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581B1 -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581B1
KR101511581B1 KR20130161191A KR20130161191A KR101511581B1 KR 101511581 B1 KR101511581 B1 KR 101511581B1 KR 20130161191 A KR20130161191 A KR 20130161191A KR 20130161191 A KR20130161191 A KR 20130161191A KR 101511581 B1 KR101511581 B1 KR 101511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leeve
magnetic force
ribbon
for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성
최진태
김무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6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비자성 슬리브(STS 등)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형 전자석을 활용하여 슬리브 위를 통과하는 비정질 소재의 리본을 흡인하여 권취할 수 있도로 개선된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권취 장치는 일측에 구동유닛이 연계되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외주면에 비정질 리본이 권취되는 슬리브모듈; 상기 슬리브모듈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슬리브모듈에 상기 리본이 흡착되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모듈; 및 상기 자력발생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자력발생모듈과 상기 슬리브모듈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서포트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권취 장치 {COI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FC 공정을 통해 리본 형태로 생산되는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소재(amorphous material)란 비정질금속. 유리상태의 금속을 말한다. 보통 금속은 작은 결정 입자의 모임인데, 아모퍼스 금속은 원자의 배열이 무질서하고 결정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금속이다. 이는 용해된 금속을 급속 냉각시켜서 만드는데, 비정질 상태이므로 일반 결정금속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즉 부식이 스테인리스 스틸의 1백만 분의 1에 불과하며, 섭씨 400∼500℃의 열을 가하면 결정으로 돌아가는 특징도 있으며, 자기 특성을 지니면서도 단단하다. 테이프 레코더나 VTR의 자기헤드 재료로 사용되며 변압기의 철심으로 이용하면 자체소모전력이 크게 줄어들게 한다.
이러한 비정질 소재(통상 리본 형상)를 제조하기 위한 급냉 응고법에는 단롤법 및 쌍롤법 등이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단롤법(PFC)이다.
이 단롤법은 용융 금속을 고속 회전하고 있는 냉각롤 표면에 분출시켜, 이 냉각롤 표면에서 106 K/s 이상의 속도로 급냉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비정질 리본을 얻는 방법이다. 이때 급냉된 비정질 리본을 자유공간으로 분사할 경우 공기의 저항에 의해 구겨지거나 부서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업적 규모로 비정질 리본을 제조할 경우, 통상적으로 비정질 리본을 특정한 방법에 의해 권취하거나 하여 구겨지지 않도록 회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기술이나 문헌에서 알려진 비정질 리본을 주조 직후에 온라인으로 권취하는 권취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권취용 보빈을 사용하여 냉각롤과 권취 보빈의 회전속도를 동기화하여 권취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로 알려진 비정질 리본의 권취 방식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방법,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 회전형 전자석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권취용 보빈 표면 근처에 30m/s 이상의 공기유동이 생성되는데, 이 공기유동층으로 인하여 비정질 리본이 권취용 보빈의 표면에 흡인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방식은 리본을 흡인하는 단계에서 리본이 끊어지거나하여 재흡인을 해야할 경우와 권취 성공 후 다시 리본을 재권취를 할 때,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떼어내기 힘들고, 리본 부스러기가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연속 권취를 하거나 대량생산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식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출원번호 제 10-2010-0136039 호)로서, 전기접촉자를 통한 전자석을 사용하는 방식도 있는데, 전자석은 영구자석에 비해 전기를 인가하거나 하지 않는 방법으로 권취 후의 탈착 등이 용이하나 권취롤과 리본 사이의 고속의 기류층의 영향으로 초기 권취가 쉽지 않다.
