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54B1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0854B1 KR101510854B1 KR20130118571A KR20130118571A KR101510854B1 KR 101510854 B1 KR101510854 B1 KR 101510854B1 KR 20130118571 A KR20130118571 A KR 20130118571A KR 20130118571 A KR20130118571 A KR 20130118571A KR 101510854 B1 KR101510854 B1 KR 101510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drying
- burner
- pip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위생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방의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하여 분쇄하기 위한 분쇄장치와, 분쇄장치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100)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실(110)과; 상기 건조실(110)에 부설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건조실(110) 내에 건조열을 공급하게 되는 발열배관부(120)와; 조리용 가스열원의 버너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버너의 가스 연소열에 대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배관부(130)와; 상기 발열배관부(120)와 흡열배관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40)와; 상기 건조실(110)에 부설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151)과,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게 되는 스위치(152)를 포함하는 히터유닛(150)과; 상기 버너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버너 작동검출부(160)와; 상기 버너 작동검출부(160)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펌프(140) 또는 상기 히터유닛(150)의 스위치(15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어 일차로 분쇄가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위생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당이나 학교, 군부대 등의 급식소는 물론 일반가정에서 매일 막대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으로 인하여 이를 처리하는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을 크게 나누면, 스크류를 이용한 압착식, 회전력을 이용한 탈수식, 그리고 열풍을 이용한 건조식 장치로 대별된다.
압착식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단순히 탈수하고 압착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그 최종 생성된 쓰레기의 부피로 인한 처리의 불편함이 있고, 스크류에 채소와 같은 섬유질의 음식물 쓰레기가 걸릴 경우 잦은 고장이 발생한다.
탈수식 장치는 다른 장치와 달리 소음이 크고, 외형이 클 수밖에 없어 가정용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건조식 장치가 대두되고 있으나, 건조식 장치 또한 많은 시간의 소모, 건조 상태의 불균형 및 악취의 발생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장치들의 단일 구성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3243호(등록일자: 2001.10.25)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분쇄수단과 건조수단을 조합하여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악취를 제거하며,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안에서도 문제점이 있으며, 배수수단이 없기 때문에 수분이 많은 상황에서는 건조수단의 기능을 온전히 할 수 없으며, 그러한 경우에도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수분의 제거를 선행적으로 하여야 하는 별도의 노력이 들어가며, 분쇄수단이 한가지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에 따른 효율적인 분쇄 효과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196428호(등록일자: 2012.10.25)호에서 주방의 싱크대에 직접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장치에 의해 잘게 분쇄한 후에 건조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를 제안하였다.
도 1은 상기 등록특허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는, 싱크대(10)의 투입구(11)와 배수관(20) 사이에는 분쇄실(30)이 마련되며, 분쇄실(30) 내에는 배수관(20) 상단에 물여과부(21)가 마련되어 식기 세척 시에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실(30)에 남게 되며, 세척수는 물여과부(21)를 통해 배수관(20)을 따라서 하수관으로 배출된다.
분쇄실(30) 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차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용 날이 마련되며, 구체적으로는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수직 분쇄날(31), 원형 분쇄날(32), 스크류 분쇄날(33)과, 고정 형태인 파쇄칼날(34)이 마련된다.
수직 분쇄날(31), 원형 분쇄날(32), 스크류 분쇄날(33)은 체인(C)을 매개로 하여 전동부(40)와 연결되며, 전동부(40)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이 이루어진다.
분쇄실(30) 하부에는 배수관(20)을 따라서 이차 분쇄부(50)가 마련되며, 2차 분쇄부(50) 하단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실(60)로 안내하는 배출로(70)가 마련된다.
이차 분쇄부(50)는 안쪽으로 배수관(20)과 관통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배수관(20)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내벽에 나선형 분쇄날이 마련되어 이차 분쇄부(50)를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시 분쇄가 이루어진다.
