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584B1 -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584B1
KR101509584B1 KR20120101604A KR20120101604A KR101509584B1 KR 101509584 B1 KR101509584 B1 KR 101509584B1 KR 20120101604 A KR20120101604 A KR 20120101604A KR 20120101604 A KR20120101604 A KR 20120101604A KR 101509584 B1 KR101509584 B1 KR 10150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customer
visi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543A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0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5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고, 그 인증을 기반으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방문자 단말기가 인증되었음을 알리는 인증 알림 정보 및 상기 방문 예정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택배, 등기 우편, 방문 서비스 등을 위하여 방문자가 방문지를 방문하기 전에,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인증된 방문 예정 통보를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Safety Visit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Call for Safety Visit Service}
본 발명은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택배, 등기 우편, 방문 서비스 등을 위하여 방문자가 방문지를 방문하기 전에,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인증된 방문 예정 통보를 전달함으로써 고객이 신뢰성 있는 방문 예정 정보를 방문자의 방문 전에 미리 통보 받을 수 있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쇼핑 시장이나 홈 쇼핑 시장 등과 같은 온라인 쇼핑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물품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원격지에서 손쉽게 물품을 주문하고 주문한 물품을 가정이나 직장에서 수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터넷 쇼핑몰이나 홈 쇼핑을 통하여 원하는 물품을 판매 업체에 주문하고, 택배나 퀵서비스 등을 통하여 배송되는 주문 물품을 가정에서 편리하게 수령한다.
이와 같이 온라인 쇼핑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주문된 물품을 배송하기 위한 택배나 퀵서비스 시장 등과 같은 물류 배송 시장 규모 또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의 이용 증가는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배송 기사의 방문 횟수의 증가를 가져왔다. 실제로, 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하루에 수 내지 수십 차례씩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배송 기사가 방문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런데, 택배기사나 서비스 기사 등 가정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이를 악용한 범죄도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불손한 자가 택배기사를 빙자하여 가정으로 침입한 후 범죄를 저지르는 일도 자주 일어나는 사건 중의 하나이다. 가정에 거주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벨을 누른 후 방문자가 택배기사라고 말하면 별 의심 없이 문을 열어주기 때문에 이러한 별다른 안전 장치가 없다면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최근에는 택배기사나 서비스 기사가 가정을 방문하기 전에 방문자 또는 배송 업체에서 문자를 통하여 사전에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허위 택배기사나 서비스 기사가 사전 확인 전화나 문자를 발송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뢰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자가 택배, 퀵서비스, 각종 방문 서비스 등을 위한 방문자의 방문 예정 통보를 신뢰성 높게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8932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택배, 등기 우편, 방문 서비스 등을 위하여 방문자가 방문지를 방문하기 전에,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인증된 방문 예정 통보를 전달함으로써 고객이 신뢰성 있는 방문 예정 정보를 방문자의 방문 전에 미리 통보 받을 수 있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상기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하는 단계에서의 인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인증되었음을 알리는 인증 알림 정보 및 상기 방문 예정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방문지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정보는 방문자의 인적 사항과 연락처 및 방문 예정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시스템 또는 모바일 메신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로그인 정보 또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서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조 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부재 또는 방문지 변경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는,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하는 단계에서의 인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인증되었음을 알리는 인증 알림 정보 및 상기 방문 예정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문 예정 메시지 전송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방문지의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예정 정보는 방문자의 인적 사항과 연락처 및 방문 예정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시스템 또는 모바일 메신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로그인 정보 또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서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조 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부재 또는 방문지 변경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방법은,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의 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콜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콜이 정당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콜 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콜이 정당한 콜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콜을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한 콜을 수신하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는 