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968B1 -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968B1
KR101508968B1 KR1020107018124A KR20107018124A KR101508968B1 KR 101508968 B1 KR101508968 B1 KR 101508968B1 KR 1020107018124 A KR1020107018124 A KR 1020107018124A KR 20107018124 A KR20107018124 A KR 20107018124A KR 101508968 B1 KR101508968 B1 KR 101508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
bearing
gear ring
rota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896A (ko
Inventor
에밀 노날디
Original Assignee
풀 부르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 부르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풀 부르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0011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C21B7/205Details concerning the gear-box driving the charge distribution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41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with chutes, deflector mean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Blast Furnac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Retarder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봉입물 내에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110, 210, 310, 410, 510, 610, 710), 특히, 조정가능한 분배수단(16)을 운반하는 회전가능 구조체(14)를 지지하는 고정 하우징(12)을 포함하는 샤프트로(shaft furnace)가 개시된다. 원주방향으로의 벌크소재의 분배는 회전가능 구조체(14)와 함께 분배수단(16)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반경방향으로의 벌크소재의 분배는 분배수단(16)의 조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적재장치의 중심축(A)에 대하여 분배수단(16)을 회전하기 위해, 상기 장치(110, 210, 310, 410, 510, 610, 710)는 제 1 회전레이스(128)을 포함하는 제 1 고정레이스(124, 324)을 가지는 제 1 회전베어링(122)을 포함한다. 제 1 회전레이스는 회전가능 구조체를 회전하기 위한 제 1 드라이브와 연동하고 분배수단 근처의 제 1 기어링(130, 430, 530, 730)에 결합된다. 분배수단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제 2 회전레이스(138)을 포함하는 제 2 고정레이스(134, 334)을 가지는 제 2 회전베어링(132)을 포함한다. 제 2 회전레이스는 분배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제 2 드라이브와 연동하는 제 2 기어링(14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회전레이스(128)이 제 2 회전레이스(138)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배치되고, 제 1 고정레이스(124, 324)은 제 2 고정레이스(134, 334)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배치되며, 제 2 회전베어링(132)은 축방향으로 제 1 회전베어링(122)과 겹친다.

Description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A charging device for distributing bulk materia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블래스트로(爐)(blast furnace)와 같은 야금반응로(metallurgical reactor)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년간, BLT(bell-less top)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적재 시스템이 블래스트로를 적재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시스템은 스톡라인(stockline)상에 벌크소재(bulk material)를 분배하기(distributing) 위해 수직 노축(vertical furnace axis)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rotatable) 수평축(horizontal axis)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pivotable) 탑재된 분배슈트(distribution chute)를 가지는 적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장치는 또한 원하는 적재 프로필(desired charging profile)에 따라 상기 분배슈트를 회전 및 피봇하는 각각의 드라이브(drive)와 연동하는(cooperating) 기어구조(gear mechanism)가 설치된다. 상기 슈트를 수직 노축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슈트의 경사(inclination)를 변화시킴으로써(varying), 벌크소재(적하물(burden))를 실질적으로(virtually) 적재면(charging surface)의 임의의 지점(any point)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direct)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많은 이점들 외에도, BLT 시스템은, 그 적재면에 적하물의 분배에 있어서의 자유로움(versatility)으로 인해 적재 프로필의 폭넓은 다양성(wide variety)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타입의 적재장치의 예는 미국특허 제3,880,30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특허문헌은 샤프트로(shaft furnace) 내에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피봇조정가능한(pivotally adjustable) 분배슈트(adjustable distribution chute)(208)의 형태로 조정가능 분배수단(adjustable distribution means)을 포함하는 회전가능 구조체(rotatable structure)(228, 234, 236)를 지지하는 고정 하우징(stationary housing)(204)을 포함한다. 회전가능 구조체(228, 234, 236)의 회전은 벌크소재의 원주방향 분배(circumferential distribution)를 가능하게 하는 반면, 피봇조정가능한 분배슈트(208)는 벌크소재의 반경방향 분배(radial distribution)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제 1 회전베어링(rolling bearing)은, 롤러그룹(groups of rollers)(216, 218, 220)을 포함하는 제 1 고정레이스(stationary race)(214)과, 제 1 기어링(gear ring)(212)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레이스를 포함한다. 기어링(212)은 회전가능 구조체(228, 234, 236)를 회전하기 위해 제 1 드라이브(drive)(1)와 연동한다. 제 2 회전베어링은, 롤러그룹(256, 258, 260)을 포함하는 제 2 고정레이스(254)과, 제 2 기어링(212)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레이스를 포함한다. 제 2 기어링(242)은 분배슈트(208)의 피치각(pitch angle)을 조정하기 위해 제 2 드라이브(25)와 연동한다. 미국특허 제3,880,302호에 개시된 설계(design)에 근거한 적재장치는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증명되었고 따라서 산업 전반에 걸쳐 지난 수십년간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적재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의 높이(construction height)와 같이, 그 설계에는 더욱 개선될 여지가 남아 있다. 사실상, 상기 특허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슈트(208)를 회전 및 피봇하기 위한 기어링(212, 242), 베어링(216, 218, 220, 256, 258, 260) 및 기어박스(270, 272)와 같은 수많은 구성요소의 배치에 요구되는 공간에 기인하는 일정한 최소 높이가 적재장치에 의해 필수적으로 점유된다. 