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052B1 -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052B1
KR101510052B1 KR20140045184A KR20140045184A KR101510052B1 KR 101510052 B1 KR101510052 B1 KR 101510052B1 KR 20140045184 A KR20140045184 A KR 20140045184A KR 20140045184 A KR20140045184 A KR 20140045184A KR 101510052 B1 KR101510052 B1 KR 10151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vehicle
rear side
face
righ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민
박기봉
정희석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4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배터리의 차량 실내장착을 위해 리어플로어에 환형의 강건한 골조구조를 구성한 차체구조의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실내 바닥을 형성하는 인텀플로어;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1폐단면을 형성하는 리어사이드어퍼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부착되어 제2폐단면을 형성하는 리어사이드로워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어퍼멤버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인텀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인텀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인텀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Vehicle having body for high voltage battery}
본 발명은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해 리어플로어에 환형의 강건한 골조구조를 구성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과 전기모터를 이용한 구동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차량으로, 엔진 구동을 위한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전기모터 구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고전압배터리를 탑재한다.
상기 고전압배터리는 물에 의한 폭발 및 고장이 발생할 수 있어 차량 실내에 장착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편, 기존 내연기관 차량은 보통 강건한 부품 탑재를 위해 부품 주변에 환형의 골조구조를 구성하고 있으며, 주요 골조구조는 차체 실내를 형성하는 언더플로어 하부에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 내연기관 차량의 차체구조로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 장착을 위한 강건한 골조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내연기관 차량의 리어플로어의 골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보이듯이, 종래의 내연기관 차량은 리어플로어(1)의 주요부재인 리어사이드멤버(2)와 인텀멤버(3) 간에 플로어면 접합을 통한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플로어(1)는 인텀멤버(3)를 기준으로 후방에 연료탱크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리어크로스멤버(4) 후방에 스페어타이어를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차체 골격구조를 갖는 종래 내연기관 차량은 후방충돌시 주요 골격부재와의 연결성 미비로 인해 인텀멤버(3) 및 사이드실(4) 부위의 붕괴현상이 초래되어 후석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비강건한 차체 골조구조로는 친환경 차량용 고전압배터리의 실내 장착시 리어플로어의 크로스멤버 부위의 붕괴로 인해 연료탱크에 차체 찍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해 리어플로어에 환형의 강건한 골조구조를 구성한 차체구조의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실내 바닥을 형성하는 인텀플로어;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1폐단면을 형성하는 리어사이드어퍼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부착되어 제2폐단면을 형성하는 리어사이드로워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어퍼멤버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인텀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인텀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인텀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은, 상기 인텀플로어의 일측 플랜지가 접합되고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사이드실 이너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어사이드어퍼멤버는 좌우 일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접합되고 좌우 타측의 플랜지가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에 접합되어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과 함께 제1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어사이드로워멤버는 일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접합되고 타측의 측단면이 상기 인텀플로어의 일측 플랜지와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의 측단면 사이에 접합되어 제2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어사이드어퍼멤버는 리어사이드로워멤버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2폐단면의 상부에 제1폐단면을 적층되게 형성하며, 이에 더블박스구조의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인텀멤버는 그 전후 양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접합되어 제3폐단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인텀멤버는 그 전후 양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접합되어 제4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인텀멤버는 인텀플로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구성되고, 그 좌우 일측의 플랜지가 리어사이드어퍼멤버에 접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인텀멤버는 그 좌우 양측의 플랜지가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에 각각 접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텀플로어는 그 하면에 제2인텀멤버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3인텀멤버가 구성되고, 상기 제3인텀멤버는 그 전후 양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접합되어 제5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인텀멤버는 그 좌우 일측의 플랜지가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에 각각 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1. 차량의 리어플로어 상부에 고전압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는 환형의 강건한 골조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후방충돌시 리어사이드멤버(리어사이드어퍼멤버 및 리어사이드로워멤버)의 킥업량 축소로 인해 후방충돌성능이 향상된다.
3. 차량에 측면충돌 발생시, 기존의 차체구조는 사이드실에서만 충돌충격에 의한 변형을 흡수한 반면, 본 발명의 차체구조는 이중 폐단면(리어사이드멤버와 사이드실의 폐단면)을 통해 충돌흡수 공간을 증대함으로써 충돌충격을 대량 흡수하여 측면충돌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4. 측면충돌시 리어사이드멤버와 사이드실 및 인텀멤버 등의 부재 간 연결성 증대로 인해 센터필러 측면에 하중분산이 용이해진다.