상기 콜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는 상기 콜이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전화 번호가 표시되거나, 상기 콜이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코드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장치는,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의 콜을 수신하는 콜 수신부; 상기 콜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콜이 정당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콜 인지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콜이 정당한 콜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콜을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한 콜을 수신하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는 상기 콜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는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전화 번호가 표시되거나,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코드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 등기 우편, 방문 서비스 등을 위하여 방문자가 방문지를 방문하기 전에,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인증된 방문 예정 통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신뢰성 있는 방문 예정 정보를 방문자의 방문 전에 미리 통보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이러한 정보 제공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콜 인증 장치에 의한 콜 인증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고객의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링 화면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고객의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링 화면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방문자 단말기(VT) 및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VT)는 택배 서비스, 퀵서비스, 방문 서비스(가스 검침, 애프터서비스, 정수기 설치 등) 등을 위하여 고객의 주소지로 방문하는 방문자 또는 방문자를 보내는 서비스 업체의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VT)는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포터블 단말기일 수도 있고, PC와 같은 고정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문자 단말기(VT)는 주소지를 방문할 택배 직원, 방문 서비스 직원의 휴대폰, 노트북일 수도 있고, 또는 택배 업체나 방문 서비스 업체의 PC일 수도 있다.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는 택배나 퀵서비스를 통하여 전달되는 물품을 수령하거나 방문 서비스를 신청한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는 고객의 휴대폰, 전화기, 홈 오토메이션 등과 같은 무선 또는 유선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방문자가 특정 시간에 주소지에 대응하는 방문지를 방문하고자 할 때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로 신뢰성 있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제공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안심 방문 서비스는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증부(110), 수신부(120), 방문 예정 메시지 전송부(130) 및 데이터베이스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110)는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VT)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부(110)는 방문자 단말기(VT)가 접속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VT)로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를 요청하는 요청을 방문자 단말기(VT)로 전송하고,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가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된 방문자 로그인 정보 리스트 또는 방문자 인증서 리스트에 조회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VT)를 인증한다.
여기서 만약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통한 조회 결과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가 올바르지 않거나 폐기된 것일 경우 인증부(110)는 에러를 발생하고 인증 실패 메시지를 방문자 단말기(VT)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가 정당한 것이면 인증부(110)는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VT)를 정상적으로 인증해 줄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0)는 인증부(110)에 의하여 인증된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정보는 물품을 수령하거나 방문 서비스를 받을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 정보는 고객 명, 고객의 통신 단말기 전화 번호, 방문지의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정보는 주소지를 방문할 방문자, 예컨대 택배기사, 방문 서비스 기사 등의 인적 사항(예컨대 성명, 사진 등) 및 연락처와, 방문자가 방문지를 방문하는 방문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0)는 수신된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방문 예정 메시지 전송부(130)는 수신부(120)에 의하여 수신된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방문 예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방문 예정 정보 및 인증 알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알림 정보는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가 인증된 메시지, 즉 안심 방문 서비스에 의하여 보장되는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상기 고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00고객님의 서울00구 00동 00아파트 000-000호로 00택배의 000님이 00시 00분 방문할 예정입니다. 택배 기사님의 연락처는 010-0000-0000입니다. 이 메시지는 안심 방문 서비스에 의하여 인증된 메시지입니다~"와 같이, 방문자 명, 방문자 사진, 방문자 연락처, 방문 예정 시간, 인증 알림 정보, 고객 명, 고객 주소지 등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문 예정 메시지 전송부(130)는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카카오톡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등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모바일 메신저 등을 통하여 방문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고객은 방문자가 주소지를 방문할 것임을 사전에 인지하되 안심 방문 서비스에 의하여 인증됨을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방문자를 기다릴 수도 있다.
