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182B1 -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182B1
KR101509182B1 KR20130162413A KR20130162413A KR101509182B1 KR 101509182 B1 KR101509182 B1 KR 101509182B1 KR 20130162413 A KR20130162413 A KR 20130162413A KR 20130162413 A KR20130162413 A KR 20130162413A KR 101509182 B1 KR101509182 B1 KR 10150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roll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853A (ko
Inventor
김광호
김경인
Original Assignee
태연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연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연기계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3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56Making machine elements screw-thread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6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웨이징 - 면치기 - 전조의 공정을 통해 무나사의 리브형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되, 철근의 이동 및 나사선 가공부의 이동을 통하여 최소의 이동과 면적 안에서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는, 철근을 공급 및 지지하는 철근 공급수단(10)과; 상기 철근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철근을 클램핑 및 전후로 이동시키는 철근 피딩수단(20)과; 상기 철근 피딩수단에 의해 피딩되는 철근의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나사선 가공부(A)와; 상기 철근 피딩수단과 상기 나사선 가공부(A)를 자동 제어하여 스웨이징 공정과 면치기 공정 및 전조 공정이 연속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 가공부는,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좌우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철근 피딩수단에 의해 클램핑된 철근의 단부를 중심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철근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형 리브를 가압하여 진원형으로 가공하는 스웨이징 수단(30),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상하 종방향 및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웨이징 수단에 의해 단조된 철근의 이음부의 선단면을 면치기하는 면치기 수단(40),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상하 종방향 및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면치기 수단에 의해 표면이 고르게 가공된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전조 형성하는 전조 수단(50),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상기 스웨이징 수단(30)과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을 철근의 나사선 가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스웨이징 수단(30)이 탑재되며 가이드수단을 통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어(60), 상기 캐리어에 가이드수단을 매개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면치기 수단(40)과 전조 수단(50)이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면치기 수단과 전조 수단을 함께 승강시키면서 상기 캐리어를 통해 함께 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블록(63)을 포함하여 상기 스웨이징 수단(30)과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이 철근의 가공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Forming apparatus for connecting part of concrete reinforcements}
본 발명은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웨이징 - 면치기 - 전조의 공정을 통해 무나사의 리브형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되, 철근의 이동 및 나사선 가공부의 이동을 통하여 최소의 이동과 면적 안에서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할 수 있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부담하고 철근이 인장력을 부담하는 구조로써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콘크리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타설하므로 이를 일체로 시공할 수 있으나, 철근은 일정한 길이의 규격품을 이어가며 시공해야 하는 바, 철근과 철근간의 조인트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철근이 소요 인장력에 충분히 저항하기 위해서는 철근과 철근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통상 겹친 이음, 압접 또는 철근 이음쇠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겹친 이음은 철근과 철근을 소요 이음 길이 이상으로 겹쳐서 배근하고 결속선으로 묶는 것으로 배근 작업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철근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편심에 의한 구조 내력상의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 부재가 얇은 경우에는 겹쳐진 철근 때문에 거푸집의 단면이 좁아져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철근 이음길이에 대한 관리가 어렵고 이는 부실공사에 의한 하자의 발생으로 이어질 소지도 다분하며, 직경이 큰 철근에 있어서는 이음 길이 규정에 의하여 일정길이 이하의 철근을 사용할 수가 없어 철근의 소요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압접에 의한 철근 이음 방법은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이어댄 후 가열하고 압착하여 단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압접은 작업시간이 길고 비용이 과다하며 화재의 위험이 있는 등 많은 문제가 있어 이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과 철근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이 고안되고 있으며, 기계적 철근이음방법으로는 철근에 직접 나사선을 가공하는 방법, 나사편체를 결합시키는 방법, 결합체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기계적 철근이음방법 중에서 철근의 이음 방법 등을 고려할 때 철근에 직접 나사선을 가공하여 커플러로 이음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철근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가공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기술은 스웨이징 공정, 면치기 공정, 나사선 가공(절삭 등) 등을 이용한 것이며, 대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철근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195689호는 이송수단, 스웨이징 수단, 면가공수단, 전조수단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철근을 이송수단에 의해 스웨이징 수단, 면가공수단, 전조수단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나사선을 가공하는 것으로, 나사선을 가공할 수는 있지만, 스웨이징 수단, 면가공수단 및 전조수단이 일렬로 배열되어 넓은 공장부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고 가공 중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전조수단까지 삽입된 철근을 인출하는 것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95789호 등록특허 제10-082018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웨이징 - 면치기 - 