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909B1 -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909B1
KR101511909B1 KR20140084721A KR20140084721A KR101511909B1 KR 101511909 B1 KR101511909 B1 KR 101511909B1 KR 20140084721 A KR20140084721 A KR 20140084721A KR 20140084721 A KR20140084721 A KR 20140084721A KR 101511909 B1 KR101511909 B1 KR 10151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upling
code
portable device
cont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식
정성관
신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4008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909B1/ko
Priority to US14/453,359 priority patent/US103662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광 방사 소자; 상기 광 방사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컨텐츠 이동 및 원격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ING CONTENT AMONG LONG DISTANCE DEVICES USING INFRARED RAY CO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관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용자 주변의 광고판들이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 및 광고 정보 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바라보고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광고판이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3393호(공개일 2011년 07월 20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에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컨텐츠 정보를 용이하게 스케줄링 하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사용자들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는 방법은 크게 근거리와 원거리에서 이동하는 방법들로 나누어질 수 있으나, 특별히 원거리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이동하는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QR 코드 촬영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을 많이 이용한다.
그러나, 사진 촬영은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원 컨텐츠 전체를 이동하기 어렵고 QR 코드 촬영의 경우 QR 코드가 화면 일부에 지속적으로 표시되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화면 공간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컨텐츠를 정확히 사용자 단말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원거리에서 사진 촬영과 QR코드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기 위한 방법 외에 다른 방법들로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 동영상 프레임 사이에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마커를 삽입하여 이를 카메라로 인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경우 사람은 주의 깊게 영상을 바라보지 않는 한 마커를 인지하지 못하지만 시스템은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마커를 인지하여 컨텐츠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때때로 주의 깊게 바라볼 경우 마커를 인식하게 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카메라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마커 프레임을 정확히 감지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 디바이스의 주변에 적외선 이미터를 설치하여 특정 코드에 따라 주기적으로 적외선을 방출하고 이를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동하기 원할 때 휴대용 디바이스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컨텐츠를 이동함으로써,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특정 마커가 표현되어 사용자가 인지하게 되는 단점을 해결한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도 특정 프레임을 인식하는 것이 아닌 충분한 시간 동안 적외선 이미터에서 표현되는 적외선 코드를 인식할 수 있어서 정확한 동작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사용자는 컨텐츠 디바이스에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기를 원하는 컨텐츠가 있을 때 휴대용 디바이스로 촬영하기만 하면 컨텐츠가 이동하므로 이는 정확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멀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관적인 제스처를 이용하여 이동할 컨텐츠 및 컨텐츠가 이동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다른 교육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디바이스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광 방사 소자; 상기 광 방사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컨텐츠 이동 및 원격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컨텐츠 디바이스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 부착된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인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광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의 컨텐츠 이동 및 원격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수신되면 고유 코드에 따라 광 방사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커플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가 상기 고유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상기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 부착된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광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 부착된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광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로 이동하거나,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제어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멀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커플링 함으로써, 컨텐츠를 이동시킬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관적인 제스처를 이용하여 이동할 컨텐츠 및 컨텐츠가 이동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다른 교육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디바이스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주변에 위치하는 컨텐츠 디바이스 목록을 형성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독 적외선 이미터를 이용한 오프라인 광고 전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선 코드에 따른 적외선 이미터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를 이동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은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 디바이스가 있을 때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따라 주변 컨텐츠 디바이스에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시켜 적외선 코드를 표현하고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이를 캡쳐하여 인식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 디바이스가 커플링을 맺는 기술이다. 컨텐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컨텐츠 디바이스에 QR 코드와 같은 비 컨텐츠 이미지가 표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카메라 영상에서 간단히 터치하는 쉬운 제스처로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나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일 수 있다. 