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120B1 -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120B1
KR101509120B1 KR20140043546A KR20140043546A KR101509120B1 KR 101509120 B1 KR101509120 B1 KR 101509120B1 KR 20140043546 A KR20140043546 A KR 20140043546A KR 20140043546 A KR20140043546 A KR 20140043546A KR 101509120 B1 KR101509120 B1 KR 10150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information
interworking
devices
track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호
강도근
최원규
방희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2014004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6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with non-radar systems, e.g. sonar, direction finder
    • G01S17/02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66Tracking system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7Combinations of system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지역에 분산된 레이더, 광학추적, 원격측정 등의 이종 추적 장비로부터 얻어진 비행체 추적 자료를 상호 연동함으로써 비행체의 추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ATA PROCESSING FOR SLAVING BETWEEN DIFFERENT TRACKING INSTRUMENTS}
본 발명은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지역에 분산된 레이더, 광학추적, 원격측정 등의 이종 추적 장비로부터 얻어진 비행체 추적 자료를 상호 연동함으로써 비행체의 추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비행체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레이더나 광학추적 등의 추적 장비를 이용한다. 이러한 장비들은 3차원 공간상에서 전파 또는 영상을 이용하여 사거리(Range), 방위각(Azimuth), 고각(Elevation)등을 계측한다. 또한 계측 정보는 외부 환경이나 저고도 비행 등에 따라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게 되고 특정 장비가 시작부터 끝까지 완전한 결과를 얻기는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계측 장비는 다른 장비와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연결을 통해 추적 실패시 타 장비로부터 추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추적 정보를 타 장비에 전송할 경우 자료의 송수신 처리, 좌표/역좌표 변환, 연동순위 설정 및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좌표변환은 사거리(Range), 방위각(Azimuth), 고각(Elevation) 등의 정보를 WGS(Worldwide Geological System)-84 또는 BESSEL 1814 지구 타원체 모델을 기반으로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고도(Altitude)로 변환하는 것이다.
추적 정보 연동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광 통신(FIBER COMMUNICATION) 이나 마이크로 웨이브 통신(MICROWAVE COMMUNICATION)을 사용한다.
또한, 비행체의 위치 추적시 레이더, 광학추적, 원격측정 등의 이종 추적 장비들은 기상환경, 저고도 비행, 방해 전파 등의 여러 환경요인에 따라 추적의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장거리 비행체 추적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추적 장비를 이동 배치해야 하며, 각 추적 정보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광통신이나 마이크로 웨이브 통신을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각종 케이블, 송수신 안테나, 철탑 등의 장비 설치와 유지 관리에 큰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다수의 계측 장비를 적절한 장소에 배치하고 이를 광통신 및/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통신을 통해 중앙에서 자료를 모아 통합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중앙에서 자료가 모이면 동시에 처리하고 정보 공유를 위해 중앙 처리 담당자가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설정된 위치로 자료가 연동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경우 갑작스런 장비고장 및/또는 시험조건이 자주 변경될 때, 타지역에 위치한 장비 담당자가 직접 정보를 변경 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시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이 방식은 통일된 정보 전달 체계가 없어 각 장비의 추적 자료를 상호 공유하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장거리 추적이나 지역간 추적 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장비 담당자가 직접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없고 통일된 정보 전달 체계를 적용하지 않아 이 기종 계측 장비간 자료 처리 및 연동이 제약을 받아 추적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료 공유가 중앙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며, 개별 장비에서 공통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자료처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종 추적 장비의 자료 처리 장치(100)를 나타낸다. 추적 장비 A(101)는 3차원 공간상에 비행하는 비행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비로서 레이더 또는 광학 추적 또는 원격측정 장비 등에 해당한다. 일단 추적이 성공하면 비행체의 사거리, 방위각, 고각 등의 추적 정보가 생성된다.
추적정보는 광/마이크로 웨이브 통신(102)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는 광 통신, 원거리에서는 마이크로 웨이브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추적정보 수신부(103)는 RS-232 자료를 수신 처리한다.