전조의 공정을 통해 무나사의 리브형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되, 철근의 이동 및 나사선 가공부의 이동을 통하여 최소의 이동과 면적 안에서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할 수 있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는, 철근을 공급 및 지지하는 철근 공급수단과; 상기 철근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철근을 클램핑 및 전후로 이동시키는 철근 피딩수단과; 상기 철근 피딩수단에 의해 피딩되는 철근의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나사선 가공부와; 상기 철근 피딩수단과 상기 나사선 가공부를 자동 제어하여 스웨이징 공정과 면치기 공정 및 전조 공정이 연속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 가공부는,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좌우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철근 피딩수단에 의해 클램핑된 철근의 단부를 중심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철근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형 리브를 가압하여 진원형으로 가공하는 스웨이징 수단,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상하 종방향 및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웨이징 수단에 의해 단조된 철근의 이음부의 선단면을 면치기하는 면치기 수단,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상하 종방향 및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면치기 수단에 의해 표면이 고르게 가공된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전조 형성하는 전조 수단,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상기 스웨이징 수단과 면치기 수단 및 전조 수단을 철근의 나사선 가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스웨이징 수단이 탑재되며 가이드수단을 통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가이드수단을 매개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면치기 수단과 전조 수단이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면치기 수단과 전조 수단을 함께 승강시키면서 상기 캐리어를 통해 함께 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스웨이징 수단과 면치기 수단 및 전조 수단이 철근의 가공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의하면, 철근 이동척을 갖는 피딩수단, 나사선 가공부(스웨이징 수단, 면치기 수단, 전조 수단)의 조합 및 연동을 통하여 철근의 이동과 나사선 가공부의 이동을 최단거리로 하면서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하여 철근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고 부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적용된 철근 고정척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공정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적용된 나사선 가공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방법의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적용된 전조롤러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적용된 전조수단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적용된 철근 공급수단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적용된 철근 공급수단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적용된 철근 공급수단의 승강기의 작동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2개의 나사선 가공부가 적용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배출수단이 적용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에 배출수단이 적용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의 배출수단에 적용된 커플러 체결수단의 구성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는, 철근(1)을 공급 및 지지하는 철근 공급수단(10)과; 철근 공급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는 철근(1)을 나사선의 가공을 위하여 압착 및 전후로 이동시키는 철근 피딩수단(20)과; 철근 피딩수단(20)에 의해 공급되는 철근(1)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나사선 가공부(A)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9에 및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철근 공급수단(10)은 하나씩의 철근(1)을 철근 피딩수단(20)에 공급하는 것이며, 철근 묶음(2)[다수의 철근(1)이 묶여진 상태]이 올려지며 이 철근 묶음(2)을 이송하는 제1이송부(11), 제1이송부(11)로부터 공급되는 철근 묶음(2)을 개개의 철근(1)[작업자에 의해 철근 묶음(2)이 풀리게 되어 개개의 철근(1)으로 나누어짐]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12), 제2이송부(12)를 통해 이송되는 철근(1)들을 진동에 의하여 분산시키는 진동 분산기(13), 진동 분산기(13)에 의해 분산된 다수의 철근(1)들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세퍼레이터(14), 제2이송부(12)에 의해 공급되는 철근(1)을 하나씩 철근 피딩수단(20)쪽으로 상승시켜 공급하는 승강기(15), 승강기(15)에 의해 하나씩 공급되는 철근(1)을 철근 피딩수단(20)에 공급하는 철근 공급부(16)로 구성된다.
제1이송부(11)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모터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다수의 체인이 바람직하다. 제1이송부(11)는 다수개가 하나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송부(12)는 제1이송부(11)와 동일한 체인으로 구성되며, 제1이송부(11)에서 이송되는 철근(1)들이 빠지지 않도록 제1이송부(11)와 연속성을 갖도록 배치된다.
진동 분산기(13)는 제2이송부(12)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제2이송부(12)에 이송된 철근(1)들에 진동을 가하여 펼침으로써 다수의 철근(1)들을 분산시키는 것이며, 베이스(13a), 베이스(13a) 위에 승강용 액추에이터로서 예컨대 승강실린더(공압 등)(13b)로 연결되어 승강하는 승강판(13c), 승강판(13c) 위에 탑재되는 진동모터(13d), 진동모터(13d)에 연결되어 상면에 올려진 철근(1)들을 진동에 의해 요동치도록 하는 분산판(13e), 분산판(13e)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로서 다수의 코일스프링(13f)로 구성되며, 승강판(13c)이 비틀림없이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다수의 가이드봉이 구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14)는 진동 분산기(13)에 의해 넓게 펼쳐지도록 분산된 다수의 철근(1)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리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작은 직경의 철근의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진동 분산기(13)에 의해 다수의 철근(1)들을 분산시킨다 하여도 직경이 얇은 철근은 휨성질을 갖고 있어 적절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세퍼레이터(14)는 진동 분산기(13)의 옆 바람직하게는 분산판(13e)의 중앙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공압 등에 의한 승강실린더(14a), 승강실린더(14a)의 로드에 연결되어 승강하며 상승에 의해 다수의 철근(1)을 구분하는 분할바(14b)로 구성된다.
분할바(14b)는 철근(1)의 효율적인 분할을 위하여 산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산판(13e)의 상부로 상승하여 철근(1)들을 2개의 그룹으로 분할한다. 분할바(14b)의 수량에 따라 철근(1)의 그룹의 수량이 달라진다. 세퍼레이터(14)에 의해 2개로 분할된 철근 그룹 중에서 제2이송부(12)가 가동하여도 제1이송부(11)쪽으로 분할된 철근 그룹은 세퍼레이터(14)에 의해 이송이 차단되므로 앞쪽의 철근 그룹만 이송된다.
