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208B1 -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208B1
KR101510208B1 KR1020120152699A KR20120152699A KR101510208B1 KR 101510208 B1 KR101510208 B1 KR 101510208B1 KR 1020120152699 A KR1020120152699 A KR 1020120152699A KR 20120152699 A KR20120152699 A KR 20120152699A KR 101510208 B1 KR101510208 B1 KR 10151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soil layer
outlet
ind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220A (ko
Inventor
정현환
김광진
서효원
유은하
이정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5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2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8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rings
    • F16K15/10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rings integral with, or rigidly fixed to, a common valv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Abstract

토양 외부로 노출되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작용과, 토양의 필터링 기능을 이용한 공기정화작용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되, 토양을 이용한 공기정화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은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의 공기유입공간과, 상부의 청정공간과, 공기유입공간과 청정공간 사이에 마련된 토양층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실; 공기유입구를 통해 공기정화실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청정공간으로 송풍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 잎과 줄기가 상기 청정공간에 위치되도록 토양층에 심어지는 식물; 공기유입공간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토양층 속으로 안내하도록 입구는 공기유입공간과 연통되고 출구는 토양층 내부에 위치되도록 토양측에 매립된 복수의 공기유도관; 공기유도관에 마련되어 공기유도관으로부터 토양층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하는 체크밸브; 및 공기정화실에 마련되어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고 토양층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립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bio filtration system for building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 외부로 노출되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작용과, 토양의 필터링 기능을 이용한 공기정화작용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건물의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광합성 작용이 인간의 호흡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를 생산해 낸다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진 사실이다. 또 식물은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저항하기 위해 피톤치드를 분비하며, 이러한 피톤치드는 주위 공기 중으로 분산되어 살균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 주위를 보면, 이와 같은 식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실내에 다량의 화분을 설치하거나, 실내공간과 인접된 위치에 정원 등을 꾸미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식물의 호흡작용이나 식물로부터 분비되는 이로운 물질을 이용한 공기정화 작용은 일반적으로 정화 속도가 느리고,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는데 반해 실제 정화 효율이 기대치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작용은 규모가 작은 일반 가정 등에서는 이용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적은 반면, 빌딩이나 공공시설물 같이 신속하고 효율적인 공기정화작용이 요구되는 건물 등에서는 아직까지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의 경우 다량의 미생물을 보유함은 물론 일종의 필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극을 구비하므로, 공기가 토양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과정에서는 다량의 이물질이 걸러지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보다 신속하게 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와 같이 식물과 식물이 심어진 토양을 동시에 적용시켜 공기정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공기정화 효율이 큰 폭으로 향상되어 건물 등의 공기 정화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토양의 공극은 원활한 공기의 소통이 어렵도록 미세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직까지 종래에는 공기가 토양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여 토양을 이용한 공기정화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많았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69035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토양 외부로 노출되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작용과, 토양의 필터링 기능을 이용한 공기정화작용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되, 토양을 이용한 공기정화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은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의 공기유입공간과, 상부의 청정공간과, 상기 공기유입공간과 상기 청정공간 사이에 마련된 토양층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실;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정화실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청정공간으로 송풍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 잎과 줄기가 상기 청정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토양층에 심어지는 식물; 상기 공기유입공간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상기 토양층 속으로 안내하도록 입구는 상기 공기유입공간과 연통되고 출구는 상기 토양층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토양측에 매립된 복수의 공기유도관; 상기 공기유도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유도관으로부터 상기 토양층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공기정화실 바닥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토양층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립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공기유도관의 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토양층의 토양이나 물이 상기 공기유도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출구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공기유도관으로 유입된 공기에 밀려 상승할 경우 상기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공기유도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개폐판을 승강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면서 상기 공기유도관의 출구 둘레를 감싸도록 돔형태로 마련된 밸브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커버에는 상기 공기유도관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립블록은 상기 공기정화실의 바닥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조립되고, 상기 조립블록은 상부와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본체와, 공기와 물의 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공기유도관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립블록은 상기 공기정화실의 바닥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실은 상기 토양층으로부터 저부로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공간 저부에 마련된 집수공간과,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집수배출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립블록은 내부공간이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은 복수의 상기 조립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의 제1공간과, 복수의 상기 조립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의 제2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조립블록은 상부와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 바닥 쪽에는 상기 제1 및 제2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구획판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구획판에는 복수의 제1미세공과 제2미세공이 각각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은 토양 외부로 노출되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작용과, 토양의 필터링 기능을 이용한 공기정화작용을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공기유도관을 통해 토양층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저항이 줄어들게 되어 토양을 이용한 공기의 정화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에서 공기유도관과 체크밸브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에서 공기유도관과 체크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공기유도관의 출구가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에 채용되는 조립블록의 본체와 커버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시스템 동작에 따른 공기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은 건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기유입구(1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의 공기유입공간(10)과, 상부의 청정공간(30)과, 공기유입공간(10)과 청정공간(30) 사이에 마련된 토양층(20)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실(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청정공간(30)이 정화된 공기를 최종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공기정화실(1)을 정화시키고자 하는 실제 건물 내부에 구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공기정화실(1)은 정화시키고자 하는 건물 외부에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청정공간(30) 일측으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추가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A는 공기정화실(1) 외부의 벽체를 가리킨다.
