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397B1 -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 Google Patents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397B1
KR101644397B1 KR1020140047945A KR20140047945A KR101644397B1 KR 101644397 B1 KR101644397 B1 KR 101644397B1 KR 1020140047945 A KR1020140047945 A KR 1020140047945A KR 20140047945 A KR20140047945 A KR 20140047945A KR 101644397 B1 KR101644397 B1 KR 101644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galvanic current
composite module
ho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855A (ko
Inventor
김성현
신숙
고묘정
Original Assignee
김성현
신숙
고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신숙, 고묘정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14004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9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홀을 형성시킨 베이스판과, 제1홀에 삽입된 투명부재와, 투명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된 광조사기와, 베이스판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며, 다른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홀을 형성시킨 베이스판과, 제1홀에 삽입된 투명부재와, 베이스판의 제1홀이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며, 제1홀에 대응하는 제2홀을 형성시킨 지지판과, 제2홀에 설치되는 광조사기와, 베이스판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모듈과 초음파모듈이 하나의 모듈에 형성됨으로써 이의 응용 제품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COMPLEX MODULE USING GALVANIC CURR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LEX MODULE, CARE EQUIPMENT USING THE COMPLEX MODULE}
본 발명은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 및 초음파와 갈바닉 전류를 이용하여 안티에이징 효과와 같은 다중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미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젊음을 추구하는 안티에이징(anti-aging)이 사회적 트렌드로 형성됨에 따라 각종 미용기기, 뷰티가전, 뷰티푸드, 웰니스 리조트 등이 유망 비즈니스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안티에이징의 주요 대상이 되는 피부는 나이가 듦에 따라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해 주름이 생기는 현상뿐 아니라, 자외선, 환경오염, 냉난방 시설 등 외적 요인과 과도한 피로, 스트레스 및 연령에 따른 호르몬 변화 등 내적 요인에 의해 노화가 촉진된다.
이에 주름 및 노화 방지를 위해 다양한 피부미용기구가 제시된 바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6526호"에서 진동과 광의 미용효과가 융합된 신개념 휴대용 마사지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광 및 초음파 등을 이용한 피부 자극을 통해 피부 세포 활성화 및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는 있으나, 다양한 미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개별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기기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6526호(공개일 2012.10.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및 초음파와 갈바닉 전류를 이용하는 복합 모듈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용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안티에이징 효과와 같은 다중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미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홀을 형성시킨 베이스판과, 상기 제1홀에 삽입되며 방수가 가능한 투명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된 광조사기와,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설정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판, 광조사기 및 초음파 진동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홀을 형성시킨 베이스판과, 상기 제1홀에 삽입되며 방수가 가능한 투명부재와, 상기 베이스판의 제1홀이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1홀에 대응하는 제2홀을 형성시킨 지지판과, 상기 제2홀에 설치되는 광조사기와,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설정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판, 광조사기 및 초음파 진동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이 다수 형성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어레이(Array)를 상기 제어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판은 습기에 의해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판은 얼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모듈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소형의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온도측정 결과 및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통해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냉각시키는 열전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신호에 따라 베이스판, 광조사기 및 초음파 진동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달하는 버튼형식의 인터페이스와 함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과 분리되는 별도의 컨트롤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미용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광모듈과 초음파모듈이 하나의 모듈에 형성됨으로써 이의 응용 제품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2.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필요 개수로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신체 부분별 적용이 용이하다.
3. 필요 부위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4. 피부에 대한 광 치료, 초음파 치료 및 기능성 이온 전기 영동법 등 기존의 2 ~ 3가지의 다른 미용기구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단일의 기기를 통해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어레이의 적용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이 적용된 미용기기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미용기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미용기기는 두피 등을 포함한 신체 전체 영역에 이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얼굴 등의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홀을 형성시킨 베이스판(1)과, 제1홀에 삽입된 투명부재(2)와, 베이스판(1)의 제1홀이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며, 제1홀에 대응하는 제2홀을 형성시킨 지지판(3)과, 제2홀에 설치되는 광조사기(4)와, 베이스판(1)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5)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판(3)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광조사기(4)는 제1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면 된다.
