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100A -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100A
KR20190031100A KR1020170180502A KR20170180502A KR20190031100A KR 20190031100 A KR20190031100 A KR 20190031100A KR 1020170180502 A KR1020170180502 A KR 1020170180502A KR 20170180502 A KR20170180502 A KR 20170180502A KR 20190031100 A KR20190031100 A KR 20190031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rminal
text message
authent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이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철 filed Critical 이경철
Publication of KR2019003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본인 인증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가 SMS MO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가 문자 인증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인증 서버에서 발신자 발신번호(ANI) 또는 상기 발신자 발신번호(ANI)와 상기 문자 메시지의 내용의 조합을 본인 인증키로 사용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METHOD FOR AUTHENTICATION BY MOBILE ORIGINATED TEXT MESSAGE}
실시예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메시지(SMS, LMS, MMS)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의 발신번호(ANI,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를 인증키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고 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은 통상적으로 유추하기 매우 용이하며 키보드 후킹(Keyboard Hooking) 프로그램과 같은 많은 악성 프로그램의 범람에 따라 인증 수단으로써 매우 취약함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유, 무선 인터넷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생겼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관리해야 할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수가 급증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 불편도 증가하게 되었다.
아울러 IoT(Internet of Thing) 서비스의 확대로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접속해서 관리해야 하는 이슈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즉,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어 있는 인터넷망을 대부분을 사용하고 있어 보안의 취약함을 드러내고 있다.
실시예는 온라인 상에서 본인 인증 등을 진행할 때, 별도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온라인 상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때, 비밀번호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온라인 상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안 취약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IoT 기기 등 사물인터넷의 단말에 접속할 때, 보안 취약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요식업 등에서 전화 주문을 받을 때, 주문근거 확보의 어려움과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설문조사, 투표 등에서 본인의 의사를 행사할 때, 본인이 맞는지에 대한 근거와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본인 인증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가 SMS MO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가 문자 인증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인증 서버에서 발신자 발신번호(ANI) 또는 상기 발신자 발신번호(ANI)와 상기 문자 메시지의 내용의 조합을 본인 인증키로 사용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문자 메시지는, 상기 SMS MO 서버로부터 중계서버를 통하여 상기 문자 인증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문자 인증 서버는 상기 본인 인증 결과를 금융 서버 또는 IoT 단말의 서버 또는 주문 서버 또는 설문조사 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특정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상기 서버의 인증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부터 본인 인증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단말기로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상기 문자 메시지가 아이디(ID)로 사용될 수 있다.
문자 메시지와 함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PC에서 특정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PC에 상기 서버의 문자 메시지 인증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본인 인증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PC로, 상기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받을 것을 안내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신 번호를 안내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결재 안내 메시지가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본인 인증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실행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상기 본인 인증 요청은 문자 메시지로 상기 SMS MO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온라인 상에서 본인 인증 등을 진행할 때 별도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만을 송신하여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인증키로 하여 웹이나 모바일에서 인터넷 접속을 하므로,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간단히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고유한 전화 번호를 아이디로 사용하므로 타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1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단말기에서 도 2의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진행하는 경우의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2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5의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진행하는 경우의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3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4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5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 11a 및 도 11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6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7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6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9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10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단말기에서 인증을 요청할 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보내서, 어플리케이션이 문자 메시지를 SMS MO 서버로 보내도록 하는 본인인증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개의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대응하는" 등의 용어는 "대향하는" 또는 "중첩되는" 의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웹이나 모바일 등의 온라인 상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별도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받고 또한 로그인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본인 인증이라 함은 단말기의 사용자 또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IoT 서버 등 각종 단말에 인증을 받으려는 당사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1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을 위하여, 단말기(1100)와, SMS MO 서버(1200)와, SMS 인증서버(1210), 및 홈페이지 서버(12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100)는 3G, 4G, 5G 및 그 이상의 세대 스마트 폰, 키오스크(Kiosk), 인터넷 영상전화기, PC 영상 소프트폰, PMP, 스마트폰 및 PDA 등 터치 기능이 제공되고 음성 통화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특히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단말기(1100)는 동영상, 텍스트, 그림 등의 영상을 음성 통화와 함께 제공할 수 있고, 터치 방식의 IVVR(Interactive Voice & Video Response)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단말기(1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1)과, 패널(1102)과, 음성 출력부(1103)와, 음성 입력부(1104)와, 촬상 장치(1105)와, 광원(1106)과, 제1 통신 모듈(1107)과, 제2 통신 모듈(1108) 및 제어부(11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1)은 단말기 (1100)의 각 구성들을 수납하는 몸체일 수 있다. 패널(1102)은 단말기의 표시부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보이는 ARS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를 터치(touch)하는 입력부일 수도 있다.