중국 실용신안공보 CN 2595815 Y호는 피봇조정가능한 방식(pivotally adjustable manner)으로 분배슈트를 운반하는(carry) 회전가능 구조체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가지는 적재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회전하기 위한 제 1 기어링은 상기 슈트를 피봇하기 위해 내측으로 마주하는(inwardly facing) 제 2 기어링보다 상당히 작은 직경(diameter)을 가진다. 그것에 의해, 일정량의 높이 감소가 제 1 기어링으로 인해 달성될 수 있고, 제 2 기어링이, 예를 들면, 동일한 축방향 위치(axial location)에서, 수직으로 겹치는(vertically overlapping)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종래기술의 장치를 통하여, 특히, 최초의(initial) 현장 설치(on-site installation)뿐만 아니라, 유지관리(maintenance)를 위한 적재장치의 조립(assembly) 및 분해(disassembly)는, 회전베어링 및 기어링들의 배치로 인해 그중에서도 특히 상대적으로 복잡하고(complicated) 시간이 소모되는(time-consuming)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간략화된 구조(simplified assembly)의 설계(design)를 가능하게 하는 적재장치(charging device)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에 따른 적재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적재장치는, 봉입(enclosure), 특히, 샤프트로(爐)(shaft furnace) 내에 벌크소재(bulk material)를 분배하기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상기 장치는 회전가능 구조체(rotatable structure)를 지지하는 고정 하우징(stationary housing)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는, 조정가능한 방식(adjustable manner)으로 분배수단(distribution means), 일반적으로 분배슈트(distribution chute)을 운반한다(carry). 원주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의 벌크소재의 분배는 회전가능 구조체와 함께 분배수단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으로의 벌크소재의 분배는 조정에 의해, 일반적으로 분배수단의 피봇 조정(pivotal adjustment)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적재장치의 중심축(central axis)에 대하여 분배수단을 회전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제 1 회전레이스(rotary race)를 운송하는(bears) 제 1 고정레이스(stationary race)를 가지는 제 1 회전베어링(rolling bearing)을 포함한다. 제 1 회전레이스는 회전가능 구조체를 회전하기 위한 제 1 드라이브(first drive)와 연동하고 분배수단 근처의 제 1 기어링(gear ring)에 결합된다. 분배수단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제 2 회전레이스를 포함하는 제 2 고정레이스를 가지는 제 2 회전베어링을 포함한다. 제 2 회전레이스는 분배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말단(latter)을 피봇하기 위한 제 2 드라이브(second drive)와 연동하는 제 2 기어링에 결합된다.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적재장치는 제 1 고정레이스이 존재하는 내면(inner side)과 제 2 고정레이스이 존재하는 외면(outer side)을 가지는 고정레이스 유닛(stationary race unit)을 가진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레이스 유닛은 제 1 회전레이스가 제 2 회전레이스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radially inward) 배치되고, 제 1 고정레이스는 제 2 고정레이스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고정레이스는 회전레이스 사이에 유닛(unit)으로서 배치된다. 구조물의 높이(constructional height)를 줄이기 위해, 제 2 회전베어링은 제 1 회전베어링과 축방향으로 겹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시된 고정레이스 유닛에 고유한 홈의 반경방향의 지향(radial orientations) 및 위치는 적재장치의 간략화된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축방향으로 겹친다"는 기재는, 제 1 회전베어링이 제 2 베어링에 의해 점유되는 고리형 공간(annular space) 내에 위치된 원통형 볼륨(cylindrical volume)의 적어도 일부, 즉, 제 2 베어링의 내측 반경(inner radius) 및 베어링 폭(bearing width)(축방향 치수(axial dimension))에 의해 한정되는 볼륨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치수결정 및 배치된다. 실제로, 제 1 회전 및 고정레이스는 각각 실질적으로 제 2 회전 및 고정레이스보다 작은 회전면 치수를 각각 가지며, 제 1 회전베어링은 제 2 회전베어링의 내측(inside)에 꼭 맞도록 하는 반경치수(radial dimension)를 가질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말단(latter)이 전단(forme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거나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의 적어도 일부가 내포되는 구성에 의해, 적재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부(또는 유닛(unit))"라는 기재는, 몇 개의 부분(several parts)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특정한 기능(specific function)을 가지는, 즉, 고정레이스들을 가지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매우 치밀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고정레이스 유닛로서 기능하고, 각 부분이 제 1 고정레이스의 부분이 존재하는 내면과 제 2 고정레이스의 부분이 존재하는 외면을 가지는 양면부(double-sided parts)의 단일 구조체(single assembly)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레이스 유닛은 제 1 회전레이스를 포함하는 제 1 고정레이스와 제 2 회전레이스를 포함하는 별도의(separate) 제 2 고정레이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별도의 고정레이스는 서로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나란히 배치된다.
수직방향으로의 치밀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고정레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이 동일 또는 적어도 근접하게 위치된 축방향 베어링 위치(axial bearing location), 즉, 가장 작은 베어링 폭의 절반보다 작은 거리만큼 떨어진 베어링 위치(즉, 가장 작은 베어링의 축방향 치수)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동일한 축방향 베어링 위치와 동일한 베어링 폭의 경우, 제 1 회전베어링은 제 2 회전베어링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내부에 완전히 포함될 수 있다. 장치의 수직 구조물 높이를 더욱 줄이기 위해, 고정레이스는 고정하우징(stationary housing)의 상부 덮개판(top cover plate)의 아래면(underside)에 근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베어링의 축방향 겹침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가능 구조체를 회전하기 위한 제 1 기어링은 분배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제 2 기어링보다 더 작은 피치 직경(pitch circle diameter)을 가진다. 더욱 구조적 간략화를 위해, 제 1 기어링은 반경방향으로(radially) 내측으로 대향하는 톱니를 가지는 반면, 제 2 기어링은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대향하는 톱니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회전레이스 및 제 1 기어링은 일체로 형성된다(integrally formed). 이는 또한 제 2 회전레이스 및 제 2 기어링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회전베어링은 롤러 베어링 타입의 결합된(combined) 반경 및 축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회전가능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플랜지(connection flange)의 수단에 의해 제 1 회전레이스에 직접 고정된다.