특히,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 본체 또는 화면의 테두리에 IR(infrared ray) 이미터, UV(Ultraviolet) 이미터, 가시광(Visible ray) 이미터 중 어느 하나의 광 방사 소자(101)가 배치되고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카메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촬영할 때 광 방사 소자(101)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광 신호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 방사 소자(101)에 대하여 적외선 이미터를 일 예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 장치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등일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 기능을 통해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영상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컨텐츠를 드래그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컨텐츠 디바이스(110) 간에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디바이스 A의 컨텐츠를 드래그하여 컨텐츠 디바이스 B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디바이스(210)와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컨텐츠 이동을 위한 구성 요소로서 커플링부(211)(221), 컨텐츠 이동부(212)(222), 제어부(213)(223), 및 영상 처리부(214)(2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컨텐츠 디바이스(210)를 피사체로 하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210)와 휴대용 디바이스(220)에 포함된 구성 요소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컨텐츠 이동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13)(223)는 디바이스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1. 초기화 단계
2. 준비 단계
3. 커플링 및 컨텐츠 이동 단계
초기화 단계
컨텐츠 디바이스(210) 앞에서 사용자는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이동하기 위하여 휴대용 디바이스(220) 상에서 전용 앱을 실행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동작시키고 특정 URL로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초기화 작업이라 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220) 상에서 컨텐츠 디바이스(210)를 대상으로 한 초기화 작업을 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영상 처리부(224)는 카메라(225)를 구동하여 도 1의 휴대용 디바이스와 같이 컨텐츠 디바이스(210)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영상 처리부(224)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에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로컬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준비 단계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디스플레이 상 표현된 카메라 영상을 바라보면서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컨텐츠 중 자신이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이동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카메라 영상에 포착되도록 휴대용 디바이스(220)를 움직이거나 카메라(225)의 기능을 조작한다.
커플링 및 컨텐츠 이동 단계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컨텐츠 디바이스(210) 상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컨텐츠를 선택, 예를 들어 카메라 영상 내에서 '컨텐츠 3'를 터치 다운(touchdown) 하면 시스템은 커플링 단계로 이동한다.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카메라 영상에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커플링부(221)는 일정 거리 안에 컨텐츠 디바이스(210)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예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는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통신 수단인 무선랜, 3G, LTE 등 다양한 통신수단 및 휴대용 디바이스(220) 뒷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플래시 등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어떻게 전송되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전송되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컨텐츠 디바이스(210)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210)에 수신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는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커플링부(211)로 전달되며, 이를 수신한 커플링부(211)는 영상 처리부(214)를 제어하여 컨텐츠 디바이스(210)에 기 할당된 코드를 이용하여 적외선 이미터(20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할당된 코드는 컨텐츠 디바이스(210)에 미리 할당된 코드일 수 있고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서버에 요청하여 받아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디바이스 A에는 코드 10이, 컨텐츠 디바이스 B에는 코드 01이 할당되어 있을 때, 첫 번째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도착하면 컨텐츠 디바이스 A와 B는 각 디바이스에 할당된 코드의 첫 번째 비트 값에 따라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시킨다.
컨텐츠 디바이스(210)가 적외선 이미터(201)를 구동시키면 사람의 눈에는 적외선 이미터(201)의 구동 여부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220) 상의 카메라 프리뷰 영상에는 구동 상태의 적외선 이미터(201')가 보라색 계열로 표현됨으로써 사용자는 카메라 프리뷰 영상을 통해 적외선 이미터(201)의 구동 여부를 알 수 있고 시스템도 보라색 계열의 감지로 적외선 이미터(201)가 구동함을 알 수 있다. 여러 적외선 파장 대역 중 850nm에 가까이 갈수록 사람 눈에 구동 여부가 보이게 되며 940nm 쪽으로 갈수록 사람 눈에 보이지 않게 된다. 도 4는 940nm 적외선 이미터(201)를 사용함을 가정하였으며 이때 적외선 이미터(201)의 구동 여부는 사람 눈에는 전혀 보이지 않게 된다. 카메라에 표현되는 색은 적외선 이미터(201)의 종류와 파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영상 처리부(214)는 적외선 이미터(201)를 구동한 후 커플링부(211)로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에 커플링부(211)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커플링부(221)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디바이스(210)로부터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가 모두 도착하도록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하며 해당 시간이 만료되었을 때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영상 처리부(224)로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전달하고 다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전달 받은 영상 처리부(224)는 카메라 영상에서 프레임을 추출하거나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커플링부(211)는 두 번째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후 영상 처리부(214)를 제어하여 기 할당된 코드의 두 번째 비트 값에 따라 적외선 이미터(20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번째 코드비트에 따른 적외선 이미터(201)는 컨텐츠 디바이스 A가 0, 컨텐츠 디바이스 B가 1이므로 카메라 영상 내 컨텐츠 디바이스 B의 적외선 이미터(201')가 보라색으로 빛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한 컨텐츠 디바이스(210)는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전송하고, 모든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가 도착하기까지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대기하다가 시간이 만료되면 카메라 영상의 프레임을 저장하거나 사진 촬영을 수행한다.