세퍼레이터(14)는 철근(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다수의 세퍼레이터(14)의 분할바(14b)는 동시에 승강할 수 있고 또는 시간차를 두고 하나씩 승강할 수 있다.
승강기(15)는 다단(4단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함)의 계단형 철근 수용턱(15a-1,15a-2,15a-3,15a-4)이 구비된 고정대(15a), 다단의 계단형 철근 승강턱(15b-1,15b-2,15b-3,15b-4)이 구비된 승강대(15b), 승강대(15b)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예컨대 승강실린더(15c), 승강대(15b)에 의해 상승된 철근(1)을 철근 공급부(16)로 유도하는 경사형 가이드판(15d)로 구성된다. 계단형 철근 수용턱(15a-1,15a-2,15a-3,15a-4)은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고 가장 하단의 것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나머지 것들이 작은 또는 점진적은 작은 크기일 수 있다.
고정대(15a)의 계단형 철근 수용턱(15a-1,15a-2,15a-3,15a-4)은 안쪽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철근(1)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승강대(15b)의 계단형 철근 승강턱(15b-1,15b-2,15b-3,15b-4)은 안쪽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철근(1)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고정대(15a)의 철근 수용턱(15a-1,15a-2,15a-3,15b-4)에 하나씩 올려지도록 한다. 철근 승강턱(15b-4)의 위쪽에는 가장 위쪽의 철근 수용턱(15a-4)에 올려진 철근(1)을 경사형 가이드판(15d)으로 이송하는 철근 이송턱(15b-5)이 형성된다.
승강대(15b)는 철근(1)을 고정대(15)에 올리기 위하여 고정대(15)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는 구조이며, 철근(1)을 고정대(15)의 위쪽의 철근 수용턱(15a-1,15a-2,15a-3,15a-4)에 하나씩 공급하도록 일정 높이 구간만 승강한다.
철근 공급부(16)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철근(1)을 철근 피딩수단(20)에 공급하는 롤러, 벨트, 체인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고, 철근(1)의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할 때 철근(1)을 지지하는 기능을 겸하며 즉 철근(1)의 공급에서부터 나사선 가공 및 배출될 때까지 철근(1)을 지지한다.
철근 피딩수단(20)은, 피딩다이(21), 피딩다이(21) 위에 상호 간에 전후방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철근 고정척(22) 및 철근 이동척(23)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철근 고정척(22)은 피딩다이(21)에 고정되는 베이스블록(22a), 베이스블록(22a)에 유압 등을 통해 중심을 향해 모아지거나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장착되어 철근(1)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2개 이상의 척블록(22b)으로 구성된다. 척블록(22b)은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클램핑 및 언클램핑 동작한다.
철근 이동척(23)은 철근 고정척(22)과 마찬가지로 철근(1)을 클램핑하도록 베이스블록 및 척블록을 갖는 구성이며, 단, 피딩다이(21) 위에, 철근 고정척(22)의 후방에 전후[전진 : 상기 나사선 가공부(A)를 향하는 방향, 후진 : 상기 나사선 가공부(A)의 반대 방향]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철근 이동척(23)은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클램핑 및 언클램핑 동작하며, 아울러, 피딩다이(21) 위에 형성된 레일(21a)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유압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매개로 하여 전후진 이동한다.
나사선 가공부(A)는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리브(1a)가 있는 철근(1)을 진원형으로 스웨이징 가공[스웨이징 수단(30)] - 스웨치지이 가공된 철근(1)의 선단부를 면처리하는 면치기[면치기수단(40)] - 면치기된 철근(1)의 외주면에 나사선 가공[전조수단(50)] 공정을 통해 나사선을 가공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스웨이징 수단(30)은 베이스블록(31), 베이스블록(31)에 철근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바람직하게 4개의 스웨이징 블록(32), 스웨이징 블록(32)을 철근(1)쪽으로 전진 및 반대로 후진시키는 액추에이터[유압실린더(33) 등]로 구성된다.
스웨이징 수단(30)은 다수의 스웨이징 블록(32)을 통해 철근(1)의 둘레부에 있는 모든 리브를 가압하여 철근(1)의 이음부를 진원형으로 가공할 수 있다.
철근(1)의 스웨이징은 스웨이징 블록(3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웨이징 블록(32)들 사이에 틈이 발생되면 철근(1)을 진원형으로 가공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스웨이징 블록(32)을 회전판을 매개로 하여 회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모터 등과 연결되면서 스웨이징 블록(32)이 장착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웨이징 블록(3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철근(1)의 모든 부분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은 360°를 회전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45° 폭에서 왕복 회전한다. 물론, 상기 45°는 일 예인 것이며 스웨이징 블록(32)들의 간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면치기 수단(40)은 스웨이징 가공된 철근(1)의 선단면을 절삭하여 철근(1)의 선단면을 고르게 면처리하는 것이며, 양질의 나사선 가공을 위한 전처리 공정이다.
