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746B1 - 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 Google Patents

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746B1
KR101507746B1 KR20130072482A KR20130072482A KR101507746B1 KR 101507746 B1 KR101507746 B1 KR 101507746B1 KR 20130072482 A KR20130072482 A KR 20130072482A KR 20130072482 A KR20130072482 A KR 20130072482A KR 101507746 B1 KR101507746 B1 KR 10150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humidity
sensor unit
temperatur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2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0257A (en
Inventor
김창기
남경희
김도영
남기정
박정호
백인순
안주희
정순천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7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7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0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이 생장하는 조건을 가뭄 또는 적정관수구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생장시키는 환경에 따라 식물의 생장을 관찰 및 이에 따른 생장환경 조사가 가능한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유출 또는 유입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지면 또는 지중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내부에 토양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길이방향 외측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측 벽면 상하측에 배수밸브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 양측 벽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삽입용 삽입구를 포함하는 토양저장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비 또는 눈의 유입을 방지하며,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비가림막과, 상기 토양저장부에 저장되는 토양의 상측에 다수 설치되며, 외부에 설치된 펌프를 통해 물을 토양에 공급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비가림막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에 저장된 토양 내부에 설치되어 토양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모터와 펌프 및 감지센서부가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신호로 상기 모터와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ught simulating plant of a plant capable of observing the growth of plants according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plant grows and thus capable of investigating a growth environment, A storage space is formed so that the soil can be stored therein, an upper portion is opened, a drainage path is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oil storag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drain valves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both side wall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support formed at the upper end of both longitudinal side walls; A non-shielding film which prevents the inflow of snow and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motor,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oil through a pump installed on the outside, a first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non-shielding membrane for measur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outside, And a second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soil to measure th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il. The sensor and the pum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

본 발명은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생장하는 조건을 가뭄 또는 적정관수구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생장시키는 환경에 따라 식물의 생장을 관찰 및 이에 따른 생장환경 조사가 가능한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rought simulating facility of a plant, which is capable of forming a drought condition or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which can be investigated.

일반적으로, 식물이 외부에서 생장할 때 비가 오랜시간 오지 않게 되면 가뭄으로 인해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식물이 말라 죽거나 생장이 더디게 된다.Generally, when a plant grows from the outside, if the rain does not come for a long time, the drought causes the plant growth to be inhibited, causing the plant to dry or slow to grow.

이러한 식물의 생장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식물의 형질을 전환시켜 가뭄 환경에서도 잘 생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오랜 시간 수분이 유출되도록 하는 보수제를 식물이 생장하는 토양에 삽입하여 식물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빗물이 저장되어 천천히 식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옹벽 블럭등의 구성이 한국등록특허공보제10-1055275호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95867호와, 한국공개신용신안공보 제2012-0005244호에 나타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growth of such a plant,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plant to transform the plant so that the plant grows well in the drought environment, o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so that water can be drained for a long time, And a retaining wall block which is stored and slowly supplied to plant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55275,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95867, and Korea Public Credit Synthetic Bulletin No. 2012-0005244 have.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의 구성들은 단지 식물이 가뭄 환경에서 좀더 잘 생장 할 수 있도록 형질 또는 환경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식물이 가뭄시 생장하는 속도와 생장하는 크기등의 자료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is a constitution having a trait or an environment so that the plant can grow more well in a drought environm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nt can not obtain data such as the growth rate and the size of the growth during drought.

그리고, 이러한 가뭄시 생장하는 식물의 정보를 토대로 가뭄환경에서 식물의 생장환경을 조성하는 구성이 없어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tudy the drought stress of the plant because there is no constitution for promot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plant in the drought environ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plant growing at the time of drought.

