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460B1 -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 Google Patents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460B1
KR101508460B1 KR20140037375A KR20140037375A KR101508460B1 KR 101508460 B1 KR101508460 B1 KR 101508460B1 KR 20140037375 A KR20140037375 A KR 20140037375A KR 20140037375 A KR20140037375 A KR 20140037375A KR 101508460 B1 KR101508460 B1 KR 10150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energy
sound wave
bubble
ai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연식
Original Assignee
권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연식 filed Critical 권연식
Priority to KR2014003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61H9/0028Hand-held devices for spraying and removing liquid while moved on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는 용액 내부에 배치되며 가장자리에는 외부의 공기를 제공 받아 제1기포를 생성하는 제1기포 발생부 및 가운데는 외부로부터 인가 되는 제1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화하는 음파발생부를 포함하는 기포발생 패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과 상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기포발생 패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조절하여 상기 음파발생부에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기포발생 패드 또는 상기 음파발생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액에 담긴 피부를 치료 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기포발생 패드 또는 상기 음파발생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2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음파발생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진동들을 생성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들 각각은 동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되어 제2기포를 생성한다. 상기 중앙 처리부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압전소자가 생성하는 상기 제2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광한다.

Description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Using heating pad and air bubble cleaner}
개시된 기술은 얼굴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전기 발열체를 이용하여 세안수를 데운 후 기포발생 패드를 통해 발생 되는 미세기포(minute bubble)과 음파발생부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초미세기포(micro bubble)를 이용하여 피부표면 안쪽까지 세정 할 수 있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세안을 통해 얼굴에서 화장품이나 먼지, 땀, 때 등을 씻어낼 수 있다. 또한, 세안을 통해 피부의 혈행을 좋게 하며 피부의 신진대사를 높일 수 있다. 종래의 세안 방법으로는 비누거품을 이용하여 얼굴의 화장품이나, 먼지, 땀, 때 등을 씻어내는 세안 방법, 초음파 세안 장치 또는 스팀 세안 장치를 통해 세안을 하는 세안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안 방법은 세안의 효과가 미비하고 또한 많은 시간이 걸리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많은 여성들이 아직도 비누거품을 이용하여 세안을 하지만 비누거품을 이용한 세안 방법은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씻어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및 모공 속까지 완전히 씻어낼 수 있는 새로운 세안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음파발생부를 이용한 세안 장치의 예가 등록실용 KR 20-0317614 ‘초음파 욕조’, 공개특허 JP 2003-111688 ‘초음파 세안기’에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과 같이 초음파 진동만을 이용한 기존의 일반적인 세안 방법으로는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및 모공 속까지 완전히 씻어 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 점에서 인용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공기 방울과 초음파의 초미세기포(micro bubble)를 이용한 헹굼 및 세정기와는 차이가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는 용액 내부에 배치되며 가장자리에는 외부의 공기를 제공 받아 제1기포를 생성하는 제1기포 발생부 및 가운데는 외부로부터 인가 되는 제1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화하는 음파발생부를 포함하는 기포발생 패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과 상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기포발생 패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조절하여 상기 음파발생부에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기포발생 패드 또는 상기 음파발생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액에 담긴 피부를 치료 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기포발생 패드 또는 상기 음파발생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2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음파발생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진동들을 생성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들 각각은 동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되어 제2기포를 생성한다. 상기 중앙 처리부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압전소자가 생성하는 상기 제2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광한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가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에 적용되는 본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에 적용되는 세안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 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110, 120, 130,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의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본 명세서의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가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b)는 본 명세서의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에 적용되는 세안패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에 적용 되는 본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헹굼 및 마사지장치에 적용되는 세안패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100)는 기포 발생 패드(110)와 음파발생부(120)를 포함하는 세안패드(150) 및 본체(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온도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100)는 선택적으로 발광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100)는 선택적으로 압전소자(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포 발생 패드(110)는 용액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용액 내부에 제1기포를 생성한다. 상기 용액은 예로서 물일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용액으로 소독액, 화장수 등이 포함된 물 일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피부를 관리할 때 사용하는 용액은 모두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기포 발생 패드(110)는 상기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용액내부에 상기 제1기포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포 배출구를 포함한다. 이하 기포 발생 패드(11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포 배출구를 제1기포배출구(112)라 칭하기로 한다. 기포 발생 패드(110)는 상기 공기를 제공받는 노즐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기포 발생 패드(1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노즐연결부(114)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 공기를 기포 발생 패드(110)에 제공할 수 있는 한 노즐연결부(114)는 기포 발생 패드(110)의 어느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기포 발생 패드(110)는 사용자가 세안을 하기 위해 세안수를 받아 놓은 세면대 안이나, 세안수를 받아 놓은 세안볼 안에 놓일 수 있다. 도면에는 세면대(180) 안에 놓여져 있는 기포 발생 패드(11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기포 발생 패드(110)는 다양한 종류의 소재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기포 발생 패드(110)의 소재는 예로서 실리콘, 플라스틱, 일반 금속 소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포 발생 패드(110)은 일례로 사람의 얼굴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기포 발생 패드(110)는 원형의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의 예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기포 발생 패드(110)는 기포 발생 패드(110)가 놓이는 용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포 발생 패드(110)는 기포발생 패드(110)가 생성하는 상기 제1기포가 적용되는 사용자의 피부 모양에 대응 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기포 발생 패드(110)가 생성하는 상기 제1기포가 사용자의 상기 피부에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 그 소재 또는 형태에는 그 제한이 없다.