베이스판(1)으로는 스테인레스스틸(SUS)을 이용할 수 있다.
투명부재(2)로는 광조사기(4)의 파장에 따라, 즉 IR(InfraRed)을 사용할 경우와 UV(UltraViolet)를 사용할 경우에 따라 해당 파장이 통과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가시광의 경우에는 일반 유리를 사용한다. 한편, 베이스판(1)과 투명부재(2)는 용접을 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부재(2)는 고무 등으로 패킹(packing)할 수도 있다. 이에 방수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지지판(3)은 고무판 등 신축성이 있는 탄성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Si 고무판, 일반 고무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지지판(3)은 베이스판(1)이 얇을 경우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광조사기(4)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조사기(4)는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다양한 발광소자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광을 방출시키는 LED와,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 중 선택된 파장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피부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광인 레이저와는 달리 LED를 통해 방출되는 광은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다. 파장이 짧은 푸른광은 세포와 병원균을 공격하므로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에 쓰이며, 붉은광으로 방출되는 강력한 광에너지는 피부에 투과되어 서로 겹쳐지면서 피부의 진피층 및 피하층까지 도달하고, 진피층에 도달한 광선은 피부 속의 대식세포와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피부 속에서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생성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노화된 피부에 자연 치유력을 증가시켜 젊은 피부를 새롭게 생성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며, 그리고 적외선의 경우 세포의 재생을 도와 상처의 치유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피부미용을 위한 광의 파장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용도에 맞는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LED와 필터부를 구성하여 광조사기(4)를 구성하면 된다.
초음파 진동자(5)는 초음파 자극을 통해, 마이크로 마사지효과, 열 작용효과, 세정효과, 리프팅효과, 비장분해효과, 림프순환촉진효과, 혈액순환촉진효과, 미백효과, 주름완화효과, 세포재생효과, 각질제거효과, 수화작용, 진정효과, 미용경락관리효과 등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은, 직접적으로 광 조사 및 초음파 진동을 피부에 전달하며, 베이스판(1)에 전원을 인가하여 갈바닉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의 스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어레이(Array)를 구성할 경우, 필요 부위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습기에 의해 녹 발생이 방지되는 베이스판(1)을 준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스테인레스스틸(SUS)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베이스판(1)에 광조사기(4)가 위치할 제1홀(H1)을 뚫는다(S1).
이어서, 제1홀(H1)에 투명부재(2)를 삽입시킨다(S2). 이 때, 투명부재(2)는 광조사기(4)의 파장에 따라, 즉 IR을 사용할 경우와 UV를 사용할 경우에 따라 해당 파장이 통과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가시광의 경우에는 일반 유리를 사용한다. 한편, 베이스판(1)과 투명부재(2)는 용접을 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부재(2)는 고무 등으로 패킹(packing)할 수도 있다.
다음 공정으로, 지지판(3)으로 베이스판(1)의 제1홀(H1)이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는데, 이 지지판(3)에 제1홀(H1)의 동일 위치에 제2홀(H2)을 형성시킨다. 이 지지판(3)은 고무판 등 신축성이 있는 탄성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Si 고무판, 일반 고무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지지판(3)은 베이스판(1)이 얇을 경우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광조사기(4)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 지지판(3)이 광조사기(4)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2홀(H2)의 크기가 광조사기(4)의 크기보다 작으면 된다(S3).
다음으로, 지지판(3)에 형성된 제2홀(H2)에 광조사기(4)를 삽입한다(S4).
마지막으로, 베이스판(1)의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5)를 장착한다. 초음파 진동자(5)는 베이스판(1) 상에 전도성 접착도료(전도성 에폭시 등)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5).
여기서, 상기한 단계 S3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광조사기(4)는 제1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면 된다.