방문 예정 메시지 전송부(130)에 의하여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로 전송되는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는 정보 제공 장치에 대응되는 특정 전화번호 또는 방문자 단말기(VT)의 전화번호에 특정한 코드가 부가된 전화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는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화번호일 수 있는데 이는 즉 광고 등을 통하여 홍보되는 특정한 고유의 안심 방문 서비스 전화번호일 수 있다. 고객은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가 안심 방문 서비스 전화번호인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안심 방문 서비스 전화번호임을 인지하고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가 안심 방문 서비스에 의하여 전송된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또는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는 방문자 단말기(VT)의 전화번호 앞에 특정한 코드, 예컨대 005, 003 등과 같은 번호가 부가된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코드는 예컨대 005, 003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숫자나 특수문자로 구성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상기 코드는 광고나 홍보 등을 통하여 안심 방문 서비스 코드로서 대중들에게 알려질 수 있다. 고객은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에서 앞의 코드를 보고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가 안심 방문 서비스에 의하여 전송된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고객이 방문 예정 메시지에서 통보한 시간에 부재 중이거나 방문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를 통하여 수신부(120)로 회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20)는 상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증된 방문자 단말기(VT)로 토스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방법론적 설명에 의하여 장치의 데이터흐름 및 구성요소 간의 상호 작용 역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이러한 정보 제공 장치(100)를 기반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문자 단말기(VT)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VT)는 택배 서비스, 퀵서비스, 방문 서비스 등을 위하여 고객의 주소지로 방문하는 방문자 또는 방문자를 보내는 서비스 업체의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방문자 단말기(VT)는 회원 가입 시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요구하는 회원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수신되는 회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회원 정보의 일부는 로그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정보는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문자 단말기(VT)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서를 공인 인증 기관으로 발급받거나 또는 미리 공인 인증 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인증서의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인증서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의하여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방문자 단말기(VT)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회원으로 가입하면, 해당 업체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한 안심 방문 서비스에 회원으로 가입했음을 업체의 광고 또는 홍보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고객은 광고를 보고 해당 업체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다.
이후, 방문자 단말기(VT)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접속할 수 있다(단계:S1). 방문자 단말기(VT)가 접속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VT)를 인증할 수 있다(단계:S2). 예를 들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방문자 단말기(VT)가 접속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VT)로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를 요청하는 요청을 방문자 단말기(VT)로 전송하고,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가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된 방문자 로그인 정보 리스트 또는 방문자 인증서 리스트에 조회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VT)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통한 조회 결과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가 올바르지 않거나 폐기된 것일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에러를 발생하고 인증 실패 메시지를 방문자 단말기(VT)로 전송한 후 다시 인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S6). 시도 반면,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가 정당한 것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VT)를 정상적으로 인증한다.
다음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증된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S3). 상기 고객 정보는 물품을 수령하거나 방문 서비스를 받을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 정보는 고객 명, 고객의 통신 단말기 전화 번호, 방문지의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정보는 주소지를 방문할 방문자, 예컨대 택배기사, 방문 서비스 기사 등의 인적 사항/연락처 및 방문자가 방문지를 방문하는 방문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방문 예정 메시지를 생성하고(단계:S4), 이를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S5).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방문 예정 정보 및 인증 알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알림 정보는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가 인증된 메시지, 즉 안심 방문 서비스에 의하여 보장되는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상기 고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카카오톡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등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로 전송되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 예정 메시지는 예컨대 모바일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00고객님의 서울00구 00동 00아파트 102-101호로 00택배의 000님이 07시 10분 방문할 예정입니다~"와 같이 고객 명, 방문지의 주소, 방문 예정 시간을 포함하고, 택배 기사의 이름, 연락처 및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문 예정 메시지는 예컨대 "안심 방문 서비스"와 같이 일 측에 해당 메시지가 인증된 신뢰성 있는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모바일 메신저 등을 통하여 방문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고객은 방문자가 주소지를 방문할 것임을 사전에 인지하면서도, 그 메시지가 안심 방문 서비스에 의하여 인증된 신뢰성 있는 메시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방문자를 기다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전화번호, 예컨대 광고 등을 통하여 홍보되는 안심 방문 서비스 전화번호 또는 방문자 단말기(VT)의 전화번호에 특정한 코드가 부가된 전화번호, 예컨대 광고 등을 통하여 홍보되는 안심 방문 서비스 코드가 방문자 단말기(VT)의 앞에 붙은 전화번호일 수 있다.