두 번의 주변디바이스 검색 메시지 및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의 교환으로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영상 처리부(224)는 이미지 두 장을 얻게 된다. 물론, 코드의 길이에 따라 이미지는 코드 비트 수만큼 늘어나게 된다.
도 4와 도 5에서의 카메라 이미지 추출 및 추출된 이미지에서의 검정색->보라색, 보라색->검정색으로의 변환을 감지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황색 영역은 10, 녹색 영역은 01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940nm 적외선 이미터의 색이 어두운 색 계열로서 검정색에 가깝고 발광 시 카메라 영상에서 보라색으로 인식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영상 처리부(224)는 카메라 영상에서 적외선 코드를 추출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적외선 코드 중 사용자의 터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의 적외선 코드를 이용하거나 카메라 영상에서 가장 넒은 면적으로 코드가 표현되는 곳의 적외선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적외선 코드를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담아 커플링부(221)를 통해 주변의 컨텐츠 디바이스(210)로 커플링을 요청할 수 있다.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커플링부(211)는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적외선 코드가 기 보유한 코드와 일치하면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전송한다.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커플링부(221)는 컨텐츠 디바이스(210)와 커플링을 맺고 컨텐츠 송수신이나 컨텐츠 디바이스 제어를 한다.
커플링이 수행되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커플링부(221)는 영상 처리부(224)로 커플링 완료 메시지를 전달한다. 커플링 완료 메시지를 전달 받은 영상 처리부(22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의미하는 아이콘(701)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 즉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터치 다운(touchdown)을 유지한 상태로 아이콘(801)을 드래그하여 카메라 영상 밖으로 이동한 후 터치 업(touch up) 하면 도 9과 같이 아이콘(901)이 나타내는 '컨텐츠 3'이 카메라 영상 밖에 표현되되, 일 예로 휴대용 디바이스(220)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이 표시된 영역에 '컨텐츠 3'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의 조작은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이동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이 된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2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컨텐츠 3'이 이동할지 '컨텐츠 4'가 이동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컨텐츠 디바이스(210)가 커플링 승인 메시지에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적외선 이미터 길이 비율을 포함하여 전송하고 이에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하여 카메라 영상에서 감지된 적외선 이미터의 길이 비율을 토대로 커플링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적외선 이미터의 길이 비율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에서 커플링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적외선 이미터의 길이 비율이 가로:세로가 2:3이고 실제로 감지된 적외선 이미터의 길이 비율이 도 10과 같이 가로:세로가 4:5이라면 카메라는 실제 적외선 이미터의 1/6이 카메라 영상에 표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는 실제 적외선 이미터의 상단이나 하단의 5/6만큼만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영상의 코드 표현 부분 중 세로 영역의 중심점이 가로 영역의 중심점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카메라 영상은 실제 적외선 이미터의 하단 5/6만큼만 표현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적외선 이미터의 5/6 중에서도 좌하단 지점으로부터 (3, 2) 좌표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카메라 영상 내 컨텐츠 디바이스의 좌하단 지점으로부터 (3, 2) 지점을 터치 하였고, 이는 실제 컨텐츠 디바이스의 좌하단 지점으로부터 (3, 2) 지점에 위치하는 컨텐츠를 이동하고자 하는 의도로 추정할 수 있다. 적외선 이미터는 실제 컨텐츠 디바이스의 테두리에 위치하므로 실제 컨텐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적외선 이미터의 크기가 일정 오차 내에서 일치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실제 컨텐츠 디바이스의 좌하단을 기준으로 (3, 2) 지점에 위치하는 컨텐츠 4를 터치하였고 이를 드래그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하고자 하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은 도 7과 같이 커플링 이후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아이콘(701)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드래그 함으로써 컨텐츠 이동을 완료하게 된다. 