슬리팅한후 슬리팅된 압연강판을 재권취하는 슬리팅 장치용 재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권취 장치는 1차 가공공되어 롤형상으로 형성된 압연강판을 슬리팅한 후 슬리팅된 각각의 압연강판을 권취릴에 재권취하는 재권취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홈이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권취릴,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권취릴에 권취되는 슬리팅된 압연강판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판, 회전축에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홀에 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축에 형성된 키홈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권취릴과 밀착되어 권취릴을 마찰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다수의 마찰판,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권취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스페이서,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판, 회전축에 고정됨과 더불어 가이드판과 권취릴 및 마찰판을 밀착시키는 밀착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재권취 장치{RE-WINDNIG APPARATUS}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형성된 압연강판을 슬리팅한후 슬리팅된 압연강판을 재권취하는 슬리팅 장치용 재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강판은 판형상의 압축된 압연강판을 권취하여 롤형상으로 생산된다. 상기 압연강판은 각종 산업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선 롤형상의 압연강판을 슬리팅 장치에 권취한후 커터를 통과시켜 원하는 넓이를 가진 다수의 절단된 압연강판으로 생상한 다음 다수의 가닥으로 생성된 압연강판을 권취릴에 재권취하여 사용하게 된다.
기존의 권취릴은 재권치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같이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슬리팅된 압연강판이 권취릴에 권취되게 된다.
그런데 1차 생산된 압연강판의 두깨는 균일하게 설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두깨를 갖게 생산된다.
상기에서 1차 생산된 압연강판을 다수의 가닥으로 절단작업후 재권취 하기 위해선 재권치 장치의 회전축에 다수의 권취릴을 결합한후 각각의 슬리팅된 압연강판을 권치릴에 고정한다음 회전축을 회전시켜 권취하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1차 생성되어 슬리팅되는 압연강판의 두깨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함으로 인해 두깨가 ?은 쪽과 두꺼운 쪽의 압연강판의 길이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다수의 권취릴에의해 슬리팅된 압연강판의 두깨가 두꺼운 쪽은 권취릴은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고 두깨가 ?은 쪽의 권취릴에는 부하가 적게 걸리고 슬리팅된 압연강판이 처지게 되어 재권취된 압연강판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권취릴이 재권취 장치의 회전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방식의 재권취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자력을 사용하여 회전하는 권치릴을 구비하여구성된 재권취 장치는 생산 단가가 비싸며 권취릴의 자력이 약해진 경우에 회전축과의 결합력이 약해지게 되어 재권취 되는 압연강판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권취릴에 압연강판을 권취하기 위해서는 슬리팅된 압연강판이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롤러를 거친후 권취릴에 권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75603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재권취 장치의 회전축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지 않게 형성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재권취 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거치지 않고 슬리팅된 압연강판이 권취릴에 직접 권취되는 재권취 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권취 장치는 1차 가공공되어 롤형상으로 형성된 압연강판을 슬리팅한 후 슬리팅된 각각의 압연강판을 권취릴에 재권취하는 재권취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홈이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권취릴,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권취릴에 권취되는 슬리팅된 압연강판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판, 회전축에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홀에 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축에 형성된 키홈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권취릴과 밀착되어 권취릴을 마찰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다수의 마찰판,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권취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스페이서,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판, 회전축에 고정됨과 더불어 가이드판과 권취릴 및 마찰판을 밀착시키는 밀착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권취릴의 양측에 마찰판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판과 가이드판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과 가이드판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릴은 회전축에 결합된 마찰판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다수의 권취릴은 마찰판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과 더불어 권취릴에 권취되는 압연판의 압력에 따라 회전속도가 다르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장치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일측에 나선이 형성됨과 더불어 체결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나선홀이 형성된 본체,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홀의 일측에 나선축이 형성되고 반대측에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이동판,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지지판에 밀착되는 밀착판, 이동판과 밀착판에 형성된 돌기게 끼움결합되어 밀착판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나선축은 본체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어 이동판이 본체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권취 장치의 회전축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지 않게 형성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재권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거치지 않고 슬리팅된 압연강판이 권취릴에 직접 권취되는 재권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권취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재권취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재권취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밀착장치의 단면 분해 사시도.
도 5-6은 재권취 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권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재권취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재권취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권취 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0)과 회전축(10)에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판(30), 지지판(30)의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권취릴(40), 권취릴(40)의 양측에 구비되는 마찰판(50), 권취릴(40)과 권취릴(40)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판(70), 권취릴(40)과 가이드판(70) 사이에 결합되는 스페이서(60) 및 상기 지지판(30)과 지지판(30) 사이에 결합되는 권취릴(40), 마찰판(50), 스페이서(60), 가이드판(70)을 밀착하기 위한 밀착장치(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회전축(10)은 다수의 키홈(1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0)의 일측에는 지지판(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가 형성된다.
지지판(30)은 중앙에 회전축(10)에 지지판(30)을 결합하기 위한 홀(3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30)은 좌우 한쌍으로 형성된다.
