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37B1 -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 Google Patents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037B1
KR101512037B1 KR20130055640A KR20130055640A KR101512037B1 KR 101512037 B1 KR101512037 B1 KR 101512037B1 KR 20130055640 A KR20130055640 A KR 20130055640A KR 20130055640 A KR20130055640 A KR 20130055640A KR 101512037 B1 KR101512037 B1 KR 10151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rotational force
supported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420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주)세신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신정밀 filed Critical (주)세신정밀
Priority to KR2013005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2Tooth s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8Non-rotating tool holders, e.g. vibrating, oscillating, nut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10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내부에 수용 기능을 가지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후방에서 회전력을 공급받는 종동축(120)과, 상기 종동축(120)의 전방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140)와, 상기 종동기어(1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진자 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종동축(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회전 방향 전환부(150)와, 상기 회전 방향 전환부(150)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정역회전이 반복되는 왕복축(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왕복축(160)에 버(bur, 170)를 연결하면 버(160)의 선단(173)은 좌우로 진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상기 선단(173)을 피삭재에 닿게 하므로 절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ANGLE FOR OSCILLATING SAW HANDPICE}
본 발명은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버(BUR)를 좌우 측방으로 왕복하도록 구성하여 피삭재를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특허문헌에 의한 배경기술을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1)는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버(25, BUR)를 회전시켜 치아나 보철 또는 보석 내지는 금속 등의 피삭재를 절삭하여 정밀 가공하는 데 사용하는 공구이다.
이러한 핸드피스(1)는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부(10)와, 상기 전동부(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삭재를 절삭하는 앵글(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부(10)는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앵글(20)에 삽입되므로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샤프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글(20)은 절삭 공구인 버(25)가 장착된 헤드(21)와 상기 헤드(21)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체인 샤프트(15)에 연결되어 상기 버(25)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27)이 내장된 바디(23)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23)에 전동부가 장착되어 회전력이 헤드(21)로 전달된다.
상기 핸드피스(1)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면, 상기 체인 샤프트(15)를 통해서 회전축(27)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27)의 회전에 의해 버(2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23)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버(25)를 피삭 부위에 압박하게 되면 절삭이 가능하게 된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10-1069447호 (2011. 09. 26.)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핸드피스는 버(BUR)를 회전시켜서 피삭재에 홀을 천공하는 작업은 가능하지만, 피삭재를 절개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즉, 톱으로 각목을 자르듯이 피삭재를 절단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피삭재의 일부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거하고자 하는 부분의 경계를 따라서 다수의 홀을 뚫은 후, 제거하고자 하는 부분을 뜯어내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절개면이 매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내부에 수용 기능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후방에서 회전력을 공급받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전방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진자 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종동축의 전방에 위치하는 회전 방향 전환부와, 상기 회전 방향 전환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정역회전이 반복되는 왕복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방향 전환부는, 상기 종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와, 상기 전달기어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전방 종단에 편심되어 고정된 편심축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지지되는 베어링과, 상기 편심축이 삽입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삽입되고 좌우 외측면이 평면인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어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왕복축의 후방 종단이 고정되어, 진자 운동을 하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왕복축의 후방 종단에 고정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외측면이 밀착되는 돌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왕복축의 전방 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ㄱ형으로 절곡된 형상의 버(BU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은, 전동부의 회전운동을 회전 방향 전환부를 통해서 왕복축을 정역 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반복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버(BUR)는 정역 