수신된 자료는 좌표 변환부(104)로 전송되고 좌표 변환부(104)에서는 WGS-84 또는 Bessel1814 좌표계를 적용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위치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위치 정보는 연동 정보 처리부(105)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추적 장비 N(110)의 추적 정보도 광/마이크로 웨이브 통신(111)을 거쳐 추적 장비 A(101)와 동일한 자료처리 과정을 통해 위치정보를 연동 정보 처리부(105)로 송신한다. 연동 정보 처리부(105)에서는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미리 설정된 장비 연동 순위에 따라 추적정보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추적 장비 A(101)와 추적 장비 N(110)중 우선순위가 추적 장비 N(110)이 높다면, 연동 처리부(105)에서는 추적 장비 N(110)의 연동정보를 추적 장비 A(101)로 송신한다. 연동정보(위도, 경도, 고도)는 좌표 역변환부(106)를 거쳐 사거리, 방위각, 고각으로 변환되고 연동정보 송신부(107)를 통해 RS-232로 변환 된 후 광/마이크로 웨이브 통신(102)을 거쳐 추적 장비 A(101)로 전송된다.
이러한 이종 추적 장비의 자료 처리 장치(100)는 T지역에 위치한 중앙 처리소에 위치하여 추적 장비마다 원하는 연동순위를 설정해야 하므로 연동 순위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중앙 처리소에서 변경해주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추적 장비가 증가 할 경우 이종 추적 장비의 자료 처리 장치(109)를 개선해야 하며 장비가 많이 추가될 경우 자료의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1-0125803호 2.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7205950000호 3.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7413호 4.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2135970000호
1. 정경호 외, "다중표적 유도탄 비행시험을 위한 실시간 자료처리 시스템 설계", 항공우주학회 제38권 10호, 2010.10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종 추적 장비에서 추적 장비 변경시 장비 사용자가 정보 연동 우선순위를 상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추적 장비간 비행체 그룹을 설정하여 그룹 내에서 자동으로 연동이 가능하게 하는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간 통일된 공통 패킷을 UDP(User Datagram Protocol) 및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연동 할 수 있는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종 추적 장비에서 추적 장비 변경시 장비 사용자가 정보 연동 우선순위를 상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추적 장비간 비행체 그룹을 설정하여 그룹 내에서 자동으로 연동이 가능하게 하는 자료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료처리 방법은,
다수의 추적 장비로부터 선택된 비행체의 제 1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추적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제 1 추적 정보를 좌표 변환에 의해 제 1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의 장비별 추적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 중 특정 추적 장비와 연동되는 다른 추적 장비의 연동 정보를 선택하는 연동 정보 선택 단계;
선택된 연동 정보의 제 2 위치 정보를 역좌표 변화에 의해 제 2 추적 정보로 변환하는 역좌표 변환 단계; 및
상기 특정 추적 장비가 상기 제 2 추적 정보를 공통 패킷으로 수신하는 공통 패킷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 정보 선택 단계는, 추적 위치 초기값을 다수의 추적 장비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간 연동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최우선 순위의 추적 장비와 차순위의 추적 장비의 추적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 및 조사 결과에 따라 순위별로 추적 장비간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 정보는 사거리, 방위각, 및 고각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패킷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토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변환은 WGS(Worldwide Geological System)-84 또는 Bessel1814 좌표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는 레이더, 광학 추적 장비 및 원격측정 장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패킷은 추적 장비 고유 식별자, GPS시각, 추적 장비 기준위치, WGS84 기준 비행체 