그리고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은 공기유입구(1a)를 통해 공기유입공간(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청정공간(30)으로 송풍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3)와, 잎과 줄기가 청정공간에 위치되도록 뿌리를 통해 상기 토양층에 심어지는 식물(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장치(3)는 공기유입구(1a)와 연결유로(1b)를 통해 연결된 공기조화기(5) 내부에 마련된다. 공기조화기(5)는 송풍장치(3)만을 구비하는 단순한 형태에서부터 에어컨이나 다수의 필터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5)는 송풍장치(3)의 구동시 외부공기를 공기정화실(1)로 강제 송풍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은 송풍장치(3)가 구동됨에 따라 외부공기를 공기정화실(1)로 유입하여 정화시키는 정화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송풍장치(3)가 구동되면, 먼저 외부공기는 공기유입구(1a)를 통해 공기유입공간(10)으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공기유입공간(10)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양층(20)을 통과하여 청정공간(30)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공기유입공간(10)에서는 토양층(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이 토양의 공극을 통해 걸러짐과 동시에 미생물을 통해 분해되면서 1차적으로 정화되고, 토양층(20)을 통과하여 청정공간(30)으로 안내된 공기는 식물(4)의 잎이나 줄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2차적으로 정화된다.
한편, 상기 토양층(20)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향상시켜 토양을 이용한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토양층(20)에는 공기유입공간(10)으로 전달된 외부공기를 토양층(20) 속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공기유도관(50)이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공기유도관(50)은 합성수지나 금속재질을 통해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태로 마련된 것으로, 하단의 입구가 공기유입공간(10)과 연통되고 상단의 출구가 토양층(20) 표면에 인접한 토양층(20) 내부에 위치되도록 토양층(20)에 매립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공간(10)의 공기가 토양층(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부 공기는 공기유도관(50)을 통해 토양층(20) 내부로 깊숙이 전달된 상태에서 토양층(20)으로 분산되고, 이에 따라 토양층(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반적인 흐름이 개선되는 것이다. 공기유입공간(10)으로 유입된 공기가 토양층(20)을 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기유도관(50)은 토양층(20)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산 배치되고, 공기유도관(50)들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지 않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유도관(50)의 출구에는 토양층(20)의 토양이나 토양층(20)으로 공급된 물이 공기유도관(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공기유도관(50)으로부터 토양층(20)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체크밸브(60)가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60)는 공기유입관(50)의 출구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판(70)과, 개폐판(70)을 승강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면서 공기유도관(50)의 출구 둘레를 감싸도록 대략 돔 형태를 취하는 밸브커버(80)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70)은 공기유도관(50) 속으로 안내된 공기에 밀려 상승할 경우 공기유도관(50)의 출구를 개방시키고, 공기유도관(5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공기안내관(50)의 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개폐판(70)과 밸브커버(80)의 설치를 위해 개폐판(70) 하부로 상기 공기유도관(50)의 출구 안쪽에는 중앙에 체결홀(91)을 구비하는 설치프레임(90)이 공기통과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밸브커버(80)는 일단이 체결홀(91)에 체결되는 고정축(100)의 타단이 내측 중심에 결합됨에 따라 공기유입관(50)에 조립된다.
고정축(100)의 하단은 상기 체결홀(91)에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며, 고정축(100)의 상단은 둘레에 형성된 나선(101)을 통해 밸브커버(80) 내측 중심에 형성된 체결부(81)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며, 개폐판(70)은 중앙의 조립홀(71)을 통해 고정축(100)의 양단 사이의 중도에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미설명 부호 102는 체결홀(91)에 끼워지는 고정축(1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편을 가리킨다.