음성 출력부(1103)는 단말기(1100)의 스피커(speaker)일 수 있고, 음성 입력부(1104)는 단말기의 마이크일 수 있다. 촬상 장치(1105)는 단말기(1100)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고, 광원(1106)은 단말기(1100)에 구비되는 플래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o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107)과, 제2 통신 모듈(1108) 및 제어부(1109)는 하우징(1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통신 모듈(1107)은 단말기(1100)의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며, 기지국(미도시)과 신호를 주고 받는 모듈일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108)은 단말기(1100)의 인터넷 접속 등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1109)는 단말기(1100) 내의 각 구성들의 작용을 제어(control)할 수 있다.
SMS MO(short message service mobile originated, 1200) 서버는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하는 SMS를 SMS 인증서버(12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SMS는 문자 메시지의 일예이며, 단문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외에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및 LMS(long message service)를 포함할 수 있고, SMS MO 서버(1200)는 MMS 서버 또는 LMS 서버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SMS 인증서버(1210)는 SMS MO 서버(1200)로부터 전달받은 SMS를 인증하고, 인증 성공 여부를 홈페이지 서버(1220)로 전달할 수 있다.
홈페이지 서버(1220)는 특정 업체나 개인의 홈페이지를 운영 내지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고, 반드시 물리적으로 서버(server)의 외형을 갖추지 않더라고 상기의 홈페이지를 운영 내지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홈페이지 서버는 상기의 특정 업체나 개인이 직접 운영 내지 관리하거나, 또는 위부에 위탁 내지 용역 등의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홈페이지 서버(1220)가 생략되고, SMS를 통하여 본인 인증만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제2 실시예에서도 동일할 수 있다.
SMS MO 서버(1200)와 SMS 인증서버(1210)는 상기의 홈페이지 서버(1220)의 운영 주체인 특정 업체나 개인이 직접 운영 내지 관리하거나, 또는 외부에 위탁 내지 용역 등의 진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단말기(1100)와 SMS MO 서버(1200)의 연결 경로를 a1이라 하고, SMS MO 서버(1200)와 SMS 인증서버(1210)의 연결 경로를 a2라고 하고, SMS 인증서버(1210)와 홈페이지 서버(1220)의 연결 경로를 a3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경로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로가 아니고,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경로를 뜻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로들 a1~a3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경로마다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일예로써, 상기의 기지국은 3G, 4G, 5G 및 그 이상의 세대의 통신, Wi-Fi 또는 Wibro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는데, 음성 서비스와 문자 서비스, 영상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사업자라 함은, 일체의 자연인이나 법인을 의미하며, 반드시 관련 법규에 따른 사업자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기에서 홈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 등으로, 홈페이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S1110).