적재장치의 일반적인 적용에 있어서, 분배수단은 각도적으로 조정가능한(angulary adjustable) 방식으로 회전가능 서포트(rotatable support) 상에 지지되는 분배슈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슈트는 일반적으로 상기 구조의 회전축에 수직인 피봇축(pivoting axis)에 대하여 피봇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장치는 분배슈트의 피봇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기어링의 수단에 의해 조작가능한 조정 트랜스미션(adjustment transmission)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이하에 제시되는 적재장치는 어떠한 종류의 봉입물(enclosure)을 적재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반응로 내에 벌크 반응물질(bulk reactants)을 적재하기 위해, 특히, 블래스트로(爐)(blast furnace)와 같은 야금반응로(metallurgical reactor)에 적하물(burden)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내용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몇 가지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vertical cross sectional view)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4 또는 제 5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는 회전요소 베어링 배치(rolling element bearing arrangement)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4 또는 제 5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회전요소 베어링 배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각각의 수직 단면도는 도시된 적재장치의 중심축(A)에 직각으로 제 1 면을 교차하는 제 1 수직면(vertical plane)(도 1 내지 도 7의 좌측)의 절반 및 제 2 수직면(도 1 내지 도 7의 우측)의 절반에 대한 구성도(composed view)이다.
도 1은 야금반응로(metallurgical reactor)과 같은, 봉입물(enclosure)에 벌크소재(bulk material)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110)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인 그러나 제한하지 않는 적용에 있어서, 적재장치(110)는 샤프트축(shaft axis)과 일치하는 장치의 중심축(A)을 가지는 블래스트로(도시하지 않음)의 노구(throat)에 설치된다. 적재장치(110)는 고정하우징(stationary housing)(12)을 포함한다. 회전가능 구조체(rotatable structure)(14)는 수직축(A)에 대한 회전을 위해 하우징(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다. 상기 구조체(14)는 피봇 조정가능한(pivotally adjustable) 분배슈트(distribution chute)(16)(도 1의 우측 단면도에 속하는 측면 상승(side elevation)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됨)와 같은 분배수단을 운송한다. 슈트(16)는 수평축(B)에 대하여 슈트(16)를 피봇하기 위한, 즉, 각도적으로 슈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샤프트 상의 회전가능 구조체(14)에 탑재된다. 회전가능 구조체(14) 및 그와 함께 분배슈트(16)의 축(A)에 대한 회전은 벌크 적재물(bulk charge material)(도시하지 않음)을 봉입물 내에 원주방향으로 분배하도록 한다. 축(B)에 대한 분배슈트(16)의 피봇 조정은 봉입물 내에 원주방향 적재 프로필의 반경을 설정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구조체(14)에 대한 슈트(16)의 각도 또는 피봇 위치 조정은 적재물(예를 들면, 블래스트로의 경우 럼프 철광석(lump iron ore) 및 코크스(coke))의 반경방향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슈트(16)의 피봇가능 조정을 위해, 회전가능 구조체(14)는, 분배슈트(16)의 측면 지지 플랜지(lateral supporting flanges)에 기능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고 상기 슈트(16)의 조정을 위한 트랜스미션으로서 작용하는,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기어박스(gear boxes)(20)(도 1이 좌측면에만 도시됨)를 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적재장치(110)는 일반적으로 압력 자물쇠(pressure locks)로서 작용하고 적재장치(110)의 중앙 공급구(central feed opening)(18)와 통하는 저장 호퍼(storage hopper)를 포함하는 적재물 공급설비(charge material feed installation) 아래에 배치된다. 동작중에, 적재물은 적재장치(110)의 중앙 공급구(18)를 통하여 분배슈트(16) 상의 벌크에 공급된다.