기포 발생 패드(110)가 생성하는 상기 제1기포는 상기 용액에 담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마사지할 수 있다. 기포 발생 패드(110)의 제1기포배출구(112)는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기포 배출구(112)는 지름 2mm 이하의 구멍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기포 발생 패드(110)는 상기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제1기포로서 공기 방울을 생성하며, 상기 공기 방울은 상기 용액에 담긴 사용자의 상기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피부 표면의 노폐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피부를 마사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포의 크기는 제1기포배출구(112)의 크기를 조정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포의 생성 주기는 상기 공기의 압력을 조정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음파발생부(120)는 상기 용액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용액 내부에 제2기포를 생성한다. 음파발생부(120)는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수신하는 전력전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수신한 음파발생부(120)는 진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파발생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용액 내부에 초음파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로는 압전형 진동자, 자왜 진동자, 전자 유도형 진동자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동자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압전형 진동자는 압전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말한다. 자왜 진동자는 강자성체에 자장을 가하면 자계 방향에 왜곡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진동자를 말한다. 전자 유도형 진동자는 자기장 내에 놓여 있는 전자가 받는 힘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자를 말한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음파발생부(120)가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상기 진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제2기포를 생성하는 한 초음파 진동자의 선택에는 그 제한이 없다.
음파발생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상기 진동에너지로 변환한다. 상기 제2기포는 음파발생부(120)에 의하여 상기 용액 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캐비테이션 현상이란 초음파 에너지가 용액 내에서 전파될 때 압력에 의해 미세기포가 생성이 되고 소멸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큰 압력과 고온이 동반될 수도 있다. 이때 발생한 미세 기포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상기 피부 표면에 있는 노폐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음파발생부(120)에 인가되는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조절하면 상기 진동에너지의 세기 또는 상기 진동에너지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주파수에 적절한 초음파 진동자를 선택할 경우에도 상기 진동에너지의 진동주파수는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기 피부의 상황에 적합한 상기 제2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음파발생부(120)는 하나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상기 진동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파발생부(120)은 상기 용액 내부에 상기 제2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음파발생부(12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상기 진동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은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할 수도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 중 어느 한 초음파 진동은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 중 다른 적어도 어느 한 초음파 진동과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하거나,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은 서로 연이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은 서로 일정 시간 오버랩(overlap)되어 발생할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초음파 진동 주파수를 조절하여 세안시에는 1MHz 미만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캐비테이션 효과로 발생하는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에 있는 노폐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초음파 진동 주파수를 조절하여 마사지시에는 1MHz 이상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캐비테이션 효과로 발생하는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 속에 있는 노폐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동시에 발생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을 피부의 노폐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단주파가 아닌 복합 파형의 동시 다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의 노폐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1MHz 미만의 초음파와 1MHz 이상의 초음파를 동시에 사용하여 피부 표면 및 피부표면 속에 있는 노폐물과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서로 연이어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들을 이용하여 피부의 노폐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먼저 1MHz 미만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피부표면에 있는 노폐물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1MHz 이상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 속에 있는 노폐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참고로 초음파의 주파수가 3MHz일 때 진동에너지가 피부 표면 약 1.5cm정도 전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음파발생부(120)의 상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피부 상황에 맞는 상기 제2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기포 발생 패드(110) 위에 배치되는 음파발생부(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기포 발생 패드(110)는 음파발생부(120)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포를 배출하는 제1기포배출구(112)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음파발생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기포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음파발생부(12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포 배출구를 제2기포배출구(미도시)라 칭하기로 하자. 