그리고, 홈페이지 서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에는 상기 홈페이지 서버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초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S1120). 홈페이지의 초기 화면은 로그인을 유도하는 창(window)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을 클릭할 수 있다(S1130). 여기서, 상기 로그인 화면은, 아이디만을 입력하고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단말기의 번호가 비밀번호로 사용되어 로그인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의 번호는 즉 발신 번호(ANI,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는 비밀 번호로 사용되어 즉,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키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문자 메시지에 비밀 번호를 별도로 입력하는 경우, 발신 번호(ANI)와 입력된 문자의 내용의 조합이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키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단말기의 번호라 함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예를 들면 010-1234-5678일 수 있다. 이때, 로그인 화면의 클릭은 반드시 로그인을 위한 클릭이 아니고, 본인 인증 화면을 클릭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에는 보안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고(S1140),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번호 로그인 화면에서 보안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S1150). 이때, 보안 로그인 화면의 표시와 보안 로그인의 진행은,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화면의 표시와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특정 사이트에서의 로그인의 진행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의 번호를 비밀번호로 이용하여 보안 로그인하는 화면에는 별도로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창(window)이 표시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의 전화 번호는 고유한 것이므로 해당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만이 해당 단말기의 번호를 비밀번호로 사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비밀번호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단, 단말기를 도용당하거나 또는 해킹 등의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단말기에서 도 2의 단말기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을 진행하는 경우의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1100)의 패널(1102)에서 **** 로그인이 표시될 수 있는데, 특정 홈페이지의 로그인 화면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 로그인' 대신 '본인 인증 로그인' 또는 '보안 로그인'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아이디(ID)에는 로그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예를 들면 '####'가 표시될 수 있고, 비밀번호(PW)를 입력하는 창(window)에는 해당 단말기의 번호(예를 들면, 010-1234-5678)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에서 보안 로그인이 진행되면, 보안 로그인 신호는 SMS MO 서버를 통하여 SMS 인증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SMS 인증 서버에서는 단말기의 로그인 신호가 접수되면, 해당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비밀번호로 포함하는 로그인 신호를 암호화(S160)하여 홈페이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SMS 인증 서버'는 '문자 인증 서버'라고 칭할 수도 있다.
홈페이지 서버에서는 상기 암호화되어 전달된 로그인 신호에서 특히 비밀번호인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맞으면 로그인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후, 단말기의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홈페이지에 계속 접속하여 메일 확인이나 상품 결재 등의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으로 본인 인증이 이루어져서, 별도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본인 인증이 이루어지고 타인의 도용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홈페이지에의 로그인이나 상품 구매나 결재를 위하여 본인 인증을 하였으나, 온라인 상에서 다른 업무를 위하여 상술한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2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100)은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PC(Personal Computer, 1300)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일 수 있다. SMS MO 서버(1200)와 SMS 인증서버(1210) 및 홈페이지 서버(122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에서 단말기(1100)와 SMS MO 서버(1200)의 연결 경로를 b1이라 하고, SMS MO 서버(1200)와 SMS 인증서버(1210)의 연결 경로를 b2라고 하고, SMS 인증서버(1210)와 홈페이지 서버(1220)의 연결 경로를 b3라고 하고, PC(1300)와 홈페이지 서버(1220)와의 연결 경로를 b0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경로들 b0~b3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경로마다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일예로써, 상기의 기지국은 3G, 4G, 5G 및 그 이상의 세대 폰, Wi-Fi 또는 Wibro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는데, 음성 서비스와 문자 서비스, 영상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PC에서 홈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홈페이지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다(S1210).
그리고, 홈페이지 서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PC에는 상기 홈페이지 서버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초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S1220). 홈페이지의 초기 화면은 로그인을 유도하는 창(window) 또는 본인 인증 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C의 사용자가 보안 로그인 화면 내지 본인 인증 화면을 클릭할 수 있다(S1230). 예를 들면, PC의 사용자가 자신의 ID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 보안 로그인을 클릭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수신 번호에 이동 전화 번호만을 입력하여 송신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절차를 대신할 수 있다. 이때, PC의 사용자는 단말기의 사용자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홈페이지 서버로부터 단말기의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내지 본인 인증과 관련한 안내 정보가 전달되어 PC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S1240). 예를 들면, '고객님의 휴대폰에서 SMS를 1566-1010으로 전송하세요.'라는 문장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홈페이지 서버로부터 고객의 단말기로 번호 로그인 내지 본인 인증을 안내하는 SMS나 또는 카카오톡 등이 전송될 수 있다(S1250). 본 단계는 보안 로그인 내지 보안 인증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안 로그인 내지 본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S1260). 