본 발명은 식물이 생장하는 조건을 가뭄 또는 적정관수구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생장시키는 환경에 따라 식물의 생장을 관찰 및 이에 따른 생장환경 조사가 가능한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capable of observing the growth of a pla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lant grows,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은, 물이 유출 또는 유입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지면 또는 지중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내부에 토양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길이방향 외측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측 벽면 상하측에 배수밸브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 양측 벽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삽입용 삽입구를 포함하는 토양저장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비 또는 눈의 유입을 방지하며,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비가림막과, 상기 토양저장부에 저장되는 토양의 상측에 다수 설치되며, 외부에 설치된 펌프를 통해 물을 토양에 공급하는 물 공급관과, 상기 비가림막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에 저장된 토양 내부에 설치되어 토양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모터와 펌프 및 감지센서부가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신호로 상기 모터와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for plants, which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flow out or inflow water,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or a ground, A plurality of drain valves are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both side wall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suppo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both longitudinal side walls, A non-shielding membran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of the soil storage unit to prevent inflow of rain or snow,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motor, and a plurality of waterproof membranes installed on the soil stored in the soil storage unit,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oil through an external pump, and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 the non- A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soil stored in the soil storage unit and measur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oil. The motor, the pump, and the sensing sensor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pump with a control signal through a signal.

구체적으로, 상기 토양저장부는 바닥부터 자갈과, 토양유출방지망 및 토양을 적층하여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il storage unit may store the soil from the bottom by stacking the gravel, the soil spill prevention network, and the soil.

상기 감지센서부의 제1 센서부는, 상기 비가림막에 설치되어 상기 비가림막 내부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비가림막에 설치되어 대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여 강우 확률을 측정하는 제1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토양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토양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와, 상기 토양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토양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non-shielding film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non-shielding film, a first sensor installed in the non-shielding film to measure the humidity in the atmosphere, And a second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soil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oil, and a second humidity sensor installed inside the soil to measure humidity inside the soil,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대기의 온도와 습도를 통해 상기 비가림막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통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양으로 상기 토양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activates the unshielded membrane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tmosphere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and operates the pump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sensed by the second sensor unit, Wate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the soil in a defined amou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물이 생장하는 조건을 가뭄 또는 적정관수구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생장시키는 환경에 따라 식물의 생장을 관찰 및 이에 따른 생장환경 조사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rought-tolerant environment for plant growth, and thus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growth of plan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lant grows, .

그리고, 가뭄 스트레스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식물의 생장을 관찰함으로 인해 가뭄에 따른 식물의 형질 개선 또는 가뭄을 견딜 수 있는 생장 설비 및 토양 개선에 관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observing the growth of plants by artificially constructing the drought stress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growth facilities and the soil that can withstand the drought-induced plant traits or the drough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관이 식물 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의 토양과 식물의 열화상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적정관수구(좌)와 가뭄처리구(우))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between plants.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onitor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soil of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thermal image of soil and plants of a drought simulat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ft and right droughts (r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13)이 저장되는 토양저장부(10)와, 토양저장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비 또는 눈의 유입을 차단하는 비가림막(30)과, 토양저장부(10)에 저장되는 토양(13)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과, 대기의 온도 및 습도와 토양(13)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40)와, 감지센서부(40)에서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통해 물 공급관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60)와 비가림막(30)을 개폐하는 모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를 포함한다.FIG. 1 is a view showing a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a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storage unit 10 has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soil 13 stored therein.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oil 13 stored in the soil storage unit 10 and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oil and the soil A pump 60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unit 40 and a pump 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n- And a control unit (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50).

상기 토양저장부(10)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바닥과 사방에 벽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며, 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며, 돌 또는 흙으로 형성되어 내부면에 플라스틱 또는 비닐등의 재질로 덮여져 물이 차단될 수도 있다.The soil storage unit 10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that prevents water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and prevent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oil storage unit 10. The soil storage unit 10 is formed of a stone or soil, May be covered with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vinyl to block the water.

이렇게 형성된 상기 토양저장부(10)의 길이방향 벽면 상하측에는 내부의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수밸브(14)가 다수 형성되고, 길이방향 벽면의 상단에 비가림막(30)의 지지대(31)가 결합될 수 있는 삽입구(15)가 다수 형성된다.A plurality of drainage valves 14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ongitudinal wall surface of the soil storage unit 10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soil storage unit 10. The support bars 31 of the non-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s 15 that can be engaged are formed.

상기 토양저장부(10)의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수로(20)가 형성되어 토양저장부(10)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A drainage path (20)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outside the soil storage part (10)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oil storage part (10) can be drained.

상기 토양저장부(10)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구(15)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 또는 눈을 차단하도록 비가림막(30)이 설치된다.Is installed in an insertion port (15)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oil storage part (10), and a non - screening film (30) is installed to block rain or snow flowing from the outside.