위치, BESSEL1814기준 비행체 위치, 추적 장비 기준 비행체 관측값, 비행체 자세정보, 발사점 좌표, 탄착점 좌표, 발사각, 비행체 속도, 비행체 이동방향, 신호대 잡음비율, 및 에러 점검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추적 장비로부터 선택된 비행체의 제 1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추적 정보 수신부; 상기 제 1 추적 정보를 좌표 변환에 의해 제 1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의 장비별 추적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 중 특정 추적 장비와 연동되는 다른 추적 장비의 연동 정보를 선택하는 연동 정보 처리부; 선택된 연동 정보의 제 2 위치 정보를 역좌표 변화에 의해 제 2 추적 정보로 변환하는 역좌표 변환부; 및 상기 제 2 추적 정보를 상기 특정 추적 장비에 공통 패킷으로 송신하는 연동 정보 송신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하고 편리하게 추적 정보를 연동하며, 추적 실패 시 재 추적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추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자료 통신 방식에 있어서 UDP 및 DDS 통신을 이용하므로 네트워크가 연결된 어느 위치에서나 추적정보를 쉽게 연동할 수 있어 장거리 또는 지역간 추적정보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신규 추적 장비가 도입될 경우 주 장비의 소프트웨어(S/W) 변경 없이 자료 송수신 인터페이스만 추가하면 타 장비와 연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추적 정보의 처리 기능을 각 장비별로 독립적으로 수행하며, 방위각, 사거리, 고각 등의 주요 추적정보를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위치 정보로 상호 변환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이들 위치 정보가 상호간 네트워크 연동될 수 있도록 UDP 및/또는 DDS 공통 시험자료를 지원하고, 장비간 우선순위를 정하여 추적 실패시 추적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가 자동으로 연동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이종 추적 장비 연동을 위한 자료 처리 장치 개발로 인하여 장비 배치에 제한되는 단점을 극복하고 장비간 연동 능력을 개선할 수 있어 비행체의 중/장거리 추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향후 군이나 항공 분야에 있어 각 지역에서 수행되는 합동시험이나 각종 실/모의 자료를 연동하여 연합 훈련하는 기능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어 군사적이나 경제적으로 장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민수 분야에 있어서 선박의 항로 유도 및 통제를 위한 다수의 레이더간 연동 시스템이나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레이더/영상 융합처리 시스템 등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종 추적 장비의 자료 처리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료처리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적 자료 연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적 자료 공유를 위한 UDP/DDS 공통 패킷의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료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료 처리 장치(200,2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추적 장비(201,211), 제 1 및 제 2 자료처리 장치(200, 210), 및 통신망(208)등으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추적 장비(201,211)는 자료 연동 기능을 추적 장비별로 수행한다. 물론, 제 1 추적 장비(201) 및 제 2 추적 장비(211)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먼저, 제 1 자료처리 장치(200)를 설명하면, 제 1 추적 장비(201)로부터 얻어진 추적정보는 제 1 추적정보 수신부(202)와 제 1 좌표 변환부(203)를 거쳐 위치 정보로 변환되어 제 1 연동 정보 처리부(204)에 송신된다.
제 1 연동 정보 처리부(204)에서는 장비 우선순위 등을 결정하여 추적 정보를 설정한 후 좌표 역변환부(205)와 제 1 연동정보 송신부(206)를 거쳐 제 1 추적 장비(201)로 송신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자료처리 장치(200)를 설명하면, 제 2 추적 장비(211)로부터 얻어진 추적정보는 제 2 추적정보 수신부(212)와 제 2 좌표 변환부(213)를 거쳐 위치 정보로 변환되어 제 2 연동 정보 처리부(224)에 송신된다.
제 2 연동 정보 처리부(224)에서는 장비 우선순위 등을 결정하여 추적 정보를 설정한 후 좌표 역변환부(225)와 제 2 연동정보 송신부(226)를 거쳐 제 2 추적 장비(221)로 송신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2개의 자료 처리 장치(200,210)만을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의 자료 처리 장치도 가능하다.