상기 제2기포배출구는 상기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용액 내부에 상기 제1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포 발생 패드(110)와 음파발생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기포 발생 패드(110)와 음파발생부(120)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피부에 작용하는 상기 제2기포배출구를 통하여 생성 되는 상기 제1기포의 역할은 상기 제1기포배출구를 통하여 생성되는 상기 제1기포의 역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130)는 기포 발생 패드(110) 및 음파발생부(120)에 각각 상기 공기 및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0)는 전원(131), 에어 펌프(132), 레귤레이터(133) 및 중앙처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본체(130)는 조절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30)는 표시창(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본체(130)는 변압기(131a), 온오프 스위치(131b), 모터(132a), 노즐(132b) 및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131)은 전기에너지를 제공한다. 에어 펌프(132)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포 발생 패드(110)에 상기 공기를 공급한다. 레귤레이터(133)는 전원(131)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조절하여 음파발생부(120)에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인가한다. 중앙 처리부(134)는 에어 펌프(132) 및 레귤레이터(13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중앙 처리부(134)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에어 펌프(132) 및 레귤레이터(133)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에어펌프(132) 및 레귤레이터(133)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음파발생부(120)와 관련한 본체(130)의 동작을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31)이 공급하는 전기에너지는 음파발생부(120)가 요구하는 상기 제1전기에너지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131)이 공급하는 전기에너지는 변압기(131a)를 거쳐 전압이 변환될 수 있다. 일례로, 변압기(131a)는 변압기(131a) 내부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소정의 전압을 가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변압기(131a)는 중앙 처리부(134)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소정의 전압을 가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변압기(131a)는 조절부(135)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소정의 전압을 가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창(136)을 통하여 입력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변압기(131a)를 거쳐 전압이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온오프 스위치(131b)를 통하여 단속적으로 음파발생부(12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온오프 스위치(131b)는 음파발생부(120)에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오프 스위치(131b)의 동작은 중앙 처리부(134)에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오프 스위치(131b)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131b)를 통과한 상기 전압이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레귤레이터(133)에 의해 전류량이 조절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133)에 의한 전류량 조절은 중앙 처리부(134)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르게는, 조절부(135)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창(136)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133)에 의해 전류량이 조절된 전기 에너지는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에 전달되며,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는 초음파 신호를 생성한다. 일례로,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는 내부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초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는 중앙 처리부(134)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초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는 조절부(135)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초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창(136)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가 생성하는 초음파 신호는 단일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일 수 있다. 다르게는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가 생성하는 초음파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는 동시에 생성 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는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는 서로 연이어 생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는 서로 일정시간 오버랩(overlap)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가 생성한 초음파 신호는 음파발생부(120)에 전달되며, 음파발생부(120)는 상기 초음파 신호에 따라 진동하게 된다. 음파발생부(120)의 동작, 기능 등은 앞서 상술한 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기포 발생 패드(110)와 관련한 본체(130)의 동작을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펌프(132)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포 발생 패드(110)에 상기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펌프(132)는 샤프트(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된 모터(132a)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작동할 수 있다. 모터(132a)는 전원(131)이 공급하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는 변압기(131a)를 거쳐 전압이 변환될 수 있다. 일례로, 변압기(131a)는 변압기(131a) 내부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소정의 전압을 가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변압기(131a)는 중앙 처리부(134)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소정의 전압을 가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변압기(131a)는 조절부(135)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전원(131)이 공급 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소정의 전압을 가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창(136)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에어 펌프(132)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배출구에 연결된 기포 발생 패드(110)로 전달된다. 이 경우, 에어 펌프(132)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는 압축되어 기포 발생 패드(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펌프(132)와 기포 발생 패드(110)는 에어 펌프(132)의 배출구와 연결된 노즐(132b)과 기포 발생 패드(110)의 노즐연결부(114)를 연결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 펌프(132)의 동작 주기, 압축력 등을 조절하면 기포 발생 패드(110)가 생성하는 상기 제1기포의 생성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기포 발생 패드(110)의 동작, 기능 등은 앞서 상술한 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대한피부과학회의 다양한 문헌과 논문을 보면은 세안시 세안액의 온도에 따른 세안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고 한다.