배출로(70)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배출밸브(71)가 마련되어 배출밸브(71)의 조작에 의해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건조실(60)은 히터(61)와, 환풍기(62)가 마련되어 분쇄되어 건조실(60)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열풍 건조가 이루어지며,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환풍기(62)를 통해 배수관(20)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히터를 사용하여 열풍 건조하게 되며, 건조 과정에서 많은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더욱 개선하여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3243호(등록일자: 2001.10.25)
등록특허공보 제10-1196428호(등록일자: 2012.10.2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특히 주방에서 조리 시에 사용되는 가스열원의 폐열을 활용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에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주방의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하여 분쇄하기 위한 분쇄장치와, 분쇄장치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에 부설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건조실내에 건조열을 공급하게 되는 발열배관부와; 조리용 가스열원의 버너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버너의 가스 연소열에 대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배관부와; 상기 발열배관부와 흡열배관부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건조실에 부설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과,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게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히터유닛과; 상기 버너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버너 작동검출부와; 상기 버너 작동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펌프 또는 상기 히터유닛의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주방의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하여 분쇄하기 위한 분쇄장치와, 분쇄장치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에 부설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건조실 내에 건조열을 공급하게 되는 발열배관부와; 조리용 가스열원의 버너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버너의 가스 연소열에 대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제1흡열배관부와;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을 포함하여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열선의 열을 흡열하게 되는 제2흡열배관부와; 상기 발열배관부와, 제1및제2흡열배관부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제1흡열배관부 및 상기 제2흡열배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발열배관부 사이를 흐르는 열매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3방밸브와; 상기 버너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버너 작동검출부와; 상기 버너 작동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흡열배관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3방밸브의 유로 방향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주방에서 조리 시에 사용되는 가스열원의 폐열을 활용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에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흡열배관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흡열배관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하여 분쇄하기 위한 분쇄장치와, 분쇄장치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이때 분쇄장치는 도 1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배수관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건조장치로 배출하게 되며,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건조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건조장치(100)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실(110)과; 건조실(110)에 부설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건조실(110) 내에 건조열을 공급하게 되는 발열배관부(120)와; 조리용 가스열원의 버너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버너의 가스 연소열에 대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배관부(130)와; 발열배관부(120)와 흡열배관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40)와; 건조실(110)에 부설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151)과, 열선(15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게 되는 스위치(152)를 포함하는 히터유닛(150)과; 버너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버너 작동검출부(160)와; 버너 작동검출부(160)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펌프(140) 또는 히터유닛(150)의 스위치(15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건조실(110)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내통(111)과, 내통(111) 바깥에 마련되는 외통(112)으로 이루어지며, 내통(111)은 내부에 열선(151)이 삽입되고 외통(112)은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발열배관부(120)가 마련된다.
내통(111) 중앙에는 보조통(113)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보조통(113)에 열선과 발열배관부가 부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건조실(110)은 상부가 개방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건조실(110) 상부가 밀폐된 구조로써 환풍기(미도시)가 설치된 배기유로가 마련되며, 배기유로는 싱크대와 연결되는 배수관으로 연결되어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또는 수분 등은 배기유로를 따라서 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실(110)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게 되는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114)는 교반날개(114a)를 갖는 다수의 교반축(114b)과, 교반축(114b)을 지지하여 건조실(110)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레버(114c)와, 회동레버(114c)의 회동축에 고정되는 스프로킷(114d)과, 스프로킷(114d)과 체인(114f)을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114e)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교반부(114)는 건조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게 되며, 발열배관부(120) 또는 열선(151)에서 발생된 열이 음식물 쓰레기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건조실(110)을 구성하게 되는 내통(111) 또는 외통(112)은 건조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열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통(111) 하부에는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1a)가 마련되며, 배출구(111a)는 개폐 가능한 배출도어(111b)가 마련되어 배출도어(111b)의 개폐 조작에 의해 배출구(111a)를 통해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흡열배관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될 수 있는 폐열로써 조리용 가스열원인 가스레인지(101)의 버너(102)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버너(102)와 인접하여 흡열배관부(130)가 마련되며, 흡열배관부(130)는 나선형으로 꼬인 배관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연소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배관 외부에는 다수의 흡열핀(131)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버너의 작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버너 작동검출부(160)가 구비되며, 이러한 버너 작동검출부(160)는 버너(102)와 인접하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건조실(110)에 설치되는 발열배관부(120)는 흡열배관부(130)와 폐루프를 구성하도록 배관으로 연결되어 펌프(140)에 의해 폐루프를 따라서 열매체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cv는 열매체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이다.