즉, SMS의 수신 번호를 예를 들면 상기에서 안내된 번호인 '1566-1010'으로 설정하고,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MS는 별도의 내용 없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전화 번호는 고유한 것이므로 비밀번호로 작용하여 해당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만이 해당 단말기의 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다른 비밀번호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단, 단말기를 도용당하거나 또는 해킹 등의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번호 로그인 신호 내지 본인 인증 신호는 SMS 인증서버로 전달되는데, 이때 해당 단말기의 번호가 비밀번호로 인식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진행하는 경우의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100)의 패널(102)에서 수신 번호 '1566-1010'이 표시될 수 있는데, 특정 홈페이지의 로그인 내지 본인 인증을 위한 번호이다. 그리고, 발신 번호로 해당 단말기의 번호(010-****-****)가 표시되어 비밀번호로 작용할 수 있는데, 보안 상의 이유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의 다른 비밀번호(PW)를 입력하는 창(window)은 생략될 수도 있으나, 도 7과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단말기에서 번호 로그인 내지 본인 인증이 진행되면, 번호 로그인 신호는 SMS MO 서버를 통하여 SMS 인증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SMS 인증 서버에서는 단말기의 로그인 신호 내지 번호 본인 인증 신호가 접수되면, 해당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로그인 신호 내지 본인 인증을 암호화(S1270)하여 홈페이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홈페이지 서버에서는 상기 암호화되어 전달된 로그인 신호 내지 본인 인증 신호가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맞으면 로그인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후, 단말기의 사용자는 PC를 사용하여 상기 홈페이지에 계속 접속하여 메일 확인이나 상품 결재 등의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도 8은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3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홈페이지 서버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b)에서 문자 인증을 위한 중계 서버인 '문자 인증 중계 서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문자 인증 중계 서버'는 복수 개의 문자 인증 서버 a, b, c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인증 중계 서버 a, b, 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서버 내지 IoT 기기 등에서 본인 인증을 위한 문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4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의 (a) 내지 (f)에서 각각의 문자 인증 서버는 SMS MO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문자 메시지 또는 인증 결과를 각각의 서버 내지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의 서버 내지 기기의 예로 (a) 내지 (f)에서는 홈페이지 서버, 앱(App.) 서버, IoT 단말, 금융 서버, 결제 서버, 주문 서버, 설문 조사 서버 및 기타 서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5 실시예의 진행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문자 인증을 위한 중계 서버인 '문자 인증 중계 서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의 '문자 인증 중계 서버'는 복수 개의 문자 인증 서버 a, b, c, d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인증 중계 서버 a, b, c, d는 문자 인증 중계 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전달 받고, 문자 메시지 또는 인증 결과를 각각 홈페이지 서버, 앱 서버, IoT 단말 및 기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는 하나의 문자 인증 중계 서버로부터 복수 개의 문자 인증 중계 서버 a, b, c, d로 문자 메시지가 전달되는 점에서, 문자 인증 중계 서버가 생략되고 하나의 SMS MO 서버에서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가 하나의 서버 또는 기기로 전달되는 차이점이 있다.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3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 문자 메시지에는 단말기의 전화 번호인 발신번호(ANI)가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키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의 발신번호(ANI)와 문자 메시지에 기재된 내용의 조합이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키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6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금융 기관에 본인 인증을 하며 로그인하며, 도 11a 내지 도 11c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personnel computer) 등에서 **은행의 웹 서버에 접속하고 아이디(ID) 예를 들면 '####'를 입력하고 로그인 화면을 클릭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의 **은행에 회원 가입이 되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디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상기 아이디 사용자의 단말기의 표시부에 문자 발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은행의 서버에는 상기 ID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를 포함한 개인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은행의 서버에서는 상기 ID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개시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웹 서버에서의 로그인 화면을 클릭한 후, 상기 아이디 사용자의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는 상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 발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b 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 로그인을 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문자 발신 화면에서, **은행의 대표 번호(1111-2222) 등을 입력하고 로그인을 클릭하면 **은행의 홈페이지 서버 등에 상기의 단말기의 번호가 전달되고, 상기의 **은행의 홈페이지 서버 등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등에서 상기의 단말기의 번호 등을 검색하여 로그인 문자를 발신한 단말기 내지 고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의 발신 번호는 고유한 번호이므로 단말기의 번호가 비밀번호로 사용되어 별도의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을 할 수 있으나, 단말기의 분실 경우 등을 고려하면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를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7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하고 IoT 기기를 제어하며, 도 12a 및 도 12b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9와 도 10에 개시된 도시된 구성 중,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IoT(Internet of Things) 단말에 로그인하는 경우일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IoT 단말이 아파트 등 주거 시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해당 주거시설인 '** 아파트'의 대표 번호인 '1212-1212'를 수신 번호로 하여 로그인 화면을 클릭할 수 있다. 이때, **아파트의 홈페이지 서버 등에 상기의 단말기의 번호가 전달되고, 상기의 **아파트의 홈페이지 서버 등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등에서 상기의 단말기의 번호 등을 검색하여 로그인 문자를 발신한 단말기 내지 고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의 단말기의 **아파트 홈페이지 서버 등에 로그인이 완료될 수 있다.