또한,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양면테이프의 방식은 잡기가 힘들고 부착될 때 비정질 리본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로 인해 부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잘못된 방향을 붙었을 때 냉각롤에서 박리되어 날아오는 비정질 리본의 진직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비정질 리본이 구겨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비정질 리본을 권취하면서 권취롤의 직경이 점점 커지면서 냉각롤과 권취용 보빈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간섭을 피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냉각롤과 권취용 보빈간에 컨베이어 벨트방식을 이용하여 비정질 소재를 이송시키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고속으로 생산되는 비정질 리본이 컨베이어 벨트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를 뛰어 넘도록 구현하기 어렵고, 또 컨베이어 벨트의 진동으로 인해 비정질 리본이 손상되거나 비정상적인 공기유동 발생에 의해 권취용 보빈에 잘 감기기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비자성 슬리브(STS 등)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형 전자석을 활용하여 슬리브 위를 통과하는 비정질 소재의 리본을 흡인하여 권취할 수 있도록 개선된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권취 장치는 비정질 리본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장치로서, 비자성재질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상기 비정질 리본이 권취되도록 일측에 연계된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슬리브모듈; 상기 비정질 리본이 자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모듈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리브모듈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모듈; 및 일측에 상기 자력발생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모듈의 내부로 상기 자력발생모듈을 이동하며 상기 슬리브 모듈의 타측이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서포트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모듈은 원주방향으로 자속밀도가 증가하는 다수의 폴을 갖는 스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모듈은 작업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모듈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자력발생모듈이 결합되는 결합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모듈은 지나간 비정질 리본이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면서 딸려 들어와서 냉각롤 측 비정질 리본과 충돌하면서 리본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모듈 표면에 직사각형, 쐐기형상 등의 그루브(groove)와, 외주면에 처리되어 상기 비정질 리본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루브(groov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된 비정질 리본이 슬리브 위를 지나가다가 전자석을 동작시키면,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슬리브 표면으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슬리브에 밀착이 되면 전자석의 자장이 밀집된 각 섹션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착된 상태에서 슬리브에 권취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의 영구자석, 에어 석션(Air Suction), 양면테이프 등 흡착 방식은 초기 권취 후 리본이 끊어지면 더 이상 리본의 흡착이 불가능한데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한 고정형 전자석과 회전형 슬리브의 경우, 초기 권취 중 리본이 끊어져서 초기권취에 실패한 경우, 전자석에 투입되는 파워를 On/Off함으로써 붙어있는 비정질 리본을 떨어뜨리고 재권취할 수 있도록 가능하며, 초기 권취 성공 후 전자석 파워를 끄고 권취를 하다가 주조 말기 비정질 리본의 테일(Tail)부가 펄럭이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전자석에 투입되는 파워를 투입함으로써 Tail를 자동으로 잡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Air Suction 방식이나 영구자석을 쓰는 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Air Suction만을 사용할 경우, 배풍기의 용량이 매우 커야 하므로 설비가 커지고, 권취용 보빈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에 의해 부가적인 설비를 구축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고정형 전자석 모듈과 회전형 슬리브 사이에 Air Gap(0.2mm ~10mm)이 있으므로, 슬리브의 표면조도를 일정 이하로 관리하면 회전 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저감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 형태의 보빈의 경우, 권취 중 리본이 끊어졌을 경우, 보빈을 교체하기 전에는 재권취를 시도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권취용 보빈의 경우, 자력을 해제하고 다시 재권취를 시도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전자석의 극(pole)별로 파워공급을 달리하여 슬리브의 위치별로 흡착력을 달리 구현할 수 있으며, 슬리브의 표면에 절단용 홈을 설치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딸려오는 리본을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비정질 리본을 흡인하면서 슬리브를 지나간 리본이 딸려 들어오면서 리본과 충돌하여 리본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자석 형태의 보빈을 사용할 경우, 권취된 리본을 전자석 보빈과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연속 권취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전자석의 무게로 인해 권취기 설비의 크기가 일정 이상 커져야 하고 무게 편중에 의한 진동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리본을 흡착할 때 리본의 구심력, 항력, 박리된 리본과 권취보빈 사이의 상대속도차에 의한 관성모멘트에 의한 리본에 과도한 장력이 걸리는 등의 많은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슬리브만 회전을 시키므로 회전체의 무게가 매우 적어서 권취기 회전을 위한 설비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관성모멘트를 최소화하여 초기권취 중 미세한 장력변화로 인해 리본이 끊어지는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진동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전자석 모듈을 이동시킴으로 해서 권취된 리본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의 단면도.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의 스테이터의 정면도 및 자속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의 권취시 투입되는 전원투입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에 비정질 리본이 권취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의 스테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권취 장치(100)는 일측에 구동유닛이 연계되는 슬리브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슬리브모듈(110)은 구동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며, 이에 따라 구동유닛의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이 전달되며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모듈(110)은 비정질 리본(P)의 공급선상에 제공되며, 비정질 리본(P)이 슬리브모듈(110) 위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된 상태에서 지나가더라도 리본(P)을 자기력에 의해 흡인하여, 슬리브(112)의 표면에 흡착시켜, 슬리브모듈(110)의 회전에 따라 비정질 리본(P)의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슬리브모듈(110)이 회전하고 스테이터(stator)(132)는 고정되지만, 도 2의 (b)에 도시된 자속분포에서 보여지듯이 스테이터 (stator)(132)의 원주방향 전폭으로 거의 균일한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브(112)가 회전하면서 리본이 떨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슬리브모듈(11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슬리브(112)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슬리브(112)의 일측에는 회전축(114)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114)은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회전축(114)은 베어링(122)이 매개된 베어링 블록(120)에 소정의 높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 블록(120)은 작업면(L)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122)은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블록(120)의 일측에 모터가 설치되어 이 회전축(114)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114)은 벨트(116) 등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벨트풀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터는 슬리브모듈(110)이 리본(P)의 생산속도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도록 연결부재인 벨트(116)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슬리브(112)는 리본(P)의 공급속도와 권취속도가 동기화되지 않을 경우, 순간적인 인장력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리본(P)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모듈(110)의 내부에는 리본(P)이 슬리브모듈(1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해 흡착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모듈(130)이 제공될 수 있다.