상기 비가림막(30)은 삽입구(15)에 삽입되어 토양저장부(10)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31)가 결합되고, 지지대(31)의 외측을 덮으며 외부의 비 또는 눈이 토양저장부(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막(32)이 결합된다.The non-slip film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15 and is coupled to a supporter 31 which is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to cross the upper side of the soil storage part 10. The non-slip film 30 covers the outside of the supporter 31, (32) for preventing the snow from flowing into the soil storage part (10).

이러한 상기 차단막(32)은 모터(50)의 회전을 통해 개폐될 수 있으며, 이렇게 모터(50)를 통해 개폐되도록 회전봉이 차단막(32)에 연결되어 모터(50)의 회전으로 회전봉이 차단막(32)을 감거나 풀어 토양저장부(10)를 개폐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32 may be opened or closed by rotation of the motor 50. The rotating bar may be connected to the blocking film 32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motor 50, The soil storage unit 10 can be opened or closed.

상기 토양저장부(10)에는 토양(13)이 저장될 때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자갈(11)이 적층되고, 자갈(11)의 상측에 토양(13)이 자갈(11)측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토양유출방지망(12)이 적층되며, 토양유출방지망(12)의 상측에 토양(13)이 적층된다.When the soil 13 is stored in the soil storage section 10, the gravel 11 is stack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the soil 13 flows into the gravel 11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gravel 11, And the soil 13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soil outflow preventing net 12.

이렇게 적층된 토양(13)의 상측에는 다수의 물 공급관이 설치되어 외부의 펌프(6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토양(13)에 공급하게 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stacked soil 13,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are provided to supply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pump 60 to the soil 13.

상기 비가림막(30)과 토양(13) 내부에는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도록 제1 센서부(41)와 제2 센서부(42)로 이루어지는 감지센서부(40)가 설치된다.A sensing sensor unit 40 including a first sensor unit 41 and a second sensor unit 42 is installed in the non-shielding film 30 and the soil 13 to sense temperature and humidity.

이러한 상기 감지센서부(40)는 제1 센서부(41)와 제2 센서부(42)로 형성되며, 제1 센서부(41)는 비가림막(30)의 지지대(31)에 설치되어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41a)와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여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제1 습도센서(41b)로 구성된다.The sensor unit 40 is formed of a first sensor unit 41 and a second sensor unit 42. The first sensor unit 41 is installed on the support 31 of the non- A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d a first humidity sensor 41b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in by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atmosphere.

이러한 제1 센서부(41)에서 비가림막 내부의 대기 온도와 대기중의 수분을 감지하여 제어부(1)로 전송하면 제어부(1)에서 설정된 설정값과 제1 습도센서(41b)에서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습도값이 높을 경우 모터(50)를 작동시켜 차단막(32)을 펼쳐 외부의 비 또는 눈이 토양저장부(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When the first sensor unit 41 sense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side the non-shielding film and the moisture in the air and transmits the sensed moisture to the control unit 1, the set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1 and the humidity detected in the first humidity sensor 41b When the humidity value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the motor 50 is operated to unfold the shielding film 32 so that external rain or snow can not flow into the soil storage unit 10.

상기 물 공급관은 외부의 펌프(60)와 연결되어 펌프(6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토양(13)에 공급하도록 토양(13) 상측에 다수 설치된다.The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ump 60 so that a large number of water supply pipes are installed above the soil 13 to supply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pump 60 to the soil 13.

이러한 상기 물 공급관은 물이 토양(13)에 공급될 수 있도록 외측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물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oil 13, thereby discharging the water.

상기 펌프(60)는 외부의 물을 펌핑하여 물 공급관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pump 60 pumps external water and supplies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이때, 상기 펌프(60)는 제어부(1)와 연결되어 제2 센서부(42)의 제2 온도센서(42a)와 제2 습도센서(42b)에서 감지되는 토양(13)의 온도 및 습도를 통해 제어부(1)에 설정된 토양(13) 설정값과 비교하여 토양(13)의 습도 및 온도가 토양(13) 설정값에 미치지 못하면 펌프(60)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ump 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 to detec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13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2a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42b of the second sensor unit 42, If th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il 13 do not reach the set value of the soil 13, the pump 60 is operated to supply the water.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는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50)와 펌프(60)를 자동으로 동작 시켜 토양저장부(10) 내부의 환경을 가뭄 또는 적정관수구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1 automatically operates the motor 50 and the pump 60 through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environment inside the soil storage unit 10 can be drought or an appropriate irrigation water.