고정하우징(12)은 제 1 회전베어링(122)(통상적으로 회전 요소 베어링(rolling-element bearing) 또는 회전 접촉 베어링(rolling contact bering)이라고도 불리는)의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회전가능 구조체(14)를 지지한다. 제 1 회전베어링은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고정레이스(124)을 포함한다. 고정레이스(124)은, 도 1의 실시예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베어링 배치의 확대도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롤러 그룹(groups of cylindrical roller)(125, 126, 127)의 수단에 의해 회전레이스(128)를 운송한다(bear). 제 1 회전레이스(128)는 축(A)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톱니(131)를 가지는 제 1 기어(또는 톱니 휠(toothed wheel))링(130)에 결합된다. 더 상세하게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기어링(130)은 회전레이스(128)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회전요소 베어링(122)은 롤러 베어링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더 상세하게는 두 그룹의 원뿔(conical) 또는 원통형 수평롤러(horizontal rollers)(125, 127)와 하나의 그룹의 원뿔 또는 원통형 수직롤러(vertical rollers)(126)를 포함하는 결합된(combined) 반경 및 축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반경 및 축 스러스트 베어링의 다른 적합한 형태는 제외되지 않았다. 실제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회전베어링(122)은 한편, 예를 들면, 슈트(16)와 기어박스(20), 그리고 슈트(16)상의 적재물의 무게와 같은 그 부속물(accessories)을 포함하는, 회전가능 구조체(14)의 무게에 기인한 수 톤(예를 들면, ca. 25,000kg)의 주요한(considerable) 축 부하(axial load)를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다. 한편, 회전요소 베어링(122)은 또한 회전가능 구조체(14)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반경방향 부하(radial load)(부속물과 슈트(16)상의 적재물을 포함하는)를 지지하기 위해서도 설계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재장치(110)의 제 2 회전베어링(132)은, 예를 들면, 베어링볼(bearing balls)(135)(도 8 참조)에 제 2 회전레이스(138)를 운송하는 제 2 고정레이스(134)를 포함한다. 고정레이스(134)는 반경방향의 외측으로(radially outward), 즉, 제 1 기어링(130)의 톱니(131)와 반대 방향으로 대향하는 톱니(141)를 가지는 제 2 기어링(140)에 결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기어링(140)과 일체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회전베어링(132)은 축 방향의 주요한 부하를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질적으로 반경방향 부하(기어링(140, 142), 아래 참조)를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제 2 회전베어링(132)은 임의의 타입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볼 베어링이나, 또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반경 롤러(radial roller), 니들(needle) 또는 테이퍼진 롤러 베어링(tapered roller bearing)일 수도 있다.
적재장치(11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 1 기어링(130)은 회전가능 구조체(14)를 회전하기 위해 제 1 드라이브(50)와 연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제 1 드라이브(50)는 제 1 샤프트(54)를 구동하기 위해 유성기어 트레인(planetary gear train)(52)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샤프트(54)는 제 1 기어링(130)의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피니언(pinion)(56)을 운반한다. 제 1 피니언(56)은 제 1 드라이브(50)의 작용에 의해 회전가능 구조체(14)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내측으로 대향하는 제 1 기어링(130)과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가능 구조체(14)는 연결 플랜지(connection flange)(58)의 수단에 의해 제 1 회전레이스(128) 및 제 1 기어링(130)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은, 슈트(16) 및 그 위에 임의의 적재물을 포함하는 회전가능 구조체(14)의 부하를, 제 1 회전베어링(122)의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 기어링(140)은 분배슈트(16)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를 조정하기 위해 보조의(auxiliary) 제 2 드라이브(60)와 연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제 2 드라이브(60)는 제 1 샤프트(54)에 대한 오프셋(offset)이며 제 2 기어링(140)과 맞물리는 제 2 피니언을 운반하는 제 2 샤프트(64)를 구동하기 위해 유성기어 트레인(52)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대향하는 톱니(143)를 가지는 제 3 기어링(142)은 제 2 기어링(140) 및 제 2 회전레이스(138)에 연결된다. 제 3 기어링(142)은 슈트(16)를 피봇하기 위해 각 기어박스(20)의 드라이브 샤프트에 탑재되는 한 쌍의 제 3 피니언(68)(하나의 피니언(68) 만이 도시됨)과 맞물린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샤프트(64) 및 제 2 피니언(66)은 제 2 기어링(140)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기어링(142)은 제 2 기어링(140) 및 제 2 회전레이스(13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기어링(142)은 별도의 부분으로서 제 2 기어링(140)의 하측 정면(downward front surface)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한, 인접하는 제 2 회전레이스(138)에 고정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도,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제 2 회전레이스(138)와 제 2 기어링(1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유성기어 트레인(52, 452, 552, 652, 752)은 제 1 드라이브(50)만의 작용에 의해 제 1 기어링(130)과 동일한 회전속도(rotation speed)로 제 2 기어링을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보조적 제 2 드라이브(60)는 제 1 기어링(130)에 비례하여 제 2 기어링(140)의 비례적인 회전을 위해서만 동작된다. 적절한 유성기어 트레인(52, 452, 552, 652, 752)의 더욱 상세한 내용은 미국특허 US 3,880,302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유성기어 트레인(52)은 적재장치(110)의 동작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기어링(130)을 구동하기 위해 기능적 및 구조적으로 독립된 드라이브 트레인(drive train)에 결합되는 2개의 드라이브의 배열 또한 가능하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회전레이스(128)가 제 2 회전레이스(138)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고정레이스(124)은 제 2 고정레이스(134)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회전베어링(132)의 반경방향 내측에 설치된 제 1 회전베어링(122)과 축방향으로 겹치는 제 2 회전베어링(132)의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122, 132)의 각각의 축방향 위치(베어링 폭)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일치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122, 132)이 동일한 축방향 베어링 위치를 가지듯이, 고정레이스(124, 134)는 회전레이스(128, 138)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회전베어링(122)은 제 2 회전베어링(132)에 내포, 즉, 제 2 회전베어링(132)의 내측(inward) 및 내면(inside)에 포함된다. 이러한 배치는 회전베어링(122, 132)의 특정한 반경방향 치수의 선택에 의해 가능해진다.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최내측(innermost) 제 1 회전레이스(128)의 회전경로 직경(rolling path diameter)은, 제 2 고정레이스(134)의 그것보다 작고, 차례로 최외부(outermost) 제 2 회전레이스(138)의 그것보다 작은, 제 1 고정레이스(124)의 그것보다 작다. 더욱이, 도 1의 실시예에서, 내측으로 대향하는 제 1 기어링(130)의 피치 서클 직경(pitch circle diameter)은 외측으로 대향하는 제 2 기어링(140)의 그것보다 작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122, 132)의 (전체) 축방향 겹침은 적재장치(110)의 구조의 전체적인 높이의 상당한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베어링(122, 132)의 부분적인 축방향 겹침, 즉, 베어링(122, 132)의 홈의 중심의 수직 오프셋을 가지는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베어링(122, 132)이 도시의 목적을 위하여 스케일 업(scaled up) 되었으므로, 이러한 고려에서 도면의 비율이 조정되지 않았음에 유념해야 한다.