제 1 장비(201)와 제 2 추적 장비(211)간의 통신은 통신망(208)을 수행하며, 장거리 또는 지역간 추적정보를 상용 네트워크를 통해 쉽게 연동할 수 있으므로 추적정보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통신망(208)은 공중교환 전화망(PSTN), 공중교환 데이터망(PSDN),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SDN),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대도시 지역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LAN: Wide LAN)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망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용 통신망 이외에도 무인체계 전용 통신망이 될 수 있다. 무인체계 전용 통신망은 Multi-hop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으로 구성되며 4x4 다중입출력(MIMO) 신호처리 기술, 및 Ad-hoc 중계가 가능한 적응형 네트워크 기술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자료 처리 장치(200, 210)는 제 1 및 제 2 연동정보 처리부(204,214)를 각각 보유하고 있어 임의의 지역(도 1에 도시된 T지역)에서 중앙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각 지역에 위치한 추적 장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연동 순위를 편리하게 변경,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적 장비가 증가하더라도 동일한 자료 처리 장치를 보유하고 있어 자료의 처리 속도와는 무관하게 된다.
또한, IT기술의 발달로 저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적용하므로 저비용의 구현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자료 처리 및 연동 장치에 비해 낮은 CPU 클럭 속도를 선택할 수 있어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추적 장비간 추적 비행체 그룹을 설정하여 연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추적에 실패하면 추적 연동을 시작한다(단계 S301). 먼저 여러 비행체가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추적하려는 비행체 그룹을 선택한다(단계 S302). 같은 비행체 그룹 내에 있는 추적 장비들은 동일한 비행체를 추적하고 있어야 한다.
비행체 그룹 선택후 추적 초기값을 추적 장비의 위치로 설정하여 비행체의 초기 비행이 불가능한 장비의 경우 비행 처음부터 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303). 이후 추적 장비들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어떤 추적 장비의 정보를 우선으로 연동할지 순위를 정한다(단계 S304). 부연하면, 비행체 그룹 선택후 추적을 준비한다. 비행 초기부터 추적을 수행하기 위해 장비의 추적 초기값을 비행체의 시작 위치로 설정한다.(S303) 설정된 추적 초기값은 각 추적 장비에 전송되며, 추적 장비들은 이 값을 이용하여 추적을 시작한다. 그 다음 단계로서 추적 장비들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어떤 추적 장비의 정보를 우선으로 연동할지 순위를 정한다(단계 S304).
이와 같은 설정 작업이 끝나면 최우선 순위 장비의 추적상태를 조사한다(단계 S305).
조사결과, 해당 장비의 추적이 성공하면(On Track='1'), 추적정보를 선택하고 연동한다(단계 S307,S309).
이와 달리, 단계 S305에서 최우선 순위 장비의 추적이 실패하면, 차순위 장비들의 추적상태를 순차적으로 조사한다(단계 S306). 단계 S306에서 해당 장비의 추적이 성공하면(On Track='1'), 순위별로 추적정보를 연동한다(단계 S307,S309).
모든 추적 장비들이 추적이 실패할 경우 추적정보 연동은 종료된다(단계 S311).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적 자료 공유를 위한 UDP/DDS 공통 패킷의 구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통 패킷(401)은 레이더, 광학추적, 원격측정 장비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추적 정보들을 일반화하여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공통 패킷(401)의 정보는 총 14항목, 48Byte이며 각 정보는 추적 장비 고유 식별자, GPS시각, 추적 장비 기준위치(위도, 경도, 고도), WGS84 기준 비행체 위치(위도, 경도, 고도), BESSEL1814기준 비행체 위치(위도, 경도, 고도), 추적 장비 기준 비행체 관측값(사거리, 방위각, 고각), 비행체 자세정보(요,피치,롤), 발사점 좌표(위도,경도,고도), 탄착점 좌표(위도,경도,고도), 발사각(방위각), 비행체 속도, 비행체 이동방향, 신호대 잡음비율, 에러 점검 코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료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추적 장비 전원이 켜지면 정보 처리 및/또는 연동 동작이 시작된다(단계 S501).
이후, 추적 장비의 사거리, 방위각, 고각이 수신 처리되고 추적할 비행체 그룹을 선택한다(단계 S502).
추적 위치 초기값을 설정하여 추적 초기부터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추적 장비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단계 S503). 이후 추적정보의 좌표변환을 수행하여 위치 정보로 산출함으로써 모든 추적 장비가 위치 정보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504).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추적 장비에서 추적을 위한 연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추적 장비가 추적할 경우 해당 장비의 위치로부터 비행체의 추적 정보(사거리, 방위각, 고각)가 수신 처리되고 비행체의 위치정보(위도, 경도, 고도)가 계산된다.