그리고, 상기 토양저장조(10)는 다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환경에 맞도록 제어부(1)에서 펌프(60)와 모터(50)를 제어하여 각각의 토양저장부(10)가 가뭄 또는 적정관수구 환경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soil storage tank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ils and controls the pump 60 and the motor 50 in the control unit 1 in accordance with each environment so that each soil storage unit 10 is exposed to drought, So that the environment can be formed singly or in combination.

상기 배수밸브(14)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작동되는 경우 제어부(1)에서 제어신호를 통해 작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어부(1)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제2 센서부(42)에서 감지된 토양(13)의 수분에 따라 설정값 이상으로 토양(13)에 수분이 많을 경우 개방되어 토양(13)의 수분을 배출시키게 된다.The drain valve 14 can be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nd can be operated through a control signal in the control unit 1 when it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the soil 13 is automatically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 if the soil 13 has a water content higher than a set value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13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unit 42, Thereby discharging moisture.

그리고, 상기 비가림막(30)의 지지대(31)에는 열화상 카메라(70)가 설치되어 제어부(1)로 촬영된 열영상을 보내 토양(13)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ing frame 31 of the non-shielding film 30 is provided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70 and can transmit a therm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ontrol unit 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oil 13 can be confirmed.

상기의 구성을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은 흙을 채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양저장조(10)와 강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비가림막(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크기 23.2 m 23.5 m로 설계하였다. 상기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 내부에는 6.0 m 21.1 m 크기의 토양저장조(10)(두께 20 cm) 3개를 배치하였다. The drought simulating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oil storage tank 10 capable of filling soil with plants and a non-slushing layer 30 capable of blocking rainfall inflow, and is designed to have a total size of 23.2 m 23.5 m. Three soil storage tanks 10 (20 cm thick) 6.0 m 21.1 m in size were placed in the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the plant.

각각의 토양저장조(10)에는 측면의 바닥으로부터 15 cm 위와, 측면 상단에서 15 cm 아래에 각각 4개씩, 토양저장조(10) 하나에 총 16개의 배수밸브(14)를 설치하였다. 배수밸브(14)는 수분 공급시에는 닫아 놓고, 건조 처리시에는 열어 놓았다. 각 토양저장조(10) 내에는 바닥으로부터 15 cm 위까지 자갈(11)을 깔아 배수를 원활하게 하였다. 자갈(11) 위에는 토양유출방지망(12)인 부직포를 깔고 토양(13)을 80 cm 깊이로 채워 넣었다. 배수밸브(14)를 열었을 때 토양저장조(10)를 빠져나온 물은 곧바로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 외측 또는 지하에 매립되어 있는 배수로(20)에 매립되는 배수관(21)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보내지도록 설계하였다. In each soil storage tank 10, a total of 16 drainage valves 14 were installed in a soil storage tank 10, four in each case 15 cm above the bottom of the side and 15 cm below the top of the side. The drain valve 14 was closed when water was supplied, and was opened when drying. In each soil storage tank (10), gravel (11) was laid up to 15 cm above the floor to smooth drainage. On the gravel (11), a nonwoven fabric, which is a soil spill prevention net (12), was laid and the soil (13) was filled to a depth of 80 cm. The water exiting the soil storage tank 10 when the drain valve 14 is opened is immediately designed to be sent through the drain pipe 21 embedded in the drainage path 20 buried outside the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r underground of the plant Respectively.

한편, 강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양저장조(10) 위에 비가림 시설을 조성하였다.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항상 비가림시설의 천창과 측창인 차단막(32)을 열어 태양광이 최대한 들어오도록 하여 내부와 외부의 습도가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우천 시에는 제1 습도센서(41a)의 감지에 따라 제어부(1)의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5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비가림막(30)의 천창과 측장인 차단막(32)을 닫음으로써 강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On the other hand, a rainfall facility was constructed on the soil storage tank (10)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fall. When the rain is not present, the ceiling of the rainfall facility and the blocking film 32 serving as an opening are opened to allow the sunlight to enter the maximum, so that the humidity inside and outside can be maintained. The motor 50 is automatically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o as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fall by closing the skirt of the non-skimming film 30 and the shielding film 32 as the side skirt.