사용자가 아이콘(701)을 드래그하여 카메라 영상 밖으로 이동하여 터치 업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컨텐츠 이동부(222)를 통해 적외선 코드 감지 영역 비율 정보 및 사용자 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동 메시지를 커플링 된 컨텐츠 디바이스(210)로 전송하고 커플링 된 컨텐츠 디바이스(210)위 컨텐츠 이동부(212)는 컨텐츠 이동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송신함으로써 컨텐츠 디바이스(210)->휴대용 디바이스(220)로의 컨텐츠 이동이 완료되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초기화 단계와 준비 단계는 앞에서 설명한 컨텐츠 디바이스(2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이동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영상 처리부(224)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컨텐츠 디바이스(210)을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에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로컬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커플링 단계에서 사용자는 도 11과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디스플레이에서 카메라 영상 영역 밖에 표현된 컨텐츠를 터치 다운 할 수 있다. 이때 도 11과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영상 처리부(224)는 사용자가 터치 다운한 컨텐츠를 의미하는 아이콘(1101)을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 상에 표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아이콘(1101)을 드래그하여 카메라 영상 내로 이동시키고 터치 업을 수행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커플링부(221)는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디바이스(210)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디바이스(210)가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한 후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220)로 전송한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컨텐츠 디바이스(210)로부터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며 적외선 코드 복원을 위한 이미지를 얻는다.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코드의 길이만큼 위 절차를 반복하여 이미지를 수집하면 적외선 코드를 복원할 수 있고 사용자 터치 좌표를 기준으로 가장 가깝거나 면적이 가장 큰 적외선 코드를 이용하여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컨텐츠 디바이스(210)와의 커플링이 완료되게 된다. 도 12의 좌측 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컨텐츠, 즉 카메라 영역 밖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1201)을 카메라 영상 내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도 12의 우측 도면과 같이 아이콘(1201)이 나타내는 '컨텐츠 11'이 커플링 단계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영상 내의 터치 위치에 표현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의 조작은 휴대용 디바이스(220)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210)로 이동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이 된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220)는 복원된 적외선 코드의 가로, 세로 크기 비율과 사용자 터치 좌표를 기반으로 적외선 코드 감지 영역 비율 정보 및 사용자 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동 메시지를 커플링 된 컨텐츠 디바이스(21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220)->컨텐츠 디바이스(210)로의 컨텐츠 이동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 13의 (a)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 내 카메라 영상에서 더블 탭을 수행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는 이전에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고 도 13의 (b)와 같이 커플링 된 컨텐츠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UI(1302)를 휴대용 디바이스 상에 표현함으로써 커플링 된 컨텐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UI(1302)는 컨텐츠 디바이스의 카메라 화각 제어, 초점 변경, 뷰 이동, 촬영 명령 등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될 수 있으며, 그 외 컨텐츠 디바이스 내 제어 가능한 마우스 포인터, 키 입력 등 다양한 대상이 제어 대상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는 3G 또는 LTE 이상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주변에 공용 IP 주소를 사용하는 컨텐츠 디바이스들이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4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보고에 의한 서버에서의 휴대용 디바이스 주변 컨텐츠 디바이스 목록 형성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컨텐츠 이동과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초기화 단계에서 앱을 동작하거나 URL 접근 시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모든 컨텐츠 디바이스의 부착된 AP의 SSID 또는 GPS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할 때, 휴대용 디바이스의 앱 또는 웹 브라우저가 동작 시작과 함께 주기적으로 주변 무선랜 AP의 SSID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GPS값을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단말 ID의 쌍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유지한다.
휴대용 디바이스가 주변 AP의 SSID 또는 GPS 좌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 ID에 대하여 해당 SSID를 가지는 AP를 포함한 컨텐츠 디바이스의 ID를 휴대용 디바이스 ID에 매핑하거나,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GPS 좌표 대비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컨텐츠 디바이스들의 ID를 휴대용 디바이스 ID에 매핑시켜 테이블 형태로 관리한다.