로그인 후에,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하여 IoT 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데, 상기 아이디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상기 아이디 사용자의 단말기의 표시부에 문자 발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로그인 과정 후에, 홈페이지 서버 등에서는 단말기 사용자의 주거 동호수를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해당 동호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화면에서 특정 문자를 클릭하여 전달하면, 해당 IoT 단말에 접속하여 해당 IoT 단말에 연결된 IoT 기기를 원격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을 클릭하여 전송하면 **아파트의 홈페이지 서버를 통하여 해당 호수의 도어락이 해제될 수 있고, 2번을 클릭하여 전송하면 해당 호수의 보일러가 가동될 수 있고, 3번을 클릭하여 전송하면 해당 호수 내에 구비된 무선 청소기가 작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파트의 홈페이지 서버에 로그인하여 각각의 IoT 단말에 연결된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나, 각각의 IoT 단말에 직접 접속하여 IoT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의 발신 번호는 고유한 번호이므로 이를 비밀번호로 사용하고 별도의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을 할 수 있으나, 단말기의 분실 경우 등을 고려하면 비밀번호를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8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하고 온라인 상에서 상품 주문을 할 수 있으며, 도 13a 및 도 13b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특정 물건, 예를 들면 ** 피자를 주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의 **피자에 회원 가입이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피자'의 대표번호인 1234-1234 번에 특정 메뉴 예를 들면, 'A세트 1개'를 주문할 수 있다. 이때, **피자의 홈페이지 서버 등에 상기의 단말기의 번호가 전달되고, 상기의 **피자의 홈페이지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 등에서 상기의 단말기의 번호 등을 검색하여 로그인 문자를 발신한 단말기 내지 고객의 정보, 예를 들면 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결재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자의 홈페이지 서버에서 주문자인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정보가 확인되면, 해당 단말기에 결재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9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쇼핑시에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하고 결재 요청을 하며, 도 14a 및 도 14b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먼저, 단말기의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쇼핑을 한다.
그리고, 오프라인 쇼핑의 경우 점원에게 자신의 단말기 번호를 알려주고, 온라인 쇼핑의 경우 특정 창(window) 등에서 자신의 단말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결재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될 수 있다. 상기의 문자 메시지는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나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커피 주문 후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결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a의 문자 메시지 수신 후에, 도 14b에 도시된 사용자가 해당 번호에 답신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커피 매장의 서버 등에 상기 단말기의 번호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에서 해당 커피 매장의 번호로 답신 문자를 발송할 때, 문자 메시지의 내용 없이 발송만으로 본인 인증이 진행될 수도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의 제10 실시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선거에서의 여론 조사에서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하고 지지 후보를 답변하며, 도 15a 및 도 15b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5a는 여론조사 기관으로부터 특정인의 단말기에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의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변을 발송할 수 있다. 이때, 답변 문자에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투표를 희망하는 후보자의 기호, 예를 들면 1, 만을 입력하여 발송할 수 있다.
이때, 발신자의 단말기 번호가 고유한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어, 도 15a의 여론 조사 기관인, 예를 들면 ** 갤럽에서는 무작위로 여론 조사에 해당하는 문자 메시지나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를 통하여 여론 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답신으로 접수되는 문자 메시지나 카카오톡 등의 발신 번호를 확인하여 중복 투표를 막을 수 있다.