그리고,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 내에서 물 공급관을 이용하여 식물의 수분을 공급하였다. 상기 토양저장조(10)에 가뭄처리구와 적정관수구로 구분하여 점적 호스를 연결하고, 공급되는 물을 물 공급 시간 및 토양(13)의 수분 함량을 제2 습도센서(42b)를 통해 감지하여 설정값으로 조절함으로써 가뭄조건을 조성하였다. In the drought simulation facility of the plant, water was supplied to the plants using a water supply pipe. The dewatering treatment section is divided into a drought treatment section and an appropriate irrigation section, and a drip hose is connected to the soil storage tank. The water supply time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13 are sensed through the second humidity sensor 42b, To create a drought condition.

상기 토양(13) 수분함량의 변화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12년 7월 30일부터 2012년 11월 2일까지 30분 간격으로 토양(13)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일별로 평균값을 구하여 일변화 그래프로 환산하였다. 적정관수구 토양(13)의 수분함량은 10.74 ~ 18.13%를 유지한 반면 가뭄처리구 토양(13)의 수분함량은 6.83 ~ 11.68%로 적정관수구와 가뭄처리구 간에 뚜렷한 토양(13)의 수분함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가뭄처리구에 건조스트레스 환경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13) was measured using a humidity sensor. The water content of soil (13)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30 minutes from July 30, 2012 to November 2, 2012, and the average value was calculated by day and converted into a daily change graph.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in the irrigation canal soil (13) was maintained at 10.74 ~ 18.13%, while the moisture content of soil (13) in the drought treated soil was 6.83 ~ 11.68% And it was found that dry stress environment was formed in the drought treatment area.

이처럼 구성된 토양저장부(10)상에 구성된 적정관수구와 가뭄처리구 내에서 일품벼의 표현 형질을 비교한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냈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henotypic traits in the drought-treated soil with the appropriate irrigation water formed on the soil storage unit 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적정관수구와 가뭄처리구에서 재배한 일품벼의 표현 형질 비교. Comparison of phenotypic traits of dwarf germplants cultivated in proper irrigation and drought conditions. 표현형질Expressive trait 적정관수구Enemy watershed 가뭄처리구Drought treatment 초장 (cm)Length (cm) 81.95 ± 0.9781.95 ± 0.97 78.36 ± 0.4578.36 + - 0.45 지상부 건물중 (g)Among the above-ground buildings (g) 18.27 ± 0.4218.27 + - 0.42 19.04 ± 1.0719.04 ± 1.07 분얼수Number of tears 10.53 ± 1.2710.53 + - 1.27 12.13 ± 0.4112.13 + - 0.41 주당 이삭수Number of heads per week 14.53 ± 0.4414.53 + - 0.44 16.00 ± 1.2516.00 ± 1.25 이삭 길이 (cm)Ears length (cm) 20.59 ± 0.1620.59 ± 0.16 20.37 ± 0.2120.37 ± 0.21 1수 영화수Number of movies 61.61 ± 4.0661.61 + - 4.06 55.65 ± 1.2555.65 ± 1.25 천립중 (g)* Ginseng (g) * 25.58 ± 0.4225.58 + - 0.42 23.95 ± 0.1423.95 + 0.14 주당 종실중 (g)(G) 14.38 ± 3.3714.38 ± 3.37 9.89 ± 0.249.89 ± 0.24 등숙률 (%)* Maturity rate (%) * 46.68 ± 11.3246.68 + - 11.32 29.01 ± 3.6029.01 + - 3.60 수확량 (kg/10a)*Yield (kg / 10a) * 303.12 ± 88.31303.12 ± 88.31 168.02 ± 8.90168.02 + - 8.90

평균표준오차 (n=15), *평균표준오차(n=3).Mean standard error (n = 15), * Mean standard error (n = 3).