도 8 내지 도 9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적재장치(110)는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대향하는 제 1 고정레이스(124)를 가지는 제 1 내측면(inner side) 및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대향하는 제 2 고정레이스(134)를 가지는 제 2 외측면(outer side)을 가지는 양면부(double-sided parts)의 단일 구조체(single assembly)(880)로 이루어진 고정레이스 유닛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고정레이스 구조체(880)는 하우징(12)의 상단 커버플레이트(top cover plate)(70)의 하면의 바로 가까이에 고정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적재장치(2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축방향으로 겹치는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적재장치(210) 사이의 유일한 주된 차이점은 기어박스(20)의 한 쌍의 피니언(68)과 맞물리는 외측으로 대향하는 톱니(243)를 가지는 제 3 기어링(242)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감소된 피치 서클 직경을 가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제 3 기어링(242)이 제 2 기어링(140)에 고정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같은 수단에 의해 축소 슬리브(reducing sleeve)(72)가 설치된다. 도 2의 구성은 기어박스(20)를 축(A)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장치(210)의 요구되는 수평면 공간(horizontal floor space)이 적재장치(110)에 비교하여 감소된다. 장치(110)에 관련하여 상기한 다른 부분들은 장치(2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적재장치(3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적재장치(310) 사이의 유일한 주된 차이점은 적재장치(310)가 제 1 고정레이스(324) 및 별도의(separate) 제 2 고정레이스(334)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비록 고정레이스(324, 334)가 회전레이스(128, 138) 사이에 유닛으로서 배치되더라도, 이들이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일 중심 양면홈 구조체(single central double-sided race assembly)(88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2)의 상단 커버플레이트(70)의 하면에 나란히 고정된 별도의 홈으로서 설치된다. 비록 이 실시예가 반경방향으로 조금 더 많은 공간을 요구할 수도 있으나, 주어진 적용(application)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면홈 구조체(880)가 제조(manufacture)하기에 비경제적(uneconomical) 또는 어려운 경우에는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배치는 또한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122, 132)의 (전체) 축방향 겹침에 의해 적재장치의 높이를 감소하도록 할 수 있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장치(110)에 관련하여 상기한 다른 부분들은 장치(3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는 적재장치(410)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122, 132)의 배치는 도 1 및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적재장치(410)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기어링(430)의 배치 및 구성에 있다. 제 1 기어링(430)은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대향하는 톱니(431)를 가지고 배치된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제 1 기어링(430)은 하우징(12)의 커버플레이트(70) 상단의 보호덮개(protection cover)(474)의 제 1 회전레이스(128) 위에 동축으로(coaxially above) 배치된다. 도 1과 대조적으로, 도 4의 제 1 기어링(430)은 제 1 기어링(430) 및 제 1 고정레이스(124)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 1 샤프트(454) 상의 제 1 피니언(456)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 1 샤프트(454)는 축(A)로부터 더 큰 거리(distance)만큼 오프셋을 가진다. 그러므로, 유성기어 트레인(452)은 샤프트(454, 64) 사이에 더 작은 오프셋을 가지고, 축(A)의 증가된 거리에 배치되는 최내측면(innermost side)을 가진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중앙 공급구(central feed opening)(18)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장치(110)에 관련하여 상기한 다른 부분들은 장치(4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8 또는 도 9와 마찬가지로, 제 1 기어링(430)은 제 1 회전레이스(128)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별도의 부분으로서 제 1 회전레이스(12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적재장치(510)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122, 132)의 배치는 도 1 및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적재장치(51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적재장치(510)와 도 1에 나타낸 것의 주된 차이점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기어링(530)의 배치 및 구성에 있다. 확장 슬리브(extension sleeve) 또는 확장디스크(extension disc)(576)의 수단에 의해 제 1 회전레이스(128)에 별도의 부분으로서 고정된 제 1 기어링(530)은,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대향하는 톱니(531)를 가지고 배치된다. 더욱이, 제 1 기어링(5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기어링(140)과 동일한 피치 서클 직경을 가진다. 제 1 기어링(530)과 맞물리는 제 1 피니언(556)을 운송하는 제 1 샤프트(554)는, 결과적으로 제 2 샤프트(64)가 동축으로 지나가는(pass coaxoally) 공동(空洞) 샤프트(hollow shaft)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유성기어 트레인(552)이 구성된다. 그러므로,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이점을 제공한다. 장치(110)에 관련하여 상기한 다른 부분들은 장치(4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은 적재장치(6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적재장치(6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대부분이 동일하다. 차이점은 제 1 피니언(56)을 어떻게 구동하는가에 있다. 