면치기 수단(40)은 철근(1) 가공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로 면치기블록(41)이 회전하면서 철근(1)의 선단면을 절삭하여 면처리하며, 당업자의 실시가 가능하므록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면치기 수단(40)은 면치기블록(41)이 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면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되며, 면치기블록(41)만 전후진할 수도 있고, 면치기수단(40)[면치기블록(41)을 갖는 조립체]이 전후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조 수단(50)은 다수(예를 들어 3개)의 전조롤러(51)가 회전판(52)을 통해 모터(5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면치기된 철근(1)의 이음부의 둘레부에 나사선을 가공한다.
전조롤러(51)는 나사선의 전조를 위한 요철 구조의 원통 구조이고철근(1)쪽으로 모아지는 방향과 반대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회전판(52)의 역회전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수의 전조롤러(51)는 각각 롤러블록(55)을 통해 회전판(52)[또는 고정체인 전조 케이스]에 철근(1)을 향해 모아지는 방향과 반대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물론, 롤러블록(55)의 직선왕복 이동을 위하여 롤러블록(55)과 회전판(52)에는 가이드수단이 적용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회전판(52)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롤러블록(55)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더는 롤러블록(55)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양쪽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롤러블록(55)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가 마감되는 것은 당연하다.
롤러블록(55)은 전조롤러(51)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다리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블록(55)은 전후진수단을 통해 모아지거나 벌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후진수단은 유압실린더(56) 등의 액추에이터, 유압실린더(56)의 로드(56a)에 연결되어 전후진하며 롤러블록(55)을 전후진시키는 푸쉬블록(57), 롤러블록(55)을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8)로 구성된다.
롤러블록(55)과 푸쉬블록(57)의 대향면에는 푸쉬블록(57)의 전후진에 의해 롤러블록(55)이 종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각각 경사면(55a,57a)이 형성된다.
탄성부재(58)는 롤러블록(55)의 중심쪽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롤러블록(55)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여 유압실린더(56)에 후진방향의 유압이 가해질 때 롤러블록(55)이 신속하게 벌어지도록 한다.
한편, 전조롤러(51)의 회전에 의한 나사산 가공시 전조롤러(51)가 나사선에 물려 있기 때문에 전조롤러(51)를 분리하기 위하여 회전판(52)은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회전판(52)은 내부에 전조롤러(51) 등이 설치되는 중공의 블록형일 수 있으며, 모터(53)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기어트레인 등 동력전달이 가능한 모든 제품이 가능하다.
철근 피딩수단(20),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은 컨트롤러의 자동 제어를 통해 연동하여 철근(1)의 공급에서부터 나사선 전조 가공까지의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나사선 가공 방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이 가공 위치로 이동하면서 스웨이징, 면치기 및 나사선 전조가 진행되며, 이를 위하여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은 캐리어를 통해 이동된다. 특히, 본 발명은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을 최적의 캐리어를 통해 함께 구성하여 이동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철근의 나사선 가공 시간을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은 베이스 프레임(2)에 좌우(도 5 기준)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수단에 탑재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캐리어(60)를 포함한다.
캐리어(60)는 플레이트형, 블록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스웨이징 수단(30)이 탑재되며 베이스 프레임(2)에 가이드수단(3)[LM 가이드 등]을 통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구동원(모터 등)을 통해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부(61), 수평부(61)에 세워지는 수직부(62), 수직부(62)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며 전조 수단(50)과 면치기 수단(40)이 상하로 배열 장착되는 승강블록(63)으로 구성된다.
즉, 캐리어(60)를 통해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이 함께 좌우로 이동하며, 승강블록(63)을 통해 면치기 수단(40)과 전조 수단(50)이 함께 승강하고, 이 과정을 통해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을 가공 위치로 이동 셋팅할 수 있다.
한편, 면치기 수단(40)의 면치기와 전조 수단(50)의 전조는 전진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면치기 수단(40)과 전조 수단(50)은 승강블록(63)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승강블록(63)에는 면치기 수단(40)의 전후진블록(43)이 가이드수단과 구동원(모터 등)을 통해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조 수단(50)의 전후진블록(54)이 가이드수단과 구동원(모터 등)을 통해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후진블록(43,54)은 나사선의 미세한 길이 조정도 가능하도록 서보모터 등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성 중에서 이동체[피딩수단(20)의 철근 이동척(23), 캐리어(60), 승강블록(63), 전후진블록(43,54) 등]는 리미트센서의 센싱과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이동이 자동 제어되며, 이러한 이동 제어는 스웨이징 수단(30),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의 가공 동작과 연동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의 나사선 가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철근 공급.
하나 이상의 철근 묶음(2)은 크레인 등의 장비를 통해 제1이송부(11) 위에 올려진 후 제1이송부(11)를 통해 제2이송부(12)쪽으로 이송된다. 2개 이상의 철근 묶음(2)이 올려질 수도 있으며 이때 승강식 분리봉을 통해 1개의 철근 묶음(2)만 제2이송부(12)로 이송되도록 분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이송부(12)는 정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송부(12)에 올려진 철근 묶음(2)은 작업자의 절단 작업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어 펼쳐진다.
낱개로 분리된 다수의 철근(1)은 제2이송부(12)에 의해 진동 분산기(13)쪽으로 이송된다.
철근(1)들이 진동 분산기(13)의 분산판(13e) 위로 이송되면 제2이송부(12)가 멈추고 분산판(13e)이 상승하고 진동모터에 의해 분산판(13e)이 진동하여 다수의 철근(1)이 넓게 펼쳐지면서 분산된다.