매핑 테이블은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 앱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한 URL 접근 시, 사용자 앱 또는 웹 브라우저에게 제공되어 휴대용 디바이스가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전송할 컨텐츠 디바이스 목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 영상에서 터치 다운/업, 더블탭 제스처를 수행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이 목록에 나타난 컨텐츠 디바이스들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송신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이를 수신한 컨텐츠 디바이스들은 적외선 이미터 구동,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 전송, 커플링 요청, 커플링 승인 등의 과정을 거쳐 커플링을 맺는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컨텐츠 이동 및 제어를 수행하고자 할 때 소수의 컨텐츠 디바이스로 제한하여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모든 컨텐츠 디바이스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여 모든 컨텐츠 디바이스가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절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로의 컨텐츠 이동 절차는 도 15와 같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로 앱을 실행하거나 웹 브라우저로 특정 URL(e.g. www.ircode.com)로 접근하면(S1501)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표현한다(S1502). 사용자가 카메라 프리뷰 영상을 터치다운 하면(S1502) 휴대용 디바이스는 서버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고(S1503) 이에 서버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하여 미리 구성된 컨텐츠 디바이스 리스트(예컨대, 컨텐츠 디바이스 D, E)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S1504).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디바이스는 기 정해진 코드에 따라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하고(S1505),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한 후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서버로 보내면(S1506) 서버는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후 휴대용 디바이스로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보낸다(S1507).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로부터 프레임을 추출한다(S1508). 상기한 절차(S1503~S1508)를 절차 P라 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기 정해진 코드의 길이에 맞춰 절차 P를 반복한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절차 P를 모두 완료한 후 절차 P 동안 수집된 프레임들로부터 적외선 코드를 복원하여(S1509) 적외선 코드 영역을 정의하고 사용자의 터치다운 지점과 가장 가까운 적외선 코드 영역이 어떤 것인지 확인한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다운 지점과 가장 가까운 적외선 코드 영역 및 코드값이 확인되면 해당 적외선 코드를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510). 이에, 서버는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보낸 모든 컨텐츠 디바이스로 휴대용 디바이스의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511).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는 커플링 요청 메시지 내 적외선 코드 영역의 가로/세로 비율 및 사용자 터치다운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적외선 코드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할당된 ID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터치다운 좌표에 해당하는 컨텐츠 ID를 포함하는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S1512). 커플링 승인 메시지가 서버를 거쳐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송되면(S1513) 휴대용 디바이스는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는다. 커플링이 완료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카메라 영상 내에 터치다운하여 드래그 한 후 카메라 영상 밖에 터치 업 하면(S1514) 커플링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ID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디바이스에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요청한다(S1515).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받은 컨텐츠 디바이스는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 다운로드 응답 메시지에 컨텐츠 정보를 담아 전송함(S1516)으로써 컨텐츠 이동이 완료되도록 한다.
휴대용 디바이스->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절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로의 컨텐츠 이동 절차는 도 16과 같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로 앱을 실행하거나 웹 브라우저로 특정 URL(e.g. www.ircode.com)로 접근하면(S1601)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표현한다(S1602).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서 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터치 다운 후 드래그 하여 카메라 프리뷰 영상으로 터치 업 하면(S1602) 휴대용 디바이스는 서버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고(S1603) 이에 서버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하여 미리 구성된 컨텐츠 디바이스 리스트(예컨대, 컨텐츠 디바이스 D, E)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S1604).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디바이스는 기 정해진 코드에 따라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하고(S1605),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한 후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서버로 보내면(S1606) 서버는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후 휴대용 디바이스로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보낸다(S1607).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로부터 프레임을 추출한다(S1608). 상기한 절차(S1603~S1608)를 절차 P라 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기 정해진 코드의 길이에 맞춰 절차 P를 반복한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절차 P를 모두 완료한 후 절차 P 동안 수집된 프레임들로부터 적외선 코드를 복원하여(S1609) 적외선 코드 영역을 정의하고 사용자의 터치업 지점과 가장 가까운 적외선 코드 영역이 어떤 것인지 확인한다. 사용자의 터치업 지점과 가장 가까운 적외선 코드 영역 및 코드값이 확인되면 해당 적외선 코드 및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선택한 컨텐츠의 ID 정보, 사용자 터치업 좌표 정보를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610). 이에, 서버는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보낸 모든 컨텐츠 디바이스로 휴대용 디바이스의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611).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는 커플링 요청 메시지 내 메시지 내 적외선 코드 영역의 가로/세로 비율 및 사용자 터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컨텐츠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표현될 위치를 계산하고, 적외선 코드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할당된 ID와 일치하는 경우,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S1612). 커플링 승인 메시지가 서버를 거쳐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송되면(S1613) 휴대용 디바이스는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는다. 커플링이 완료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컨텐츠 업로드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S1614), 이를 수신한 컨텐츠 디바이스는 기 계산한 컨텐츠 표현 위치에 사용자 컨텐츠를 표현하고 컨텐츠 업로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S1615)으로써 컨텐츠 이동이 완료되도록 한다.