5. 리어사이드멤버에 의한 더블박스구조 및 제1 내지 제3의 인텀멤버로 이루어진 3웨이(way) 크로스멤버 구조에 의해, 측면충돌 발생시 사이드실의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내연기관 차량의 리어플로어의 골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C-C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D-D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E-E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F-F에서 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보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후방에는 리어플로어(100)의 상부에 고전압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의 골조구조, 연료탱크의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의 골조구조, 스페어타이어 및 고전압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의 골조구조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3개의 환형 골조구조에 의해 더 큰 사이즈의 환형 골조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해 리어플로어(100)의 상부에 고전압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의 골조구조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골조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 간에 연결성을 개선하는 결합구조에 특징이 있다.
도 2에 보이듯이, 고전압배터리가 탑재되는 리어플로어(100)의 전방 상부에는 인텀플로어(110)를 기반으로 리어사이드멤버(120,130)와 사이드실 이너패널(140), 제1인텀멤버(150) 및 제2인텀멤버(160)가 환형의 골조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리어사이드멤버(120,130)와 사이드실 이너패널(140)은 고전압배터리의 좌우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되고, 제1 및 제2인텀멤버(150,160)는 고전압배터리의 전후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되어서, 인텀플로어(110)를 기반으로 환형의 골조구조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플로어(100)는 차량의 실내 바닥을 형성하는 인텀플로어(110)와 이 인텀플로어(110)에 접합되어 연결되는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 사이드실 이너패널(140), 제1인텀멤버(150), 및 제2인텀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인텀플로어(110)는 다양한 형태의 굴곡 구조 등을 갖는 패널로 이루어져 차량의 실내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와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는 차량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는 인텀플로어(110)의 상면에 접합되어 제1폐단면(S1)을 형성하게 되고,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는 제1인텀멤버(150)의 하면에 접합되어 제2폐단면(S2)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는 사이드실 이너패널(140)과 함께 제1폐단면(S1)을 형성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보이듯이, 사이드실 이너패널(140)은 차량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측단면(141)에 인텀플로어(110)의 일측 플랜지(111)가 접합되어 직접 연결된다.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는 좌우 일측의 플랜지(121)가 인텀플로어(110)의 상면에 접합되고 좌우 타측의 플랜지(122)가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140)의 상단면(142)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가 제1폐단면(S1)의 상측면과 좌측면(도 3 기준)을 형성하게 되고, 인텀플로어(110)가 제1폐단면(S1)의 하측면을 형성하게 되고, 사이드실 이너패널(140)이 제1폐단면(S1)의 우측면(도 3 기준)을 형성하게 된다.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는 일측의 플랜지(131)가 인텀플로어(110)의 하면에 접합되고 타측의 측단면(132)이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140)의 측단면(141)에 접합되어 제2폐단면(S2)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는 인텀플로어(110)가 형성하는 제2폐단면(S2)의 상측면을 제외하고 제2폐단면(S2)의 하측면과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2폐단면(S2)의 우측면을 형성하게 되는 측단면(132, 도 3에서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의 우측면)이 인텀플로어(110)의 플랜지(111, 사이드실 이너패널(140)의 측단면(141)에 접합되는 플랜지)와 사이드실 이너패널(140)의 측단면(141)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박스구조의 제2폐단면(S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폐단면(S2)은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가 형성하는 제1폐단면(S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폐단면(S1)과 더불어 상하 적층구조의 더블박스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6에도 보이듯이,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와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는 인텀플로어(110)를 기준으로 상하 양측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1인텀멤버(150)는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전후 양측의 플랜지(151,152)(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1인텀멤버(15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인텀플로어(110)의 상면에 부착되어 박스구조의 제3폐단면(S3)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에 보이듯이, 제1인텀멤버(150)는 그 좌우 일측의 플랜지(153)가 리어사이드어퍼멤버(120)의 측단면(123)에 접합되어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그 좌우 타측의 플랜지(154)가 인텀플로어(110)에 접합된다.