일정 시간 동안 분산판(13d)이 진동에 의해 다수의 철근(1)을 분산시키고, 이어서 세퍼레이터(14)가 상승하여 다수의 철근(1)을 2개의 그룹으로 분리한다.
이어서 제2이송부(12)가 구동하여 세퍼레이터(14) 앞쪽으로 분리된 그룹의 철근(1)들이 승강기(15)로 이송되며, 이때, 세퍼레이터(14) 뒤쪽으로 분리된 그룹의 철근(1)은 세퍼레이터(14)에 의해 이송이 저지된다.
세퍼레이터(14)에 의해 분리되어 승강기(15)로 이송되는 철근(1)은 하나씩 분리되어 상승된다.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승강기(15)의 초기 위치는 승강대(15b)의 철근 승강턱(15b-1,15b-2,15b-3,15b-4)와 철근 이송턱(15b-5)이 고정대(15a)의 철근 수용턱(15a-1,15a-2,15a-3,15a-4)의 아래에 배치되어 철근(1)을 대기하며, 승강대(15b)가 상승하여 철근 승강턱(15b-1,15b-2,15b-3,15b-4)에 올려진 철근(1)을 고정대(15b)의 철근 수용턱(15a-1,15a-2,15a-3,15a-4)에 올린다.
즉 제1단의 철근 승강턱(15b-1)은 철근(1)을 제2이송부(12)에서 공급받아 제1단의 철근 수용턱(15a-1)으로 올리고, 제2단의 철근 승강턱(15b-2)은 제1단의 철근 수용턱(15a-1)에 있는 철근을 제2단의 철근 수용턱(15a-1)으로 올리며, 제3단의 철근 승강턱(15b-3)은 제2단의 철근 수용턱(15a-2)에 있는 철근을 제3단의 철근 수용턱(15a-3)으로 올리고, 제4단의 철근 승강턱(15b-4)은 제3단의 철근 수용턱(15a-3)에 있는 철근을 제4단의 철근 수용턱(15a-4)으로 올리고, 철근 이송턱(15b-5)은 제4단의 철근 수용턱(15a-4)에 올려진 철근을 경사형 가이드판(15d)으로 이송한다.
철근(1)은 경사형 가이드판(15d)의 경사를 타고 철근 공급부(16)로 이송된다.
철근 공급부(16)에 이송된 철근(1)의 공급은 수동/자동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철근(1)은 철근 공급부(16)에 구성된 공급수단(롤러 등)을 통해 피딩수단(20)에 공급된다.
2. 철근 셋팅.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철근(1)이 공급되다가 철근(1)이 철근 고정척(22)의 광센서에 감지되면 상기 공급수단(롤러 등)의 가동이 중지되어 철근(1)이 이송이 정지된다. 이때, 스웨이징 수단(30)은 가공 위치로 셋팅되어 있다(S10).
이와 동시에 철근 이동척(23)이 철근(1)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스웨이징 수단(30)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따라서, 철근(1)의 이음부가 스웨이징 수단(30)의 안에 삽입된다(S20).
철근 이동척(23)의 이동 거리는 나사선이 가공되는 길이이며, 이는 관리자의 설정을 통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고 컨트롤러가 설정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철근 이동척(23) 등의 구성을 자동 제어한다.
철근 이동척(23)의 이동이 완료되면 철근 고정척(22)이 철근(1)을 클램핑한다. 이때는 철근 고정척(22)과 철근 이동척(23) 모두가 철근(1)을 클램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스웨이징 수단(30)에 의한 철근(1)의 가압시 철근(1)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철근(1)을 정해진 형상(진원형)으로 가압할 수 있다.
철근의 스웨이징(30)은 타임 제어방식이며, 스웨이징 시간이 경과되면 철근 고정척(22)은 철근(1)을 언클램핑하고 철근 이동척(23)은 철근(1)의 클램핑을 유지한 상태에서 후진한다(S30). 후진은 면치기 수단(40)을 가공 위치로 셋팅하기 위함이다.
스웨이징 수단(30)은 가공 위치에서 후진하고, 면치기 수단(40)과 전조 수단(50)은 가공 위치로 이동하며, 이는 캐리어(60)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진다.
면치기 수단(40)의 이동이 완료되면, 철근 이동척(23)이 전진하여 철근(1)의 이음부(스웨이징 완료)를 면치기 수단의 앞에 셋팅하고, 철근 이동척(23)의 이동이 완료되면 철근 고정척(22)이 철근을 클램핑한다.
철근 고정척(22)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면치기 수단(40)이 일정 시간동안 가동(또는 일정 거리만큼 전진도 가능)하여 철근(1)의 선단면을 면치기한다(S40).
철근(1)의 면치기 가공이 완료되면 전술한 것처럼 철근 이동척(23)에 의해 철근(1)이 후진한다(S50).
이어서, 승강블록(63)이 하강하여 전조 수단(50)을 가공 위치에 셋팅한다.