한편, 고객이 방문 예정 메시지에서 통보한 시간에 부재 중이거나 방문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를 통하여 회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증된 방문자 단말기(VT)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살펴보았다. 상술한 실시예는 정보 제공 장치가 방문자의 방문을 고객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의 콜을 인증하고 그 인증을 기반으로 하여 고객에게 인증된 콜을 연결시켜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콜 인증 장치에 의한 콜 인증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문자 단말기(VT)는 고객에게 방문지로 특정 시간에 방문할 것임을 통보하기 위하여 고객의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앞에 특정 코드를 붙여 콜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코드는 예컨대 005, 003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숫자나 특수문자로 구성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의 전화번호가 "010-1111-1111"이고, 안심 방문 서비스 코드가 "005"라고 가정하면 가정하면 방문자 단말기(VT)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로 콜을 요청하기 위하여 수신자 전화번호 "005-010-1111-1111"로서 콜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코드 "005"가 붙은 콜은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연결되기 전에 먼저 콜 인증 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콜 인증 장치(200)의 콜 수신부(210)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 발생된 콜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S11). 콜 인증 장치(210)의 인증부(220)는 수신된 콜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콜이 정당한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의 콜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단계:S12). 예를 들어, 인증부(220)은 수신된 콜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부(2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문자 단말기 리스트에서 조회하여 정당한 방문자 전화번호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220)에 의한 인증에서 상기 콜이 정당한 콜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콜 연결부(230)는 콜을 차단할 수 있다(단계:S14). 반면 상기 콜이 정당한 콜인 것으로 상기 인증부(220)를 통하여 인증되면, 콜 인증 장치(200)의 콜 연결부(230)는 상기 콜을 고객의 통신 단말기(CT)로 연결할 수 있다(단계:S13).
이때, 상기 콜 연결부(230)는 콜 연결 장치의 고유 코드를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에서 발신자 전화번호로 나오도록 할 수도 있고, 방문자 단말기(VT)의 전화번호 앞에 특정 코드를 부가한 번호가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에서 발신자 전화번호로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에서 표시되는 링 화면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한 설명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기(VT)의 전화번호는 "010-1112-3344"라고 가정하고, 콜 연결 장치에 의한 안심 방문 서비스 전화번호는 "02-1111-2222"라고 가정하면,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에는 도 7과 같이 안심 방문 서비스 전화번호인 "02-1111-2222"가 발신자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안심 방문 서비스 전화번호는 광고 등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번호일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의 콜이 인증된 콜임을 인지하고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다.
도 8은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에서 표시되는 링 화면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한 설명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기(VT)의 전화번호는 "010-1112-3344"라고 가정하고, 안심 방문 서비스 코드는 "005"라고 가정하면, 고객의 통신 단말기(CT)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안심 방문 서비스 고유 코드인 "005"가 부가된 "005-010-1112-3344"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안심 방문 서비스 코드는 광고 등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서비스 코드일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방문자 단말기(VT)로부터의 콜이 인증된 콜임을 인지하고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VT : 방문자 단말기
CT : 고객의 통신 단말기
100 :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110 : 인증부
120 : 수신부
130 : 방문 예정 메시지 전송부
140 : 데이트베이스부

Claims (14)

  1.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하는 단계에서의 인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인증되었음을 알리는 인증 알림 정보 및 상기 방문 예정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전화번호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전화 번호 앞에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가 부가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방문지의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예정 정보는 방문자의 인적 사항과 연락처 및 방문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로그인 정보 또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서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조 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부재 또는 방문지 변경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시스템 또는 모바일 메신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6. 접속된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하는 단계에서의 인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방문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인증되었음을 알리는 인증 알림 정보 및 상기 방문 예정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문 예정 메시지 전송부 포함하고,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의 전화번호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전화 번호 앞에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가 부가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방문지의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예정 정보는 방문자의 인적 사항과 연락처 및 방문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로그인 정보 또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서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 또는 인증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조 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부재 또는 방문지 변경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예정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시스템 또는 모바일 메신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11.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콜 인증 방법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기가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에 특정한 식별 코드를 붙여 콜을 전송하면 상기 콜이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연결되기 전에 먼저 상기 콜 인증 장치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의 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콜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콜이 정당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콜 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콜이 정당한 콜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콜을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 상기 콜이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전화 번호가 표시되거나, 상기 콜이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코드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에 표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결한 콜을 수신하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는 상기 콜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방법.