한편, 베이스판(1)은 설정된 크기의 전류를 사용자 피부에 도통시킴으로써, 갈바닉 효과에 의해 수용성인 비타민 C와 같은 물질의 피부 내 침투를 가능케 하고, 히알루론산과 같은 큰 고분자도 일정 깊이까지 침투가 가능토록 하는 이온 영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피부는 수용성 물질인 비타민C를 투과하지 못하므로 이를 이온화시켜 피부에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주로 기능성 화장품이나 특수목적의 약품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먼저 피부에 바른 상태에서 베이스판(1)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기능성 물질의 피부 침투를 촉진시켜 항산화작용, 콜라겐 합성작용, 미백작용, 클렌징 작용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어레이의 적용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얼굴 모양(굴곡 포함)의 베이스판(1)에 제1홀을 형성시키고, 투명부재(2)를 삽입시킨 후, 투명부재(2)를 창으로 하여 그 위에 광조사기(4)를 설치하고, 얼굴 모양 외곽에 베이스판(1) 돌출부를 만들어 그 돌출부 위에 초음파 진동자(5)를 장착하여, 이 초음파 진동자(5)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베이스판(1)을 통해 얼굴 전체로 전파되도록 한다. 이 때, 초음파 진동자(5)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얼굴 모양이 곡면이고 사람마다 다양하므로 얼굴 모양의 베이스판(1)은 다수개로 분할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베이스판(1)들간 연결부분, 광조사기(4)들간 연결부분, 광조사기(4)와 초음파 진동자(5) 간 연결부분을 포함한 각 부분 사이에는 구부릴 수 있는 소재(고무 등)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일정부분 구부림이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얼굴 뿐 아니라 두피 상단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부재(2)에 의해 방수가 가능하므로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피부에 바른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이 적용된 미용기기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에는 베이스판(1), 광조사기(4)와, 초음파 진동자(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에 열전소자(6)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은 제어부(7)에 연결되어 각종 미용효과를 나타내는 동작제어에 대응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어부(7)는 배터리 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신호에 따라 베이스판(1), 광조사기(4) 및 초음파 진동자(5)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종의 CPU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7)로 전달하는 버튼형식의 인터페이스(8)와 함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과 분리되는 별도의 컨트롤러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판(1), 광조사기(4) 및 초음파 진동자(5)의 연속 동작에 의해 열이 발생할 경우, 발생된 열이 피부로 전달됨에 따라 냉 자극 등을 필요로 하는 미용요법과 같이 경우에 따라 피부미용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소형의 온도센서(9)와, 온도센서(9)의 온도측정 결과 및 제어부(7)의 제어동작을 통해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냉각시키는 열전소자(6)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소자(6)는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여 전자냉각을 일으키는 구성으로, 비스무트와 테르르의 화합물(Bi2Te3) 등의 반도체로 만든 p-n접합 구조를 나타내며 여러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적절한 면적으로 흡열 작용을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원활한 성능을 위해 흡열측과 발열측을 단열재로 열 절연하는 동시에 발열 측에는 방열핀을 부착한다. 이때 열전소자(6)는 피부의 냉찜질 등의 자극이 필요함에 따라 인터페이스(8)를 통해 사용자가 ON/OFF 제어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9)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어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7)는 베이스판(1), 광조사기(4), 초음파 진동자(5) 및 열전소자(6)의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10)와, 베이스판(1), 광조사기(4), 초음파 진동자(5) 및 열전소자(6)의 동작패턴이 저장되는 메모리(11)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8)는 사용자가 메모리(11)에 저장된 동작패턴을 확인하여 선택하여 제어부(7)에 동작패턴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즉, 베이스판(1), 광조사기(4), 초음파 진동자(5) 및 열전소자(6)의 동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연속모드, 순간모드, 시간별 강도변화 모드 등과 같이 구분하여 동작시간 및 동작패턴을 미리 메모리(11)에 저장함으로, 사용자가 메모리(11)에 저장된 다양한 모드의 선택을 통해 각 적응증별 효율적 미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 베이스판 2 : 투명부재
3 : 지지판 4 : 광조사기
5 : 초음파 진동자 6 : 열전소자
7 : 제어부 8 : 인터페이스
9 : 온도센서 10 : 타이머
11 : 메모리

Claims (7)

  1.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홀을 형성시킨 베이스판과, 상기 제1홀에 삽입되며 방수가 가능한 투명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된 광조사기와,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설정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판, 광조사기 및 초음파 진동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2.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홀을 형성시킨 베이스판과, 상기 제1홀에 삽입되며 방수가 가능한 투명부재와, 상기 베이스판의 제1홀이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1홀에 대응하는 제2홀을 형성시킨 지지판과, 상기 제2홀에 설치되는 광조사기와,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및