권취릴(40)은 중앙에 회전축(10)에 회동가능하게 권취릴(40)를 결합하기 위한 홀(41)이 형성된다. 상기 권취릴(41)의 상측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슬리팅된 압연강판의 끝단을 결합하기 위한 홈(42)이 형성된다.
마찰판(50)은 중앙에 마찰판(50)을 회전축(10)에 끼움결합되는 홀(51)이 형성되며 홀(51)에는 회전축(10)의 키홈(11)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52)가 형성된다.
상기 권취릴(40)의 양측에는 마찰판(50)이 밀착된다. 상기 마찰판(50)의 일측에는 가이드판(70)이 구비된다. 상기 마찰판(50)과 가이드판(70) 사이에는 권취릴(4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0)에는 한쌍의 지지판(30)이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지지판(30)과 지지판(30)의 사이에는 다수의 권취릴(40)이 구비된다. 그리고, 권취릴(40)의 양측에는 마찰판(50)이 구비된다. 상기 마찰판(50)과 마찰판(50)의 사이에는 가이드판(70)이 구비되며 가이드판(70)과 마찰판(5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6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0)에는 밀착장치(20)가 고정되고 밀착장치(20)에 의해 지지판(30), 권취릴(40), 스페이서(60), 마찰판(50), 가이드판(70)이 밀착되게 된다.
도 4는 밀착장치의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밀착장치(20)는 본체(21)와 이동판(22) 및 밀착판(23)으로 형성되며 이동판(22)과 밀착판(23) 사이에는 스프링(25)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21)는 회전축(10)에 본체를 삽입하기 위한 홀(21a)이 형성되며 홀(21a)의 일측에는 나선(21c)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21)에는 나선홀(21b)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홀(21b)에는 체결부재(2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21)는 회전축(10)에 삽입된후 체결부재(24)를 통해 회전축(10)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판(22)은 이동판(22)을 회전축(10)에 삽입하기 위한 홀(22a)이 형성되며 홀(22a)의 일측에 나선축(22b)이 형성되며 반대측에 돌기(22c)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2c)의 외측에는 스프링(25)이 고정된다. 상기 나선축(22b)은 본체(21)에 형성된 나선(21c)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이동판(22)에는 이동판(22)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22d)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판(23)은 회전축(10)에 밀착판(23)을 삽입하기 위한 홀(23a)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23)의 일측에는 돌기(23b)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3b)의 외측에는 스프링(25)이 고정된다. 상기 밀착판(23)은 지지판(30)에 밀착된다.
상기 스프링(25)은 이동판(22)과 밀착판(23)에 형성된 돌기(22c, 23b)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밀착판은 스프링에 의해 밀착판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밀착장치(20)는 회전축(10)에 밀착장치(20)를 삽입하여 밀착판(23)을 지지판(30)에 밀착 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이동판(22)을 회전시키면 이동판(22)이 본체(21)로 부터 인출되고 스프링(25)에 의해 밀착판(23)이 탄력적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밀착판(23)에 의해 지지판(30)과 지지판(30)의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권취릴(40), 마찰판(50), 가이드판(70), 스페이서(60)가 밀착되게 된다.
도 5-6은 재권취 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재권취 장치는 회전축(10)에 지지판(30)을 삽입한다. 상기 지지판(30)을 삽입한후 가이드판(70)을 삽입하고 스페이서(60)를 삽입한다. 스페이서(60)의 삽입한후 마찰판(50)을 삽입한고 권취릴(40)을 삽입한후 다시 마찰판(50)을 삽입한 후에 스페이서(60)를 삽입하고 다시 가이드판(70)을 삽입한다.
상기 가이드판(70)을 삽입한 후에 스페이서(60), 마찰판(50), 권취릴(40), 마찰판(50), 스페이서(60), 가이드판(70)을 반복하여 삽입한후 마지막에 지지판(30)을 삽입한다.
상기 상태에서 회전축(10)의 끝단에 밀착장치(20)를 삽입하여 체결부재(24)를 사용하여 밀착장치(20)를 회전축(10)에 고정시킨다.
상기 밀착장치(20)가 회전축(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판(22)을 회전시키면 이동판(22)이 본체(21)로 부터 인출되고 이동판(22)과 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밀착판(23)이 지지판(30)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판(23)이 지지판(30)에 밀착되면 지지판(30)과 지지판(30)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가이드판(70), 권취릴(40), 마찰판(50), 스페이서(60)가 밀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한 상태에서 슬리팅된 압연강판을 권취릴(40)에 형성된 홈(42)에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모터를 회전시켜 회전축(10)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10)의 키홈(11)에 끼움결합된 마찰판(50)과 마찰판(50) 사이에 구비된 권취릴(40)이 마찰판(5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연강판이 권취릴(40)에 권취된다.
이때 권취릴(40)에 권취되는 압연강판은 권취릴(40)과 권취릴(40)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판(70)에 의해 권취릴(40)에서 이탈되지 않고 권취릴(40)에 권취되게 된다.