이 정보는 공통 패킷으로 전송되고, 두 번째 추적 장비는 이 공통 패킷을 수신 받는다. 두 번째 추적 장비는 자기 장비의 기준위치를 입력하여 현 위치로부터 비행체의 추적 정보(사거리, 방위각, 고각 정보)를 계산하고 추적을 위한 연동 정보로 이용한다.
추적이 실패할 경우 장비별 추적 상태를 확인하고 추적 우선순위 설정에 의해 연동할 추적 정보를 선택한다(단계 S505). 추적 정보가 선택되면 추적 장비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역 좌표변환을 수행하여 사거리, 방위각, 고각으로 변환하고 UDP 또는 DDS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동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506). 비행체 추적이 끝나면 시스템은 종료된다(단계 S507).
101...추적 장비 A
102...광/마이크로웨이브 통신
103...추적 정보 수신부
104...좌표 변환부
105...연동 정보 처리부
106...좌표 역변환부
107...연동 정보 송신부
108...일반적인 이종 추적 장비 자료 처리 장치
110...추적 장비 N
111...광/마이크로웨이브 통신
200,210...이종 추적 장비의 자료 처리 장치
201,211...추적 장비
202,212...추적정보 수신부
203,213...좌표 변환부
204,214...연동 정보 처리부
205,215...좌표 역변환부
206,216...연동정보 송신부
208...통신망
201,211...추적 장비

Claims (8)

  1. 다수의 추적 장비로부터 선택된 비행체의 제 1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추적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제 1 추적 정보를 좌표 변환에 의해 제 1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의 장비별 추적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 중 특정 추적 장비와 연동되는 다른 추적 장비의 연동 정보를 선택하는 연동 정보 선택 단계;
    선택된 연동 정보의 제 2 위치 정보를 역좌표 변화에 의해 제 2 추적 정보로 변환하는 역좌표 변환 단계; 및
    상기 특정 추적 장비가 상기 제 2 추적 정보를 공통 패킷으로 수신하는 공통 패킷 수신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정보 선택 단계는,
    추적 위치 초기값을 다수의 추적 장비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간 연동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최우선 순위의 추적 장비와 차순위의 추적 장비의 추적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 및
    조사 결과에 따라 순위별로 추적 장비간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정보는 사거리, 방위각, 및 고각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패킷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토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변환은 WGS(Worldwide Geological System)-84 또는 Bessel1814 좌표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는 레이더, 광학 추적 장비 및 원격측정 장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패킷은 추적 장비 고유 식별자, GPS시각, 추적 장비 기준위치, WGS84 기준 비행체 위치, BESSEL1814기준 비행체 위치, 추적 장비 기준 비행체 관측값, 비행체 자세정보, 발사점 좌표, 탄착점 좌표, 발사각, 비행체 속도, 비행체 이동방향, 신호대 잡음비율, 및 에러 점검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8. 다수의 추적 장비로부터 선택된 비행체의 제 1 추적 정보를 수신받는 추적 정보 수신부;
    상기 제 1 추적 정보를 좌표 변환에 의해 제 1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의 장비별 추적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추적 장비 중 특정 추적 장비와 연동되는 다른 추적 장비의 연동 정보를 선택하는 연동 정보 처리부;
    선택된 연동 정보의 제 2 위치 정보를 역좌표 변화에 의해 제 2 추적 정보로 변환하는 역좌표 변환부; 및
    상기 제 2 추적 정보를 상기 특정 추적 장비에 공통 패킷으로 송신하는 연동 정보 송신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장치.