    설정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판, 광조사기 및 초음파 진동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이 다수 형성된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 어레이(Array)를 상기 제어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습기에 의해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얼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모듈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소형의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온도측정 결과 및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통해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냉각시키는 열전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신호에 따라 베이스판, 광조사기 및 초음파 진동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달하는 버튼형식의 인터페이스와 함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과 분리되는 별도의 컨트롤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KR1020140047945A 2014-04-22 2014-04-22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KR101644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45A KR101644397B1 (ko) 2014-04-22 2014-04-22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45A KR101644397B1 (ko) 2014-04-22 2014-04-22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855A KR20150121855A (ko) 2015-10-30
KR101644397B1 true KR101644397B1 (ko) 2016-08-03

Family

ID=5443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945A KR101644397B1 (ko) 2014-04-22 2014-04-22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790A (ko) * 2022-06-20 2022-09-14 (주)제이엔엠파트너스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및 피부 미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159A (ja) * 1999-12-28 2001-07-10 Toshio Oshiro 低反応レベル光健康器具
KR200412781Y1 (ko) * 2006-01-20 2006-03-31 최동환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KR101232192B1 (ko) 2012-06-01 2013-02-14 (주)엘스로드 이노텍 진동 마사지 및 레이저 테라피 기능을 가진 페이스 미용 마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021A (ko) * 2009-08-17 2011-02-23 (주)메딕콘 이종 광조사 휴대용 피부 트리트먼트 장치
KR20120116526A (ko) 2011-04-13 2012-10-23 박종오 진동과 빛의 미용효과가 융합된 신개념 휴대용 마사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159A (ja) * 1999-12-28 2001-07-10 Toshio Oshiro 低反応レベル光健康器具
KR200412781Y1 (ko) * 2006-01-20 2006-03-31 최동환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KR101232192B1 (ko) 2012-06-01 2013-02-14 (주)엘스로드 이노텍 진동 마사지 및 레이저 테라피 기능을 가진 페이스 미용 마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855A (ko) 201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8105U (ja) カスタマイズ型複合刺激が加えられる肌の機能改善用の立体陰圧複合刺激器モジュール
AU2009238798B2 (en) Laser hair-loss treatment device
KR101450762B1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방법
US20080125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therapy
CN209187922U (zh) 一种美容仪
US20110184499A1 (en) Skin treatment device and system
US20220257971A1 (en) Facial beauty device and mask sheet used therefor
KR101478162B1 (ko) 휴대형 피부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12285B1 (ko) 피부 마사지기
KR20120007010A (ko) 화장 및/또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터 장치
CN102371029A (zh) 具有光照美容效果的脸部护肤装置
KR102546342B1 (ko) 갈바닉 피부 마사지 장치
KR100851621B1 (ko) 레이저 탈모 치료기
CN109394503B (zh) 多功能美容仪及其使用方法
CN201510644U (zh) 多功能振动拍敷面膜软罩
KR101725149B1 (ko) 광 자극 브래지어
KR20100028150A (ko) 광대역 초음파와 광대역 레이저 광을 이용한 비만치료기
CN107899130A (zh) 多功能美容仪
KR101644397B1 (ko)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복합 모듈을 구비하는 미용기기
KR101591856B1 (ko) 광 및 초음파 복합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기구
KR102097047B1 (ko) Led를 이용한 광치료 장치
KR101420575B1 (ko) 헹굼 및 마사지 장치
KR101976733B1 (ko) 손가락 마사지 장치
CN209770845U (zh) 多功能护肤美容仪
KR20170087381A (ko) 신체내 깊은 피하조직의 신진대사 증진을 제공하는 광조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