철근 이동척(23)에 의해 철근(1)을 가공 위치로 전진시킨 후 철근 고정척(22)이 철근(1)을 함께 클램핑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철근(1)이 전조롤러(51)들 사이의 전조 위치에 삽입되기 전에 전조롤러(51)들은 철근(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형태를 배열되고 이 배열 상태를 초기 위치로 한다.
철근(1)의 단부가 전조롤러(51)들의 안에 배치[광센서 등에 의한 철근(1) 또는 전조롤러(51)의 위치 감지를 근거로 확인]되면 유압실린더(56)에 의해 푸쉬블록(57)이 철근(1)쪽으로 전진하고 이에 따라 전조블록(55)과 전조롤러(51)가 철근(1)쪽으로 이동한다. 전조롤러(51)의 이동 거리는 철근(1)의 외경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전조롤러(51)는 자동으로 이동된다.
전조롤러(51)들이 철근(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조 수단(50)이 전진하여 철근(1)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전조 가공한다.
전조 가공은 거리(나사선의 길이)를 기준으로 진행되며, 리미트 센서에 의해 전조 수단이 정해진 위치에 도착하면 전조 가공이 정지된다. 전조 수단은 전진을 통해 나사선을 전조 가공한 후 전조가 완료되면 전조롤러(51)들이 철근(1)으로부터 벌어지도록 이동된 후 후진한다. 이로써, 철근(1)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가공한다.
철근(1)의 나사선 가공이 완료되면 철근 고정척(22)이 철근(1)을 언클램핑하고 철근 이동척(23)이 철근(1)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철근(1)의 배출위치로 후진한 후 철근을 언클램핑하여 철근(1)을 분리하도록 한다.
전술한 나사선 가공 공정은 모든 공정(스웨이징, 면치기, 전조, 나사선의 길이 조정 등)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바코드타입 주문서의 인식을 통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에는 철근경, 나사선의 길이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컨트롤러는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한 후 이동수단의 이동 거리를 자동으로 셋팅하여 스타트 스위치의 조작만을 통해 나사선 가공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선의 가공이 스웨이징 - 면치기 - 전조 공정의 순서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스웨이징 - 전조 - 면치기 공정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철근(1)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 중에서 일측의 단부에만 나사선을 가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며, 철근(1)의 길이방향 양쪽 모두의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예를 들어 일측의 단부에는 긴나사, 타측의 단부에는 짧은 나사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철근(1)의 뒤집어서 반대쪽을 철근 가공부(A)에 배치하여 철근(1)의 양쪽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할 수 있다. 단, 이러한 경우 철근(1)을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개의 나사선 가공부(A-1,A-2)를 양쪽에 각각 설치하여 일측의 제1나사선 가공부(A-1)에서 철근(1)의 일측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하고 철근(1)을 뒤집지 않고 이동하는 작업만을 통해 철근(1)의 타측 단부를 타측의 제2나사선 가공부(A-2)에 공급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철근(1)의 양쪽에 나사선을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철근(1)을 제1나사선 가공부(A-1)에서 제2나사선 가공부(A-2)로 이동시키는 것은 수동/자동[철근 공급부(16)의 구동에 의한 자동 이송] 모두가 가능하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2에서 어느 한 세트의 가공 장치에서는 철근(1)의 일측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었고 다른 세트의 가공 장치에서는 철근(1)의 타측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13과 도 14는 배출수단(7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배출수단(70)은 철근 공급부(16)에 있으며 나사선의 가공이 완료된 철근(1)을 철근 공급부(16)에서 배출하는 배출 액추에이터(공압실린더 등), 상기 배출 액추에이터에 의해 배출되는 철근(1)을 안내하는 제1배출다이(71), 제1배출다이(71)를 따라 이동하는 철근(1)의 양측 나사선부에 커플러(3)와 마개(4)가 체결/결합되도록 하는 체결 다이(72), 체결 다이(72)에 공급되는 철근(1)을 커플러와 마개의 체결 위치로 구속하는 스토퍼(73)(공압실린더 등), 스토퍼(73)에 의해 정지된 철근(1)의 양측 나사선부에 커플러(3)와 마개(4)를 하나씩 체결하는 커플러 체결수단(80) 및 마개 결합수단(90), 커플러 체결수단(80) 및 마개 결합수단(90)에 의해 커플러(3)와 마개(4)가 체결/결합된 철근(1)을 지지하는 제2배출다이(74)로 구성된다.
제1배출다이(71)는 철근 공급부(16)에서부터 체결 다이(72)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 액추에이터에 의해 배출되는 철근(1)이 자연스럽게 체결 다이(72)에 공급되도록 한다.
체결 다이(72)는 철근(1)의 양측 나사선부 중에서 일측에는 커플러(3)가 타측에는 마개(4)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철근(1)이 커플러 체결수단(80)과 마개 결합수단(9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 컨베이어 등이 적용 가능하다.
스토퍼(73)는 체결 다이(72)의 저부에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승에 의한 돌출에 의해 철근(1)이 체결 다이(72)에 수용되도록 하고 하강에 의해 철근(1)이 제2배출다이(74)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 다이(72)에 있는 철근(1)을 제2배출다이(74)로 배출하기 위한 유압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가 적용된다.