휴대용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디바이스 제어 절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절차는 도 17과 같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로 앱을 실행하거나 웹 브라우저로 특정 URL(e.g. www.ircode.com)로 접근하면(S1701)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표현한다(S1702).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 상의 카메라 프리뷰 영역에서 더블탭 터치를 하면(S1702) 휴대용 디바이스는 서버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고(S1703) 이에 서버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하여 미리 구성된 컨텐츠 디바이스 리스트(예컨대, 컨텐츠 디바이스 D, E)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S1704).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디바이스는 기 정해진 코드에 따라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하고(S1705), 적외선 이미터를 구동한 후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서버로 보내면(S1706) 서버는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후 휴대용 디바이스로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보낸다(S1707).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로부터 프레임을 추출한다(S1708). 상기한 절차(S1703~S1708)를 절차 P라 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기 정해진 코드의 길이에 맞춰 절차 P를 반복한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절차 P를 모두 완료한 후 절차 P 동안 수집된 프레임들로부터 적외선 코드를 복원하여(S1709) 적외선 코드 영역을 정의하고 사용자의 더블탭 터치 지점과 가장 가까운 적외선 코드 영역이 어떤 것인지 확인한다. 사용자의 더블탭 터치 지점과 가장 가까운 적외선 코드 영역 및 코드값이 확인되면 해당 적외선 코드 및 사용자 더블탭 터치 좌표 정보를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710). 이에, 서버는 코드 표현 완료 메시지를 보낸 모든 컨텐츠 디바이스로 휴대용 디바이스의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711).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는 적외선 코드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할당된 ID와 일치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의 접근 가능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S1712). 커플링 승인 메시지가 서버를 거쳐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송되면(S1713) 휴대용 디바이스는 커플링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는다. 커플링이 완료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커플링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디바이스의 접근 가능한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컨텐츠 디바이스 제어용 UI를 구성하여 화면에 표현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 상의 컨텐츠 디바이스 제어용 UI를 터치하여 특정 명령을 내리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S1714),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715). 제어 요청 메시지는 카메라 제어, 마우스 제어, 키보드 입력, 프린터 출력 등 컨텐츠 디바이스의 제어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외선 이미터가 특정 컨텐츠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컨텐츠 전송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적외선 이미터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도 18과 같이 일반적으로 광고 또는 정보 표현용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패널, 즉 광고지, 전단지, 현수막 등의 오프라인 정보 전달 매체 위에 적외선 이미터가 부착되어 있고 적외선 이미터가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미터를 기 정해진 코드에 따라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적외선 이미터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휴대용 디바이스->컨텐츠 디바이스로의 컨텐츠 전송은 불가능 하며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 제어도 불가능 하다. 그러나, 적외선 이미터의 발광 간격을 감지하여 적외선 코드를 복원할 수 있다면 컨텐츠 디바이스->휴대용 디바이스로의 컨텐츠 이동은 가능하다.
적외선 이미터에 전력이 인가되면 적외선 이미터는 기 정의된 코드에 의하여 도 19와 같이 구동될 수 있다.