도 16은 단말기에서 인증을 요청할 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보내서, 어플리케이션이 문자 메시지를 SMS MO 서버로 보내도록 하는 본인인증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a 내지 도 16에 표시된 실시예들에서,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때는 별도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해당 단말기의 번호가 비밀번호로 전달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발신자의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에서 해당 단말기의 번호가 비밀번호로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인증키로 하여 웹이나 모바일에서 인터넷 접속을 하므로,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간단히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고유한 전화 번호를 인증키로 사용하므로 타인이 비밀번호를 도용할 수 없다. 그리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비밀번호를 별도로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홈페이지에의 로그인이나 상품 구매나 결재를 위하여 본인 인증 외에, 온라인 상에서 다른 업무를 위하여 상술한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0: 단말기 1101: 하우징
1102: 패널 103: 음성 출력부
1104: 음성 입력부 105: 촬상 장치
1106: 광원 107: 제1 통신 모듈
1108: 제2 통신 모듈 109: 제어부
1200: SMS MO 서버 210: SMS 인증서버
1220: 홈페이지 서버

Claims (13)

  1. 단말기에서 본인 인증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가 SMS MO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가 문자 인증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인증 서버에서 발신자 발신번호(ANI) 또는 상기 발신자 발신번호(ANI)와 상기 문자 메시지의 내용의 조합을 본인 인증키로 사용하는 MO(mobile originated)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상기 SMS MO 서버로부터 중계서버를 통하여 상기 문자 인증 서버로 전달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증 서버는, 상기 본인 인증 결과를 금융 서버 또는 IoT 단말의 서버 또는 주문 서버 또는 설문 조사 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4. 단말기에서 특정 URL을 클릭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상기 서버의 인증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부터 본인 인증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상기 문자 메시지가 비밀번호로 사용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의 번호이고,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7. PC에서 특정 URL을 클릭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PC에 상기 서버의 문자 메시지 인증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본인 인증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번호가 비밀번호로 사용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번호와 함께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10.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PC로, 상기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받을 것을 안내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11.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신 번호를 안내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12.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결재 안내 메시지가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13. 제1 항, 제2 항, 제4 항, 제5 항, 제7 항 및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본인 인증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실행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상기 본인 인증 요청은 문자 메시지로 상기 SMS MO 서버로 전달되는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KR1020170180502A 2017-09-15 2017-12-27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KR201900311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8984 2017-09-15
KR1020170118984 2017-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00A true KR20190031100A (ko) 2019-03-25

Family

ID=6590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02A KR20190031100A (ko) 2017-09-15 2017-12-27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1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119A (ko)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증 처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9881B1 (ko) * 2019-08-08 2021-01-29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Mo 서비스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KR102281580B1 (ko) * 2020-03-11 2021-07-26 오상영 인증 수행 시스템 및 인증 수행 시스템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119A (ko)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증 처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9881B1 (ko) * 2019-08-08 2021-01-29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Mo 서비스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KR102281580B1 (ko) * 2020-03-11 2021-07-26 오상영 인증 수행 시스템 및 인증 수행 시스템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38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 Location Based Electronic Security Management
EP2701416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Use Thereof For Electronic Transactions
CA2736582C (en) Authorization of server operations
US20140207679A1 (en) Online money transfer service in connection with instant messenger
KR20150043249A (ko) 채팅 세션에서의 지불
KR20190031100A (ko) M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JPWO2011083867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30834A (ko) 스마트 방문자 확인 방법 및 장치
CN111147348B (zh) 一种即时消息发送方法、装置和可读介质
JPWO2010050192A1 (ja) パスワード再発行方法
US20190089538A1 (en) Smart login method using messenger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US20230291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ed messaging via short-range transceiver
KR101656383B1 (ko) P2p 기반의 모바일 송금 방법 및 시스템
US10841306B2 (en) System for authentication center
KR101169181B1 (ko)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결제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대행 서버와 그 제어방법
TWM583082U (zh) 安全交易環境的用戶身分驗證系統
KR101405832B1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4961058B1 (ja) 認証システム
US20220294778A1 (en) Devices and methods to validating multiple different factor categories
KR1004483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뱅킹에서의출금관리방법
US107010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JP6232397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管理サーバ、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R2021022034A2 (tr) SMS LİNK ve QR CODE ÜZERİNDEN KULLANICI DOĞRULAMASI GERÇEKLEŞTİREN BİR SİSTEM
KR20090111587A (ko) 이동식 장치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