도 6의 적재장치(610)는, 제 1 피니언(56)이, 즉, 상기한 실시예들과 같이 유성기어 트레인(652)의 샤프트에 직접이 아니라, 중간샤프트(intermediate shaft)(654)의 하단(lower end)에 지지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성기어 트레인(652)의 출력샤프트(output shaft)(655)는 중간샤프트(654)의 상단(upper end)에 고정되는 제 2 중간피니언(653)과 맞물리는 제 1 중간피니언(651)을 운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651, 653) 및 샤프트(654)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기어(intermediate gear)는 유성기어 트레인(652)의 출력샤프트(64, 655) 사이에 더 작은 오프셋을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더 작은 사이즈의 유성기어 트레인(652)이 사용될 수 있고 중앙 공급구(18) 주위의 부가적인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조 4이 적재장치(410)의 확장(enhancement)으로서 나타내질 수 있는 적재장치(7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 및 도 1 내지 도 3과 도 5 내지 도 6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적재장치(710)는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대향하는 톱니(731)를 가지고 배치되는 제 1 기어링(730)을 가진다. 제 1 기어링(730)은 회전레이스(128) 위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말단(latter)에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도 4에 비하여 주된 차이점은 제 1 기어링(730)이 하우징(12) 내에 배치되어 부가적인 보호 케이싱(protection casing)이 필요 없다는 것에 있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적재장치는, 하우징(12) 내측의 제 1 기어링(730)과 제 1 피니언(56)에 공간을 설치하기 위해 커버플레이트(7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고리형 스페이서 슬리브(ring-shaped spacer sleeve)(778)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레이스(124)과 제 2 고정레이스(134)을 가지는 고정레이스 유닛은 이러한 스페이서 슬리브(778)의 하단의 하우징(12)에 부착된다. 따라서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7의 적재장치(71)는, 예를 들면, 종래기술의 설비로부터 이용가능한 것처럼, 간략화된 설계의 유성기어 트레인을 사용하도록 하며 공급구(18) 주위의 부가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7에 나타낸 방법에 따른 도 5의 적재장치(510)의 개선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이 축(B)에 대하여 피봇 조정가능한 분배슈트(16)를 포함하는 적재장치(110, 210, 310, 410, 510, 610, 710)를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타입의 조정가능 분배수단도 본 발명의 회전베어링 배치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세로축(longitudinal axis)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슈트 형태(shape)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분배가능하도록 하는 분배슈트가 피봇 조정가능한 분배슈트(1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분배수단은 유럽특허문헌 EP 1,453,983호에 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적재면 위에 슈트 배출구(chute outlet)를 위치결정(positioning) 하기 위해 축(A)으로부터 오프셋을 가지는 제 2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분배슈트가 제시된 회전베어링 배치의 이점을 취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후자와 같은 종류의 예는 Soviet Inventor's Certificate SU 1,669,9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로 돌아가서, 장치(110, 210, 410, 510, 610, 710)에 사용하기 위한 베어링 배치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베어링 배치는 내측 제 1 회전(요소)베어링(122)과 외측 제 2 회전(요소)베어링(132)을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레이스 유닛은 제 1 고정레이스(124)를 형성하는 내측면과 제 2 고정레이스(134)를 형성하는 외측면을 가지는 중앙 단일 양면구조체(880)이다. 따라서 단일 밀착 구조체(single coherent assembly)(880)는 그 반대 측면(opposite lateral faces)에 2개의 회전레이스(128, 138)를 운송한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레이스(124, 134)는 그들의 각 회전레이스(128, 138) 사이에 배치된다. 양면구조체(880)는 일반적으로 고리형태(annular shape)를 가지고,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자의 그 측면(side)에 고정레이스 트랙(track)의 부분(portion)을 설치하기 위해 각 부분이 양면인 상부 및 하부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회전레이스(128)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nose)가 내측 고정레이스(124)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구조체(880)는 두 베어링(122, 132)에 대하여 동일한 축방향 베어링 위치를 제공한다. 제 1 베어링(122)은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반경 및 축 스러스트 베어링과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어링 축 부하에 대한 두 그룹의 롤러(125, 127)와 베어링 반경 부하에 대한 1 그룹의 롤러(126)를 가진다. 비록 제 2 베어링(132)이 1 그룹의 볼(135)을 포함하는 볼베어링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제 2 베어링(132)의 회전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일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형 내측 회전레이스(128)은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131)를 가진다. 톱니(131)는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대향하고 제 1 기어링(130)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고리형 외측 회전레이스(138)은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기어링을 형성하는 톱니(141)를 가진다. 부가적인 기어링(142, 142`)은 제 2 외측 기어링(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도 8) 또는 별도의 부분으로서 그것에 부착될 수도 있다(도 8).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레이스 구조체(880)는 회전요소 그룹(125, 126, 127, 135) 및 그들의 회전경로의 마찰감소(lubrication)를 위한 윤활채널(lubricant channel)과 함께 설치된다.
본 특허출원은 원칙적으로 이하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발명에 관련하여 출원된 것이나, 상기한 도 8 내지 도 9의 설명이 베어링 배치, 즉, 구조체(880) 및 그와 같은 구조에 관한 또 다른 발명의 정의에 대한 지원을 포함한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본 출원에서 수정된 청구항의 주제 또는 분할 및/또는 연속출원의 주제로서 청구될 수 있다. 그러한 주제는 임의의 특징 또는 상기에 개시된 특징들의 결합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베어링 배치의 주된 이점은 간단하게 요약될 수 있다. 베어링(122, 132, 622, 632)의 축 겹침은 장치 구조의 전체 높이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양면구조체(880)의 형태로 결합된 고정레이스의 경우에, 장치의 제조 및 조립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제시된 배치는 또한, 회전가능 구조체(14)가 단일 연결 플랜지(58)의 수단에 의해 간단한 과정으로 하우징(12)에 탑재될 수 있고, 베어링(122, 132)의 탑재가 용이하므로, 다른 것들 사이에서 적재장치의 현장 조립(on-site assembly)을 간략화하는데 기여한다.