그리고, 슬리팅된 압연강판의 길이가 슬리팅되기전 압연강판의 두깨가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은 원인으로 인하여 각각의 슬리팅된 압연강판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마찰판(50)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권취릴(40)은 권취릴(40)에 권취되는 압연강판의 압력에 의해 회전속도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슬리팅된 압연강판의 길이가 다를경우 마찰판(50)에 의해 각각 다르게 회전하는 권취릴(40)에 의해 권취릴(40)에 권취되는 압연강판이 늘어지거나 너무 강하게 권취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에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10 : 회전축, 20 : 밀착장치, 30 : 지지판, 40 : 권취릴, 50 : 마찰판, 60 : 스페이서, 70 : 가이드판

Claims (8)

1차 가공공되어 롤형상으로 형성된 압연강판을 슬리팅한 후 슬리팅된 각각의 압연강판을 권취릴에 재권취하는 재권취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홈이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권취릴,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권취릴에 권취되는 슬리팅된 압연강판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판,
회전축에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홀에 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축에 형성된 키홈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권취릴과 밀착되어 권취릴을 마찰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다수의 마찰판,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권취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스페이서,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판,
회전축에 고정됨과 더불어 가이드판과 권취릴 및 마찰판을 밀착시키는 밀착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권취릴의 양측에 마찰판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과 가이드판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가이드판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은 회전축에 결합된 마찰판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다수의 권취릴은 마찰판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과 더불어 권취릴에 권취되는 압연판의 압력에 따라 회전속도가 다르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장치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일측에 나선이 형성됨과 더불어 체결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나선홀이 형성된 본체,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홀의 일측에 나선축이 형성되고 반대측에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이동판,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지지판에 밀착되는 밀착판,
이동판과 밀착판에 형성된 돌기게 끼움결합되어 밀착판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나선축은 본체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어 이동판이 본체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 장치.
KR1020130151726A 2013-12-06 2013-12-06 재권취 장치 KR10151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726A KR101512183B1 (ko) 2013-12-06 2013-12-06 재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726A KR101512183B1 (ko) 2013-12-06 2013-12-06 재권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183B1 true KR101512183B1 (ko) 2015-04-16

Family

ID=5305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726A KR101512183B1 (ko) 2013-12-06 2013-12-06 재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1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078Y2 (ja) * 1991-03-29 1997-05-07 邦博 菅田 帯状材の巻取具
KR200182475Y1 (ko) * 1999-12-08 2000-05-15 여현모 슬리터의 테이프 권취로울러구조
KR20040096470A (ko) * 2004-09-18 2004-11-16 (주)대명티엠에스 슬리팅 머신의 권취 장치
JP2010024001A (ja) * 2008-07-22 2010-02-04 Hakusan Kogyo Kk フリクション巻取軸の巻取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078Y2 (ja) * 1991-03-29 1997-05-07 邦博 菅田 帯状材の巻取具
KR200182475Y1 (ko) * 1999-12-08 2000-05-15 여현모 슬리터의 테이프 권취로울러구조
KR20040096470A (ko) * 2004-09-18 2004-11-16 (주)대명티엠에스 슬리팅 머신의 권취 장치
JP2010024001A (ja) * 2008-07-22 2010-02-04 Hakusan Kogyo Kk フリクション巻取軸の巻取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18819A (ja) 蓄電装置及び二次電池並びに蓄電装置用電極体の製造方法
KR101512183B1 (ko) 재권취 장치
JP5038096B2 (ja) ロール状巻回物の巻き出し方法及び巻芯
KR101256082B1 (ko) 필름 권취용 보빈
KR101252423B1 (ko) 권취용 지관 및 이의 제조 장치
JP5662073B2 (ja) 帯状体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KR20150066655A (ko) 권치릴
KR102382282B1 (ko) 중심관의 장탈착이 용이한 보빈 및 이를 이용한 리코일러 장치
US3322359A (en) Core spacer for differential winding machine
US3698658A (en) Recording apparatus for sonar and echo sounding systems
JP3209784U (ja) テープ巻き直し装置
TWM540120U (zh) 滑差環料管輔助滑動裝置
JP4867416B2 (ja) 回転電機用積層コア構造体
JP2011167708A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JP2008290851A (ja) テープ巻取装置
JP2021091532A (ja) テープ継ぎ装置
JP2003095500A (ja) テープスリッタ
JP2017043441A (ja) 捲回装置の巻芯
CN215625541U (zh) 一种防爆防潮高级纱管纸后处理设备
US7261253B2 (en) Rewind arms for plastic film slitting apparatus
KR20160015453A (ko) 광학 필름용 단차방지형 관체
CN214652746U (zh) 卷轴
US4205805A (en) Automatic tape windup means
KR100515222B1 (ko) 양면테이프 커팅장치의 박판커터 부착용 커팅롤러
CN219314107U (zh) 塑料薄膜收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