제2배출다이(74)는 1단 이상(도면에는 2단으로 도시됨)의 철근 적재부가 구성된 경사형 구조물이며, 2단 이상으로 적용되는 경우 출몰형 유압실린더 등을 통해 철근 적재부가 분할된다.
커플러(3)와 마개(4)는 작업자의 수작업, 자동 등에 의해 철근(1)의 양측의 나사선부에 체결되며, 즉 일측에는 커플러(3)가 타측에는 마개(4)가 결합된다.
도 13과 도 15에서 보이는 것처럼, 커플러 체결수단(80)은 다수의 커플러(3)를 적재 및 공급하는 커플러 공급대(81), 커플러 공급대(81)를 통해 공급되는 커플러(3)를 강제로 회전시켜 철근(1)의 나사선부에 나사 체결하는 체결수단(82)으로 구성된다.
커플러 공급대(81)는 커플러 공급다이(83), 다이(83)에 무한궤도로 설치되며 커플러(3)를 체결수단(82)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체인(84), 체결수단(82)쪽에 로드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체인(84)을 통해 공급되는 커플러(3)를 하나씩 분리하여 커플러(3)를 체결수단(82)의 위치로 정렬시키는 정렬실린더(85)로 구성된다.
체결수단(82)은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커플러(3)를 철근(1)의 나사선부에 체결하는 소켓으로 구성되며 이는 기계 제작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체결수단(82)은 이동다이를 통해 철근(1)쪽으로 이동하거나 철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커플러(3)를 철근(1)에 체결할 수도 있다.
마개 결합수단(90)은 마개 공급대(91), 마개 공급대(91)를 통해 공급되는 마개(4)를 철근(1)의 타측 나사선부에 끼우는 유압실린더(92)로 구성된다. 또한 마개 결합수단(90)도 체결수단(82)과 마찬가지로 이동다이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다.
마개 공급대(91)는 커플러 공급대(81)와 동일한 구성(공급다이, 이송체인, 정렬대)으로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92)는 마개 공급대(91)에서 공급되는 마개(4)를 강제로 밀어 철근(1)의 타측 단부에 강제로 끼워 결합한다.
커플러 체결수단(80)과 마개 결합수단(90)에 의한 커플러(3)의 체결과 마개(4)의 결합을 위해서는 철근(1)이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수작업과 자동 모두가 가능하다.
커플러 체결수단(80)과 마개 결합수단(90)이 함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1,2나사선 가공부가 함께 있는 경우 적용되는 것이며, 즉 하나의 나사선 가공부만 적용되는 경우에는 커플러 체결수단(80)과 마개 결합수단(90)이 서로 독립적으로 갖추어진다.
10 : 철근 공급수단,
11 : 제1이송부, 12 : 제2이송부
13 : 진동 분산기, 14 : 세퍼레이터
15 : 승강기, 16 : 철근 공급부
20 : 피딩수단,
21 : 피딩다이, 22 : 철근 고정척
23 : 철근 이동척,
30 : 스웨이징 수단,
40 : 면치기 수단,
50 : 전조 수단,
51 : 전조롤러, 52 : 회전판
53 : 모터, 54 : 전후진블록
55 : 롤러블록, 56 : 유압실린더
57 : 푸쉬블록,

Claims (10)

  1. 철근을 공급 및 지지하는 철근 공급수단(10)과;
    상기 철근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철근을 클램핑 및 전후로 이동시키는 철근 피딩수단(20)과;
    상기 철근 피딩수단에 의해 피딩되는 철근의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나사선 가공부(A)와;
    상기 철근 피딩수단과 상기 나사선 가공부(A)를 자동 제어하여 스웨이징 공정과 면치기 공정 및 전조 공정이 연속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 가공부는,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좌우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철근 피딩수단에 의해 클램핑된 철근의 단부를 중심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철근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형 리브를 가압하여 진원형으로 가공하는 스웨이징 수단(30),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상하 종방향 및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웨이징 수단에 의해 단조된 철근의 이음부의 선단면을 면치기하는 면치기 수단(40),
    상기 철근 피딩수단의 전방에 상기 철근과 직교하는 상하 종방향 및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면치기 수단에 의해 표면이 고르게 가공된 철근의 이음부에 나사선을 전조 형성하는 전조 수단(50),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상기 스웨이징 수단(30)과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을 철근의 나사선 가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스웨이징 수단(30)이 탑재되며 가이드수단을 통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어(60), 상기 캐리어에 가이드수단을 매개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면치기 수단(40)과 전조 수단(50)이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면치기 수단과 전조 수단을 함께 승강시키면서 상기 캐리어를 통해 함께 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블록(63)을 포함하여 상기 스웨이징 수단(30)과 면치기 수단(40) 및 전조 수단(50)이 철근의 가공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 피딩수단은,
    상기 철근 공급수단의 앞에 고정되며 유압을 포함하는 외력을 이용하여 상기 철근을 압착 클램핑하는 철근 고정척(22) 및 상기 철근 고정척의 후방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철근을 압착 클램핑함과 아울러 상기 철근을 전후진시키는 철근 이동척(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조 수단(50)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전조롤러(51), 상기 전조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전조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전조롤러에 의해 상기 철근의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선을 가공하도록 하는 회전판(53), 상기 전조롤러를 상기 철근을 향해 모아지거나 반대로 벌어지도록 하는 전후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수단은 상기 회전판에 상기 철근을 향해 모아지거나 반대로 벌어지도록 장착되며 상기 전조롤러가 장착되는 전조블록(55), 상기 전조블록의 후방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후진에 의해 상기 전조블록을 모아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푸쉬블록(57), 상기 푸쉬블록을 강제로 전진 또는 전후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철근 공급수단은, 다수의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철근들을 