이러한 제1인텀멤버(150)는 인텀플로어(1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보이듯이, 제2인텀멤버(160)는 전후 양측의 플랜지(161,162)가 인텀플로어(110)의 하면에 부착되어 박스구조의 제4폐단면(S4)을 형성하는 것으로,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 사이에서 상기 제1인텀멤버(150)의 후방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인텀멤버(160)는 그 좌우 양측(차량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제2인텀멤버(16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의 플랜지가 각각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의 측단면(133)에 접합되어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인텀플로어(110)는 그 하면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3인텀멤버(170)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인텀멤버(170)는 전후 양측의 플랜지(171,172)가 인텀플로어(110)의 하면에 부착되어 박스구조의 제5폐단면(S5)을 형성하고, 제2인텀멤버(160)의 후방에 배치된다.
특히, 도 5에 보이듯이, 제3인텀멤버(170)는 인텀플로어(110)가 제2인텀멤버(160)의 접합부위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뒤 다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위에 접합됨으로써 제2인텀멤버(160)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고, 이에 차량 실내에 적재되는 고전압배터리의 더욱 강건한 탑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3인텀멤버(170)는 그 좌우 일측의 플랜지가 각각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130)의 측단면(133)에 접합되어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체구조를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차량의 리어플로어 상부에 고전압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는 환형의 강건한 골조구조를 구성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인텀플로어의 상부에 리어사이드어퍼멤버를 구성함에 의해 리어플로어의 전방부 무게중심점이 상향되어 리어플로어의 후방부 무게중심점과의 단차가 감소하고, 이에 후방충돌시 리어사이드멤버(리어사이드어퍼멤버 및 리어사이드로워멤버)의 킥업량 축소로 인해 꺾임이 방지되고 후방충돌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3. 상대적으로 충돌 영향을 미비하게 받는 마일드(mild)한 재질로 형성된 인텀플로어와, 상대적으로 충돌 영향을 크게 받는 고강도의 강 재질로 형성된 리어사이드멤버를 이용하여 더블박스구조의 폐단면을 구성함으로써 후방충돌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4.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주지된 바와 같이, 사이드실은 사이드실 이너패널과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폐단면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사이드멤버의 폐단면과 사이드실의 폐단면이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이중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차량에 측면충돌 발생시, 기존의 차체구조는 사이드실에서만 충돌충격에 의한 변형을 흡수한 반면, 본 발명의 차체구조는 이중 폐단면(리어사이드멤버와 사이드실의 폐단면)을 통해 충돌흡수 공간을 증대함으로써 충돌충격을 대량 흡수하여 측면충돌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5. 측면충돌시 리어사이드멤버와 사이드실 및 인텀멤버 등의 부재 간 연결성 증대로 인해 센터필러 측면에 하중분산이 용이해진다.
6. 리어사이드멤버에 의한 더블박스구조 및 제1 내지 제3의 인텀멤버로 이루어진 3웨이(way) 크로스멤버 구조에 의해, 측면충돌 발생시 사이드실의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7. 차량 실내에 탑재된 고전압배터리를 좌우방향으로 둘러싸게 되는 제1 내지 제3의 인텀멤버와,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전후방향으로 둘러싸게 되는 리어사이드멤버 및 사이드실 간에 직접적인 연결구조 및 환형의 배치구조로 인해 리어플로어의 비틀림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리어플로어
110 : 인텀플로어
120 : 리어사이드어퍼멤버
130 : 리어사이드로워멤버
140 : 사이드실 이너패널
150 : 제1인텀멤버
160 : 제2인텀멤버
170 : 제3인텀멤버

Claims (9)

  1. 차량의 실내 바닥을 형성하는 인텀플로어;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1폐단면을 형성하는 리어사이드어퍼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부착되어 제2폐단면을 형성하는 리어사이드로워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어퍼멤버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인텀멤버;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인텀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인텀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텀플로어의 일측 플랜지가 접합되고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사이드실 이너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어사이드어퍼멤버는 좌우 일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접합되고 좌우 타측의 플랜지가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에 접합되어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과 함께 제1폐단면을 형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텀플로어의 일측 플랜지가 접합되고 차량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사이드실 이너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어사이드로워멤버는 일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접합되고 타측의 측단면이 상기 인텀플로어의 일측 플랜지와 상기 사이드실 이너패널 사이에 접합되어 제2폐단면을 형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사이드어퍼멤버는 리어사이드로워멤버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2폐단면의 상부에 제1폐단면을 적층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인텀멤버는 그 전후 양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상면에 접합되어 제3폐단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인텀멤버는 그 전후 양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접합되어 제4폐단면을 형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인텀멤버는 인텀플로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구성되고, 그 좌우 일측의 플랜지가 리어사이드어퍼멤버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인텀멤버는 그 좌우 양측의 플랜지가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에 각각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텀플로어는 그 하면에 제2인텀멤버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3인텀멤버가 구성되고, 상기 제3인텀멤버는 그 전후 양측의 플랜지가 인텀플로어의 하면에 접합되어 제5폐단면을 형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인텀멤버는 그 좌우 일측의 플랜지가 차량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리어사이드로워멤버에 각각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KR20140045184A 2014-04-16 2014-04-16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KR10151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184A KR101510052B1 (ko) 2014-04-16 2014-04-16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184A KR101510052B1 (ko) 2014-04-16 2014-04-16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052B1 true KR101510052B1 (ko) 2015-04-07