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반복하므로 버(BUR)의 선단을 피삭재에 접촉시키면 피삭재를 절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피삭재의 필요 없는 부분을 용이하게 절개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배경기술에 비해서 신속한 작업(시술)이 가능하고, 절단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절단면을 재가공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핸드피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의 방향 전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에서 진동자의 방향 전환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의 방향 전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에서 진동자의 방향 전환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는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부와, 상기 전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삭재를 절삭하는 앵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앵글이 버(BUR)를 정역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피삭재의 절개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파이프 형상으로서 내부에 수용 기능을 가지는 하우징(110)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후방에서 회전력을 공급받는 종동축(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축(120)의 전방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140)가 구성되며, 상기 종동기어(1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진자 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종동축(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회전 방향 전환부(1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방향 전환부(150)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회전이 반복되는 왕복축(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왕복축(160)의 전방 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ㄱ형으로 절곡된 형상의 버(170, BU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170)는 선단(173)이 첨예하게 형성된 칼날 모양으로 형성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면서 피삭재를 절개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종동축(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지지된 베어링에 끼워져서 구성된 것으로서, 종동축(120)의 전방에 다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증속 내지는 감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기어 구동부(130)가 구성된다. 즉, 종동축(120)의 전방 종단에 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기어 구동부(130)의 기어에 치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 구동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된 케이싱(135)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35)의 내부에 다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어 구동부(130)는 핸드피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니트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종동기어(140)는 상기 기어 구동부(130)의 전방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종동축(120)의 회전력이 기어 구동부(130)를 통해서 증속 내지는 감속된 회전력이 종동기어(140)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기어 구동부(130)는 전동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 증속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감속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방향 전환부(150)는, 상기 종동기어(140)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151)가 구성되고, 상기 전달기어(151)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회전축(152)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152)의 전방 종단에 편심되어 고정된 편심축(153)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152)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지지되는 베어링(15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편심축(153)이 삽입되는 베어링(155)이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155)이 삽입되고 좌우 외측면(c)이 평면인 판상의 슬라이더(15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56)가 삽입되어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왕복축(160)의 후방 종단이 고정되어, 진자 운동을 하는 진동자(157)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자(157)는, 상기 왕복축(160)의 후방 종단에 고정된 베이스판(158)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58)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더(156)의 좌우 외측면(c)이 밀착되는 돌출판(15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슬라이더(156)가 돌출판(159) 사이에 끼워져서 상하 왕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100)의 후방으로 전동부를 결합한 후, 상기 전동부에 전기를 인가하면 전동부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축(120)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종동축(120)의 회전력은 상기 기어 구동부(130)를 통해서 감속 또는 증속 된 후, 상기 종동기어(140)로 출력된다.
이렇게 종동기어(1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전달기어(151)가 회전하므로 상기 회전축(152)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편심축(153)은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처럼, 상기 베어링(155)은 편심축(153)과 동일한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슬라이더(156)는 상기 진동자(157)의 돌출판(159) 사이에서 상하로 왕복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진동자(157)는 시계추처럼 정역 방향으로 회동을 반복하게 되고, 진동자(157)에 연결된 상기 왕복축(160)도 따라서 회동을 반복하게 되며, 상기 버(bur, 170)도 일정 구간 정역 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처럼, ㄱ형으로 절곡된 버(bur, 170)의 선단(173)은 좌우로 진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상기 선단(173)을 피삭재에 닿게 하므로 절개가 가능하다.