자력발생모듈(130)은 전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모듈(130)은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전자력을 온/오프(on/off)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비정질 리본(P)을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할 수 있다. 또한, 자력발생모듈(130)은 비정질 리본(P)의 권취과정에서 비정질 리본(P)이 끊어지거나 설비중단 등에 의해 비정질 리본(P)이 재권취될 경우, 전자력을 온/오프함에 따라 자유롭게 리본(P)을 권취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리브(112)는 비자성체 재질(STS 등)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력발생모듈(130)에서 발생된 전자력이 슬리브(112)를 통과하여 리본(P)에 전자력을 미침에 따라 비정질 리본(P)이 슬리브(112)의 외주면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12)의 외주면에는 비정질 리본(P)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부(118)가 표면처리될 수 있다. 일례로, 코팅부(118)는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마찰을 저감시키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자력발생모듈(130)은 전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136)이 권취되는 다수의 폴(pole)(134)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테이터(stator)(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모듈(130)은 스테이터(132)의 폴(134)에 자속밀도가 증가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8개의 폴(13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132)에서 폴(134)은 2 내지 24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본(P)의 생산속도와 슬리브(112)와의 거리에 따라서 폴(134)의 개수를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본(P)이 날라올 때 슬리브(112)와의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으면, 폴(134)의 개수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리본(P)과 슬리브(112) 사이의 흡인력은 커지고, 리본(P)이 슬리브(112)에 붙어 있게 하는 흡착력은 적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력발생모듈(130)은 서포트모듈(1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포트모듈(150)은 자력발생모듈(130)과 슬리브모듈(110)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포트모듈(150)은 작업면(L)에 설치되는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2)는 작업면(L)에서 슬리브모듈(110)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52)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작업면(L)에 설치되는 레일 등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2)의 일측에는 자력발생모듈(130)의 스테이터(132)가 결합되는 결합봉(154)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결합봉(154)의 내부는 중공될 수 있으며, 이 중공부를 통해 스테이터(132)의 코일이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봉(154)의 단부는 관통부를 갖는 고정용 볼트(156)에 막혀질 수 있다.
또한, 서포트모듈(150)은 슬리브모듈(110)의 내주면에 결합봉(154)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봉(154)은 지지부(152)의 일측에서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며,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슬리브모듈(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리브모듈(110)은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바, 결합봉(154)은 슬리브모듈(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리브모듈(110)의 내주면에는 결합봉(154)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160)가 매개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160)는 서포트모듈(150)이 슬리브모듈(110)과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서포트모듈(110)과의 안정적인 결합과 분리를 위해 테이퍼 블록(16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베어링부(160)는 결합봉(154)의 일단부에 고정될 경우, 테이퍼 블록(162)은 베어링(122)의 외주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테이퍼 블록(162)의 외주면은 서포트모듈(150)에 가까운 쪽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모듈(150)의 중공부에는 이 테이퍼 블록(162)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테이퍼 블록(162)이 테이퍼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면(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결합봉(154)은 서포트모듈(15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처짐이나 진동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권취 장치(100)는 자력발생모듈(130)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스테이터(132)에 권취된 코일(136)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슬립링과 같은 부품이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자력발생모듈(130)은 리본(P)의 초기 권취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온/오프가 가능하므로 권취 실패시 재권취를 시도할 수 있고, 주조 말기에 비정질 리본(P)의 테일부가 공기유동에 의해 날리다가 부서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력에 의해 테일부를 흡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권취 장치(100)는 리본(P)의 초기 권취시 자력발생모듈(130)에 전류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전자력이 발생되며 리본(P)에 흡착력을 발생하여 리본(P)을 권취하게 된다.
그리고, 비정질 리본(P)이 권취중일 때에는 자력발생모듈(130)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정질 리본(P)을 권취할 수 있다.