적외선 이미터에 전력이 인가되면 적외선 이미터는 ID의 값에 따라 도 19와 같이 구동한다. 도 18의 이미지 패널 A의 적외선 이미터의 ID가 1234라고 가정하면 ID가 1234인 적외선 이미터는 ID의 첫 값이 1이므로 코드 1에 의해 발광 시간이 1이고 이어서 소등 시간이 1인 형태로 점멸한다. 또한, 이어지는 코드가 2,3,4이므로 발광시간이 1이고 소등시간이 2, 3, 4인 형태로 점멸한다. ID가 1234인 경우 코드 1,2,3,4에 따라 점멸을 수행하며 코드가 끝나면 다시 처음부터 1,2,3,4에 따라 점멸을 수행한다. 같은 방법으로 적외선 이미터의 ID가 2211인 경우 코드 2, 2, 1, 1 에 따라 발광시간이 1이고 소등 시간이 2, 2, 1, 1 인 형태로 점멸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미터가 이미지 패널에 부착되어 있고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로 촬영을 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 프리뷰 영상에서 보라색 빛의 점멸을 측정하고 검은색->보라색으로의 변경을 감지하여 그때의 시간을 기록한다. 일정시간 이상 프리뷰 영상에서의 보라색 빛의 점멸 시간을 측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코드 값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로 촬영한 경우를 가정하고, 적외선 이미터의 발광 시간 1이 실제 시간으로 200ms 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최근의 안드로이드 휴대용 디바이스는 주변 광의 영향에 의해 프리뷰의 프레임 레이트가 달라지긴 하지만 거의 15~30프레임 이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다. 따라서 15 프레임 레이트로 프리뷰 영상이 얻어진다고 가정하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67ms 마다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하며 이는 적외선 발광시간 200ms 내에 최대 3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는 약 4초 정도만 카메라 프리뷰 영상을 분석하면 적외선 이미터의 코드가 4444일지라도 그 이후는 반복적인 패턴의 적외선 이미터 발광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 프리뷰 영상에서 프레임이 수집될 때마다 적외선 이미터의 점멸 시간을 기록하였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적외선 코드 값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프리뷰 영상을 통해 본 적외선 이미터의 점멸 시간이 표 1과 같다면,
OFF
(1ms)
ON
(68ms)
ON
(140ms)
OFF
(203ms)
OFF
(273ms)
OFF
(350ms)
ON
(420ms)
ON
(480ms)
ON
(550ms)
OFF
(610ms)
OFF
(673ms)
OFF
(734ms)
OFF
(798ms)
OFF
(866ms)
OFF
(930ms)
OFF
(999ms)
ON
(1060ms)
ON
(1120ms)
OFF
(1203ms)
OFF
(1271ms)
OFF
(1324ms)
OFF
(1402ms)
OFF
(1468ms)
OFF
(1520ms)
OFF
(1597ms)
OFF
(1661ms)
OFF
(1721ms)
ON
(1820ms)
ON
(1893ms)
ON
(1952ms)
OFF
(2017ms)
OFF
(2078ms)
OFF
(2139ms)
OFF
(2209ms)
OFF
(2282ms)
OFF
(2333ms)
OFF
(2408ms)
OFF
(2474ms)
OFF
(2528ms)
OFF
(2600ms)
OFF
(2667ms)
OFF
(2720ms)
ON
(2805ms)
ON
(2873ms)
ON
(2938ms)
OFF
(3000ms)
적외선 이미터는
1. 203ms-68ms = 135ms 간 ON 상태,
2. 420ms-203ms = 217ms 간 OFF 상태,
3. 610ms-420ms = 190ms 간 ON 상태,
4. 1060ms-610ms = 450ms 간 OFF 상태,
5. 1203ms-1060ms = 143ms 간 ON 상태,
6. 1820ms-1203ms = 617ms 간 OFF 상태,
7. 2017ms-1820ms = 197ms 간 ON 상태,
8. 2805ms-2017ms = 788ms 간 OFF 상태,
임을 알 수 있다.