세안액 온도에 따른 피부의 효과
세안액 온도 세안액 온도에 따른 피부의 효과
얼음 혈관 수축, 신선한 영양공급, 피부에 긴장감 부여 한다.
10~15℃ 혈관 수축, 신선감이 있다.
15~21℃ 안정감을 주며 가벼운 클렌징의 효과가 있으며,
가벼운 각질제거 효과가 있다.
21~35℃ 가볍게 혈관을 넓혀주고 혈액순환을 돕고 클렌징의 효과가 크다.
각질 제거가 용이하고 안정감을 준다
35℃ 이상 강하게 혈관의 확장을 가져오며 클렌징 효과가 아주 크며 각질제거가 잘 된다.
분비물의 분비가 촉진되고 혈관이 늘어나고 혈액순환이 잘 된다.
그러나 피부의 긴장감이 떨어 진다.
수증기 피부의 깊숙이 클렌징의 영향을 미친다.
모공이 넓게 확장 한다.
상기 온도센서(140)는 상기 용액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액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140)는 다양한 종류의 온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온도센서(140)는 예로서 열전도체를 이용한 온도센서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상기 용액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 사용할 수 있는 온도센서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 온도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용액의 온도는 온도센서(140) 자체에 구비된 표시부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용액의 온도는 중앙 처리부(134)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처리부(134)는 온도센서(140)의 온도를 표시창(136)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창(136)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 상기 용액의 온도를 인지 한 후 세안 및 피부 마사지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 음파발생부(120)을 사용할 경우 상기 용액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창(136)에 디스플레이 되거나, 온도센서(140)에 직접 표시되는 상기 용액의 온도를 보고 적정 온도 수준으로 상기 용액의 온도가 떨어질 때까지 음파발생부(120)의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100)는 발열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발열체는 세안패드(15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발열체는 세안패드(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열체는 기포 발생 패드(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예로서 전기 저항방식을 이용하는 저항 발열체일 수 있다. 저항발열체로는 철, 크롬, 니켈 등의 금속소재를 사용하는 금속 발열체 또는 세라믹, 탄소소재 등의 비금속소재를 사용하는 비금속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의 종류와 관련한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발열할 수 있는 한 상기 발열체로서 다양한 종류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원으로는 전원(131)이 사용될 수 있다.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 에너지는 변압기(131a)를 거쳐 전압이 변환되어 상기 발열체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원은 중앙처리부(13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온도센서(140)을 통하여 측정된 상기 용액의 온도는 중앙 처리부(134)로 전달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134)는 온도센서(14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용액의 상기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용액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중앙처리부(134)는 온도센서(14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용액의 상기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용액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에 공급 되는 전원의 제어는 사용자가 직접 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온도센서(140)로서 세안패드(150)와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는 온도센서(14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온도센서(140)는 세안패드(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센서(140)는 기포 발생 패드(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160)는 기포 발생 패드(110) 또는 음파발생부(120)에 배치되며, 상기 용액에 담긴 피부를 치료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한다. 즉, 발광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용액에 담기 상기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치료할 수 있다. 발광부(160)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레이저, 형광등, UV램프, 발광다이오드(LED)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발광부(160)로서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발광부(160)로서 발광다이오드 이외에 다른 발광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발광부(160)에 인가되는 전원으로는 전원(131)이 사용될 수 있다. 전원(131)이 공급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는 변압기(131a)를 거쳐 전압이 변환 되어 발광부(160)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부(160)는 상기 용액에 담긴 상기 피부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60)로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은 서로 다른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약 400nm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상기 용액에 담긴 상기 피부에 조사할 수 있다. 대한피부과학회지 등 관련 문헌에 따르면 약 400 내지 약65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피부에 조사할 경우 여드름이나 사마귀 등 피부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약 600 내지 ~ 약 700nm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광을 피부에 조사할 경우 염증 치유에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약 650 내지 ~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피부에 조사할 경우 자외선에 대한 피부 저항력 증대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또한, 약 800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피부에 조사할 경우 흉터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약 850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피부에 조사할 경우 피부 레이저 시술 후 색소침착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발광색은 사용되는 소자를 만드는 재료 및 재료의 조성에 따라서 다르며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까지 발광하는 것을 제조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를 활용하면 고출력 레이저(laser)가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것과 달리 적절한 광출력으로 넓은 면적의 질환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의 광원은 파장선폭(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므로 유해한 자외선(UV)이나 불필요한 적외선(IR) 등이 방출되지 않아 부작용이 적고, 에너지가 낮아 조직이나 눈을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발광다이오드 광원을 이용한 치료를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국 FDA에서 허가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 광원의 물리적인 특징으로는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며, 부피가 작아 공간 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발광부(160)를 포함하는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100)는 기포 발생 패드(110) 및 음파발생부(120)를 통한 피부의 노폐물 제거, 이물질제거, 마사지 이외에 피부 치료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광부(160)로서 서로 다른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각각의 파장범위를 소정의 값으로 조절하거나 선택하면 다양한 피부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들 각각은 동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용액에 담긴 상기 피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간격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중앙 처리부(134)에 미리 입력된 시간간격일 수 있다. 