한편, 비정질 리본(P)의 권취가 완료되는 주조 말기에는 자력발생모듈(130)에 전류를 다시 공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자력이 발생되며 주조 말기에 제조된 리본(P)의 테일부를 흡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부(160)는 결합봉(154)의 단부에 결합되고, 이 베어링부(160)에 일체로 결합된 테이퍼블록이 슬리브모듈(11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베어링부(260)는 슬리브모듈(11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베어링부(260)의 내주면에 테이퍼 블록(262)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봉(154)의 단부에는 이 테이퍼 블록(262)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55)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슬리브모듈(110)의 외주면에는 그루브(Groove)(17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70)는 비정질 리본(P)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슬리브모듈(110)을 통과한 상태에서 냉각롤에서 공급되는 비정질 리본(P)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정질 리본(P)의 권취중에 비정질 리본(P)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루브(17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쐐기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권취 장치 110: 슬리브모듈
112: 슬리브 114: 회전축
115: 경사면 116: 벨트
118: 코팅부 120: 베어링 블록
122: 베어링 130: 자력발생모듈
132: 스테이터(stator) 134: 폴(pole)
136: 코일 150: 서포트모듈
152: 지지부 156: 고정용 볼트
160: 베어링부 162: 테이퍼 블록

Claims (5)

  1. 비정질 리본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장치로서,
    비자성재질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상기 비정질 리본이 권취되도록 일측에 연계된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슬리브모듈;
    상기 비정질 리본이 자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모듈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리브모듈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모듈; 및
    일측에 상기 자력발생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모듈의 내부로 상기 자력발생모듈을 이동하며 상기 슬리브 모듈의 타측이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서포트모듈;
    을 포함하는 권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모듈은 원주방향으로 자속밀도가 증가하는 다수의 폴을 갖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권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모듈은
    작업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모듈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자력발생모듈이 결합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권취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모듈은
    외주면에 상기 비정질 리본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부를 포함하는 권취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루브(groove)를 포함하는 권취 장치.
KR20130161191A 2013-12-23 2013-12-23 권취 장치 KR10151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191A KR101511581B1 (ko) 2013-12-23 2013-12-23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191A KR101511581B1 (ko) 2013-12-23 2013-12-23 권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581B1 true KR101511581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1191A KR101511581B1 (ko) 2013-12-23 2013-12-23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5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716A (ja) 2000-03-09 2001-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帯鋼板の巻取装置
KR20060071715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내경부 풀림 교정 삽입장치
KR100823661B1 (ko) 2006-12-22 2008-04-18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판 밀림 방지 장치
JP2013086101A (ja) * 2011-10-13 2013-05-13 Jfe Steel Corp リールゴムスリーブ及び鋼板の巻き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716A (ja) 2000-03-09 2001-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帯鋼板の巻取装置
KR20060071715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내경부 풀림 교정 삽입장치
KR100823661B1 (ko) 2006-12-22 2008-04-18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판 밀림 방지 장치
JP2013086101A (ja) * 2011-10-13 2013-05-13 Jfe Steel Corp リールゴムスリーブ及び鋼板の巻き取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066B1 (ko) 강판 제진장치
JPH07502789A (ja) 糸使用繊維機械のための糸供給装置
KR20140030219A (ko) 강자성 금속 리본 이송 장치 및 방법
JP5602494B2 (ja) 伸線装置、及び伸線方法
PT1159216E (pt) Guia-fios para aduzir de traves um fio a uma bobina de enrolar com accionamento rotativo
JP5236016B2 (ja) 車輪上の糸ガイド
KR920010283B1 (ko) 개량된 회전링 방적장치
JP5149683B2 (ja) 溶射装置におけるワイヤ送給機構
JP2007504955A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製造方法
KR101511581B1 (ko) 권취 장치
CN100470691C (zh) 卷线机的线材张力施加装置及其施加方法
JPH0582670B2 (ko)
CN108462309A (zh) 支承纺织转子的方法以及支承器、纺织转子和支承轴承
JP2014001478A (ja) 紡糸巻取機
KR20110072240A (ko) 전선 케이블용 세선 피복장치
JP2005035795A (ja) 綾巻きボビンを製造するための繊維機械のフィンガ糸ガイドのためのエネルギーアキュームレータ
US46179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metal filaments
CN114348784B (zh) 一种扭矩传递器及放丝束机构
JP2550117B2 (ja) カローゼルリール設備
EP0011827B1 (en) A device for supplying a pair of wires to a rotating wire guide in a coil winding machine
KR101518669B1 (ko) 비정질 소재의 연속 권취 장치 및 방법
JP2010189185A (ja) 糸状金属の繰出し装置
JP5876158B2 (ja) 材料のストランドを巻き戻すための、回転アームを備える装置
JP2001098442A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のためのよこ糸巻取り供給装置
CN105540336A (zh) 张力赋予部件、储纱装置、以及纱线卷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