지상부 건물중, 분얼수, 주당 이삭수를 제외한 모든 형질의 값이 가뭄처리구에 비해 적정관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적정관수구의 수확량은 가뭄처리구의 수확량보다 약 1.8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All of the traits except the number of tillers and the number of spines per day were higher than those of drought treatments. Especially, the yield of the appropriate irrigation plot was about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drought treatments .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식물이 생장하는 조건을 가뭄 또는 적정관수구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생장시키는 환경에 따라 식물의 생장을 관찰 및 이에 따른 생장환경 조사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ituted has the advantage that the growth conditions of plants can be formed into a drought condition or an in vivo environment, and thus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growth of plan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lants are grown, and thereby to investigate the growth environment.

그리고, 가뭄 스트레스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식물의 생장을 관찰함으로 인해 가뭄에 따른 식물의 형질 개선 또는 가뭄을 견딜 수 있는 생장 설비 및 토양 개선에 관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observing the growth of plants by artificially constructing the drought stress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growth facilities and the soil that can withstand the drought-induced plant traits or the drought.

상기와 같은 액체 또는 기체의 유량 제어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liquid or gas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 : 제어부 2 : 입력장치
10 : 토양저장부 11 : 자갈
12 : 토양유출방지망 13 : 토양
14 : 배수밸브 15 : 삽입구
20 : 배수로 21 : 배수관
30 : 비가림막 31 : 지지대
32 : 차단막
40 : 감지센서부 41 : 제1 센서부
41a : 제1 온도센서 41b : 제1 온도센서
42 : 제2 센서부
42a : 제2 온도센서 42b : 제2 온도센서
50 : 모터 60 : 펌프
70 : 열화상 카메라
1: control unit 2: input device
10: soil storage part 11: gravel
12: Soil spill prevention network 13: Soil
14: Drain valve 15:
20: drainage pipe 21: drain pipe
30: Non-shielding film 31: Support
32:
40: detection sensor unit 41: first sensor unit
41a: first temperature sensor 41b: first temperature sensor
42: second sensor unit
42a: second temperature sensor 42b: second temperature sensor
50: motor 60: pump
70: Thermal Cameras

Claims (4)

물이 유출 또는 유입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지면 또는 지중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내부에 토양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길이방향 외측에 배수로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측 벽면 상하측에 배수밸브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 양측 벽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삽입용 삽입구를 포함하는 토양저장부;
상기 토양저장부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비 또는 눈의 유입을 방지하며,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비가림막;
상기 토양저장부에 저장되는 토양의 상측에 다수 설치되며, 외부에 설치된 펌프를 통해 물을 토양에 공급하는 물 공급관;
상기 비가림막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에 저장된 토양 내부에 설치되어 토양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모터와 펌프 및 감지센서부가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신호로 상기 모터와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양저장부는 바닥부터 자갈과, 토양유출방지망 및 토양을 적층하여 저장되며,
상기 감지센서부의 제1 센서부는, 상기 비가림막에 설치되어 상기 비가림막 내부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상기 비가림막에 설치되어 대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여 강우 확률을 측정하는 제1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부의 제2 센서부는, 상기 토양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토양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토양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토양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대기의 온도와 습도를 통해 상기 비가림막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통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양으로 상기 토양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상기 비가림막은 삽입구에 삽입되어 토양저장부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측을 덮으며 외부의 비 또는 눈이 토양저장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막은 모터의 회전을 통해 개폐될 수 있는데, 상기 모터가 작동하면 차단막에 연결된 회전봉이 회전되면서 차단막을 감거나 풀어 토양저장부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
A storage space is formed so that the soil can be stored therein, an upper portion is opened, a drainage passag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oil storag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drainage valves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both side wall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n insertion port for inserting a support formed at the upper end of both longitudinal side walls;
An unshielded membran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of the soil storage unit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 or snow,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motor;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installed above the soil stored in the soil storage part and supplying water to the soil through an external pump;
A first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non-shielding film and measuring an external humidity and temperature, and a second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soil stored in the soil storage unit and measur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oil;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tor, the pump, and the sensing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pump with a control signal through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ensor unit,
The soil storage part is stored by stacking gravel, soil leakage prevention net and soil from the bottom,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of the sensing sensor unit compris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non-shielding film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non-shielding film;
And a first humidity sensor provided in the non-lean film to measure the humidity in the atmosphere to measure a rainfall probability,
A second sensor unit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soil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oil;
And a second humidity sensor installed inside the soil to measure humidity inside the soil,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activates the unshielded membrane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tmosphere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and operates the pump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sensed by the second sensor unit,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the soil in a predetermined amount,
Wherein the non-screed film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nd cross the upper side of the soil storage part; And a barrie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upport to prevent external rain or snow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oil reservoir,
Wherein the shielding membrane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of the motor, and when the motor operates, the rotating rod connected to the shielding membrane is rotated to wind or unwind the shielding membrane to open and close the soil storage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72482A 2013-06-24 2013-06-24 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KR101507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482A KR101507746B1 (en) 2013-06-24 2013-06-24 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482A KR101507746B1 (en) 2013-06-24 2013-06-24 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57A KR20150000257A (en) 2015-01-02
KR101507746B1 true KR101507746B1 (en) 2015-04-07