상기 시간 간격을 조절하면 서로 다른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중 어느 한 발광다이오드가 동작한 후 연이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중 다른 적어도 어느한 발광다이오드가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간 간격을 조절하면 서로 다른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중 어느 한 발광다이오드와 다른 적어도 어느 한 발광다이오드가 동작하는 시간이 일부 오버랩(overlap)될 수도 있다. 광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광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앞서 상술한 바 있다. 서로 다른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광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례로, 발광부(160)는 약 400 내지 약 65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약 600 내지 약 7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약 650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약 800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약 850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스로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중앙 처리부(134)에 미리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범위를 가지는 발광부(160)의 발광다이오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발광부(160)의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동시에 선택 되거나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피부상황에 맞는 파장범위의 광을 피부에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예시는 발광부(160)로서 발광다이오드를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발광부(160)로서 발광다이오드 뿐만 아니라 레이저, 형광등, UV램프, 발광다이오드(LED)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압전소자(170)는 기포 발생 패드(110) 또는 음파발생부(12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기포 또는 상기 제2기포에 의하여 진동하여 제2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또한, 압전소자(170)는 음파발생부(120) 상에 배치되어 음파발생부(120)가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여 상기 제2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발광부(160)는 압전소자(170)가 생성하는 상기 제2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압전소자(170)는 기계적인 변형에 의하여 전하의 분극 현상을 일으키거나, 반대로 전기장의 변화에 의하여 기계적인 변형이 생기는 전자부품을 말한다. 압전소자(17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압전소자(170)는 외력에 의하여 반복적인 기계적인 변형을 겪는 구조물 상에 압전물질(piezoelectric material)을 배치하고, 상기 압전물질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배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예로서 빔 또는 캔틸레버(cantilever)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 상에 배치된 상기 압전물질은 상기 구조물이 변형됨에 따라 인장과 압축을 경험하게 된다. 상기 구조물에 주기적인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상기 압전물질은 반복적인 인장과 압축을 경험하게 된다. 반복적인 인장과 압축을 통해 상기 압전물질은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해 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해 낼 수 있는 한 압전소자(170)의 종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압전소자(170)가 생성하는 상기 교류 전기 신호는 상기 제2전기에너지로서 발광부(160)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전소자(170)가 생성하는 상기 교류 전기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로부터 출력 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전기를 통하여 직류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발광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기포배출구(112)에 배치된 압전소자(170)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캔틸레버(172)를 구조물로 하여 얻어 지는 압전소자(17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1기포배출구(112)에 캔틸레버(172) 구조물을 배치한다. 캔틸레버(172) 상에는 압전물질(174)이 배치된다. 압전물질(174)의 일면과 상기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에는 각각 전극들(제1전극,제2전극,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포(116)가 제1기포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캔틸레버(172)는 진동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압전소자(170)은 상기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해 낼 수 있는 한 압전소자(170)의 종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기포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되는 제1기포(116)는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며, 이 과정에서 제1기포(116)는 압전소자(170)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된다. 제1기포(116)가 압전소자(170)를 벋어나게 되면, 압전소자(170)는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제1기포배출구(112)로부터 제1기포(116)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압전소자(170)는 상승과 복원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압전소자(170)는 상기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압전소자(170)는 제1기포배출구(1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기포발생 패드(110)와 음파발생부(1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압전소자(170)는 상기 제2기포배출구(미도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압전소자(170)는 음파발생부(120) 상에 배치되어 음파발생부(120)가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여 상기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압전소자(170)는 음파발생부(120)가 생성하는 상기 제2기포에 의하여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의 경우 압전소자(170)가 상기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제1기포배출구(112)로 부터 배출되는 제1기포(116)로부터 압전소자(170)가 상기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압전소자(170)를 통하여 발광부(16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경우 외부 전원이 필요 없어 배선이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외부 전원을 활용하여 발광부(160)를 동작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사용 이후에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잊어버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누전 등의 문제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하나의 예시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헹굼 및 마사지장치(100)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세안을 예로 들었으나, 세안 이외에 다른 피부에도 적용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기의 내용은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100)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하기의 내용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아울러 밝혀둔다.