개폐판(70)을 통해 공기유입관(50)의 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공기유도관(5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토양층(20)으로 토출시키도록 밸브커버(80)에는 토출구(82)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토출구(82)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밸브커버(8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82)는 밸브커버(80)의 상부 둘레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토출구(82a,82b,82c)와, 밸브커버(80)의 저부 안쪽 둘레에 마련된 제4토출구(82d)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출구(82)의 구조에서는 밸브커버(80)를 통해 토양층(20)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밸브커버(80)의 측방 저부 쪽으로 토출됨에 따라 토양층(20)을 전체적으로 보다 고르게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인접한 공기유도관(50)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사이의 간섭현상을 통해 토양층(20) 내부에 불규칙한 공기의 흐름이 조성됨에 따라 토양에 의한 공기의 정화작용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정화실(1)의 저부 쪽에 상기 공기유입공간(10)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토양층(20)을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공기정화실(1)의 바닥에는 상호 조립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조립블록(110)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조립블록(110)은 상부와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중공의 본체(120)와, 공기와 물의 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본체(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20)는 둘레 사방 중앙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인접한 조립블록(110) 사이가 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본체(120)의 각 측벽 외면에는 조립홈(122)과 조립돌기(121)가 마련된다. 커버(130)는 본체(120) 상부의 개구를 가리도록 본체(120) 상부에 설치되며, 본체(120)의 상부 모서리 안쪽으로는 커버(130)의 저면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단턱(123)이 마련된다.
또한 공기정화실(1)의 토양층(20)으로는 식물(4)에 전달되도록 물이 공급되고, 이러한 물의 일부는 토양층(20)을 통과하여 토양층(20) 저부 쪽으로 배수되는데, 공기유입공간(10) 저부의 공기정화실(1)에는 이와 같이 토양층(20)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집하도록 집수공간(40)이 형성되며, 집수공간(40)으로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집수공간(40) 일측으로 공기정화실(1)에는 집수배출구(1c)가 마련된다.
따라서 조립블록(110)은 공기유입공간(10) 저부로 이러한 집수공간(40)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집수공간(40)으로 배수가 모일 수 있게 토양층(20)으로부터 전달된 물을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체(120)의 내부공간(120a)은 복수의 조립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공기유입공간(10)을 형성하는 상부의 제1공간(120b)과, 복수의 조립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집수공간(40)을 형성하는 하부의 제2공간(120c)으로 구획되며, 제1 및 제2공간(120b,120c) 사이의 구획을 위해 본체(120)의 내부 바닥 쪽에는 제1 및 제2공간(120b,120c) 사이를 구획시키는 구획판(124)이 마련된다. 미설명 부호 125는 본체(120)의 제1공간(120b)에 세워진 지지기둥을 가리킨다.
토양층(20)의 물을 공기유입공간(10)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커버(130)에는 복수의 제1미세공(131)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제1미세공(131)을 통과하여 공기유입공간(10)으로 안내된 물이 계속해서 집수공간(40)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구획판(124)에는 복수의 제2미세공(124a)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공기유도관(5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제1미세공(131) 사이사이의 커버(130)에는 결합공(132)이 형성되며, 공기유도관(50)은 이러한 결합공(132)에 하단이 끼워짐에 따라 커버(1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결합공(132) 둘레의 커버(130)에는 공기유입관(50)의 지지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공기유입관(50)의 하단 둘레를 감싸도록 상부로 연장된 지지부(133)가 마련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송풍장치(3)가 구동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a)을 따라 공기유입공간(1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토양층(20)을 통과하여 청정공간(30)으로 안내된다. 이때 토양층(20)을 지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이 토양의 공극을 통해 걸러짐과 동시에 미생물을 통해 분해되면서 1차적으로 정화되며, 토양층(20)을 통과하여 청정공간(30)으로 안내된 공기는 식물(4)의 잎이나 줄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2차적으로 정화된다.