건조실(110)은 버너의 연소열을 이용한 열 공급과는 별개로 열선(151)을 이용하여 열 공급이 가능한 히터유닛(150)이 마련된다.
히터유닛(150)은 건조실(110)에 부설될 열선(15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53)와, 열선(15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152)를 포함하며, 한편 전원부(153)는 상용 전원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버너 작동검출부(160)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버너(102)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 펌프(140) 또는 스위치(152) 중의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에 필요한 건조열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버너(102)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스위치(152)를 '오프'한 상태에서 펌프(140)를 작동시켜 버너(102)의 연소열을 활용하여 발열배관부(120)를 통해 건조실(110) 내에 열을 공급하게 되며, 버너(102)가 작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펌프(140)를 작동하지 않고 스위치(152)를 '온' 제어하여 열선(151)을 통해 건조실(110) 내에 열을 공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200)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실(210)과; 건조실(210)에 부설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건조실(210) 내에 건조열을 공급하게 되는 발열배관부(220)와; 조리용 가스열원의 버너(102)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버너(102)의 가스 연소열에 대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제1흡열배관부(230)와;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241)을 포함하여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열선의 열을 흡열하게 되는 제2흡열배관부(240)와; 발열배관부(220)와, 제1및제2흡열배관부(230)(24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250)와; 제1흡열배관부(230) 및 제2흡열배관부(240) 중 어느 하나와, 발열배관부(220) 사이를 흐르는 열매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3방밸브(260)와; 버너(102)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버너 작동검출부(270)와; 버너 작동검출부(270)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제2흡열배관부(240)의 작동을 제어하며, 3방밸브(260)의 유로 방향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건조실(210) 내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열 공급을 위하여 고온의 열매체가 흐르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발열배관부(220) 만이 설치되며, 별도의 열선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흡열배관부(23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도 4 참고)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버너(102)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열매체가 흐르는 배관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버너(102)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버너(102)와 인접하여 온도 검출용 센서가 마련되어 버너 작동검출부(270)로 제공될 수 있다.
제2흡열배관부(240)는 제1흡열배관부(230)와는 별개로 분기되어 마련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241)을 포함하여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를 고온으로 승온시킨다.
이러한 제2흡열배관부(240)는 열선(24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제어부(280)에서 스위치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열선(241)을 통해 발열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흡열배관부(230)와 제2흡열배관부(240)는 열매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 체크밸브(cv1)(cv2)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3방밸브(260)는 제1흡열배관부(230) 및 제2흡열배관부(240) 중 어느 하나와, 발열배관부(220) 사이를 흐르는 열매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배관에 마련되는 전기 제어밸브로써, 제어부(280)에 의해 유로 방향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어부(280)는 버너 작동검출부(270)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버너(102)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 제2흡열배관부(240)의 작동을 제어하며, 3방밸브(260)의 유로 방향을 제어하여 제1흡열배관부(230) 또는 제2흡열배관부(240) 중의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건조실(210) 내에 건조열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버너(102)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열매체의 흐름이 제1흡열배관부(230)와 발열배관부(220)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3방밸브(260)의 유로 방향을 제어하게 되며, 이때 제2흡열배관부(240)는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버너(102)가 작동 중이 아닌 경우에 제어부(280)는 열매체의 흐름이 제2흡열배관부(240)와 발열배관부(220)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3방밸브(260)의 유로 방향을 조작하며, 이때 제2흡열배관부(24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제2흡열배관부(240)를 따라 흐르는 열매체는 고온으로 승온되어 발열배관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건조실 내에 직접 열선을 배치하여 건조열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열선 배치에 따라서 건조실 내에 온도 불균형이 크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일부 열선이 조밀하게 배치된 위치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부분적으로 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실 내에 열선을 사용하지 않고 열매체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건조열을 공급함으로써, 건조실 시에 직접 열선을 배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200 : 건조장치 110, 210 : 건조실
120, 220 : 발열배관부 130 : 흡열배관부
140, 250 : 펌프 150 : 히터유닛
151, 241 : 열선 152 : 스위치
160, 270 : 버너 작동검출부 170, 280 : 제어부
230 : 제1흡열배관부 240 : 제2흡열배관부