사용자는 세안시 얼굴에 포밍 한 다음, 세면대(180)에 세안수를 받은 후 온도센서(150)와 세안패드(150)를 세안수 안에 넣고 본체(1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발열체도 함께 세안수에 놓을 수도 있다. 본체(130)는 전원(131)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 받아서 변압기(131a)를 통하여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131b)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전기에너지를 공급 받은 중앙처리부(134)에서는 세안수 안에 있는 온도센서(140)를 통하여 세안수 온도를 인지 한 후 표시창(136)에 세안수 온도를 표시 하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로 세안수의 온도를 맞춘 후 본체(113)의 조절부(135)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중앙처리부(134)는 조절부(135)를 통하여 인지된 명령을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에전달하게 된다. 이때 레귤레이터(133)에서는 변압기(131a)를 통하여 공급 받은 전류를 소정의 값 이하로 조절하여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로 내보낸다. 일례로, 레귤레이터(133)를 통하여 조절된 변압기(131a)를 통하여 공급 받은 전류의 상기 소정의 값은 500mA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는 내부에 장착된 부품에 의하여 고주파의 전기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는 조절부(135)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을 중앙처리부(134)를 통하여 인지하여 초음파 주파수가 일정하게 또는 단계별로 가변 상태의 초음파를 생성하여 음파발생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기포 발생 패드(110) 상단 외부에 위치한 음파발생부(120)는 일례로 초당 1MHz 이하의 진동을 하여 케비테이션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세안수에 포밍한 얼굴의 표면을 대면은 얼굴 표면에 있는 이물질 및 노폐물들이 미세 기포에 의하여 얼굴 표면뿐만 아니라, 모공속의 노폐물까지 분리 되는 것이다. 헹굼에서 사용되는 초음파는 “단주파“ 와 복합 파형의 “동시다주파”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가 초음파마사지를 원할 경우에는 조절부(135)의 조절장치를 조절 후 작동 시키면, 중앙처리부(134)에서는 조절부(135)를 통하여 인지된 명령을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에 전달하게 된다. 명령을 인식한 초음파 신호생성부(133a)에서는 내부에 장착된 부품에 의하여 고주파의 전기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하여 초음파 주파수가 일정하게 또는 단계별로 가변상태의 초음파를 생성하여 음파발생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기포 발생 패드(110) 상단에 위치한 음파발생부(120)는 초당 1MHz 이상의 고주파를 방출하여 피부 표면 속까지 투과하여 마사지 효과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의 동작은 다르게 혹은 연결되어서 작동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초음파를 이용한 헹굼 및 마사지가 끝난 다음에는 조절부(135)의 조절장치를 선택하여 동작 시키면 중앙처리부(134)는 변압기(131a)를 통하여 적절한 전압으로 변압 및 정류된 전류를 공급 받아서 조절부(135)를 통하여 인지된 명령을 모터(132a)에 전달하게 되어, 모터(132a)가 작동을 하고 모터(132a)와 연결된 샤프트를 통하여 에어 펌프(132)에 모터(132a)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에어 펌프(132)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에어 펌프(132)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구에 연결된 노즐(132b)로 보내게 되고 노즐(132b)과 연결된 기포 발생 패드(110)를 통하여 토출하게 되어 버블을 이용한 헹굼 및 마사지를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블을 이용한 일반 헹굼과 각질제거, 초음파의 캐비테이션 현상을 이용한 마이크로버블로 모공속의 이물질 및 피부 노폐물까지 헹구어 낼 수 있고, 고주파를 이용하여 마사지 효과를 볼 수 도 있다. 위의 동작은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로 순차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혹은 한 동작만 사용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발광부(160)에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피부 치료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 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 부터 제시될 것이다.