  12. 삭제
  13. 방문자 단말기가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에 특정한 식별 코드를 붙여 콜을 전송하면 상기 콜이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연결되기 전에 먼저 상기 콜 인증 장치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의 콜을 수신하는 콜 수신부;
    상기 콜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콜이 정당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콜 인지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콜이 정당한 콜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콜을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 상기 콜이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전화 번호가 표시되거나, 상기 콜이 인증된 콜임을 나타내는 특정 코드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에 표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결한 콜을 수신하는 상기 고객의 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는 상기 콜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콜 인증 장치.
  14. 삭제
KR20120101604A 2012-09-13 2012-09-13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50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604A KR101509584B1 (ko) 2012-09-13 2012-09-13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604A KR101509584B1 (ko) 2012-09-13 2012-09-13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543A KR20140035543A (ko) 2014-03-24
KR101509584B1 true KR101509584B1 (ko) 2015-04-07

Family

ID=5064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1604A KR101509584B1 (ko) 2012-09-13 2012-09-13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45A (ko) 2019-06-11 2020-12-21 양영제 방문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959A (ko) * 2008-10-07 2010-04-15 주식회사 엠텔로 수신측 단말기에 발신측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8932A (ko) * 2008-10-07 2010-04-15 (주)참소리전자통신 배달원 정보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9754A (ko) * 2010-04-26 2010-06-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택배착불비용 결제처리 시스템
JP2011123568A (ja) 2009-12-08 2011-06-23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訪問管理システムおよび認証局サーバならびに訪問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959A (ko) * 2008-10-07 2010-04-15 주식회사 엠텔로 수신측 단말기에 발신측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8932A (ko) * 2008-10-07 2010-04-15 (주)참소리전자통신 배달원 정보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23568A (ja) 2009-12-08 2011-06-23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訪問管理システムおよび認証局サーバならびに訪問管理方法
KR20100059754A (ko) * 2010-04-26 2010-06-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택배착불비용 결제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45A (ko) 2019-06-11 2020-12-21 양영제 방문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4171A (ko) 2019-06-11 2021-06-02 양영제 방문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543A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2353B (zh) 使用电子邮件的安全系统的远程控制
US88393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computer application, network, or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EP2085934A1 (en) Controlling access to a location
US81856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MS short code messaging to facilitate the transmission of a status update for a security system
US9154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computer application, network, or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4563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computer application, network, or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104405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computer application, network, or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CN103403728A (zh) 处置编码后的信息
KR101727459B1 (ko) 스마트 방문자 확인 방법 및 장치
AU20232105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JP2014121095A (ja) 存在位置確認記録方法
CN105260870A (zh) 身份验证方法、身份验证系统和终端
KR100932266B1 (ko) 전자문서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09584B1 (ko) 안심 방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080059136A (ko) 택배 안전 비밀번호 발급 및 설정 방법
KR20190031100A (ko)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JP2011041074A (ja) 身分証明システムおよび認証局サーバならびに身分証明方法
KR20090041810A (ko)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활용한 동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2791024A (zh) 一种注册方法及客户端设备
KR20010103240A (ko) 인터넷을 이용한 내용증명/공증방법
WO2009145371A1 (en)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using internet
WO2021065550A1 (ja) プログラム、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CN100334896C (zh) 一种多媒体短信服务信息收发系统及信号收发方法
JP2010266978A (ja) 管理装置
AU20172165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of of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