Claims (13)

  1. 봉입물(enclosure) 내에 벌크 소재(bulk material)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charging device)(110, 210, 310, 410, 510, 610, 710)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조정가능 분배수단(16)을 가진 회전가능 구조체(14)를 지지하는 고정하우징(12);
    상기 회전가능 구조체(14)를 회전하기 위해 제 1 드라이브(50)와 연동하는 제 1 기어링(130, 430, 530)에 결합하는 제 1 회전레이스(128)를 지지하는 제 1 고정레이스(124, 324)를 포함하는 제 1 회전베어링(122); 및
    상기 분배수단(16)을 조정하기 위해 제 2 드라이브(60)와 연동하는 제 2 기어링(140)에 결합하는 제 2 회전레이스(138)을 지지하는 제 2 고정레이스(134, 334)를 포함하는 제 2 회전베어링(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 구조체(14)의 회전은 상기 벌크 소재의 원주방향 분배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분배수단(16)은 상기 벌크 소재의 반경방향 분배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 1 고정레이스(124, 324)가 존재하는 내측면과 상기 제 2 고정레이스(134, 334)가 존재하는 외측면을 가지는 고정레이스 유닛은, 상기 제 1 회전레이스(128)가 상기 제 2 회전레이스(138)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레이스(124, 324)가 상기 제 2 고정레이스(134, 334)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전베어링(132)이 상기 제 1 회전베어링(122)과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이스 유닛은 양면 부분의 단일 구조체(8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이스 유닛은 제 1 고정레이스(324) 및 상기 제 1 고정레이스(324)에 근접하여 배치된 별도의 제 2 고정레이스(3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이스(124, 134, 324, 334)는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베어링(122, 132)이 동일한 축 베어링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 구조체(14)를 회전하기 위한 상기 제 1 기어링(130, 430, 730)은 상기 분배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상기 제 2 기어링(140)보다 더 작은 피치 서클 직경(pitch circle diameter)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레이스(128) 및 상기 제 1 기어링(130, 430, 73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회전레이스(138)와 상기 제 2 기어링(1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링(130)은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대향하는 톱니(131)를 가지고, 상기 제 2 기어링(140)은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대향하는 톱니(14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회전가능 구조체의 회전축(A)에 수직인 피봇축(B)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 탑재되는, 각도조정가능 분배슈트(16)와,
    상기 분배슈트(16)의 피봇각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기어링(140)에 의해 조작가능한 조정 트랜스미션(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베어링(122)은 롤러 베어링 타입의 결합된 반경 및 축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고,
    상기 고정하우징(12)은 상기 제 1 회전베어링(122)에 의해 상기 회전가능 구조체(14)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 구조체(14)는 연결 플랜지(58)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레이스(12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레이스(124, 134, 324, 334)은 상기 고정하우징(12)의 상단 커버플레이트(70)의 하면에 근접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재장치(110, 210, 310,, 410, 510, 510, 610, 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로.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110, 210, 310, 410, 510, 610, 710)는 반응로(reactor) 내의 벌크 형태의 적하물을 분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KR1020107018124A 2008-01-30 2009-01-26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 KR101508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91412A LU91412B1 (en) 2008-01-30 2008-01-30 Charging device for distributing bulk material
LU91412 2008-01-30
PCT/EP2009/050842 WO2009095371A1 (en) 2008-01-30 2009-01-26 A charging device for distributing bulk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896A KR20100114896A (ko) 2010-10-26
KR101508968B1 true KR101508968B1 (ko) 2015-04-06

Family

ID=3947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124A KR101508968B1 (ko) 2008-01-30 2009-01-26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8353660B2 (ko)
EP (1) EP2235219B1 (ko)
JP (1) JP5384525B2 (ko)
KR (1) KR101508968B1 (ko)
CN (2) CN201158671Y (ko)
AT (1) ATE519868T1 (ko)
AU (1) AU2009209695B2 (ko)
BR (1) BRPI0906955B1 (ko)
CA (1) CA2712377C (ko)
DE (1) DE09706871T1 (ko)
EA (1) EA016845B1 (ko)
ES (1) ES2370299T3 (ko)
LU (1) LU91412B1 (ko)
MX (1) MX2010008337A (ko)
MY (1) MY150479A (ko)
PL (1) PL2235219T3 (ko)
TW (1) TWI440809B (ko)
UA (1) UA97579C2 (ko)
WO (1) WO2009095371A1 (ko)
ZA (1) ZA2010052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91412B1 (en) * 2008-01-30 2009-07-31 Wurth Paul Sa Charging device for distributing bulk material
LU91565B1 (en) * 2009-05-07 2010-11-08 Wurth Paul Sa A shaft furnace charging installation having a drive mechanism for a distribution chute.