이를 200ms 기준으로 오차를 허용하여 ON, OFF 상태 시간을 이진화 하면 10, 100, 1000, 10000이 된다. 이는 도 19에서 표현했던 코드에 따라 1234가 된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는 카메라 프리뷰 영상에서의 적외선 이미터 빛의 점멸 시간을 기록하여 원 코드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복원된 코드를 통하여 휴대용 디바이스는 서버에 컨텐츠 요청을 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가 복원된 코드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에 매핑된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에 표현함으로써 오프라인 이미지 패널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는 것이 완료되게 된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2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2010), 메모리(memory)(20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20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2040), 전력 회로(2050) 및 통신 회로(20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2000)은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20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20)는 컴퓨터 시스템(2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20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20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30)는 컴퓨터 시스템(2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2010) 및 메모리(20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010)는 메모리(20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2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20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20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20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20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20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0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20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20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2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2000)은 도 2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2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2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20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ET,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2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로 이동하거나,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제어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멀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커플링 함으로써, 컨텐츠를 이동시킬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관적인 제스처를 이용하여 이동할 컨텐츠 및 컨텐츠가 이동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다른 교육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디바이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컨텐츠 디바이스
120: 휴대용 디바이스
211, 221: 커플링부
212, 222: 컨텐츠 이동부
213, 223: 제어부
214, 224: 영상 처리부

Claims (15)

  1. 광 방사 소자;
    상기 광 방사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컨텐츠 이동 및 원격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고유 코드에 따라 상기 광 방사 소자를 구동하는 영상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으로부터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커플링을 요청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방사 소자는 IR(infrared ray) 이미터, UV(Ultraviolet) 이미터, 가시광(Visible ray) 이미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디바이스.
  4. 컨텐츠 디바이스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 부착된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인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광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의 컨텐츠 이동 및 원격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는 고유 코드에 따라 상기 광 방사 소자를 구동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상기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6.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수신되면 고유 코드에 따라 광 방사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커플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가 상기 고유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상기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복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방사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광 방사 소자의 발광 시간과 소등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고유 코드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는,
    상기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영상에 표현된 상기 광 신호 패턴의 길이 비율 정보와 사용자 터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9.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 부착된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광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고유 코드에 따라 상기 광 방사 소자를 구동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 상기 고유 코드의 길이에 맞춰 프레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를 복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코드는 상기 추출된 프레임으로 분석되는 상기 광 방사 소자의 점멸 시간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커플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가 상기 고유 코드와 일치하면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영상에 표현된 상기 광 신호 패턴의 길이 비율 정보와 사용자 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광 신호 패턴의 길이 비율 정보와 사용자 터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동하기 위한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14. 컴퓨터로 구현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 부착된 광 방사 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 신호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광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고유 코드에 따라 상기 광 방사 소자를 구동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 상기 고유 코드의 길이에 맞춰 프레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커플링 요청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로 구성된 컨텐츠 디바이스 제어용 UI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20140084721A 2013-08-09 2014-07-07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51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4721A KR101511909B1 (ko) 2014-07-07 2014-07-07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US14/453,359 US10366264B2 (en) 2013-08-09 2014-08-06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4721A KR101511909B1 (ko) 2014-07-07 2014-07-07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909B1 true KR101511909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4721A KR101511909B1 (ko) 2013-08-09 2014-07-07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9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771A (ko) * 2008-05-12 2011-02-07 아스펜 액퀴지션 코포레이션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 상에서의 임의의 갈루아 필드 산술연산의 구현
KR20110083393A (ko) * 2010-01-14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771A (ko) * 2008-05-12 2011-02-07 아스펜 액퀴지션 코포레이션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 상에서의 임의의 갈루아 필드 산술연산의 구현
KR20110083393A (ko) * 2010-01-14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07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service
KR102354763B1 (ko)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KR102650444B1 (ko)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스마트 홈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159669B2 (en)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481486B1 (ko) 오디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0516741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thereof
CN106502637A (zh) 移动终端和操作该移动终端的方法
KR20160064797A (ko)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US20170038912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10439838B2 (en)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JP2015532720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装置
CN103369390A (zh) 再现内容的方法与系统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4869304A (zh) 显示对焦的方法和应用该方法的电子设备
KR20140105812A (ko) 제스쳐 제어 방법, 제스쳐 서버 장치 및 센서 입력 장치
US20170171521A1 (en) Projec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68653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957376A (zh) 基于移动智能终端控制红外热像探头的系统及方法
CN104064022A (zh) 遥控方法和系统
US20210410201A1 (en) Mobile terminal
JP201513066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モバイル装置、これを含むシステム及びその接続制御方法}
KR101742444B1 (ko) 적응형 패턴 인식 기반 고속 디바이스 커플링 방법 및 시스템
CN106406132A (zh) 设备控制方法和设备控制系统
KR101511909B1 (ko) 적외선 코드를 이용한 원거리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EP3280149B1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contents at terminal, and terminal using same
US10366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