Family

ID=5303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184A KR101510052B1 (ko) 2014-04-16 2014-04-16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0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263B1 (ko) * 2015-12-24 201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장착 위치를 개선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KR101807135B1 (ko) * 2015-12-14 2017-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리어플로어 조립체
CN108407898A (zh) * 2018-05-08 2018-08-1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前地板笼式梁架结构
CN112498496A (zh) * 2019-08-26 2021-03-16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后部结构
KR20210074710A (ko) 2019-12-12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식 배터리 배치구조가 개선된 하이브리드 차량
CN113263896A (zh) * 2021-05-18 2021-08-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兼容平台及电动汽车
KR20220133676A (ko) 2021-03-25 2022-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실 인너 멤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299A (ko) * 2006-12-05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플로어의 보강구조
JP2008174181A (ja) 2007-01-22 2008-07-31 Nissan Motor Co Ltd 車体下部構造
KR20130032435A (ko) * 2011-09-23 2013-04-0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의 후방 차체
KR20130033749A (ko) * 2011-09-27 2013-04-0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의 언더 바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299A (ko) * 2006-12-05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플로어의 보강구조
JP2008174181A (ja) 2007-01-22 2008-07-31 Nissan Motor Co Ltd 車体下部構造
KR20130032435A (ko) * 2011-09-23 2013-04-0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의 후방 차체
KR20130033749A (ko) * 2011-09-27 2013-04-0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의 언더 바디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135B1 (ko) * 2015-12-14 2017-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리어플로어 조립체
KR101786263B1 (ko) * 2015-12-24 201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장착 위치를 개선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CN108407898A (zh) * 2018-05-08 2018-08-1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前地板笼式梁架结构
CN108407898B (zh) * 2018-05-08 2023-08-1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前地板笼式梁架结构
CN112498496A (zh) * 2019-08-26 2021-03-16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后部结构
US11446998B2 (en) 2019-08-26 2022-09-20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structure of vehicle
KR20210074710A (ko) 2019-12-12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식 배터리 배치구조가 개선된 하이브리드 차량
US11618308B2 (en) 2019-12-12 2023-04-04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vehicle having an improved water-cooled battery layout
KR20220133676A (ko) 2021-03-25 2022-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실 인너 멤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N113263896A (zh) * 2021-05-18 2021-08-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兼容平台及电动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52B1 (ko) 고전압배터리의 실내장착을 위한 차체구조를 갖는 차량
JP6889419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US10752292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US10486515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US9505442B2 (en) Energy absorbing rocker assembly
US9956994B2 (en) Lower vehicle-body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JP6421766B2 (ja) フレーム車の骨格構造
US10589790B2 (en) Vehicle body front section structure
JP6647332B2 (ja) 車両後部構造
US883383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10421500B2 (en) Vehicle framework structure
US8813888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JP2016164051A (ja) バッテリユニット搭載構造
JP2009057034A (ja) フロアキックアップ部補強のための燃料電池車両用アッパーボディ構造
CN110077469B (zh) 车身构造
JP2013147137A (ja) 電動車両のフロア構造
KR20200102767A (ko) 차량용 후방구조
JP6284041B2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KR102440612B1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KR101855781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16196207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6674494B2 (ja) 車両後部構造
JP6743769B2 (ja) 燃料電池車両
CN113212562A (zh) 车辆的地板构造
KR20200120164A (ko) 차량의 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