CN101696846B (zh) * 2009-10-26 2011-07-20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辊式松动装置
CN102052849B (zh) * 2010-06-18 2012-09-19 四川龙蟒矿冶有限责任公司 一种电炉连续多点布料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1637A1 (de) * 1998-12-30 2000-07-06 Sms Demag Ag Gichtverschluß für Schachtöfen
US20030180129A1 (en) 2000-09-20 2003-09-25 Emile Lonardi Variable device for bulk material distribution with rotary chute having variable angle of inclination
CN102361637A (zh) * 2010-01-29 2012-02-22 株式会社资生堂 氧化还原相关因子表达促进剂
CN102595815A (zh) * 2012-02-16 2012-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免接地网络箱机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302A (en) * 1888-08-21 Motor engine worked by combustible gas
JPS4834082B1 (ko) * 1970-01-24 1973-10-18
LU65312A1 (ko) * 1972-05-08 1972-08-23
LU65537A1 (ko) 1972-06-16 1972-10-25
LU80112A1 (ko) * 1978-08-16 1979-01-19
LU82173A1 (fr) * 1980-02-15 1980-05-07 Wurth Sa O Dispositif de chargement pour fours a cuve
LU84521A1 (fr) * 1982-12-10 1984-10-22 Wurth Paul Sa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d'une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JPS59107010A (ja) * 1982-12-13 1984-06-21 Nippon Steel Corp 高炉装入装置の潤滑装置
JPH0617493B2 (ja) * 1988-03-09 1994-03-09 川崎製鉄株式会社 ベルレス式高炉炉頂装入装置の分配シュート駆動装置の設備診断方法
SU1669988A1 (ru) 1989-04-25 1991-08-15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доменной печи
US5228845A (en) * 1992-06-30 1993-07-20 Ford Motor Company External shaft bearing assembly
LU90319B1 (fr) * 1998-11-16 2000-07-18 Wurth Paul Sa Dispositif de r-partition de mati-res en vrac avec goulotte tournante - angle d'inclinaison variable
CN2361637Y (zh) * 1998-12-22 2000-02-02 冶金工业部包头钢铁设计研究院 能承受多向载荷的高炉布料溜槽倾动机构
US6540958B1 (en) * 1998-12-30 2003-04-01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Bell and hopper for shaft furnaces
LU90863B1 (en) 2001-12-13 2003-06-16 Wurth Paul Sa Charging device with rotary chute
CN2595815Y (zh) * 2002-11-19 2003-12-31 周南夫 高炉外传动布料器及其密封装置
LU91412B1 (en) * 2008-01-30 2009-07-31 Wurth Paul Sa Charging device for distributing bulk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1637A1 (de) * 1998-12-30 2000-07-06 Sms Demag Ag Gichtverschluß für Schachtöfen
US20030180129A1 (en) 2000-09-20 2003-09-25 Emile Lonardi Variable device for bulk material distribution with rotary chute having variable angle of inclination
CN102361637A (zh) * 2010-01-29 2012-02-22 株式会社资生堂 氧化还原相关因子表达促进剂
CN102595815A (zh) * 2012-02-16 2012-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免接地网络箱机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1159A (ja) 2011-04-07
TW200940930A (en) 2009-10-01
EA201001201A1 (ru) 2011-02-28
AU2009209695A1 (en) 2009-08-06
CN101932733A (zh) 2010-12-29
CA2712377A1 (en) 2009-08-06
EA016845B1 (ru) 2012-07-30
DE09706871T1 (de) 2011-02-24
EP2235219B1 (en) 2011-08-10
TWI440809B (zh) 2014-06-11
CN101932733B (zh) 2012-09-26
LU91412B1 (en) 2009-07-31
BRPI0906955A2 (pt) 2015-07-14
ATE519868T1 (de) 2011-08-15
EP2235219A1 (en) 2010-10-06
MX2010008337A (es) 2010-08-23
AU2009209695B2 (en) 2012-10-11
US8353660B2 (en) 2013-01-15
JP5384525B2 (ja) 2014-01-08
MY150479A (en) 2014-01-30
PL2235219T3 (pl) 2012-01-31
ES2370299T3 (es) 2011-12-14
KR20100114896A (ko) 2010-10-26
BRPI0906955B1 (pt) 2019-12-03
CA2712377C (en) 2015-12-15
ZA201005287B (en) 2011-03-30
UA97579C2 (ru) 2012-02-27
WO2009095371A1 (en) 2009-08-06
US20100329826A1 (en) 2010-12-30
CN201158671Y (zh)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968B1 (ko) 벌크소재를 분배하기 위한 적재장치
CN102713348B (zh) 无行星架的周转轮系传动装置
US8258646B2 (en) Tower for a wind turbine
WO2010146654A1 (ja) 風力発電装置
US8113452B2 (en) Roller mill
CN103814238B (zh) 行星传动装置
KR101626402B1 (ko) 고로 내 장입 재료 분배 장치
KR101557777B1 (ko) 분배 슈트용 구동 기구를 갖는 고로 장입 설비
CN101977690A (zh) 滚磨机
CA2704984C (en) Distributor device
US9389019B2 (en) Rotary charging device for shaft furnace
CN104508414B (zh) 用于竖炉的旋转装料装置
US20100246314A1 (en) Truck Mixer
CN206176975U (zh) 一种旋转布料器的外部驱动机构
CN107400768A (zh) 一种水泥生产压辊辊面堆焊火焰预热系统
CN109229993A (zh) 一种防堵式中心给料机
KR20010001750U (ko) 코렉스용 다운파이프의 편심조정구조
CN109802529A (zh) 一种采用滚轮支撑的励磁机转子假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