100: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110: 하우징
115: 베어링 120: 종동축
130: 기어 구동부 135: 케이싱
140: 종동기어 150: 회전 방향 전환부
151: 전달기어 152: 회전축
153: 편심축 154: 베어링
155: 베어링 156: 슬라이더
157: 진동자 158: 베이스판
159: 돌출판 160: 왕복축
170: 버 173: 선단

Claims (3)

  1. 파이프 형상으로서 내부에 수용 기능을 가지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후방에서 회전력을 공급받는 종동축(120)과,
    상기 종동축(120)의 전방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140)와,
    상기 종동기어(1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진자 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종동축(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회전 방향 전환부(150)와,
    상기 회전 방향 전환부(150)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정역회전이 반복되고 피삭재 절개를 위한 ㄱ형으로 절곡된 형상의 버(170)를 결합한 왕복축(16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회전 방향 전환부(150)는, 상기 종동기어(140)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151)와,
    상기 전달기어(151)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회전축(152)과,
    상기 회전축(152)의 전방 종단에 편심되어 고정된 편심축(153)과,
    상기 회전축(152)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지지되는 베어링(154)과,
    상기 편심축(153)이 삽입되는 베어링(155)과,
    상기 베어링(155)이 삽입되고 좌우 외측면(c)이 평면인 슬라이더(156)와,
    상기 슬라이더(156)가 삽입되어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왕복축(160)의 후방 종단이 고정되어, 진자 운동을 하는 진동자(157)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157)는, 상기 왕복축(160)의 후방 종단에 고정된 베이스판(158)과,
    상기 베이스판(158)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외측면(c)이 밀착되는 돌출판(15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2. 삭제
  3. 삭제
KR20130055640A 2013-05-16 2013-05-16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KR10151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640A KR101512037B1 (ko) 2013-05-16 2013-05-16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640A KR101512037B1 (ko) 2013-05-16 2013-05-16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420A KR20140135420A (ko) 2014-11-26
KR101512037B1 true KR101512037B1 (ko) 2015-04-14

Family

ID=5245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5640A KR101512037B1 (ko) 2013-05-16 2013-05-16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22902C (en) * 2016-05-13 2021-06-01 Jae Hyun Park Punching needle and handpiece used for hair extraction
CN109833076A (zh) * 2019-03-18 2019-06-04 郑传渭 一种矢状锯
CN110919106B (zh) * 2020-02-12 2020-06-19 北京罗森博特科技有限公司 用于机械手末端的切削装置及机械手
CN114601562B (zh) * 2020-12-09 2024-03-29 苏州微创畅行机器人有限公司 手术工具导向及驱动机构、引导装置、机器人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2375A1 (en) 1993-07-16 1995-01-26 Robinson Dane Q Dental flo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5468247A (en) * 1993-05-26 1995-11-21 Stryker Corporation Saw blade for powered medical handpiece
KR101069447B1 (ko) 2011-04-15 2011-09-30 (주)세신정밀 발광 핸드피스
KR101198242B1 (ko) 2012-05-03 2012-11-07 아이메디컴(주) 수술용 전동 쏘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8247A (en) * 1993-05-26 1995-11-21 Stryker Corporation Saw blade for powered medical handpiece
WO1995002375A1 (en) 1993-07-16 1995-01-26 Robinson Dane Q Dental flo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069447B1 (ko) 2011-04-15 2011-09-30 (주)세신정밀 발광 핸드피스
KR101198242B1 (ko) 2012-05-03 2012-11-07 아이메디컴(주) 수술용 전동 쏘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420A (ko)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7673B2 (ja) セーバソー
KR101512037B1 (ko) 측방 왕복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CN211889238U (zh) 电动工具
DE60238828D1 (de) Ultraschallskalpell
EP2090393A3 (en) Reciprocating power tool
EP3545898B1 (en) Multi-directional handpiece
JP4029579B2 (ja) セーバソー
EP1852232B1 (en) Drill tool
JP2012232382A (ja) 動力工具
CN112706195A (zh) 旋转式电动剃刀
EP1468802B1 (en) Concrete drill
US20070214660A1 (en) Reciprocating saw, timing fork and gearbox for use therewith
US9579105B2 (en) Sagittal saw
KR101503036B1 (ko) 절개 소오 핸드피스용 앵글
PL1731274T3 (pl) Sposób i urządzenie do wykonywania szczelin w obrabianych przedmiotach
CN109833075B (zh) 一种摆动锯
KR20150008602A (ko) 휴대용 절단장치
KR101603781B1 (ko) 전동식 진동연장
WO2005016603A3 (ja) 携帯式動力刈払機
US20180071935A1 (en) Device for cutting a sheet or layer of material
JPH072287B2 (ja) 手持ち式丸のこ
JP2001353618A (ja) 往復動切断工具
KR20090004063A (ko) 전동식 헤어 커터
JP5019101B2 (ja) 電動工具
JP2008030168A (ja) サークル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