공기유입공간(10)의 공기가 토양층(20)을 통과할 때는 일부 공기가 공기유도관(50)을 통해 토양층(20) 내부로 깊숙이 전달된 상태에서 토양층(20)으로 분산되며, 이에 따라 토양층(20)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전반적으로 개선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은 공기유도관(50)을 통해 토양층(20)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향상됨에 따라 토양을 이용한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공기정화실 1a: 공기유입구
3: 송풍장치 4: 식물
10: 공기유입공간 20: 토양층
30: 청정공간 40: 집수공간
50: 공기유도관 60: 체크밸브
70: 개폐판 80: 밸브커버

Claims (8)

  1.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의 공기유입공간과, 상부의 청정공간과, 상기 공기유입공간과 상기 청정공간 사이에 마련된 토양층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실;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정화실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청정공간으로 송풍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
    잎과 줄기가 상기 청정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토양층에 심어지는 식물;
    상기 공기유입공간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상기 토양층 속으로 안내하도록 입구는 상기 공기유입공간과 연통되고 출구는 상기 토양층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토양층에 매립된 복수의 공기유도관;
    상기 공기유도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유도관으로부터 상기 토양층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공기정화실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토양층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립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공기유도관의 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토양층의 토양이나 물이 상기 공기유도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출구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공기유도관으로 유입된 공기에 밀려 상승할 경우 상기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공기유도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개폐판을 승강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면서 상기 공기유도관의 출구 둘레를 감싸도록 돔형태로 마련된 밸브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커버에는 상기 공기유도관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록은 상기 공기정화실의 바닥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조립되고,
    상기 조립블록은 상부와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본체와, 공기와 물의 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공기유도관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록은 상기 공기정화실의 바닥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실은 상기 토양층으로부터 저부로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공간 저부에 마련된 집수공간과,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집수배출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립블록은 내부공간이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은 복수의 상기 조립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의 제1공간과, 복수의 상기 조립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의 제2공간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록은 상부와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 바닥 쪽에는 상기 제1 및 제2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구획판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구획판에는 복수의 제1미세공과 제2미세공이 각각 관통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KR1020120152699A 2012-12-26 2012-12-26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KR10151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99A KR101510208B1 (ko) 2012-12-26 2012-12-26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99A KR101510208B1 (ko) 2012-12-26 2012-12-26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20A KR20140083220A (ko) 2014-07-04
KR101510208B1 true KR101510208B1 (ko) 2015-04-17

Family

ID=5173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699A KR101510208B1 (ko) 2012-12-26 2012-12-26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1152A1 (en) * 2020-03-10 2021-09-16 Shashikumar R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air through natural mea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272U (ja) 1995-04-12 1995-12-12 筒中シート防水株式会社 市街地の緑化と空気中の有害物を除去する装置
JP2003200017A (ja) 2001-12-28 2003-07-15 Actree Corp 植物を使用した駐車場の空気浄化装置
KR101136628B1 (ko) 2011-09-15 2012-04-20 김달우 공기정화가 가능한 가정용 식물공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272U (ja) 1995-04-12 1995-12-12 筒中シート防水株式会社 市街地の緑化と空気中の有害物を除去する装置
JP2003200017A (ja) 2001-12-28 2003-07-15 Actree Corp 植物を使用した駐車場の空気浄化装置
KR101136628B1 (ko) 2011-09-15 2012-04-20 김달우 공기정화가 가능한 가정용 식물공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20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779B2 (en) Botanical ai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KR100890477B1 (ko) 실내공기 정화용 화분조립체
JP2013544096A (ja) 垂直壁用ポット及びこれに使われるマルチフィルタ及びポット支持枠組
KR101947018B1 (ko)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20050040613A (ko) 공기 자동정화 창문
CN108291737B (zh) 通风并生物净化环境内外空气的模块及相关方法
KR101656751B1 (ko)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및 상기 식물재배 화분을 이용한 실내정원 장치
KR101752965B1 (ko)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CN202237789U (zh) 一种多通道恶臭废气生物净化器
CN102869924B (zh) 用于窗户的通风设备
KR101398037B1 (ko) 환기 시스템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510208B1 (ko)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CN104019499B (zh) 具有增湿和杀菌性能的空气净化器
CN104456777B (zh) 一种建筑门窗的空气净化和新风系统
KR101317471B1 (ko) 버티칼 가든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510211B1 (ko) 건물공조형 바이오정화시스템
KR102067030B1 (ko) 식생블록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128824B1 (ko) 식물공기청정기용 포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CN104001390A (zh) 空气过滤组件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2384078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장치
KR10202983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공조유닛
CN206944329U (zh) 教室用室内式新风净化机
KR20170053982A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