260 : 3방밸브
cv, cv1, cv2 : 체크밸브
120, 220 : 발열배관부 130 : 흡열배관부
140, 250 : 펌프 150 : 히터유닛
151, 241 : 열선 152 : 스위치
160, 270 : 버너 작동검출부 170, 280 : 제어부
230 : 제1흡열배관부 240 : 제2흡열배관부
260 : 3방밸브
cv, cv1, cv2 : 체크밸브
Claims (6)
- 삭제
- 삭제
- 주방의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하여 분쇄하기 위한 분쇄장치와, 분쇄장치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에 부설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건조실 내에 건조열을 공급하게 되는 발열배관부와;
조리용 가스열원의 버너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배관으로써,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버너의 가스 연소열에 대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제1흡열배관부와;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열선을 포함하여 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열선의 열을 흡열하게 되는 제2흡열배관부와;
상기 발열배관부와, 제1및제2흡열배관부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제1흡열배관부 및 상기 제2흡열배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발열배관부 사이를 흐르는 열매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3방밸브와;
상기 버너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버너 작동검출부와;
상기 버너 작동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흡열배관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3방밸브의 유로 방향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게 되는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제1흡열배관부와 제2흡열배관부는 각각 열매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열배관부는 외부에 다수의 흡열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8571A KR101510854B1 (ko) | 2013-10-04 | 2013-10-04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8571A KR101510854B1 (ko) | 2013-10-04 | 2013-10-04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0854B1 true KR101510854B1 (ko) | 2015-04-10 |
Family
ID=5303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8571A KR101510854B1 (ko) | 2013-10-04 | 2013-10-04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08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69166A (zh) * | 2018-12-20 | 2019-03-15 | 宁波驰翔机电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水提升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7925A (ko) * | 1997-12-06 | 1999-07-05 | 한필순 | 음식물쓰레기의 발효처리장치 |
JP2001104911A (ja) * | 1999-10-04 | 2001-04-17 | Paloma Ind Ltd | 厨芥処理機 |
KR20110118873A (ko) * | 2010-04-26 | 2011-11-02 | 지문수 | 음식물 찌꺼기 건조 방법 및 식당 주방용 가스 스토브 방사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방법 |
-
2013
- 2013-10-04 KR KR20130118571A patent/KR1015108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7925A (ko) * | 1997-12-06 | 1999-07-05 | 한필순 | 음식물쓰레기의 발효처리장치 |
JP2001104911A (ja) * | 1999-10-04 | 2001-04-17 | Paloma Ind Ltd | 厨芥処理機 |
KR20110118873A (ko) * | 2010-04-26 | 2011-11-02 | 지문수 | 음식물 찌꺼기 건조 방법 및 식당 주방용 가스 스토브 방사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69166A (zh) * | 2018-12-20 | 2019-03-15 | 宁波驰翔机电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水提升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6594B1 (ko) |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
KR100706919B1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
KR100626590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
JP3109984U (ja) | 生ゴミ処理器 | |
KR100992086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KR101081905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346593B1 (ko) |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
KR101510854B1 (ko)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00091513A (ko) |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905176B1 (ko) |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 | |
KR101456076B1 (ko) |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 |
KR100912379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164520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처리부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50017210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JP3753129B2 (ja) | 厨芥処理装置 | |
JP3675367B2 (ja) | 厨芥処理装置 | |
KR101904266B1 (ko) | 유로전환모듈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 방식 배출가스 처리 방법 | |
KR20120059835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KR100856982B1 (ko) | 자동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기 | |
KR200468989Y1 (ko) |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 |
KR20060116598A (ko)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 |
KR200366030Y1 (ko) |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60082008A (ko) | 싱크대 배수구를 이용한 음식물 건조시스템(1) | |
KR101696745B1 (ko) | 응축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
CN105212547B (zh) | 一种集成式节能洗衣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