Claims (3)

  1. 용액 내부에 배치되며, 가장자리에는 외부의 공기를 제공 받아 제1기포를 생성하는 제1기포 발생부 및 가운데는 외부로부터 인가 되는 제1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화하는 음파발생부를 포함하는 기포발생 패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 상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기포발생 패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조절하여 상기 음파발생부에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기포발생 패드 또는 상기 음파발생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액에 담긴 피부를 치료 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기포발생 패드 또는 상기 음파발생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2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발생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진동들을 생성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들 각각은 동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되어 제2기포를 생성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압전소자가 생성하는 상기 제2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광하는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 패드는 상기 에어 펌프가 공급하는 상기 공기를 제공받는 노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발생부는 상기 레귤레이터가 공급하는 상기 제1전기에너지를 수신하는 전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 패드에 배치되어 상기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KR20140037375A 2014-03-31 2014-03-31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KR10150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375A KR101508460B1 (ko) 2014-03-31 2014-03-31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375A KR101508460B1 (ko) 2014-03-31 2014-03-31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460B1 true KR101508460B1 (ko) 2015-04-07

Family

ID=5303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7375A KR101508460B1 (ko) 2014-03-31 2014-03-31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4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26A (ko) * 2019-10-31 2021-05-10 (주)다인케어 휴대용 초음파 버블 세정장치
CN113081756A (zh) * 2021-03-10 2021-07-09 北京航空航天大学 基于超声振动的止痛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406A (ja) * 1995-12-21 1997-07-08 Kankyo Kagaku Kogyo Kk 美顔器
JP2008284192A (ja) 2007-05-18 2008-11-27 Radical Japan Co Ltd 手洗浄装置
KR101156019B1 (ko) 2010-04-29 2012-07-03 권연식 세안 장치
KR101420575B1 (ko) 2013-08-30 2014-07-17 권연식 헹굼 및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406A (ja) * 1995-12-21 1997-07-08 Kankyo Kagaku Kogyo Kk 美顔器
JP2008284192A (ja) 2007-05-18 2008-11-27 Radical Japan Co Ltd 手洗浄装置
KR101156019B1 (ko) 2010-04-29 2012-07-03 권연식 세안 장치
KR101420575B1 (ko) 2013-08-30 2014-07-17 권연식 헹굼 및 마사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26A (ko) * 2019-10-31 2021-05-10 (주)다인케어 휴대용 초음파 버블 세정장치
KR102282358B1 (ko) * 2019-10-31 2021-07-27 (주)다인케어 휴대용 초음파 버블 세정장치
CN113081756A (zh) * 2021-03-10 2021-07-09 北京航空航天大学 基于超声振动的止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195B1 (ko) 석션 기능을 갖는 ret방식 고주파 마사지기
US8545419B2 (en) Multi-functional cosmetic device using ultrasonic wave
CN211097114U (zh) 用于身体部位的美容/医疗治疗的多功能设备
AU2001288101B2 (en) Ultrasonic beauty treatment probe
JP6561070B2 (ja) 高周波温熱治療装置
KR100752432B1 (ko) 복합기능 피부 마사지기
KR101420575B1 (ko) 헹굼 및 마사지 장치
JP2007209533A (ja) トリートメント装置
KR101508460B1 (ko) 기포 및 히팅 패드를 이용한 얼굴 세정기
JP3228252U (ja) フェイス・ボディケア装置
KR100611142B1 (ko)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KR20180056300A (ko)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KR101567796B1 (ko) 노즐 살균 및 국부 치료 기능을 갖는 비데용 노즐모듈
KR101747949B1 (ko) 마사지용 피부 미용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314473A (ja) 超音波美顔器
KR200247219Y1 (ko) 초음파 피부 마사지기
KR20130137256A (ko) 피하 지방층의 감소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20130121258A (ko) 지방조직의 감소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JP2005237721A (ja) 超音波美容器および超音波美容法
KR10039016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면기(洗面器)
KR20050097771A (ko)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US20240131365A1 (en) Sonotrode
KR20200072449A (ko) 교차 주파수 초음파와 고주파, 미세전류 및 냉각기를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기
CN210207522U (zh) 一种用于医美的双频换能器
KR200292075Y1 (ko)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한 좌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