KR20140043546A 2014-04-11 2014-04-11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0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546A KR101509120B1 (ko) 2014-04-11 2014-04-11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546A KR101509120B1 (ko) 2014-04-11 2014-04-11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120B1 true KR101509120B1 (ko) 2015-04-07

Family

ID=5303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3546A KR101509120B1 (ko) 2014-04-11 2014-04-11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1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475A (ko) * 2016-08-24 2018-03-06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예측기법을 이용한 추적 장비간 비행 위치 정보 연동장치 및 방법
KR20190020502A (ko) * 2017-08-21 2019-03-04 국방과학연구소 Dds 환경에서 비행체 추적 장비의 동적 연동 장치 및 방법
KR20190043024A (ko) * 2017-10-17 2019-04-25 국방과학연구소 예상 궤적을 이용한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210A (ko) * 2001-10-16 2003-04-26 박상래 3차원 목표영상 위치추적 방식의 지역방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137413A (ko) * 2007-12-19 2010-12-30 아이브이오 리서치 리미티드 이동체 경쟁 구현 시스템
KR20110125803A (ko) * 2010-05-14 2011-11-22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체 위치 추적 자료 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합 방법
KR101213597B1 (ko) 2011-03-11 2012-12-18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시험 수행을 위한 계측 레이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210A (ko) * 2001-10-16 2003-04-26 박상래 3차원 목표영상 위치추적 방식의 지역방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137413A (ko) * 2007-12-19 2010-12-30 아이브이오 리서치 리미티드 이동체 경쟁 구현 시스템
KR20110125803A (ko) * 2010-05-14 2011-11-22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체 위치 추적 자료 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합 방법
KR101213597B1 (ko) 2011-03-11 2012-12-18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시험 수행을 위한 계측 레이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475A (ko) * 2016-08-24 2018-03-06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예측기법을 이용한 추적 장비간 비행 위치 정보 연동장치 및 방법
KR101894242B1 (ko) * 2016-08-24 2018-09-04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예측기법을 이용한 추적 장비간 비행 위치 정보 연동장치 및 방법
KR20190020502A (ko) * 2017-08-21 2019-03-04 국방과학연구소 Dds 환경에서 비행체 추적 장비의 동적 연동 장치 및 방법
KR102093889B1 (ko) * 2017-08-21 2020-05-27 국방과학연구소 Dds 환경에서 비행체 추적 장비의 동적 연동 장치 및 방법
KR20190043024A (ko) * 2017-10-17 2019-04-25 국방과학연구소 예상 궤적을 이용한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038049B1 (ko) * 2017-10-17 2019-10-29 국방과학연구소 예상 궤적을 이용한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Aeronautical $ Ad~ Hoc $ networking for the Internet-above-the-clouds
CN106357313B (zh) 面向无人机通信的mimo中继信道中断概率计算方法
RU2309543C2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с подвижными объектами
JP6410849B2 (ja) モバイル通信基盤のための複モデム式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041763A1 (en) Location-Based Services Provided via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WO2019109989A1 (zh) 一种机载接收海上 ais 信号的模拟仿真系统及测试方法
US10338189B2 (en) Metadata-based emitter localization
Dymkova Applicability of 5G subscriber equipment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Shan et al. Machine learning-based field data analysis and modeling for drone communications
US10230451B2 (en) Airborne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9557516B (zh) 多目标空间信号的快速生成方法
KR101509120B1 (ko) 이종 추적 장비간 연동을 위한 자료처리 방법 및 장치
CN112055309A (zh) 一种通信方法以及相关设备
Kato et al. Location awareness system for drones flying beyond visual line of sight exploiting the 400 MHz frequency band
RU2544007C2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с подвижными объектами
Liu et al. 6G enabled advanced transportation systems
CN113746529B (zh) 一种机载卫星网络的切换方法
Yang et al. Multi-domain cooperative SLAM: The enabler for 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s
RU2530015C2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с подвижными объектами
CN103188600B (zh) 一种适应于dme系统工作频率的地空通信方法及系统
RU2427078C1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с подвижными объектами
RU2535923C1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с подвижными объектами
Silva et al. 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specification for multi-UAV system applied to scanning rocket impact area first results
RU2486675C1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с воздушными объектами
CN113853812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