진동에 의해 분산시키는 진동 분산기(13), 상기 진동 분산기에 의해 분산된 다수의 철근들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리하는 세퍼레이터(14),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1개 그룹의 철근들을 하나씩 상기 철근 피딩수단에 공급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단부가 둘레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뾰족한 형태이며 상기 이송부의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에 의해 상기 철근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가공부는 상기 철근 공급수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2나사선 가공부(A-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나사선 가공부(A-1)는 상기 철근의 일측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하고 상기 제2나사선 가공부(A-2)는 상기 철근의 타측 단부에 나사선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철근 가공부에 의해 나사선이 가공된 철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철근의 나사선부에 커플러(3)를 체결하는 커플러 체결수단(80)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체결수단은, 다수의 커플러(3)를 적재 및 공급하는 공급대(81), 상기 커플러 공급대(81)를 통해 공급되는 커플러(3)를 강제로 회전시켜 철근(1)의 나사선부에 나사 체결하는 체결수단(82)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82)은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커플러(3)를 철근(1)의 나사선부에 체결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철근의 나사선부에 마개(4)를 결합하는 마개 결합수단(90)을 포함하고, 상기 마개 결합수단(90)은 다수의 마개를 공급하는 마개 공급대(91), 상기 마개 공급대(91)를 통해 공급되는 마개(4)를 철근(1)의 타측 나사선부에 끼우는 유압실린더(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KR20130162413A 2013-05-06 2013-12-24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KR101509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485 2013-05-06
KR20130050485 2013-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853A KR20140131853A (ko) 2014-11-14
KR101509182B1 true KR101509182B1 (ko) 2015-04-10

Family

ID=5245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2413A KR101509182B1 (ko) 2013-05-06 2013-12-24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9998B (zh) * 2020-05-08 2024-05-07 河北智建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转动式钢筋切断双头滚丝一体机
CN111545679B (zh) * 2020-05-08 2024-05-07 河北智建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筋切断双头滚丝的双加工线
CN111531089B (zh) * 2020-05-08 2024-05-07 河北智建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式钢筋切断双头滚丝一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84B1 (ko) 2007-02-23 2008-04-08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의 나사부 가공방법
KR101135943B1 (ko) 2011-10-12 2012-04-18 오환상 콘크리트보강용 이형철근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95689B1 (ko) 2010-05-28 2012-10-30 김정수 철근용 나사산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사 가공방법
KR101346012B1 (ko) 2013-05-21 2013-12-31 주식회사 상신기공 길이가 다양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84B1 (ko) 2007-02-23 2008-04-08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의 나사부 가공방법
KR101195689B1 (ko) 2010-05-28 2012-10-30 김정수 철근용 나사산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사 가공방법
KR101135943B1 (ko) 2011-10-12 2012-04-18 오환상 콘크리트보강용 이형철근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46012B1 (ko) 2013-05-21 2013-12-31 주식회사 상신기공 길이가 다양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853A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45100B (zh) 钢筋弯焊一体机
CN207174859U (zh) 一种自动铆螺母装置
CN106965157B (zh) 一种可搬运多种规格抱箍皮的机械手
KR101658454B1 (ko)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CN107159835A (zh) 一种自动铆螺母装置
KR101509182B1 (ko)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KR101195689B1 (ko) 철근용 나사산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사 가공방법
CN109562431B (zh) 用于机器的装载和卸载装置、用于加工板状工件的机器、用于这种机器的工件支撑件及装载和卸载这种机器的方法
KR101481951B1 (ko) 데크플레이트 자동 볼팅장치
CN109361297A (zh) 一种内嵌式永磁同步电机转子磁钢自动装配设备
KR101729488B1 (ko) 탈형 데크의 간격재 자동 조립 장치
KR101929576B1 (ko) 멀티 홈 가공 장치
KR101346012B1 (ko) 길이가 다양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284224B1 (ko) 봉강 면취기
CN213002353U (zh) 全自动钢筋弯焊一体机
KR101484451B1 (ko) 밴딩머신
RU27641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волочной сетки
CN115740619B (zh) 一种大型板材高效精准切割设备
CN112474913A (zh) 一种工程设备座椅钣金底座的折弯系统及其折弯工艺
CN206886176U (zh) 一种端板自动上料装置
KR101760028B1 (ko) 철근 나사 가공장치
CN114074128B (zh) 金属棒材自动拉拔设备
KR100995762B1 (ko) 철근연결용 단부 처리장치
KR102108761B1 (ko) 런닝소 자동 공급장치
KR20130028501A (ko) 폴가이드부쉬 홀 관통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가이드부쉬 제조 자동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