Family

ID=5247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2482A KR101507746B1 (en) 2013-06-24 2013-06-24 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74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8735A (en) * 2018-12-24 2019-02-15 九江绿谷源农业科技有限公司 The organic internal circulation system of vegetable three-dimensional planting
CN109601206A (en) * 2019-01-08 2019-04-12 山东省农业广播电视学校济南市分校 Automatic watering device in greenho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8196B (en) * 2017-03-15 2022-05-03 河南科技学院 Wheat field is with cold environment analogue means of falling spring
CN107300603A (en) * 2017-06-23 2017-10-27 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A kind of field top-open type CO2Concentration and moisture control experiment gas cell device
KR102029239B1 (en) * 2017-09-29 2019-10-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Eco-Friendly Pergola
CN108037242B (en) * 2017-12-06 2021-12-10 浦江县驰宇电子科技有限公司 Crop drought simulation test equipment
CN110612841A (en) * 2019-10-23 2019-12-27 方思明 Greenhouse seedling system and greenhouse seedling box for agricultural plan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1402A (en) 2006-12-07 2010-04-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Control equipment for greenhouse
JP2011101630A (en) 2009-11-11 2011-05-26 Nunobiki Shisetsu Engei Kumiai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strawberry-cultivation greenho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1402A (en) 2006-12-07 2010-04-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Control equipment for greenhouse
JP2011101630A (en) 2009-11-11 2011-05-26 Nunobiki Shisetsu Engei Kumiai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strawberry-cultivation greenho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8735A (en) * 2018-12-24 2019-02-15 九江绿谷源农业科技有限公司 The organic internal circulation system of vegetable three-dimensional planting
CN109601206A (en) * 2019-01-08 2019-04-12 山东省农业广播电视学校济南市分校 Automatic watering device in green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57A (en)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746B1 (en) Drought simulation facilities of plant
CN104652598B (en) ecological building and working method thereof
AU2017325629B2 (en) Plant watering bottle
US8979431B2 (en) Moisture responsive irrigation method and apparatus
JP5731791B2 (en) Irrigation system and method
JP2017515505A (en) Rainwater automatic supply cultivation equipment
CN104172819B (en) Greening flower pot and wall type greening flower stand
JP2007267731A (en) Greening system
CN106088305A (en) Greenery patch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ith underground conservation pool
JP2004298140A (en) Roof greening system and roof greening planter
KR101215777B1 (en) Underground watering·draining system
CN104221755A (en) Water storage planting box
CN214508517U (en) Hole planting structure for improving tree transplanting survival rate
CN106688702A (en) Harmless greenhouse system and greenhouse planting method
CN206851611U (en) Crops field irrigation control system
KR101505984B1 (en)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street tree
JP4083181B2 (en) Cultivation method and facility
JP3159445U (en) Automatic water supply vegetation mat and irrigation equipment
CN106613428A (en) Planting system for preventing water and soil loss
KR101771073B1 (en) Storage facilities for storing and pass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543474B1 (en) Green belt planting pot
JP3712687B2 (en) Cultivation method
KR100895339B1 (en) Automatism water supply equipment of structure the roof flower bed
KR20150107908A (en) A flower pot for wall-greening and the wall-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JP4134070B2 (en) Underground irrigation drainage under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